맨위로가기

말라가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가시어는 마다가스카르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특히 보르네오 섬의 마아냐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15세기부터 아랍 문자를 사용한 기록이 있으며, 1823년 라틴 문자가 도입되었다. 말라가시어는 동부와 서부 방언으로 나뉘며, 표준 말라가시어는 중부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문법적으로는 VOS 어순을 따르며, 동사는 시제와 초점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말라가시 문학은 구전 문학인 카바리에서 시작하여, 라틴 문자를 도입한 기독교 문학, 1930년대 시문학, 현대 소설 등으로 발전했다. 1975년까지 프랑스어가 공식어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공용어로 프랑스어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다가스카르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마다가스카르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VOS형 언어 - 피지어
    피지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멜라네시아어군 언어로, 피지의 공용어이며 라틴 문자 기반의 문자를 사용하고 동부 방언인 바우안 방언을 기초로 VOS 어순을 가지며 소유를 나타내는 문법이 발달되어 있다.
  • VOS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말라가시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말라가시어
고유 이름Fiteny malagasy
사용 지역마다가스카르
마요트
사용 민족말라가시인
사용 국가마다가스카르
사용자 수2500만 명 (2015년)
언어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서부 인도네시아어군
어계바리토어군
하위 어군동바리토어군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말라가시어 알파벳)
소라베 (소라베 알파벳) (역사적)
말라가시어 점자
언어 코드
ISO 639-1mg
ISO 639-2mlg
ISO 639-3mlg
Glottologmala1537
Lingua31-LDA-a
방언
안탄카라나어xmv
바라어bhr
부시어buc
마시코로어msh
북부 베치미사라카어bmm
플라토 말라가시어plt
사칼라바어skg
남부 베치미사라카어bzc
탄드로이-마하팔리어tdx
타노시어txy
테사카어tkg
치미헤티어xmw
역사
기원1000년
기관
공인 기관fr

2. 역사

마다가스카르는 최초로 정착한 곳으로, 순다 열도(말레이 제도)의 해양 동남아시아 출신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정착했다.[11] 인도네시아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자바 섬에서 마다가스카르까지 인도양을 직접 건너왔을 가능성이 있으며, 몰디브를 거쳐 갔을 가능성이 높은데, 몰디브에서는 오래된 인도네시아식 배의 설계와 어업 기술이 현재까지도 남아있다.[12] 이주는 1천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언어 연구자들은 말라가시어와 이 시대의 구말레이어와 구자바어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13][14] 말라가시어는 동남아시아의 바리토어파에서 유래했으며, 마아얀어가 가장 가까운 친족어로, 수많은 말레이어와 자바어 차용어가 있다.[15][16] 말레이인과 자바인들이 무역선으로 마다가스카르에 도착했을 때, 마아얀족 사람들이 노동자와 노예로 함께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기원후 50년~500년 사이에 일어났다.[17][18] 약 1000년경, 원래의 오스트로네시아인 정착민들은 반투족, 아랍인 등과 혼합되었다.[19] 말라가시 방언의 선조들이 처음 마다가스카르 동해안 남쪽 지역에 도착했다는 증거가 있다.[20] Adelaar (2017)는 초기 말라가시어 사용자가 동아프리카로 이주하기 전에 남부 보르네오에 이미 독립적인 말라가시어 사용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제안한다.[21]

말라가시어는 웅변술과 시적인 역사와 전설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마다가스카르 민족 영웅에 대한 국민 서사시인 ''이보니아''이다.[22]

1792년부터 1896년까지 메리나 왕국이 마다가스카르를 통일하여 지배하였는데, 이 시기 라다마 1세는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1817년 영국과 우호조약을 맺고 교육제도와 기독교를 선교사들로부터 도입하였다. 언어와 관련해서는 라다마 1세 치세 시기에 큰 발전을 이뤘는데, 개개인의 감정과 신앙적 세계를 표현하는 데는 영어보다 말라가시어가 적합하다는 성공회 선교사들의 판단으로

마다가스카르 성경
말라가시어 성경이 쓰여졌고 말라가시어의 라틴 문자 전사 또한 이 시기에 이뤄졌다. 1862년에는 예수회안타나나리보에 정착하였는데 이 시기 예수회 학교들에서 프랑스어로 교육이 이뤄지고, 영국 성공회 선교사들이 영어를 보급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영어보다는 프랑스어가 교육되었다.

프랑스 식민지배가 시작되고 난 뒤에는 마다가스카르를 문명화한다는 명분으로 모든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도록 강제했다. 이 시기 교육언어로서 프랑스어를 사용한 것 뿐만 아니라 말라가시어 출판도 금지되었다. 식민지 이전 시대 지식인들 상당수가 말라가시어 출판 금지 정책에 저항하였고, 프랑스 식민 당국에서는 1947년에는 말라가시어 신문 출판을 금지하기에 이른다.

1902년에는 마다가스카르 학술원이 설립되었지만 대다수가 프랑스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말라가시어와 말라가시 문학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마다가스카르 문화의 식민지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마다가스카르 제1공화국이 등장한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으며, 마다가스카르 교육 제도는 프랑스의 교육 제도가 그대로 이식되어 프랑스어는 행정 언어로서의 특권적 우위를 지님에 따라 대학 입학 시험에서 말라가시어가 외국어로 취급되는 상황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말라가시 작가들은 프랑스 작품을 읽고 이들의 문체를 모방하여 바자하라는 문학 전통을 등장시켰다. 바자하는 프랑스어로 작성되거나 연극, 소설과 같은 프랑스 문학 장르를 빌려 온 시와 작품들을 일컫는다.

