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식 호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식 호흡은 횡격막을 사용하여 호흡하는 방식으로,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들이쉬고, 위로 올라가면서 내쉬는 특징을 갖는다. 흉식 호흡에 비해 횡격막을 강화하고, 호흡수를 늦춰 신체의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키며, 이완 작용을 유도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불안, 천식,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의학적으로 권장되지만,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는 더 필요하다. 성악에서는 복식 호흡이 중요하게 여겨지나, 다양한 방법론과 상반된 주장이 존재하며, '지탱'과 같은 용어의 정의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 일부 발성 연구자들은 복식 호흡과 흉식 호흡의 분류가 부자연스러운 호흡을 유발할 수 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흡 - 호흡근
    호흡근은 횡격막, 늑간근, 보조 호흡근으로 구성되어 호흡 작용에 관여하며, 손상 시 질병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호흡 재활로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
  • 호흡 - 호흡 (생리학)
    호흡은 생물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산소를 섭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생리적 과정으로, 수중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산소를 얻으며, 호흡계통은 동물에 따라 다른 형태로 진화했고, 여러 메커니즘과 실험 및 치료법이 존재한다.
복식 호흡
개요
종류호흡의 한 형태
특징횡격막을 수축시켜 수행
다른 이름복식 호흡, 깊은 호흡
설명
과정횡격막을 수축시켜 흉강의 부피를 늘리고 폐로 공기를 끌어들임
건강상의 이점
효과스트레스 감소
혈압 감소
심박수 감소
관련 질환암 환자의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참고
주의사항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는 복식 호흡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

2. 기전

폐가 들어 있는 흉강은 주로 골성 흉곽과 이를 지지하고 움직이는 근육군 및 횡격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숨을 들이쉬기(흉강을 넓히기) 위해서는 늑골을 열어 넓히거나 횡격막을 수축시켜 내리면 된다. 횡격막이 강하게 수축하면 공기가 폐로 들어가지만, 통상적인 이완된 호흡(정상 호흡)과는 달리, 가슴의 늑간근이 이 과정에서 수행하는 일은 최소한이다. 횡격막을 크게 수축시키면 복강이 변형되고 배가 앞으로 튀어나온다. 호기(숨을 내쉼)는 횡격막의 이완에 의한 복원과 복근 및 배근의 수축으로 내장을 상승시켜 그로 인해 횡격막을 더욱 상승시킴으로써 일어난다.[9]

2. 1. 흉식호흡과의 비교

흉식호흡은 주로 늑간근을 사용하여 골성 흉곽을 확장, 수축시키는 호흡 방식이다. 흉식호흡은 폐활량 조절에 유리하지만, 복식호흡에 비해 신체 긴장을 유발할 수 있다.[8]

횡격막은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복식호흡은 횡격막의 움직임에 더 밀접하게 관여하고 가슴에 무리를 덜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흉식호흡을 통해 폐활량의 활동 범주를 넓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은 저하될 수 있다. 복식호흡은 안정된 호흡 과정에서 어깨와 가슴의 힘을 빼 전신 이완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는 늑간근이 발달하지 않아 횡격막에 의한 잦은 복식 호흡을 한다.[10] 성장하면서 흉식 호흡이 가능해진다.[10]

3. 효과

복식호흡은 의식적으로 할 때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 횡격막을 튼튼하게 한다.
  • 호흡수를 늦추고 호흡에 드는 을 줄여, 몸이 필요로 하는 산소의 양을 줄인다.
  •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 혈액 속 산소량을 늘린다.
  • 가스 교환을 돕는다.
  • 혈압심박수를 낮춘다.


안정된 복식호흡을 하면 어깨와 가슴의 힘이 빠지면서 온몸이 편안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마음을 안정시키기 위해 복식호흡을 할 때는 횡격막과 복근을 사용하여 코로 천천히 숨을 들이쉬고 입으로 내쉰다.[7]

4. 적용

불안,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스트레스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12]

5. 의학적 유용성

복식호흡은 횡격막의 움직임에 보다 밀접하게 관여하며 가슴에 무리를 덜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흉식호흡을 통해 폐활량의 활동 범주를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안정된 복식호흡 과정에서 어깨 및 가슴의 힘을 뺌으로써 전신에 미치는 이완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의식적으로 복식호흡을 하면 다음과 같은 효용이 있다고 여겨진다.



