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에도 속하지 않는 영토를 의미하며, 점유를 통해 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무주지 선점은 영토 취득 방법 중 하나로, 특정 국가의 실효적 지배나 영유권 주장이 없고, 자국 영토로 편입하려는 국가의 의지와 실질적인 점유 능력이 있어야 한다. 역사적으로 제국주의 열강은 식민지 확장을 위해 무주지 개념을 활용했으며, 19세기 말 베를린 회의에서는 효과적인 점유를 주권의 조건으로 인정했다. 현재 비르 타윌, 크로아티아-세르비아 국경 지대, 남극의 메리 버드 랜드, 우주 공간 등이 무주지로 남아있다. 대한민국은 일본의 독도 무주지 주장을 비판하며 독도 영유권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계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경계 - 영해
    영해는 연안국이 기선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배타적인 관할권을 행사하는 수역으로, 외국 선박은 무해 통항권을 가지며 현재 국제적으로 12해리까지 인정된다.
  • 국경 - 유로리전
    유로리전은 국경 지역 주민들의 복지 증진을 위해 국경을 넘어 협력하는 초국경 협력체로, 정치적 권한은 없고 도시 체계 통합도가 낮으며 인접국 지역과 동일 문화권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 국경 - 시리아-터키 국경
    시리아-터키 국경은 지중해에서 이라크-시리아-터키 삼중점까지 약 911km에 이르며 오스만 제국 붕괴 후 확정되었으나, 하타이 주의 귀속 문제와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갈등과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 식민주의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02년 네덜란드 의회가 설립한 특허 회사로, 동인도와의 무역 독점, 요새 구축, 군대 유지 등의 권한을 가지며 17세기 세계 최대 무역 회사로 성장했으나, 18세기 후반 쇠퇴하여 1799년 해산되었고, 최초의 주식회사로 여겨지지만 식민주의 등의 문제로 비판받는다.
  • 식민주의 - 정착민 식민주의
    정착민 식민주의는 이주민들이 영구 정착하여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며 원주민 사회를 대체하거나 지배하는 식민주의 형태로, 토지와 자원 점유, 원주민 문화 억압, 그리고 자신들의 시스템 구축을 통해 원주민 사회의 해체와 재구성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식민주의와 차별화됩니다.
무주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류국제법 용어
로마자 표기terra nullius
의미"어느 누구의 땅도 아님"을 의미하는 라틴어 용어
추가 의미점령되지 않은 토지 또는 주권이 없는 토지
국제법적 의미
개념과거에는 영토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국제법상 인정되지 않는 개념
점령 원칙과거에는 발견이나 점령을 통해 영토를 획득할 수 있다고 여겨짐
현대 국제법현재는 선점, 정복, 명확한 점령 외에는 인정받기 어려움
논란무주지 개념은 식민주의 시대의 산물이며, 특정 영토를 차지하기 위한 구실로 이용되었다는 비판이 있음
역사적 사례
식민지 시대유럽 열강이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을 식민지화하는 데 이용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토지 소유권을 무시하고 무주지라고 선언한 사례
남극남극 대륙은 현재 무주지로 간주되지만, 영유권 주장이 있음
기타무인도, 무주로 남아 있는 땅 등
현대적 의미
유보현재 국제법에서는 유보적 의미로 사용
재해 지역재해 지역의 무정부 상태를 묘사하는 데 사용
우주 공간우주 공간이나 천체와 관련된 논의에서도 사용
관련 용어
로마자 표기res nullius
의미'어느 누구의 것도 아님'을 의미하는 라틴어 용어, 소유권이 없는 물건이나 재산
연관성무주지와 유사하지만, res nullius는 무소유의 물건이나 재산을 의미
차이점무주지는 토지나 영토를 의미하고, res nullius는 물건이나 재산을 의미
참고 자료
법률미국 대법원 판례 New Jersey v. New York, 523 US 767 (1998)
옥스포드 공법 사전
관련 서적America on the Ice: Antarctic policy issues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A Treatise on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Law
Law of Nations

2. 국제법상 무주지 개념

국제법에서 무주지(Terra nulliusla)는 어떤 국가의 주권도 미치지 않는 땅을 의미한다. 오펜하임(L. F. L. Oppenheim)에 따르면, “점유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영토는 다른 국가에 이미 속하지 않은 영토이며, 무인지역이든, 국가로 간주되지 않는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이든 상관없다. 왜냐하면 개인들은 영토에 거주할 수 있지만, 그 영토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는 적절한 국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6]

20세기까지 지구상의 대부분의 땅은 어떤 국가에 의해서든 영유가 선언되었지만, 21세기에 들어서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여러 땅이 무주지로 남아 있다.