1975년까지 프랑스어가 공식어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제2공화국이 들어 선 이후에는 공통 말라가시어가 공식어로 프랑스어를 대신하게 된다. 하지만 상당수의 학교와 고등교육기관에서는 1990년대까지 프랑스어로의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말라가시어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육 인력이 부족했고 교육 자료 또한 전무했기 때문에, 과학 기술 등 고급 어휘 분야에서는 거의 진보가 없었다. 이런 가운데 급속한 말라가시화 정책은 학생들의 수준 저하, 유급과 학업 포기 비율의 증가, 교사들의 수준 저하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 1. 초기 정착 및 언어 형성 (기원후 5세기 ~ 15세기)

마다가스카르는 최초로 정착한 곳으로, 순다 열도(말레이 제도)의 해양 동남아시아 출신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정착했다.[11] 인도네시아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자바 섬에서 마다가스카르까지 인도양을 직접 건너왔을 가능성이 있으며, 몰디브를 거쳐 갔을 가능성이 높은데, 몰디브에서는 오래된 인도네시아식 배의 설계와 어업 기술이 현재까지도 남아있다.[12] 이주는 1천년 동안 계속되었으며, 언어 연구자들은 말라가시어와 이 시대의 구말레이어와 구자바어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13][14] 말라가시어는 동남아시아의 바리토어파에서 유래했으며, 마아얀어가 가장 가까운 친족어로, 수많은 말레이어와 자바어 차용어가 있다.[15][16] 말레이인과 자바인들이 무역선으로 마다가스카르에 도착했을 때, 마아얀족 사람들이 노동자와 노예로 함께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기원후 50년~500년 사이에 일어났다.[17][18] 약 1000년경, 원래의 오스트로네시아인 정착민들은 반투족, 아랍인 등과 혼합되었다.[19] 말라가시 방언의 선조들이 처음 마다가스카르 동해안 남쪽 지역에 도착했다는 증거가 있다.[20] 초기 말라가시어 사용자가 동아프리카로 이주하기 전에 남부 보르네오에 이미 독립적인 말라가시어 사용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Adelaar (2017)는 제안한다.[21]

말라가시어는 웅변술과 시적인 역사와 전설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마다가스카르 민족 영웅에 대한 국민 서사시인 ''이보니아''이다.[22]

2. 2. 메리나 왕국 시대 (18세기 ~ 19세기)

라다마 1세는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1817년 영국과 우호조약을 맺고 교육제도와 기독교를 선교사들로부터 도입하였다. 성공회 선교사들은 개개인의 감정과 신앙적 세계를 표현하는 데는 영어보다 말라가시어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말라가시어 성경이 쓰여졌고, 말라가시어의 라틴 문자 전사 또한 이 시기에 이뤄졌다. 1862년에는 예수회안타나나리보에 정착하였는데, 이 시기 예수회 학교들에서 프랑스어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2. 3. 프랑스 식민 통치와 언어 탄압 (19세기 말 ~ 20세기 중반)

1792년부터 1896년까지 메리나 왕국이 마다가스카르를 통일하여 지배하였는데, 이 시기 라다마 1세는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1817년 영국과 우호조약을 맺고 교육제도와 기독교를 선교사들로부터 도입하였다. 언어와 관련해서는 라다마 1세 치세 시기에 큰 발전을 이뤘는데, 개개인의 감정과 신앙적 세계를 표현하는 데는 영어보다 말라가시어가 적합하다는 성공회 선교사들의 판단으로 말라가시어 성경이 쓰여졌고 말라가시어의 라틴 문자 전사 또한 이 시기에 이뤄졌다. 1862년에는 예수회안타나나리보에 정착하였는데 이 시기 예수회 학교들에서 프랑스어로 교육이 이뤄지고, 영국 성공회 선교사들이 영어를 보급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영어보다는 프랑스어가 교육되었다.

프랑스 식민지배가 시작되고 난 뒤에는 마다가스카르를 문명화한다는 명분으로 모든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도록 강제했다. 이 시기 교육언어로서 프랑스어를 사용한 것 뿐만 아니라 말라가시어 출판도 금지되었다. 식민지 이전 시대 지식인들 상당수가 말라가시어 출판 금지 정책에 저항하였고, 프랑스 식민 당국에서는 1947년에는 말라가시어 신문 출판을 금지하기에 이른다.

1902년에는 마다가스카르 학술원이 설립되었지만 대다수가 프랑스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말라가시어와 말라가시 문학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마다가스카르 문화의 식민지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마다가스카르 제1공화국이 등장한 이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으며, 마다가스카르 교육 제도는 프랑스의 교육 제도가 그대로 이식되어 프랑스어는 행정 언어로서의 특권적 우위를 지님에 따라 대학 입학 시험에서 말라가시어가 외국어로 취급되는 상황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말라가시 작가들은 프랑스 작품을 읽고 이들의 문체를 모방하여 바자하라는 문학 전통을 등장시켰다. 바자하는 프랑스어로 작성되거나 연극, 소설과 같은 프랑스 문학 장르를 빌려 온 시와 작품들을 일컫는다.

프랑스어는 1975년까지 공식어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제2공화국이 들어 선 이후에는 공통 말라가시어가 공식어로 프랑스어를 대신하게 된다. 하지만 상당수의 학교와 고등교육기관에서는 1990년대까지 프랑스어로의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말라가시어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육 인력이 부족했고 교육 자료 또한 전무했기 때문에, 과학 기술 등 고급 어휘 분야에서는 거의 진보가 없었다. 이런 가운데 급속한 말라가시화 정책은 학생들의 수준 저하, 유급과 학업 포기 비율의 증가, 교사들의 수준 저하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 4. 독립 이후의 언어 정책 (20세기 후반 ~ 현재)

1975년까지 프랑스어가 공식어 지위를 유지했으나, 제2공화국이 들어선 이후에는 공통 말라가시어가 프랑스어를 대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까지 많은 학교와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프랑스어로 교육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말라가시어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육 인력이 부족했고 교육 자료 또한 전무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속한 말라가시화 정책은 학생들의 수준 저하, 유급 및 학업 포기 비율 증가, 교사들의 수준 저하를 초래했다.

2010년 헌법에 따라 말라가시어는 프랑스어와 함께 마다가스카르의 두 가지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 이전 2007년 헌법에서는 말라가시어가 프랑스어, 영어와 함께 세 가지 공용어 중 하나였다. 말라가시어는 모든 공립학교에서 5학년까지 모든 과목의 교육 언어이며, 고등학교까지 역사와 말라가시어 과목의 교육 언어로 남아 있다.