복식 호흡은 심신의 건강을 위해 의사회[13], 후생 노동성[14] 등이 권장하고 있지만, 2020년의 내러티브 리뷰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연구의 질이 낮기 때문에 임상 진료에서의 횡격막 호흡의 정확한 유용성은 불분명하다.[15]

6. 비생리적인 횡격막 호흡

질환이나 마취 등의 영향으로 호흡근이 부분적으로 마비되고 횡격막 기능만 보존된 경우에도 횡격막 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의식적인 심호흡이 어려운 상태이므로 일반적인 복식호흡과는 다르다.[11]

6. 1. 척수 손상

중위 척수 손상 환자의 경우, 제3~5 경신경총 지배를 받는 횡격막의 움직임은 유지되지만, 그보다 하위 신경의 지배를 받는 사이갈비근이나 복근이 마비되어 심호흡이나 기침이 어려워진다.[16] 상위 척수 손상, 즉 제2 경추 이상의 손상 시에는 늑간근이나 복근뿐만 아니라 횡격 신경 지배를 받는 횡격막도 마비되어 자력으로 호흡하기 어려워져 인공 호흡기가 필요하게 된다.[16]

6. 2. 척추 마취

척추 지주막하 마취가 시행되면 호흡근 마비로 인해 호흡이 억제되지만[11], 횡격막까지 마비되는 경우는 드물며[11] 횡격막 호흡이 된다.[11]

6. 3. 전신 마취

과거 에테르 마취에서는[17] 마취가 깊어짐에 따라 늑간근 마비로 흉식 호흡이 감소하여 정지에 이르고, 횡격막에 의한 복식 호흡만으로는 불완전하고 얕은 호흡이 되었다. 마취를 너무 깊게 하면 호흡 정지가 일어났다[18]。 즉, 복식 호흡이지만 심호흡이 아닌 상황이 일어날 수 있었다.

7. 성악에서의 복식호흡

흉식호흡과 복식호흡 모두 횡격막의 역할은 중요하지만,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할 때 복식호흡은 횡격막의 움직임에 더 밀접하게 관여하며 가슴에 무리를 덜 줄 수 있다. 그러나 복식호흡은 흉식호흡을 통한 폐활량의 광범위한 조절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복식호흡은 어깨와 가슴의 힘을 빼 전신 이완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창에서는 복식 호흡이 적합하다고 널리 알려져 있어 초심자들은 복식 호흡 습득에 열심이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 성악에서 복식 호흡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때로는 서로 상반된 주장이 나타나기도 한다.[19][20]

7. 1. 다양한 방법론

클래식 음악의 성악에서 복식 호흡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때로는 서로 상반된 주장이 나타나기도 한다.[19][20]

  • 노래할 때(숨을 내쉴 때)도 흉부(가슴)는 높은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21]
  • 노래를 시작하면 횡격막이나 늑골(갈비뼈)에 대해서는 신경 쓸 필요 없이, 흉부를 높게 유지하려고 의식할 필요도 없다.

  • 숨을 들이쉴 때 옆구리나 허리 부분을 부풀려야 한다. (복직근에 어느 정도 힘을 주어 횡격막을 최대한 내리면 복부의 옆이나 등 부분이 부풀어 오른다. 이를 통해 횡격막의 뒷부분이 내려간다.)[22]
  • 숨을 들이쉴 때 아랫배를 부풀려야 한다. (횡격막이 낮게 내려가므로 숨이 많이 들어간다.)[23]
  • 숨을 들이쉴 때 윗배를 부풀려야 한다. (횡격막이 높은 긴장도로 팽팽해지므로, 소리에도 탄력이 생긴다.)[27]

  • 노래를 시작하기 전에는 확실하게 숨을 들이마셔야 한다. (충분히 숨을 들이마신 상태에서 "지지"가 생긴다.)[27]
  • 숨은 들이마시는 것이 아니라 내쉬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며, 내쉬기를 마친 후 힘을 빼면 자동적으로 숨이 들어온다. (의식적으로 들이마시는 것은 잘못이며, 기관(숨 쉬는 통로)의 고장으로 이어진다.)[24]

  • 숨을 내쉴 때 복부(배)를 움푹 들어가게 한다.[31]
  • 숨을 내쉴 때 복부를 들이마신 후 부풀어 오른 상태로 유지한다.[26][27][28]


위와 같이 지도자나 성악가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지도되고 실천되고 있으며,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은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25]

7. 2. "지탱" (Appoggio)

성악에서 "지탱(Appoggio)"은 호흡과 관련된 중요한 용어이지만, 통일된 정의는 없다.[25] 일반적으로 호기 시에도 횡격막의 흡기 경향(횡격막의 수축)을 유지하여 호기의 흐름을 조절하고,[26][27] 내장과 횡격막의 상승을 막아 중심을 안정시키며(결과적으로 복압이 높아짐), 성문 폐쇄를 강화하고,[28] 후두 현수근군의 적절한 작용을 유도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흡기에 의해 확장된 복부(유파에 따라 하복부, 측복부, 상복부 등 다양) 등의 몸통 둘레를 호기 시에도 확장된 채로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작용이 유도된다.[26][27][28] 이 경우 호기의 배출은 복부가 움푹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흉곽 하부가 좁아짐으로써 이루어진다.[29] 발성 중(호기)에도 횡격막을 수축시키면, 소리는 "목 조르기 발성"에서 벗어나 성문의 폐쇄기가 길어져 조음이 안정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0]