# 국경선 위치 문제로 영유를 선언하는 국가가 없는 땅.

# 국제조약에 의해 국가의 영유권에 제약이 있는 땅.

2. 1. 무주지 성립 요건

국제법에서 무주지(Terra nulliusla)는 어떤 국가에도 영유되지 않은 땅을 가리킨다.[55] 무주지에 대한 주권은 점유를 통해 어떤 국가라도 취득할 수 있다.[5]

무주지 점유는 국제법상 국가가 영토를 취득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다. 영토를 취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정복, 합의에 의한 할양, 자연의 작용을 통한 증가, 그리고 주권의 지속적인 행사를 통한 시효가 있다.[7]

국제법에는 “무주지 선점”이라는 개념이 있으며, 다른 국가에 속하지 않은 땅을 자신의 영토로 편입하는 것을 영유 취득의 방식으로 인정하고 있다.[56]

2. 2. 무주지 점유의 국제법적 방법

무주지 점유는 국제법상 국가가 영토를 취득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다. 영토를 취득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정복, 합의에 의한 할양, 자연의 작용을 통한 증가, 주권의 지속적인 행사를 통한 시효가 있다.[7]

3. 역사 속 무주지 논쟁

국제법에서 "무주지(terra nullius)"는 어떤 국가에도 속하지 않는 영토를 의미한다.[5] 19세기 말, 제국주의 열강들은 식민지 확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무주지 점유는 국제법상 국가가 영토를 취득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였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정복, 합의에 의한 할양, 자연 작용을 통한 증가, 주권의 지속적인 행사를 통한 시효가 있었다.[7]

19세기 후반 이전에는 국제법에서 “무주지”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개념을 “무주물(res nullius)”이라는 로마법 용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다. 로마법에서 무주물에는 야생동물, 도망친 노예, 버려진 건물 등이 포함되었으며, 누구든 점유함으로써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었다. 16세기 “무주물”에 대한 논의는 신대륙의 유럽 식민화와 발견 원리의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는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이 비록 “야만인”이지만 그들의 땅에 대한 주권과 사유 재산권을 가지고 있었고, 스페인은 그 땅을 단순히 발견했다고 해서 법적 소유권을 얻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18세기에는 땅에 대한 영토권이 그 땅의 정착과 경작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에메 드 바텔은 효과적으로 점유되고 경작된 토지와 유목민들의 정착되지 않고 경작되지 않은 토지(식민화에 개방된 토지)를 구분했다. 1884~1885년의 베를린 서아프리카 회의는 주장되지 않은 영토에 대한 주권은 효과적인 점유를 필요로 하며, 원주민이 효과적인 점유를 확립한 경우에는 식민 국가가 일방적으로 그들의 주권을 뒤엎을 수 없다는 원칙을 승인했다.[10]

“무주지”라는 용어는 1885년 스페인과 미국 간의 콘토이섬 분쟁과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1888년 국제법 연구소는 “무주토지(territorium nullius)”(아무의 땅도 아님)라는 개념을 사법법의 “무주물(res nullius)” 개념에 상응하는 공법 개념으로 도입했다. 1909년 이탈리아 국제법 학자 카밀레 피치오니는 북극권의 스피츠베르겐 섬을 “무주지”로 묘사했는데, 섬에 여러 유럽 국가 국민들이 거주하고 있었지만, 주민들은 어떤 공식적인 주권 아래서도 살지 않았다.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무주지”라는 용어가 “무주토지”를 점차 대체했다. “무주지”는 주권이 자연의 개발을 통해 얻어진 재산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권의 부재를 의미하기도 했다. “무주지”라는 용어는 1975년 국제사법재판소의 서사하라 자문 의견에서 채택되었다. 재판소는 1884년 스페인 식민화 당시 서사하라 주민들은 유목민이었지만 사회적, 정치적으로 부족과 족장 아래 조직되어 있으며 그들을 대표할 능력이 있는 족장이 있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 영토는 “무주지”가 아니었다.