3. 문자

말라가시어는 15세기경부터 기록된 문학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프랑스인들이 포르-도팽을 세웠을 때, 소라베("큰 글씨")로 알려진 아랍-말라가시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25] 이 아랍어에서 유래한 소라베 알파벳은 주로 점성술과 마법 텍스트에 사용되었으며, 15세기에 마다가스카르 남동부 지역에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 가장 오래된 소라베 문자로 쓰인 원고는 17세기 초의 짧은 말라가시어-네덜란드어 어휘집이다.[25]

소라베 말라가시 아랍 문자


에티엔 드 플라쿠르는 최초로 종교 텍스트의 이중 언어 번역을 하였고,[26] 이 언어의 최초 사전 또한 출판했다.[27] 메리나 왕조의 라다마 1세는 아랍-말라가시 전통에 정통했지만,[28] 1823년에 데이비드 존스가 만든 라틴 문자 시스템을 선택하고 런던 선교회가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도록 초청했다. 1835년, 성경이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마다가스카르 고지대에서 일하는 영국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에 의해 말라가시어로 번역 및 인쇄되었다.[29]

라틴 문자로 쓰여진, 'ô' 자가 포함된 말라가시어판 ''몰몬경''


현재의 말라가시어 알파벳은 21개의 문자 ''a, b, d, e, f, g, h, i, j, k, l, m, n, o, p, r, s, t, v, y, z''로 구성되어 있다. 철자법은 음소 목록에 상당히 직접적으로 대응된다. 문자 ''i''와 ''y''는 모두 /i/mg 음을 나타내고 (''y''는 어말에, ''i''는 다른 곳에 사용됨), ''o''는 /u/mg로 발음된다. 유음 /ʈʂ/mg와 /ɖʐ/mg는 각각 ''tr''과 ''dr''로 쓰여지며, /ts/mg와 /dz/mg는 ''ts''와 ''j''로 쓰여진다. 문자 ''h''는 종종 묵음이다. 다른 모든 문자는 본질적으로 IPA 값을 갖는다. 문자 ''c, q, u, w''와 ''x''는 모두 원어 말라가시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Mp''와 때때로 ''nt''는 단어의 처음에 올 수 있지만, /p, t/mg로 발음된다. ''@''는 비공식적으로 정관사가 뒤따르는 전치사인 ''amin'ny''의 약자로 사용된다.

소라베 알파벳과 현대 라틴 문자의 대응은 아래 표와 같다.[30]

소라베 알파벳과 해당 라틴 문자[30]
단독어말중간어두IPA현대
라틴 문자
-
b / mb
ts / nts
j / nj
d
r
dr / ndr / tr / ntr
s
t / nt
g / ng
f
p / mp
k / nk
l
m
n
v
h
z



표준 마다가스카르어에서 분음 부호는 모호함을 초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tanàna''("도시")는 ''tanana''("손")과 구별하기 위해 분음 부호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 ◌̀ (그래브 악센트)는 단어에서 강세를 받는 음절을 나타낸다.
  • ◌́ (액튜트 악센트)는 방언(바라어 등)이나 프랑스어 차용어 및 지명(툴레아, 안치라베)에 사용될 수 있다.
  • ◌̂ (서컴플렉스)는 ''ô''가 로 발음되는 외래어(''hôpitaly'') 및 방언(''톨라나로'')에서 사용된다. 표준어에서는 ''ao'' 또는 ''oa''로 표기한다.
  • ◌̈ (디에레시스)는 방언에서 연구개 비음 을 가진 ''n̈''과 함께 사용된다.
  • ◌̃ (틸드)는 ''ñ''에 사용되기도 한다.

3. 1. 소라베 문자 (아랍 문자)

말라가시어는 15세기경부터 기록된 문학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프랑스인들이 포르-도팽을 세웠을 때, 소라베("큰 글씨")로 알려진 아랍-말라가시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25] 이 소라베 알파벳은 주로 점성술과 마법 텍스트에 사용되었다. 이 문자로 쓰인 가장 오래된 알려진 원고는 17세기 초의 짧은 말라가시어-네덜란드어 어휘집이며, 1908년 가브리엘 페랑에 의해 처음 출판되었지만,[25] 이 문자는 15세기에 마다가스카르 남동부 지역에 도입되었을 것이다.[19]

종교 텍스트의 최초의 이중 언어 번역은 에티엔 드 플라쿠르의 번역이다.[26] 그는 또한 이 언어의 최초 사전을 출판했다.[27] 메리나 왕조의 첫 번째 문맹 퇴치 대표였던 라다마 1세는 아랍-말라가시 전통에 정통했지만,[28] 1823년에 데이비드 존스가 만든 라틴 문자 시스템을 선택하고 프로테스탄트 런던 선교회가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도록 초청했다.

소라베 알파벳과 해당 라틴 문자[30]
단독어말중간어두IPA현대
라틴 문자
-
b / mb
ts / nts
j / nj
d
r
dr / ndr / tr / ntr
s
t / nt
g / ng
f
p / mp
k / nk
l
m
n
v
h
z


3. 2. 라틴 문자

이 언어는 아마도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된 문학을 가지고 있다.[19] 프랑스인들이 17세기에 포르-도팽을 세웠을 때, 소라베("큰 글씨")로 알려진 아랍-말라가시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아랍어에서 유래한 소라베 알파벳은 주로 점성술과 마법 텍스트에 사용되었다. 그 문자로 쓰인 가장 오래된 알려진 원고는 17세기 초의 짧은 말라가시어-네덜란드어 어휘집이며, 1908년 가브리엘 페랑에 의해 처음 출판되었다.[25] 종교 텍스트의 최초의 이중 언어 번역은 에티엔 드 플라쿠르의 번역이다.[26] 그는 또한 이 언어의 최초 사전을 출판했다.[27]

