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복은 원래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되찾는 행위"를 의미한다. 국제법상에서 보복은 불법 행위에 대한 보복으로 한 국가가 채택할 때 합법이 되는 행위로 정의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나울릴라 분쟁, 아일랜드 독립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병인양요 등 역사적 사례를 통해 보복의 개념과 적용을 살펴볼 수 있다. 1945년 이후 유엔 헌장과 제네바 협약을 통해 무력 사용이 금지되면서 평화 시 무력 보복은 불법이 되었지만, 국제 인도법 위반 시 교전 보복은 여전히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복구 | |
---|---|
개요 | |
명칭 | 보복 |
정의 | 한 국가가 국제법을 위반한 다른 국가를 처벌하기 위해 국제법을 위반하는 행위 |
상세 내용 | |
성격 | 보복은 그 성격상 적대적이다. 보복은 특정 상황에서 허용되지만, 엄격한 제한을 받는다. |
목적 | 과거의 불법 행위에 대한 처벌보다는 미래의 위반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조건 | 다른 합리적인 해결책이 없을 때만 정당화된다. 불법 행위에 비례해야 한다. 인도주의적 고려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제한 사항 | 포로에 대한 보복은 제네바 협약에 의해 금지된다. 민간인에 대한 보복은 특정 상황에서 제한될 수 있다. |
예시 | 외교적 항의 자산 동결 경제 제재 군사적 조치 (최후의 수단)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대응 (Retorsion): 합법적인 행위를 통해 불만을 표시하는 것 개입 (Intervention): 다른 국가의 내정에 간섭하는 행위 |
구별 | 보복은 국제법 위반 행위를 포함하지만, 대응은 합법적인 행위이다.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DARCY, SHANE. THE EVOLUTION OF THE LAW OF BELLIGERENT REPRISALS. Military Law Review, 175, 184–251. (2003) Bennett, 2019, p. 25 -- |
개요 | |
명칭 | 복구 (資料復舊) |
정의 | 손실, 손상 또는 접근 불가능한 데이터의 재건 또는 검색 과정 |
상세 내용 | |
원인 | 하드웨어 장애 소프트웨어 손상 사용자 오류 악성 소프트웨어 공격 |
방법 |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 사용 전문 데이터 복구 서비스 이용 백업 시스템으로부터 복원 |
유형 | 파일 복구: 삭제된 파일의 복원 시스템 복구: 운영 체제 또는 소프트웨어의 복원 데이터베이스 복구: 손상된 데이터베이스의 복원 재해 복구: 자연 재해 또는 기타 심각한 사건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로부터의 복구 |
고려 사항 | 데이터 손실의 심각성 복구에 필요한 시간 복구 비용 데이터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추가 정보 | |
관련 기술 | 데이터 백업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데이터 미러링 클라우드 기반 백업 및 복구 |
2. 어원
이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되찾는 행위"를 의미했다. 예를 들어, 적의 습격으로 잃어버린 가축과 같은 것을 되찾는 약탈 행위를 의미했다.[3]
2. 1. 프랑스어 기원
이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되찾는 행위"를 의미했다. 예를 들어, 적의 습격으로 잃어버린 가축과 같은 것을 되찾는 약탈 행위를 의미했다.[3]3. 국제법
병인양요는 조선 정부가 프랑스 신부를 사형시킨 사건에 대해, 프랑스 극동함대가 프랑스 국왕의 외교적 보호권을 근거로 무력 복구를 주장하며 침공한 사건이다. 당시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허용되었지만, 오늘날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금지된다.