3. 1. 신대륙 및 아프리카 식민지화

유럽에서 온 이주민들은 발견의 법리에 따라 신세계아프리카의 여러 지역들을 "무주지"로 간주하고, 각 지역을 선점한 후 이주지를 건설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원주민의 선점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인디언 이주에 대표되는 원주민의 강제이주와 아파르트헤이트와 같은 인종차별에 기반한 정책이 각지에서 시행되었다.[11]

16세기 “무주물(res nullius)”에 대한 논의는 신대륙의 유럽 식민화와 발견 원리의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1535년 도밍고 데 소토는 스페인이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발견 당시 그 땅이 “무주물”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1539년 프란시스코 데 비토리아는 “무주물”을 유추하여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은 비록 “야만인”이지만 그들의 땅에 대한 주권과 사유 재산권을 가지고 있었고, 스페인은 그 땅을 단순히 발견했다고 해서 법적 소유권을 얻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토리아는 원주민들이 “인간적이고 시민적인 측면에서 정당하고 질서 정연한 공동체를 설립하거나 관리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스페인이 원주민 아메리카인들을 지배할 제한적인 권리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8]

3. 2. 스발바르 제도

1920년 스발바르 조약 체결 이전까지, 여러 국가들이 스발바르 제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명확한 주권 국가는 없었다.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덴마크-노르웨이 모두 17세기에 이 섬의 주권을 주장했지만, 영구적으로 점령한 국가는 없었다. 스발바르 제도를 거쳐 가는 사람들은 여름에 쉬러 가는 고래잡이 어선들과 1620년대, 1630년대 보내진 한두 번의 월동 탐험밖에 없었다.[40]

19세기에는 노르웨이러시아 모두 이 군도에 대한 강력한 주장을 했다. 1909년 이탈리아 법률가 카밀레 피치오니(Camille Piccioni)는 당시 스피츠베르겐(Spitzbergen)으로 알려진 이 섬들을 무주지(terra nullius)로 묘사했다. 영토 분쟁은 결국 1920년 2월 9일 스발바르 조약에 의해 해결되어 노르웨이의 섬들에 대한 주권이 인정되었다.

3. 3. 센카쿠 열도 (댜오위다오)

일본은 1895년 1월 청일 전쟁 승리 이후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피나클 제도)를 무주지(terra nullius영어)로 간주하여 자국 영토로 편입하였다.[11]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타이완)은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일본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11]

3. 4. 오스트레일리아

매보 사건(1992)에서 호주 고등법원은 호주가 ''무주지(terra nullius)''였기 때문에 영국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을 고려했다. 법원은 호주 원주민이 거주하는 토지를 호주 지방법의 목적으로 황무지이자 무인지로 간주할 수 있는 "확대된 무주지 개념"을 기각했다.[49][50] 법원은 호주 관습법이 호주 원주민이 보유한 어떤 형태의 원주민 권리를 인정하고 이러한 권리는 원주민 권리를 계속 향유할 권리와 일치하지 않는 주권의 유효한 행사에 의해 소멸되지 않는 한 지속된다는 것을 발견했다.[44]

1788년 2월, 아서 필립 주지사는 시드니에서 호주 본토의 절반 이상을 포함하는 뉴사우스웨일스(New South Wales)의 영국 형무소 식민지를 선포했다.[45][46] 영국 식민화 당시, 호주 원주민들은 적어도 5만 년 동안 호주에 거주해 왔으며, 다양한 경제와 사회를 가진 복잡한 수렵 채집인들이었고 약 250개의 서로 다른 언어 집단이 있었다.[47][48]

1835년, 버크 주지사의 선포는 영국 국민이 호주 원주민으로부터 직접 공공 토지에 대한 권리를 얻을 수 없다고 명시했다.[51]

''R 대 머렐(R v Murrell)''(1836)에서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의 버튼 판사는 "식민지를 처음 점령했을 때 원주민이 자유롭고 독립적인 것으로 인정받을 자격이 있었을지라도, 그들은 자유롭고 독립적인 부족으로 간주될 만큼 강력한 위치에 있지 않았다. 그들에게는 주권이 없었다"고 말했다.