메리나 왕조의 첫 번째 문맹 퇴치 대표였던 라다마 1세는 아랍-말라가시 전통에 정통했지만,[28] 1823년에 데이비드 존스가 만든 라틴 문자 시스템을 선택하고 프로테스탄트 런던 선교회가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도록 초청했다.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말라가시어로 인쇄된 최초의 책은 성경이었으며, 1835년 마다가스카르 고지대에서 일하는 영국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에 의해 말라가시어로 번역되었다.[29]

현재의 말라가시어 알파벳은 21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a, b, d, e, f, g, h, i, j, k, l, m, n, o, p, r, s, t, v, y, z.'' 철자법은 음소 목록에 상당히 직접적으로 대응한다. 문자 ''i''와 ''y''는 모두 /i/mg 음을 나타내고 (''y''는 어말에, ''i''는 다른 곳에 사용됨), ''o''는 /u/mg로 발음된다. 유음 /ʈʂ/mg와 /ɖʐ/mg는 각각 ''tr''과 ''dr''로 쓰여지며, /ts/mg와 /dz/mg는 ''ts''와 ''j''로 쓰인다. 문자 ''h''는 종종 묵음이다. 다른 모든 문자는 본질적으로 IPA 값을 갖는다. 문자 ''c, q, u, w''와 ''x''는 모두 원어 말라가시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Mp''와 때때로 ''nt''는 단어의 처음에 올 수 있지만, /p, t/mg로 발음된다. ''@''는 비공식적으로 정관사가 뒤따르는 전치사인 ''amin'ny''의 약자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와 함께''를 의미한다.

diacritic은 표준 마다가스카르어에서는 모호함을 초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tanàna''("도시")는 ''tanana''("손")과 구별하기 위해 diacritic이 필요하다.

소라베 알파벳과 해당 라틴 문자[30]
단독어말중간어두IPA현대
라틴 문자
-
b / mb
ts / nts
j / nj
d
r
dr / ndr / tr / ntr
s
t / nt
g / ng
f
p / mp
k / nk
l
m
n
v
h
z


3. 3. 현대 말라가시어 알파벳

말라가시어는 15세기부터 기록된 문학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프랑스인들이 포르-도팽을 세웠을 때, 소라베("큰 글씨")로 알려진 아랍-말라가시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25] 이 아랍어에서 유래한 소라베 알파벳은 주로 점성술과 마법 텍스트에 사용되었으며, 15세기에 마다가스카르 남동부 지역에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 가장 오래된 소라베 문자로 쓰인 원고는 17세기 초의 짧은 말라가시어-네덜란드어 어휘집이다.[25]

에티엔 드 플라쿠르는 최초로 종교 텍스트의 이중 언어 번역을 하였고,[26] 이 언어의 최초 사전 또한 출판했다.[27] 메리나 왕조의 라다마 1세는 아랍-말라가시 전통에 정통했지만,[28] 1823년에 데이비드 존스가 만든 라틴 문자 시스템을 선택하고 런던 선교회가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도록 초청했다. 1835년, 성경이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마다가스카르 고지대에서 일하는 영국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에 의해 말라가시어로 번역 및 인쇄되었다.[29]

현재의 말라가시어 알파벳은 21개의 문자 ''a, b, d, e, f, g, h, i, j, k, l, m, n, o, p, r, s, t, v, y, z''로 구성되어 있다. 철자법은 음소 목록에 상당히 직접적으로 대응된다. 문자 ''i''와 ''y''는 모두 /i/mg 음을 나타내고 (''y''는 어말에, ''i''는 다른 곳에 사용됨), ''o''는 /u/mg로 발음된다. 유음 /ʈʂ/mg와 /ɖʐ/mg는 각각 ''tr''과 ''dr''로 쓰여지며, /ts/mg와 /dz/mg는 ''ts''와 ''j''로 쓰여진다. 문자 ''h''는 종종 묵음이다. 다른 모든 문자는 본질적으로 IPA 값을 갖는다. 문자 ''c, q, u, w''와 ''x''는 모두 원어 말라가시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Mp''와 때때로 ''nt''는 단어의 처음에 올 수 있지만, /p, t/mg로 발음된다. ''@''는 비공식적으로 정관사가 뒤따르는 전치사인 ''amin'ny''의 약자로 사용된다.

소라베 알파벳과 현대 라틴 문자의 대응은 아래 표와 같다.[30]

소라베 알파벳과 해당 라틴 문자[30]
단독어말중간어두IPA현대
라틴 문자
-
b / mb
ts / nts
j / nj
d
r
dr / ndr / tr / ntr
s
t / nt
g / ng
f
p / mp
k / nk
l
m
n
v
h
z



표준 마다가스카르어에서 분음 부호는 모호함을 초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tanàna''("도시")는 ''tanana''("손")과 구별하기 위해 분음 부호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 ◌̀ (그래브 악센트)는 단어에서 강세를 받는 음절을 나타낸다.
  • ◌́ (액튜트 악센트)는 방언(바라어 등)이나 프랑스어 차용어 및 지명(Tuléar, Antsirabé)에 사용될 수 있다.
  • ◌̂ (서컴플렉스)는 ''ô''가 로 발음되는 외래어(''hôpitaly'') 및 방언(''Tôlan̈aro'')에서 사용된다. 표준어에서는 ''ao'' 또는 ''oa''로 표기한다.
  • ◌̈ (디에레시스)는 방언에서 연구개 비음 을 가진 ''n̈''과 함께 사용된다.
  • ◌̃ (틸드)는 ''ñ''에 사용되기도 한다.

4. 음운론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그래프는 강세를 받는 음절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단어는 보통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지만, 'ka', 'tra', 그리고 종종 'na'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에는 마지막에서 세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다. 네 음절 이상인 단어에서는 마지막 강세 음절에서 짝수 번째 음절에 부차적 강세가 나타난다. (fàmantàranàndromg "시계"). 접두사나 접미사는 강세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많은 방언에서 무강세 모음 ( 제외)은 약화되거나 거의 완전히 탈락된다. 예를 들어, 'fanòrona'는 로 발음된다.