그러나 "지탱"이라는 단어에는 명확한 정의가 없으며,[25] 호기 시에 횡격막의 상승을 돕도록 복근과 배근군을 조절하는 것[31]을 "지탱"이라고 부르거나, 호흡법과는 관계없는 심리적인 이미지를 "지탱"으로 삼는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지탱"은 소리와 가창을 안정시키기 위한 의식적인 신체 조작 기술 전반을 가리키며, 성대, 후두, 공명 문제와도 깊이 관련되어 있고, 호흡법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7. 3. 복식호흡 개념에 대한 비판

프레데릭 후슬러는 "복식 호흡", "흉식 호흡", "측복 호흡", "늑간 호흡" 등과 같이 유형이나 방식에 따라 분류된 호흡법은, 모두 본래 전체가 균형 있게 협조하여 작동해야 하는 호흡 기능 중 일부만이 두드러지게 작동함으로써 생겨나는 불완전하고 부자연스러운 호흡법이며, 호흡을 그러한 유형이나 방식으로 분류하는 것과, 의식적으로 행해지는 기계적, 방식적 호흡법은 모두 성악 발성에 해롭다는 견해를 보였다[32]

또한, E. 허버트 체자리(E. Herbert-Caesari)는 복식 호흡에 대해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유해하다", "언어도단이며, 무수한 목소리에 매우 큰 해를 끼쳐 왔습니다"라고 언급했다[33]

참조

[1] 웹사이트 Learning diaphragmatic breathing https://www.health.h[...] 2023-02-23
[2] leaflet Abdominal Breathing https://web.archive.[...] Guy's and St Thomas's NHS Foundation Trust 2023-09-09
[3] 웹사이트 39.10: Breathing - Types of Breathing https://bio.libretex[...] 2023-02-23
[4] 웹사이트 Learning diaphragmatic breathing https://www.health.h[...] 2023-02-23
[5] 웹사이트 胸腹式呼吸 {{!}} 看護師の用語辞典 {{!}} 看護roo![カンゴルー] https://www.kango-ro[...] 2024-06-14
[6] leaflet Abdominal Breathing https://www.guysands[...] Guy's and St Thomas's NHS Foundation Trust 2023-09-09
[7] 웹사이트 abdominal breathing https://www.cancer.g[...] アメリカ国立衛生研究所 2024-06-14
[8] 웹사이트 39.10: Breathing - Types of Breathing https://bio.libretex[...] 2023-02-23
[9] 서적 呼吸, 発声, 歌唱 [[西村書店]]
[10] 웹사이트 Baby Breathing Patterns: What Is Normal And When To Worry https://www.momjunct[...] 2024-06-23
[11] 웹사이트 건강정보/さとう内科 https://townweb.e-ok[...] 2024-09-07
[12] 웹사이트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s & Benefits https://my.cleveland[...] 2024-06-14
[13] 웹사이트 深呼吸をしましょう https://www.med.or.j[...] 2024-06-13
[14] 웹사이트 腹式呼吸を繰り返す:こころのセルフメンテ:こころもメンテしよう https://www.mhlw.go.[...] 2024-06-13
[15] 논문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on Health: A Narrative Review https://www.ncbi.nlm[...] 2020-10-15
[16] 웹사이트 Respiratory Management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https://www.christop[...] 2024-06-23
[17] 웹사이트 エーテル麻酔(エーテルますい)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9-07
[18] 논문 全身麻酔の段階と徴候 https://www.jstage.j[...]
[19] 서적 呼吸の理論と実践 シンフォニア
[20] 서적 歌唱の仕組み その体型と学び方 [[音楽之友社]]
[21] 서적 The VOICE of the MIND 업프런트 북스
[22] 서적 新しい視点による発声法の理論と技法 [改訂版] 음악之友社
[23] 서적 新しい視点による発声法の理論と技法 [改訂版] 음악之友社
[24] 서적 うたうこと : 発声器官の肉体的特質 歌声のひみつを解くかぎ [[音楽之友社]]
[25] 서적 うたうこと : 発声器官の肉体的特質 歌声のひみつを解くかぎ [[音楽之友社]]
[26] 서적 はじめての発声法 : 基礎を学ぶポイント30 音楽之友社
[27] 서적 「医師」と「声楽家」が解き明かす発声のメカニズム : いまの発声法であなたののどは大丈夫ですか 音楽之友社
[28] 서적 ベル・カント唱法 : その原理と実践 音楽之友社
[29] 서적 はじめての発声法 : 基礎を学ぶポイント30
[30] 서적 歌声の科学 [[東京電機大学出版局]]
[31] 서적 呼吸, 発声, 歌唱 [[西村書店]]
[32] 서적 うたうこと : 発声器官の肉体的特質 歌声のひみつを解くかぎ
[33] 서적 The VOICE of the MIND 업프런트 북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