3. 5. 기타 역사 속 무주지

노르웨이는 1920년대 그린란드 동부를 점령하고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이 지역이 무주지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상설국제사법재판소에서 노르웨이에 불리한 판결이 내려졌다.[42]

필리핀중화인민공화국남중국해스카버러 암초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필리핀은 이 지역이 무주지이며 자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중국은 13세기 중국 어부들이 이 섬을 발견했다는 역사적 기록을 근거로 제시한다. 과거 중화민국도 1912년 이후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었다.[21][22] 상설중재재판소(PCA)는 2016년 중국의 주장이 불법이라고 판결했지만,[23][24][25][26][27] 중국은 이를 "근거 없는 것"이라며 거부했다.[28] 중화민국 역시 2019년 이 판결을 거부하고 해군 함정을 계속 파견하고 있다.[29][30]

1840년, 영국 중위 윌리엄 홉슨뉴질랜드 남섬이 문명화된 사람들이 거주하지 않는 무주지이므로, 국왕의 정치적 점령 원칙에 부합한다고 선포했다. 이 결정은 1840년 뱅크스반도아카로아로 향하던 소규모 프랑스 정착민들의 이주에 영향을 주었다.[53]

4. 현재 무주지로 남아있는 영토

국제법에서 무주지(Terra nulliusla)는 어떤 국가에도 영유되지 않은 땅을 의미한다.[55] 20세기까지 지구상의 대부분의 땅은 어떤 국가에 의해서든 영유가 선언되었지만, 다음과 같은 사정으로 21세기에 들어서도 여러 땅이 무주지로 남아 있다.

# 국경선 위치를 둘러싼 문제의 영향으로 영유를 선언하는 국가가 사라진 땅.

# 국제조약에 의해 국가의 영유권에 제약이 가해진 땅.

이집트수단 국경에는 비르 타윌이 있으며, 크로아티아-세르비아 국경을 따라서는 네 곳의 작은 지역이 있다. 또한 남극 대륙에 있는 메리 버드 랜드도 무주지이다.

국경선 문제로 인하여 영유권을 선포하는 국가가 없어진 토지로는 빌 타위르(이집트수단국경 지대), 크로아티아세르비아의 국경 지대 (고르냐 시가, pocket1, pocket2, pocket3) 등이 있다.

국제 조약에 의해 국가의 영유권에 제약이 걸린 토지로는 남극(남극 조약)과 메리 버드 랜드, 우주 조약에 따른 지구 이외의 천체 등이 있다.

4. 1. 비르 타윌

이집트수단 국경에는 1899년과 1902년에 그어진 국경 불일치로 인해 생겨난 2060km2 면적의 비르 타윌이 있다.[63] 할라입 트라이앵글을 이집트가, 비르 타윌을 수단이 통제하는 국경과 그 반대의 국경이 있었다. 양국은 홍해와 닿아 있고 더 큰 할라입 트라이앵글을 확보하는 국경을 주장하여, 비르 타윌은 어느 나라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게 되었다. 비르 타윌에는 정착민이 없지만, 베두인들이 이 지역을 이용한다.[12][13][14]

이집트(노란색), 수단(파란색), 할라이브 삼각지대(연두색), 와디 할파 돌출부(진녹색), 비르 타윌(흰색) 지도


2014년 6월, 미국 버지니아 주 시민 제레미아 히튼은 가족과 함께 이곳에 '마이크로네이션'인 '북수단 왕국'을 선포하였다.[64] '북수단 왕국'이 주변국 승인을 받기 위해 노력 중이나, 공식 국가로 인정될지는 불투명하다.

4. 2. 크로아티아-세르비아 국경 지대 (고르냐 시가 등)

세르비아-크로아티아 국경 분쟁으로 인해, 다뉴브강 서부 둑 지역에는 그 누구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는 영역이 몇 곳 있다. 시가, 포켓 1, 포켓 2, 포켓 3으로 총 4개의 무주지가 있다.[15] 이 중 가장 큰 시가 지역에서 2015년에 리버랜드 자유국이 선포되었다.