2019년 페넬로페 하우(Penelope Howe)에 따르면, 중앙 마다가스카르어는 음조 발생 과정을 겪고 있다. 유성 자음이 있는 음절은 "완전히 무성화"되고 저음을 획득하며(IPA|/ba/ → IPA|[b̥à]}), 무성 자음을 포함하는 음절은 고음을 획득한다(IPA|/pa/ → IPA|[pá]}).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후강세 음절에서는 일어나지 않아, "높낮이 강세"라고 불린다.[32]

/a/、/i/、/e/、/u/、/o/의 5개의 모음이 있다. 철자 o는 일반적으로 로 발음되며, 는 ô로 표기된다.[39]

자음 ñ은 으로, nj는 로, ndr은 로, ng는 로, j는 로, dr은 로, tr은 로 발음된다.[39]

4. 1. 모음

말라가시어에는 /a/, /i/, /e/, /u/, /o/의 5개 모음이 있다.[39] 철자 o는 일반적으로 로 발음되며, 는 ô로 표기된다.[39]



강세 받는 음절 뒤, 즉 대부분의 단어 끝이나 일부 단어의 마지막 두 음절에서 는 로 약화된다. 이 경우 는 로 표기되지만, ''ny''나 ''vy''와 같은 단음절 단어에서는 가 완전한 로 발음된다. 어말 와 때때로 어말 음절은 발화의 끝에서 무성화된다. 와 는 절대 약화되거나 무성화되지 않는다. 많은 수의 약화된 모음과 이것이 인접 자음에 미치는 영향은 마다가스카르어에 포르투갈어와 비슷한 음운론적 특징을 부여한다.

메리나 방언에서 는 주로 감탄사와 외래어에서 발견되는 한계적인 음소이지만, 다른 방언 지역의 지명에서도 발견된다. 주의 깊은 발음에서는 는 이중모음 이고, 보다 평상시 발음에서는 또는 이다. 는 어떻게 발음되든, 뒤따르는 에 와 같은 영향을 미친다.

4. 2. 자음

말라가시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colspan="3"|순음치음치경음권설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무성음일반
선비음화
유성음일반
선비음화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설측음
전동음



치경음 은 약간 구개음화된다. 는 와 사이에서 변화하며, 무성 강세가 없는 다음에 올 때 후자일 가능성이 특히 높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malgache'' 는 '마다가스카르인'을 의미한다. 연구개음 은 다음에 구개음화된다 (예: ''alika'' '개'). 는 구어체에서 자주 생략된다.

보고된 후치경음 진동 마찰 파열음 는 때때로 단순 파열음 이지만, 종종 유음 방출 을 갖는다. 이것이 실제로 진동하는 것인지, 단순히 비유음 마찰 파열음 인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주장된 진동 마찰 파열음을 가진 또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피지어에서는 진동이 발생하지만 드물며, 주된 구별 특징은 후치경음이라는 것이다.[31] 마다가스카르어 음소는 종종 [ ]로 표기된다.

중복, 복합어, 소유격 및 동사 구문뿐만 아니라 비음, 마찰음 및 유음 다음에 '마찰음'은 파열음이 된다.

마다가스카르어 사음 변화
유성음무성음
마찰음파열음마찰음파열음
()


5. 방언

말라가시어 방언은 크게 동부 말라가시 방언과 서부 말라가시 방언으로 나뉜다.[23] 동부 방언은 마다가스카르 중부와 북부를 포함하며, 표준 말라가시어로 여겨지는 중부 말라가시 방언이 여기에 속한다. 서부 방언은 마다가스카르 남부를 포함한다.[23] 에스놀로그는 말라가시어의 12가지 변종을 별개의 언어로 분류하며, 이들은 메리나어 방언과 약 7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

마다가스카르의 마다가스카르어 방언 분포


남서부의 말라가시 방언에는 사칼라바 방언, 베조 방언, 바라 방언 등이 있다. 최남단의 안탄드로이 방언은 안탄드로이족(Antandroy)이 사용하며, 공통 어휘 부분에서 상당한 이질적 특성을 지닌다. 특히 안탄드로이 방언은 신체 부위에 대한 경어체적 표현과 서수 표현이 사용되는데, 이는 안드로이 지역에서만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사칼라바 방언은 북부 사칼라바 방언(Sakalava Boina)과 서부 사칼라바 방언(Sakalava Menabe)으로 나뉘며, 북부 사칼라바 방언은 중부 메리나 방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안타이사카 방언과 자피소로 방언은 사칼라바 방언과 가깝지만 어휘적인 측면에서 약간 다르다. 마하장가 방언은 일반적으로 사칼라바 방언으로 인식되지만, 동부 말라가시 방언인 메리나 방언의 영향을 많이 받아 동부 말라가시 방언으로 분류된다.

말라가시어의 두 주요 방언은 여러 음운론적 특징으로 구분된다. 사칼라바 방언은 어말 비음 자음을 소실했지만, 메리나 방언은 무성음 어미 [ə̥]를 추가했다. 예를 들어 '손'을 뜻하는 단어는 *taŋan*에서 사칼라바 방언은 [ˈtaŋa] ''tan̈a'', 메리나 방언은 [ˈtananə̥] ''tanana''가 되었다. 어말 *t는 한 방언에서는 [-tse], 다른 방언에서는 [-ʈʂə̥]가 되었다. '피부'를 뜻하는 *kulit*는 사칼라바 방언에서 [ˈhulitse] ''holitse'', 메리나 방언에서 [ˈhudiʈʂə̥] ''hoditra''가 되었다. 사칼라바 방언은 원형 *li와 *ti를 유지하지만, 메리나 방언에서는 [di]와 [tsi]가 된다. '하얀'을 뜻하는 *putiq*는 사칼라바 방언에서 [ˈfuti] ''foty'', 메리나 방언에서 [ˈfutsi] ''fotsy''가 된다.