국내법상 범죄로 외국인을 처벌하더라도 국적국 국왕이 처벌에 반대하면 외교적 합의를 통해 처리해야 한다. 합의 없이 사형을 집행하면, 상대국이 강대국일 경우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해 무력 복구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오늘날 국제법에서는 병인양요와 같은 무력 복구권 행사는 불가능하지만, 경제 제재, 무역 봉쇄, 은행 계좌 동결 등 경제적 보복 조치를 통한 비무력 복구는 허용된다. 이러한 비무력 복구를 대응조치라고 한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강대국 시민은 약소국이 국내 형법 위반을 이유로 함부로 재판하여 처벌할 수 없다. CIA 등 정보기관의 보복 조치도 비무력 복구로 인정된다.[4]
3. 1. 보복의 정의와 요건
보복은 그 자체로는 불법이지만, 다른 국가가 이전에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에 대한 보복으로 한 국가가 채택할 때 합법이 되는 행위를 말한다.[4]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의 관습 국제 인도법 데이터베이스 규칙 145는 "국제법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경우, 교전 중 보복은 엄격한 조건에 따라 시행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4] "대(對)보복"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4]3. 2. 교전국 보복
병인양요는 프랑스 신부를 조선 정부가 사형시켰다는 이유로, 프랑스 극동함대가 프랑스 국왕의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하여 무력 복구를 한다면서 침공해 온 사건이다. 오늘날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부정되지만, 당시 국제법에서는 허용되었다.국내법상 범죄에 해당하여 외국인을 처벌하더라도, 국적국 국왕이 처벌에 반대하면 외교상 합의를 보아 처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국내법상 유죄라며 합의 없이 사형시키면, 상대국이 강대국일 경우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해 무력 복구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오늘날 국제법에서는 병인양요 당시처럼 무력 복구권은 행사하지 못하지만, 경제 보복, 무역 봉쇄, 은행 계좌 입출금 동결 등 경제적 보복 조치 등의 비무력 복구가 허용되고 있다. 비무력 복구를 대응조치라고 한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강대국 시민은 약소국이 국내 형법 위반이라면서 함부로 재판하여 처벌할 수 없다. 경제 보복뿐만 아니라, CIA 등 정보 기관의 보복 조치도 비무력 복구로 인정된다.
보복은 그 자체로는 불법이지만, 다른 국가가 이전에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에 대한 보복으로 한 국가가 채택할 때 합법이 된다.[4]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의 관습 국제 인도법 데이터베이스는 규칙 145에서 "국제법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경우, 교전 중 보복은 엄격한 조건에 따라 시행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4] "대(對)보복"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4]
베넷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사건들을 부정적 상호주의 또는 보복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고 기술한다. 후자의 경우, "규칙은 또한 보복이 '부당한 행위를 중단하도록 적을 유도하기 위한 불가피한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1940년 공식 미국 육전 규칙은 "무자비한 적이 야만적인 만행의 반복에 대한 다른 수단을 남기지 않을 때 지휘관은 보복 조치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명시했다.
로저스와 베넷 모두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국가 관행은 무엇보다도 '''교전국 보복 교리'''로 특징지어졌다"고 기술한다.
3. 3. 무력 보복과 비무력 보복
병인양요는 조선 정부가 프랑스 신부를 사형시킨 것에 대해, 프랑스 극동함대가 프랑스 국왕의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하여 무력 보복을 한다면서 침공한 사건이다. 당시 국제법에서는 무력 보복이 허용되었지만, 오늘날 국제법에서는 무력 보복이 금지된다.[4]국내법상 범죄로 외국인을 처벌하더라도, 국적국 국왕이 처벌에 반대하면 외교적으로 합의하여 처리해야 한다. 합의 없이 사형을 집행하면, 상대국이 강대국일 경우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해 무력 보복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오늘날에는 병인양요 때처럼 무력 보복권은 행사할 수 없지만, 경제 보복, 무역 봉쇄, 은행 계좌 입출금 동결 등 경제적 보복 조치와 같은 비무력 보복은 허용된다. 이러한 비무력 보복을 대응조치라고 한다. CIA 등 정보기관의 보복 조치도 비무력 보복으로 인정된다.[4]
보복은 그 자체로는 불법이지만, 다른 국가가 이전에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에 대한 보복으로 한 국가가 채택할 때 합법이 된다.[4]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의 관습 국제 인도법 데이터베이스는 규칙 145에서 "국제법에 의해 금지되지 않는 경우, 교전 중 보복은 엄격한 조건에 따라 시행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4]
1945년 이후, 유엔 헌장 제2조 4항에 의해 무력 사용 금지 원칙이 부과되면서 평화 시 무력 보복은 불법이 되었지만, 비무장 보복(대응조치)과 국제 인도법 위반 시 적대 행위 중의 교전 보복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교전 보복의 경우, Naulila 사건의 세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
- '''경고'''가 사전에 발령되어야 한다.
- 상대방이 국제 인도법 위반을 중단하면, 교전 보복 또한 종료되어야 한다.
- 교전 보복을 개시하기로 한 결정은 '''권한 있는 당국'''에 의해 내려져야 한다.
4개의 제네바 협약은 각각 전장 사상자, 난파된 생존자, 포로, 피보호자(민간인 또는 군인)에 대한 보복을 금지하며,[7][8] 특정 건물과 재산에 대한 보복 또한 금지한다. 1977년 제1 추가 의정서는 "무차별 공격"이 무엇인지 정의한다.