크로아티아세르비아는 다뉴브 강 동쪽 강둑에 있는 몇몇 작은 지역에 대해 분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서쪽 강둑에 있는 네 곳의 작은 지역 중 고르냐 시가가 가장 큰 지역인데, 이 지역은 양국 모두 주장하지 않는다. 세르비아는 이 지역에 대한 어떠한 주장도 하지 않고, 크로아티아는 이 지역이 세르비아에 속한다고 말한다.[15] 크로아티아는 분쟁 지역이 무주지(terra nullius)가 아니며, 세르비아와 국경을 확정하기 위해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16]

4. 3. 남극

1959년 남극 조약에 따라 남극 대륙에 대한 영유권 주장은 동결되었지만, 조약 체결 이전의 영유권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 메리 버드 랜드는 남극 조약 체결 이전까지 어떤 국가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은 지역이다.[17]

4. 4. 우주 공간

1967년 우주 조약에 따라, 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우주 공간은 국가가 사용, 점령, 또는 임의의 수단을 통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점유하는 것이 인정되지 않는다.[65] 이 조약에서 우주 공간은 인류의 공동 유산에 속하며, 누구도 영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무주지이다.

5. 한국과 무주지 문제

대한민국은 일제의 독도 강제 병합을 무주지 선점 논리에 기반한 불법 행위로 규정하고, 독도 영유권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rra nullius (noun) https://www.oed.com/[...] 2024-03-01
[2] 서적 America on the Ice: Antarctic policy issue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998-06-01
[3] 판례 New Jersey v. New York, 523 US 767 (1998) http://openjurist.or[...] US Supreme Court 2010-01-29
[4] 서적 Principle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5] 서적 Encyclopaedic Dictionary of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Oppenheim's International Law, Vol. I, Peace Longman
[7] 학술지 The Maps of International Law: Perceptions of Nature in the Classification of Territory 2014-01-01
[8] 학술지 Contrary to the view of some historians, our analysis will show that ''res nullius'' was a concept with firm foundation in Roman legal sources, but ''terra nullius'' was merely derived from the Roman concept of ''res nullius'' by analogy.
[9] 학술지 Rethinking the Origins of Terra Nullius http://www.kooriweb.[...] 2020-07-26
[10] 학술지 The genealogy of Terra Nullius http://surplusvalue.[...] 2020-07-26
[11] 뉴스 Null Truth to Academic Accusations https://www.proquest[...] 2022-10-27
[12] 뉴스 Virginia man plants flag, claims African country, calling it 'Kingdom of North Sudan' https://www.washingt[...] 2021-08-21
[13] 웹사이트 The man who would be king, daddy's little princess, and their territorial claim http://opiniojuris.o[...] 2021-08-21
[14] 뉴스 Man lays claim to African land to make daughter real life 'princess' http://kdvr.com/2014[...] 2018-03-30
[15] 뉴스 The crypto-libertarians using technology to undermine the nation-state https://www.telegrap[...] 2016-05-24
[16] 보도자료 On Virtual Narratives at Croatia's Borders https://mvep.gov.hr/[...]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Croatia) 2015-07-06
[17] 뉴스 Norge utvider Dronning Maud Land helt frem til Sydpolen https://www.aftenpos[...] 2015-09-21
[18] 보고서 Frontier Dispute (Burkina Faso/Niger) http://www.icj-cij.o[...]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17-08-04
[19] 웹사이트 Saudi Arabia/Iraq: Neutral Zone Partitioned https://www.cia.gov/[...] CIA Directorate of Intelligence 2020-10-22
[20] 웹사이트 Arabian Boundary disputes, Archive Editions http://www.archiveed[...] Archive Editions 2007-01-29
[21] 웹사이트 Taiwan's Spratly Initiative in the South China Sea http://www.asianrese[...] 2023-03-06
[2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reiterates its position on the South China Sea https://www.mofa.gov[...] 2015-07-07
[23] 학술지 A landmark decision in the South China Sea: The scope and implications of the Arbitral Tribunal's award
[24] 웹사이트 Case nr. 2013-19 https://docs.pca-cpa[...]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25] 뉴스 Tribunal rejects Beijing's claims to South China Sea; Japan braces for reaction https://www.japantim[...] 2020-08-20