마다가스카르 북서쪽 코모로 제도의 프랑스 해외 영토 마요트에서는 부시어 방언(화자 4만 1,700명)이 사용된다.[24]

6. 문법

말라가시어는 동사-목적어-주어(VOS) 어순을 갖는다.

Mamaky boky ny mpianatramg

: "학생이 책을 읽는다"

Nividy ronono ho an'ny zaza ny vehivavymg

: "여자가 아이를 위해 우유를 샀다"

구절 내에서 말라가시어의 어순은 머리-선행 언어의 전형적인 어순이다. 말라가시어는 후치사가 아닌 전치사를 사용한다 (''ho an'ny zaza'' "아이를 위해"). 관형사는 명사 앞에 오고, 수사, 수식 형용사구, 그리고 관계절은 명사 뒤에 온다 (''ny boky'' "책", ''ny boky mena'' "붉은 책", ''ny boky rehetra'' "모든 책", ''ny boky novakin'ny mpianatra'' "학생이 읽은 책").

다소 특이하게, 지시 관형사는 명사 앞과 뒤에 모두 반복된다. ''ity boky ity'' "이 책" (문자 그대로 "이 책 이")

동사는 문장에서 수행하는 통사적 역할에 따라 세 가지 생산적인 “태” 형태를 갖는다. 대부분의 마다가스카르어 동사의 기본적인 “작용자 중심” 형태, 수동태 구성에서 사용되는 파생된 “피동 중심” 형태, 그리고 도구성에 초점을 맞춘 구성에서 사용되는 파생된 “목표 중심” 형태가 그것이다. 따라서


  • (1) Manasa ny tanako amin'ny savony ahomg. ("나는 비누로 내 손을 씻고 있다.")
  • (2) Sasako amin'ny savony ny tanakomg. ("내 손은 나에 의해 비누로 씻겨지고 있다.")
  • (3) Anasako ny tanako ny savonymg. ("내 손은 비누로 나에 의해 씻겨지고 있다.")


모두 "나는 비누로 내 손을 씻는다"라는 의미를 지니지만, 각 경우에 초점은 문장 앞에 위치한 동사 형태와 문장 끝에 있는 (명사)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1)에서는 “씻다”를 의미하는 manasamg와 "나"를 의미하는 ahomg, (2)에서는 “씻다”를 의미하는 sasakomg와 "내 손"을 의미하는 ny tanakomg, (3)에서는 “씻다”를 의미하는 anasakomg와 "비누"를 의미하는 ny savonymg가 각각 해당된다. (3)에는 영어의 전치사 ''with''에 해당하는 표현이 없다.

동사는 접두사로 시제를 표시하며 과거, 현재, 미래 시제가 활용된다 (예: mividymg "사다", nividymg "샀다", hividymg "살 것이다").

말라가시어에는 문법적 성(gender)이 없으며, 명사는 수(number)에 따라 어형 변화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명사와 지시사는 단수와 복수 형태가 다릅니다 (예: io boky iomg "그 책", ireto boky iretomg "이 책들").

화자의 참조 대상과의 친밀도에 따라 복잡한 일련의 지시 대명사가 있다.[33]

다음은 표준 말라가시어에 있는 대명사이다. 참고: 1인칭 단수 주격 대명사는 장단형으로 나뉩니다. 장형은 동사 앞에 (초점이 맞춰지거나 화제가 되는 주어) 오고, 단형은 동사 뒤에 옵니다. 1인칭과 2인칭 소유격 대명사도 장단형으로 나뉩니다. 어근이 [na], [ka*], [tra] 이외의 것으로 끝나면 장형이 사용되고, 어근이 [na]로 끝나면 장형이 사용되지만 [na]는 삭제됩니다. 어근이 [ka*] 또는 [tra]로 끝나면 어근의 마지막 모음이 삭제되고 단형이 사용됩니다.[34]

colspan="3" |주격소유격목적격
1인칭단수izahomg/ahomg-komg/-omgahymg
복수배타적izahaymg-naymg/-aymganaymg
포함적isikamg-ntsikamg/-tsikamgantsikamg
2인칭단수ianaomg-naomg/-aomganaomg
복수ianareomg-nareomg/-areomganareomg
3인칭단수izymg-nymgantsymg
복수izymg (ireomg)-nymgazymg (ireomg)



어순은, 능동태(행위자 중심)의 경우, VOS(동사-목적어-주어)이다.

예문 Mamaky boky ahomg. 「읽다+책+나」

이 능동태 예문의 경우, 주격을 문두에 두는 것도 가능하다.

예문 Izaho dia mamaky bokymg. 「나+는+읽다+책」 주격의 ahomg가 문두에 놓인 경우에는 izahomg가 된다.

주격을 강조하는 능동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어순이 된다.

예문 Izaho no mamaky bokymg. 「나+가+읽다+책」

같은 예문을 수동태(대상 중심) 구문으로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예문 Vakiko ny bokymg. 「나에 의해 읽히다+책」

마다가스카르어에는, 상(aspect)(완료상·미완료상·지향상: 각각 과거형·현재형·미래형이라고도 한다)이 있으며, 시·장소·수단 등을 강조하는 구문(초점이라고 함: 행위자 초점·대상 초점·장소 초점·사정 초점)을 취한다. 동사는 3개의 상과 4개의 초점에 따라 형태가 바뀐다.

예문 Tsy azo anariana fako etomg. 「부정어+할 수 있다+버려지다+쓰레기+여기」→ 「여기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은 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의 「여기」(etomg)라는 장소가 강조되는 구문이다.

