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프강 쿵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프강 쿵켈은 독일의 법학자이자 로마법 학자였다. 프랑크푸르트, 기센에서 법학과 고전학을 공부하고, 프라이부르크에서 에른스트 레비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와 교수 자격을 취득했다. 프라이부르크, 괴팅겐, 본, 하이델베르크에서 로마법 교수를 역임했으며, 뮌헨에서 레오폴트벵어 법제사연구소를 설립했다. 쿵켈은 나치 시대에 유대인 교수 박해에 항의하고, 스승 에른스트 레비를 보호했으며, 군사법원 고문판사를 역임했다. 그는 고대 로마법 연구에 몰두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로마의 법률가. 출신과 사회적 지위', '로마 공화정의 국가체제와 국가실제', '로마 법제사', '로마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제사학자 - 함병춘
    함병춘은 법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서 연세대학교 법학과 교수, 박정희 정부의 외교안보담당 특별보좌관 및 주미 한국 대사, 전두환 정부의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하며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했으나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순직했다.
  • 법제사학자 - 에른스트볼프강 뵈켄푀르데
    에른스트볼프강 뵈켄푀르데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헌법학자, 법철학자로서 독일연방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했으며, 뵈켄푀르데 딜레마로 알려진 사상이 독일과 유럽 정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로마법학자 -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는 역사법학파 창시자 중 한 명으로, 법을 민족정신의 발현으로 보고 법의 역사적 연구를 강조하며 법학 방법론과 민법학 발전에 기여하고 프로이센 법률 시스템 개혁을 주도하여 현대 법학에 큰 영향을 미친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사상가이다.
  • 로마법학자 - 테오도어 몸젠
    테오도어 몸젠은 고대 로마사 연구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고 금석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프로이센 하원과 독일 제국 의회 의원을 역임한 독일의 고전학자, 법학자, 역사가, 정치인이다.
  • 독일의 법학자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독일의 법학자 - 루돌프 슈타믈러
    독일의 법철학자이자 신칸트 학파의 주요 인물인 루돌프 슈타믈러는 법이 경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며 마르크스주의적 법 결정론을 비판하고 '변화하는 내용을 가진 자연법' 개념을 제창하여 후대 법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볼프강 쿵켈
기본 정보
본명볼프강 쿵켈
출생1902년 8월 10일,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
사망1981년 7월 12일 (향년 78세), 뮌헨
국적독일
학문 분야
분야법학
세부 분야법제사, 로마법
경력
직업법학자, 교수
재직 학교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본 대학교
뮌헨 대학교

2. 경력

볼프강 쿵켈은 프랑크푸르트기센에서 법학과 고전학을 공부하고, 프라이부르크에서 에른스트 레비의 지도 하에 박사 및 교수 자격을 취득하였다. 1928년부터 프라이부르크, 괴팅겐, , 하이델베르크에서 로마법 교수를, 1956년부터 1970년 퇴직까지 뮌헨에서 재직하였다. 나치스 시기에는 유대인 교수 박해에 항의하고, 스승 에른스트 레비를 옹호하였다. 1943년부터 1945년까지 군사법원 고문판사를 역임하였으며, 1946년에는 자신의 법률적 양심에 반하는 결정은 내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프리츠 슈투름은 쿵켈이 군사법원의 판사로서 불법을 저지할 수 있었다고 비판한다.[1]

2. 1. 교육 및 교수 활동

쿵켈은 프랑크푸르트기센에서 법학과 고전학을 공부하였다. 1924년에 프라이부르크에서 에른스트 레비의 지도 하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년 후에는 같은 대학에서 마찬가지로 에른스트 레비 하에 교수자격을 취득하였다. 1928년부터 프라이부르크, 괴팅겐, , 하이델베르크에서 로마법 교수를 역임하였다. 1956년부터 1970년 퇴직까지 뮌헨에서 재직하였으며, 그곳에서 레오폴트벵어 법제사연구소를 설립하였다. 다수 학술원의 회원이였으며, 많은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쿵켈은 교수로서 제자 양성에도 큰 힘을 기울였다.