[26] 뉴스 Tribunal rejects Beijing's claims in South China sea https://www.nytimes.[...] 2020-08-20
[27] 웹사이트 Tribunal issues landmark ruling in South China Sea arbitration https://www.lawfarem[...] 2020-08-20
[28] 뉴스 South China Sea: Tribunal backs case against China brought by Philippines https://www.bbc.co.u[...] BBC News 2018-06-21
[29] 뉴스 Taiwan-controlled Taiping Island is a rock, says international court in South China Sea ruling http://www.scmp.com/[...] 2018-07-02
[30] 뉴스 Taiwan rejects South China Sea ruling, says will deploy another navy vessel to Taiping http://www.straitsti[...] 2018-07-02
[31] 뉴스 The "strategic triangle" that would allow Beijing to control the South China Sea http://qz.com/775382[...] 2016-10-27
[32] 서적 Ireland and America: Empire, Revolution, and Sovereign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21-07-07
[33] 서적 The Irish Difference: A Tumultuous History of Ireland's Breakup With Britain https://books.google[...] Atlantic Books 2022-04-14
[34] 서적 The Geography of Empire in English Literature, 1580-174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9-28
[35] 웹사이트 Civilising the Irish https://papers.ssrn.[...] 2009-07-25
[36] 서적 Isles of the North https://books.google[...] Birlinn 2012
[37] 뉴스 21 September 1955: Britain claims Rockall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38] 웹사이트 Island Of Rockall Act 1972 http://www.legislati[...] 1972-02-10
[39] 뉴스 Offshore and offline? http://news.bbc.co.u[...] BBC News 2021-08-22
[40] 간행물 Revue generale de droit international public
[41] 학회발표 A short commentary on land claims in BC https://www.ubcic.bc[...] Union of British Columbia Indian Chiefs 2021-01-07
[42] 웹사이트 The cold war that wasn't: Norway annexes Greenland http://bigthink.com/[...] 2018-03-30
[43] 보고서 A brief history of land transfers between American Indians and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https://www.cmich.ed[...] Central Michigan University 2020-11-21
[44] 웹사이트 7 Feb 1788 – Colony of NSW formally proclaimed https://www.records.[...] 2022-10-29
[45] 학술지 Complex hunter-gatherers: a view from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Original Australians Allen and Unwin
[47] 서적 Sydney's Aboriginal Past, investigating the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records UNSW Press
[48] 웹사이트 Aboriginal people and place http://www.sydneybar[...] Sydney Barani 2014-07-05
[49] 학술지 Why Terra Nullius? Anthropology and Property Law in Early Australia
[50] 웹사이트 Barron Field and the myth of terra nullius https://www.themonth[...] 2018-10
[51] 웹사이트 Documenting Democracy https://www.founding[...] 2022-09-18
[52] 서적 Boundaries, Possessions, and Conflicts in Central and North America and the Caribbean Octagon Books
[53] 서적 Waitangi: Māori and Pākehā perspectives of the Treaty of Waitangi Oxford University Press
[54] 학술지 Colonialismo republicano, violencia y subordinación racial mapuche en Chile durante el siglo XX https://dialnet.unir[...]
[55] 웹사이트 無主地 https://www.weblio.j[...]
[56] 웹사이트 無主地先占 https://www.weblio.j[...]
[57] 서적 無主地 小学館
[58] 서적 無主地 平凡社
[59] 웹인용 Definition of ''terra nullius''- English Dictionary http://www.allwords.[...] Allwords.com 2010-06-15
[60] 웹인용 New Jersey v. New York, 523 US 767 (1998) http://openjurist.or[...] US Supreme Court 2010-02-19
[61] 웹인용 A Short Commentary on Land Claims in BC http://www.ubcic.bc.[...] Union of British Columbia Indian Chiefs 2010-06-08
[62] 웹사이트 http://www.icj-cij.o[...]
[63] 서적 CIA World Factbook 2009 http://books.google.[...] MobileReference
[64] 뉴스 딸 '공주' 소원 들어주려 사막에 왕국 세운 부정 https://news.v.daum.[...]
[65] 웹인용 A 1969 Time article http://www.time.com/[...] Time.com 2010-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