==== 지시사 ====

말라가시어는 지시어(이것, 저것, 여기, 저기 등)의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7단계의 거리와 7단계 모두에 걸친 증언성을 가지고 있다.[35] 증언성 차원은 전형적으로 보이는 참조 대상과 보이지 않는 참조 대상으로 구분되지만, 보이지 않는 형태는 모호하게 식별되거나 경계가 불분명한 보이는 참조 대상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보이는 형태는 대화의 주제가 되는 보이지 않는 참조 대상에 사용된다.[35]

말라가시어 지시어
colspan=2|근접중간원격
부사
(여기, 저기)
보이지 않는atỳmgàtomgàomgàtsymgànymgaròamg*arỳmg
보이는etỳmgètomgèomgètsymgènymgeròamgerỳmg
대명사
(이것, 저것)
(이것들, 저것들)
보이지 않는izatỳmg*izàtomg*izàomgizàtsymg*izànymgizaròamg*izarỳmg*
보이는itỳmgìtomgìomgìtsymgìnymgiròamg*irỳmg
보이는.복수irètomgirèomgirètsymgirènymgireròamg*irerỳmg*


  • 말라가시어에서 지시어의 구분 기호는 필수적이지 않다.
  • *로 표시된 지시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6. 1. 지시사

말라가시어는 지시어(이것, 저것, 여기, 저기 등)의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7단계의 거리와 7단계 모두에 걸친 증언성을 가지고 있다.[35] 증언성 차원은 전형적으로 보이는 참조 대상과 보이지 않는 참조 대상으로 구분되지만, 보이지 않는 형태는 모호하게 식별되거나 경계가 불분명한 보이는 참조 대상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보이는 형태는 대화의 주제가 되는 보이지 않는 참조 대상에 사용된다.[35]

말라가시어 지시어
colspan=2|근접중간원격
부사
(여기, 저기)
보이지 않는atỳàtoàoàtsyànyaròa*arỳ
보이는etỳètoèoètsyènyeròaerỳ
대명사
(이것, 저것)
(이것들, 저것들)
보이지 않는izatỳ*izàto*izàoizàtsy*izànyizaròa*izarỳ*
보이는itỳìtoìoìtsyìnyiròa*irỳ
보이는.복수irètoirèoirètsyirènyireròa*irerỳ*


  • 말라가시어에서 지시어의 구분 기호는 필수적이지 않다.
  • *로 표시된 지시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7. 어휘

말라가시어는 기본 어휘의 상당 부분을 보르네오 남부 바리토 강 지역의 언어인 마아냐 언어와 공유한다. 말라가시어는 또한 아랍어와 반투어(특히 사바키어파에서 유래한, 가장 주목할 만한 예로 스와힐리어가 있다)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있으며, 최근에는 프랑스어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들도 있다.[38][36]

다음 예시는 마다가스카르의 수도와 중앙 고원 지대 또는 "고원" 지역(메리나족의 고향)에서 사용되는 메리나 방언 또는 표준 말라가시어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섬 전체에서 이해된다.

1915년 자연주의자 제임스 시브리가 쓴 책 "마다가스카르의 자연주의자"에서 그는 낮과 밤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라가시어 용어 표를 발표했다.[37]

8. 문학

말라가시어로 쓰여 진 문학을 말라가시 문학이라고 한다. 마다가스카르 문학은 마다가스카르인에 의해 쓰여 진 프랑스어 문학을 포함하며, 말라가시 문학은 글로 작성되는 문학 작품 뿐만 아니라 카바리와 같은 구술 문학 또한 포함하기에 말라가시어로 쓰여 진 문학을 정의하기에 엄밀하지 않다. 초기 말라가시 문학은 마다가스카르에서 오랜 세월 동안 민중들에 의해 전해져 내려온 구전 문학으로 이들을 카바리라 부른다. 이후 18세기부터 아랍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하였고 1828년 라틴 문자가 도입되면서 말라가시어 성경과 같은 기독교 문학 작품도 출판된다. 카바리는 이후에도 계속 전승되거나 채록되었다.

장 조셉 라베아리벨로는 마다가스카르 현대 문학의 아버지로 일컫어 진다.


말라가시 문학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로 시문학 분야였으나, 이 시기 말라가시어 공동체는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확대되면서 위축된다. 하지만 이 시기 시들은 1948년 세네갈의 레오폴드 세다르 셍고르(Léopold Sédar Senghor)에 의해 《흑인과 마다가스카르인의 새로운 시문학 선집》(''l'Anthologie de la nouvelle poésie nègre et malgache'')이란 제목으로 출판되면서 네그리튀드 문화 운동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 시기 말라가시어 시인으로는 장 조셉 라베아리벨로(Jean-Joseph Rabéarivelo)이 있을 수 있으며, 자크 라베마난자라(Jacques Rabemananjara), 파비안 라나이보(Favien Ranaivo) 등도 거론된다. 이 중 장 조셉 라베아리벨로는 마다가스카르 현대 문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데 초현실주의 시를 위주로 총 7권의 시집을 집필한 바 있다.

9. 현대적 사용

1866년부터 말라가시어로 된 신문들이 출간되고 소설들이 출판되었다. 1896년 프랑스에 의해 마다가스카르식민화됨에 따라 말라가시어 출판이 금지되면서 위축된 바 있다.

10. 분류

말라가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가장 서쪽에 위치한다.[5] 이 어족에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평양 제도의 언어들이 포함된다. 말라가시어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와의 관계는 1708년 네덜란드 학자 아드리아안 렐란드(Adriaan Reland)에 의해 언급되었다.[6][7]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중에서, 말라가시어는 인도네시아 중앙 칼리만탄(Central Kalimantan)의 보르네오섬에서 사용되는 동부 바리토어(East Barito language)인 마아냐언어(Ma'anyan language)와 특히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8] 말라가시어는 초기 고대 말레이어(Old Malay)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반투어(Bantu languages)의 영향 또는 기층(substratum)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산스크리트어(Sanskrit) 차용어가 있는데, 이는 말레이어(Malay language)와 자바어(Javanese language)를 통해 차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Adelaar (1995)는 말라가시어 어휘에 남술라웨시어(South Sulawesi languages) 기원의 많은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고 제안했고,[9] Roger Blench (2018)는 이 제안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시했다.[10]