4. 역사적 사례
병인양요는 조선 정부가 프랑스 신부를 사형시켰다는 이유로, 프랑스 극동함대가 프랑스 국왕의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하여 무력 복구를 한다면서 침공해 온 사건이다. 당시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허용되었지만, 오늘날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부정된다.[1]
국내법상 범죄에 해당하여 외국인을 처벌하더라도, 국적국 국왕이 처벌에 반대하면 외교상의 합의를 보아 처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국내법상 유죄라며 합의 없이 사형을 시키면, 상대국이 강대국일 경우,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해 무력 복구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1]
오늘날에는 병인양요 당시처럼 무력 복구권은 행사하지 못하지만, 경제 제재, 무역 봉쇄, 은행 계좌 입출금 동결 등 경제적 보복 조치나 CIA 등 정보기관의 보복 조치도 비무력 복구(대응조치)로 인정된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강대국의 시민은 약소국이 국내 형법 위반이라면서 함부로 재판하여 처벌할 수 없다.
4.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포르투갈과 독일 간에 벌어진 나울릴라 분쟁은 보복 행위의 예시 중 하나이다.[5]4. 1. 1. 나울릴라 분쟁 (1914)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대립하게 된 포르투갈과 독일 간의 나울릴라 분쟁이 있었다. 당시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앙골라 국경 지대 나울릴라에서 독일인 3명이 실수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국제법 위반 행위는 아니었다),[5] 독일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나울릴라를 군사적으로 습격하여 재산을 파괴했다. 포르투갈은 배상을 요구했다. 재판소는 보복 행위가 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대방이 먼저 국제법을 위반하는 행위를 해야 한다.
- 보복 행위는 피해에 대한 배상 요구 또는 위반된 국제법 준수에 대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 위반 행위와 보복 행위 사이에는 비례성이 있어야 한다.
독일은 자국의 행위가 합법적이었다고 주장했으나, 재판소는 이 세 가지 조건 모두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결했다.
4. 2. 아일랜드 독립 전쟁 (1919-1921)
아일랜드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잉글랜드 당국은 계엄령이 내려진 아일랜드 지역에서 보복을 승인했다. 1920년 12월부터 1921년 6월까지 약 150건의 "공식적인" 보복이 이루어졌다.[6] 1920년 12월, 총사령관(네빌 맥레디)은 영국 내각에 계엄령 지역의 군사 총독들이 군대와 경찰에 대한 공격에 대응하여 보복을 수행하도록 승인했다고 알렸다. 그 조건은 다음과 같다.[6]> 처벌은 보병 여단의 권한 하에만 이루어지며, 여단장은 조치를 취하기 전에 관련된 사람들이 사건 발생 지역과의 근접성 또는 알려진 정치적 경향으로 인해 사건에 연루되었는지 확인하고, 작전을 수행할 장교에게 서면 또는 전보로 구체적인 지침을 내릴 것이다.
4. 3. 제2차 세계 대전
베넷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사건들을 부정적 상호주의 또는 보복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규칙은 또한 보복이 '부당한 행위를 중단하도록 적을 유도하기 위한 불가피한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1]1940년 공식 미국 육전 규칙은 "무자비한 적이 야만적인 만행의 반복에 대한 다른 수단을 남기지 않을 때 지휘관은 보복 조치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명시했다.[1]
로저스와 베넷은 모두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국가 관행은 무엇보다도 '''교전국 보복 교리'''로 특징지어졌다"고 설명한다.[1][2]
4. 4. 한국: 병인양요 (1866)
병인양요는 조선 정부가 프랑스 신부를 사형시켰다는 이유로, 프랑스 극동함대가 프랑스 국왕의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하여 무력 복구를 한다면서 침공해 온 사건이다. 오늘날 국제법에는 무력 복구가 부정되지만, 당시의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허용되었다.[1]국내법상 범죄에 해당하여 외국인을 처벌하더라도, 국적국 국왕이 처벌에 반대하면, 외교상의 합의를 보아 처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국내법상 유죄라며 합의 없이 사형을 시키면, 상대국이 강대국일 경우,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해 무력 복구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1]
5. 1945년 이후의 발전
병인양요는 조선 정부가 프랑스 신부를 사형시키자, 프랑스 극동함대가 프랑스 국왕의 외교적 보호권을 근거로 무력 복구를 한다며 침공해 온 사건이다. 당시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허용되었지만, 오늘날 국제법에서는 무력 복구가 부정된다.