나치스 시기에 그는 유대인 교수들에 대한 박해에 대하여 특히 프로이센의 문화장관에게 항의하였다. 특히 유대인이었던 그의 스승 에른스트 레비에게, 다른 많은 교수들과는 다르게 등을 돌리지 않았다. 1936년에는 그를 본 대학교로 초빙하기 위하여 나치에 의하여 해임된 그의 전임자 에버하르트 브룩이 큰 힘을 썼다. 전쟁 중에 쿵켈은 징집되어 1943년부터 1945년까지 군사법원 고문판사를 역임하였다. 1946년에 그는 쓰기를 자신의 법률적 양심이 책임을 질 수 없는 결정을 한 적이 없다고 하였다. 프리츠 슈투름은 그가 군사법원의 판사로서 불법을 저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1]

2. 2. 나치 시대의 행적

쿵켈은 나치 시대에 유대인 교수들에 대한 박해에 대하여 특히 프로이센의 문화장관에게 항의하였다.[1] 특히 유대인이었던 그의 스승 에른스트 레비에게, 다른 많은 교수들과는 다르게 등을 돌리지 않았다.[1] 1936년에는 나치에 의하여 해임된 그의 전임자 에버하르트 브룩이 그를 본 대학교로 초빙하기 위하여 큰 힘을 썼다.[1] 전쟁 중에 쿵켈은 징집되어 1943년부터 1945년까지 군사법원 고문판사를 역임하였다.[1] 1946년에 그는 자신의 법률적 양심이 책임을 질 수 없는 결정을 한 적이 없다고 썼다.[1] 프리츠 슈투름은 그가 군사법원의 판사로서 불법을 저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1]

2. 3. 학문적 업적 및 영향

쿵켈은 고대 로마법을 주로 연구하였다. 그는 법학적 문제에 역사학과 고전언어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1]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로마의 법률가. 출신과 사회적 지위》(Die römischen Juristen. Herkunft und soziale Stellung. Unveränderter Nachdruck der 2. Auflage von 1967. Köln u.a. 2001) - 볼프강 쿵켈 저.
  • 《로마 공화정의 국가체제와 국가실제》(Staatsordnung und Staatspraxis der römischen Republik. Zweiter Abschnitt. Die Magistratur. München 1995) - 볼프강 쿵켈, 롤란트 비트만 공저. 비트만이 쿵켈의 미완성 유작을 완성하였다.
  • 《로마 법제사》(Römische Rechtsgeschichte. Köln u.a. 2001) - 볼프강 쿵켈, 마르틴 셰르마이어 공저.
  • 《로마법》(Römisches Recht. 4. Auflage. Berlin u.a. 1987) - 볼프강 쿵켈, 하인리히 혼젤, 테오 마이어말리, 발터 젤프 공저.

3. 주요 저작

쿵켈은 고대 로마법을 주로 연구하였으며, 법학적 문제에 대해 역사학과 고전언어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1]

제목공동 저자비고
로마의 법률가. 출신과 사회적 지위1967년 출간된 2판의 복각판. 2001년 쾰른 등지에서 출판.
로마 공화정의 국가체제와 국가실제롤란트 비트만쿵켈의 미완성 유작을 비트만이 완성. 1995년 뮌헨에서 출판.
로마 법제사마르틴 셰르마이어2001년 쾰른 등지에서 출판.
로마법하인리히 혼젤, 테오 마이어말리, 발터 젤프1987년 베를린 등지에서 출판된 4판.


3. 1. 대표 저서


  • 볼프강 쿵켈, 《로마의 법률가. 출신과 사회적 지위》(Die römischen Juristen. Herkunft und soziale Stellung. Unveränderter Nachdruck der 2. Auflage von 1967. Köln u.a. 2001)
  • 볼프강 쿵켈, 롤란트 비트만, 《로마 공화정의 국가체제와 국가실제》(Wolfgang Kunkel, Roland Wittman: Staatsordnung und Staatspraxis der römischen Republik. Zweiter Abschnitt. Die Magistratur. München 1995) - 비트만이 쿵켈의 미완성 유작을 완성하였다.
  • 볼프강 쿵켈, 마르틴 셰르마이어, 《로마 법제사》(Wolfgang Kunkel, Martin Schermaier: Römische Rechtsgeschichte. Köln u.a. 2001)
  • 볼프강 쿵켈, 하인리히 혼젤, 테오 마이어말리, 발터 젤프, 《로마법》(Wolfgang Kunkel, Heinrich Honsell, Theo Mayer-Maly, Walter Selb: Römisches Recht. 4. Auflage. Berlin u.a. 1987)

참조

[1] 간행물 "In memoriam Wolfgang Kunkel †" 1981
[2] 서적 Kunkel, Wolfgang https://www.deutsche[...] Berlin 1982
[3] 서적 Kunkel, Wolfgang https://www.deutsche[...] Berlin 1982
[4] 서적 Ernst Levy und Wolfgang Kunkel. Briefwechsel 1922–1968 Heidelberg 2005
[5] 간행물 Wolfgang Kunkel zum Gedächtnis 1984
[6] 간행물 Pionier der juristischen Papyrlogie 2003-07
[7] 웹사이트 bibliography https://www.jura.uni[...]
[8] 서적 Kunkel, Wolfgang https://www.deutsche[...] Berlin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