말라가시어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의 십진수 비교
십진수12345678910
프로토오스트로네시아어 (기원전 4000년경)*isa*duSa*telu*Sepat*lima*enem*pitu*walu*Siwa*puluq
말라가시어iray/isaroateloefatradimyeninafitovalosivyfolo
마아냐언어isaruehteloepatdimeenempitubalusu'eysapulu
카다잔어isoduvotohuapathimoonomtu'uvahusizamhopod
두순어isoduotoluapatlimoonomturuwalusiamhopod
와라이어usáduhátulóupátlimáunómpitówalósiyámnapúlo
타갈로그어isádalawátatlóápatlimáánimpitówalósiyámsampu
힐리게이논어isaduhatatluapatlimaanumpitowalusiyampulo
카라야어saradarwatatloapatlimaanəmpitowalosiyampulû
일로카노어maysáduatallóuppátlimáinnémpitówalósiamsangapúlo
차모로어maisa/håchahuguatulufatfatlimagunumfitiguålusiguamånot/fulu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및 말레이시아어 포함)satuduatigaempatlimaenamtujuh(de)lapansembilansepuluh
순다어hijiduatiluopatlimageneptujuhdalapansalapansapuluh
자바어sijilorotelupapatlimånempituwålusångåsepuluh
테툼어idaruatoluhaatlimaneenhituualusiasanulu
피지어duaruatolulimaonovituwaluciwatini, -sagavulu
통가어tahauatolunimaonofituvaluhiva-fulu
사모아어tasiluatolufalimaonofituvaluivasefulu



마다가스카르어와 마아냐 언어(바리토 제어) 비교
마다가스카르어마아냐 언어(바리토 제어)
vatana "몸"watang
elatra "깃털"elat
vitsika "개미"wisik
hena "고기"kenah "물고기"
afo "불"apui
rano "물"ranu



마다가스카르어는 기원후 5세기경 말레이 제도에서 인도양을 건너 이주한 결과로 여겨진다. 이 이주에 대해 역사적 기록은 전혀 없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언어학적으로는 (다야크족의 언어)에 포함되며, 보르네오섬의 와 가깝다고 여겨지며, 소위 언어섬에 해당한다. 그 후, 아프리카 대륙 해안부에서 온 반투족이나 무역 목적으로 온 아랍인 등과 혼혈했기 때문에, 오스트로네시아어를 기조로 하면서도 반투어 계열의 단어, 아랍어 계열의 단어, 산스크리트어 계열의 단어가 섞여 있다.

11. 각주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 논문 Asian Roots of the Malagasy: A Linguistic Perspective
[3]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NU E Press
[4] 간행물 Remapping the Austronesian expansion http://www.rogerblen[...] 2009
[5] 웹사이트 Malagasy's family tree on Ethnologue http://www.ethnologu[...]
[6] 논문 New Palaeozoogeographical Evidence for the Settlement of Madagascar http://www.rogerblen[...] 2007
[7] 서적 Dissertationum Miscellanearum, Pars Tertia et Ultima Gulielmi Broedelet 1708
[8] 서적 Malgache et Maanyan: Une comparaison linguistique Egede Instituttet 1951
[9] 논문 Asian Roots of the Malagasy: A Linguistic Perspective
[10] 간행물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Stratifying the Peopling of Madagascar http://www.rogerblen[...]
[11] 논문 A new deep branch of eurasian mtDNA macrohaplogroup M reveals additional complexity regarding the settlement of Madagascar 2009
[12] 발표자료 Pre-modern Southeast Asian Shipping in the Indian Ocean: The Maldive Connection 1993-12
[13]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4] 서적 Fitenin-drazana https://books.google[...] L'Harmattan
[15] 서적 Malgache et Maanjan: une comparaison linguistique Egede-Instituttet Avhandlinger
[16] 서적 The Indonesian Migrations to Madagascar: Making Sense of the Multidisciplinary Evidence Indonesian Institute of Sciences
[17] 논문 The culture history of Madagascar 1993
[18] 논문 A chronology for late prehistoric Madagascar 2004-08
[19] 간행물 Les migrations musulmanes et juives à Madagascar 1905
[20] 논문 Malagasy Dialects and the Peopling of Madagascar
[21] 서적 Spirits and Ships: Cultural Transfers in Early Monsoon Asia ISEAS-Yusof Ishak Institute
[22] 웹사이트 La traduction de la Bible malgache encore révisée http://www.haisoratr[...] 2007-05-03
[23] 뉴스 Madagascar https://www.ethnolog[...] 2017-06-17
[24] 뉴스 Bushi https://www.ethnolog[...] 2017-06-23
[25] 논문 Un vocabulaire malgache-hollandais
[26] 서적 Le Petit Catéchisme madécasse-français
[27]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de Madagascar
[28] 서적 De l'usage de l'arabico=malgache en Imérina au début du XIXe siècle: Le cahier d'écriture de Radama Ier
[29] 웹사이트 Haisoratra :: La traduction de la Bible malgache encore révisée http://www.haisoratr[...] 2008-03-20
[30] 간행물 Un Texte Arabico-Malgache Du XVIe siècle Transcrit, Traduit Et annoté D'apres Les MSS. 7 Et 8 De La bibliothèque Nationale Par M.G. Ferrand. http://ia800309.us.a[...]
[31] unknown # SOWL은 알 수 없는 참조 형식입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32] 논문 Central Malagasy https://www.cambridg[...]
[33] 웹사이트 The Austronesian Languages: Malagasy https://www.ling.uni[...]
[34] 논문 Towards a Modular Theory of Linguistic Deficiency: Evidence from Malagasy Personal Pronouns https://www.research[...] 1999
[35] 서적 Malagasy
[36] 서적 Malagasy–English / English–Malagasy: Dictionary and Phrasebook Hippocrene Books
[37] 서적 A naturalist in Madagascar: a record of observation, experiences, and impressions made during a period of over fifty years' intimate association with the natives and study of the animal & vegetable life of the island Seeley, Service & Co., Limited
[38] 서적 Malagasy–English, English–Malagasy Dictionary / Diksionera Malagasy–Anglisy, Anglisy–Malagasy https://books.google[...] Lulu Press
[39]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ww.google.c[...] Elsev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