국내법상 범죄에 해당하여 외국인을 처벌하더라도, 국적국 국왕이 처벌에 반대하면 외교상의 합의를 보아 처리해야 했다. 그렇지 않고 합의 없이 사형을 시키면, 상대국이 강대국일 경우 외교적 보호권에 근거해 무력 복구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오늘날에는 병인양요 당시처럼 무력 복구권을 행사하지 못하지만, 경제 보복, 무역 봉쇄, 은행 계좌 입출금 동결 등 경제적 보복 조치 등의 비무력 복구가 허용되고 있다. 비무력 복구를 대응조치라고 한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강대국의 시민은 약소국이 국내 형법 위반이라면서 함부로 재판하여 처벌할 수 없다. CIA 등 정보 기관의 보복 조치도 비무력 복구로 인정된다.
5. 1. 유엔 헌장
유엔 헌장 제2조 4항에 의해 부과된 무력 사용 금지 일반 원칙의 결과로, 평화 시 무력 보복은 더 이상 불법이 아니게 되었지만, 비무장 보복(대항조치라고도 함)[7]뿐만 아니라 국제 무력 분쟁법(LOIAC)이 위반될 경우 적대 행위 중의 교전 보복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8]교전 보복의 경우, Naulila 사건의 세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8]
- '''경고'''가 사전에 발령되어야 한다.
- 상대방이 LOIAC 위반을 중단하면, 교전 보복 또한 종료되어야 한다.
- 교전 보복을 개시하기로 한 결정은 '''권한 있는 당국'''에 의해 내려져야 한다.
4개의 제네바 협약 모두 각각 전장 사상자, 난파된 생존자, 포로, 그리고 피보호자(민간인 또는 군인)에 대한 보복을 금지하며,[7][8] 특정 건물과 재산에 대한 보복 또한 금지한다. 1977년 AP 1은 "무차별 공격"이 무엇인지 정의한다.
5. 2. 제네바 협약과 추가 의정서
1945년 이후, 유엔 헌장 제2조 4항에 의해 부과된 무력 사용 금지 일반 원칙의 결과로, 평화 시 무력 보복은 더 이상 불법이 아니게 되었지만, 비무장 보복(대항조치라고도 함)뿐만 아니라 국제 무력 분쟁법(LOIAC)이 위반될 경우 적대 행위 중의 교전 보복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교전 보복의 경우, Naulila 사건의 세 가지 요소를 제외하고:
- '''경고'''가 사전에 발령되어야 한다.
- 상대방이 LOIAC 위반을 중단하면, 교전 보복 또한 종료되어야 한다.
- 교전 보복을 개시하기로 한 결정은 '''권한 있는 당국'''에 의해 내려져야 한다.
4개의 제네바 협약 모두 각각 전장 사상자, 난파된 생존자, 포로, 그리고 피보호자(민간인 또는 군인)에 대한 보복을 금지하며,[7][8] 특정 건물과 재산에 대한 보복 또한 금지한다. 1977년 AP 1은 "무차별 공격"이 무엇인지 정의한다.
참조
[1]
논문
THE EVOLUTION OF THE LAW OF BELLIGERENT REPRISALS
2003
[2]
간행물
Self-Preservation
2000
[3]
웹사이트
reprisal (n.)
http://www.etymonlin[...]
2014-12-13
[4]
웹사이트
Customary IHL - Rule 145. Reprisals
http://www.icrc.org/[...]
[5]
웹사이트
Legal Affairs
http://www.legalaffa[...]
[6]
서적
The British Campaign in Ireland 1919-1921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7]
웹사이트
Customary IHL - Rule 146. Reprisals against Protected Persons
https://ihl-database[...]
2016-10-10
[8]
웹사이트
CHAPTER 8 - Remedies for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War Crimes
http://www.globalsec[...]
2016-10-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실종자 2명 숨진 채 발견…더딘 복구 주민 고통
바람 한 점 없는 폭염에 악취·소나기…수해복구 삼중고
산청 찾은 이 대통령 "특별교부세 등 모든 자원 총동원 복구"
‘국가유산’ 울산 옛 삼호교의 수난…무지개색 덧칠 논란→폭우에 붕괴
[속보] 행안장관 "호우피해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가동"
영남 산불 피해액 1조818억·복구비 1조8809억원 확정···“전소 주택에 최소 1억원 지원”
“산불 피해 입은 내 고향, 내가 살려요”
산청 잔불 정리 ‘고삐’…피해 복구 지원에 온정 이어져
“그래도 살아야지” 화마 휩쓴 경북 영덕 주민들 일상 찾으려 안간힘
불은 껐지만…"갈 데가 없어" 기약 없는 생활에 '허탈'
수천 곳 잿더미…복구해야 하는데 피해 조사부터 '막막' | JTBC 뉴스
위협 사냥·인텔리전스, 인공지능...2018년 주목할 보안기술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