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반멋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반멋은 후 레 왕조 시기 인물로, 뚜옌꽝의 토장이자 군인이다. 그는 1551년 막 왕조와의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뚜옌꽝을 진수하며 세습할 권리를 얻었다. 부반멋은 뚜옌꽝을 번영시켰으며, 아들 부꽁끼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우 주 - 부반우옌
부반우옌은 막 왕조 시기 후 레 왕조의 신하로서 뚜옌꽝을 근거지로 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막당중에 대항하며 명나라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확장하려 한 인물이다. - 버우 주 - 부꽁뚜언
부꽁뚜언은 후 레 왕조의 뚜옌꽝진 수장의 아들로, 반란을 일으켜 청나라와 막 왕조 잔당과 연합했으나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 후 레 왕조의 국공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후 레 왕조의 국공 - 응우옌낌
응우옌낌은 후 레 왕조의 장군이자 응우옌 주의 추존 황제로, 막 왕조의 찬탈에 맞서 레 왕조 복원을 주도하여 응우옌 주의 사실상 시조로 여겨진다. - 1571년 사망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1571년 사망 - 호조 우지야스
호조 우지야스는 후호조 씨 제3대 당주로서 간토 지방 통일의 기틀을 다졌으며, 행정 및 경제 개혁,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통해 호조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부반멋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베트남 |
수도 | 까오방 |
면적 | 6,724.6 km² |
인구 | |
인구 (2019) | 530,341명 |
민족 | 눙족 타이족 킨족 몽족 야오족 |
행정 구역 | |
현 | Bảo Lạc (바오락) Bảo Lâm (바오럼) Hạ Lang (하랑) Hà Quảng (하꽝) Hòa An (호아안) Nguyên Bình (응우옌빈) Phục Hòa (푹호아) Quảng Uyên (꽝우옌) Thạch An (탁안) Trà Lĩnh (짜링) Trùng Khánh (쭝카인) |
시 | 까오방 |
역사 | |
초대 통치자 | 부반멋 |
초대 통치자 시대 | 1527년 ~ 1592년 |
기타 정보 | |
지역 코드 | 20 |
차량 번호판 코드 | 11 |
2. 생애
부반멋은 후 레 왕조 시기 뚜옌꽝(宣光) 지역을 다스리던 토착 세력의 지도자였다. 1551년 막 왕조에 대항하는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3] 이후 후 레 왕조를 도와 막 왕조를 공격하는데 큰 공을 세워 뚜옌꽝 지역을 세습할 권리를 얻었다.[4]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뚜옌꽝 지역은 상업과 인구가 번성하여 '낙토(樂土)'라고 불릴 정도였다.[4] 부반멋 사후 그의 아들 부꽁끼가 뒤를 이었다.[4]
2. 1. 초기 생애와 가계
부반멋은 후 레 왕조 시기 가록(嘉祿) 파동(巴東) 사람이다.[1] 약 20세기 초에 작성된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에 따르면 부반멋은 부반우옌의 동생이고, 부반우옌 사후에 뒤를 이어 무리를 거느렸다고 한다.[2]이와 달리 《대월사기전서·본기속편(本紀續編)·여기(黎紀)·중종무황제기(中宗武皇帝紀)》 및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 등 사서에 따르면 부반멋은 원래 뚜옌꽝(宣光)의 토장(土將)이었으며, 1551년에 막 왕조에 대한 전쟁에 참여하였다. 기록에는 '태사(太師) 양국공(諒國公) 찐끼엠이 막 왕조의 항장(降將) 레바리(黎伯驪)와 부반멋 등을 시켜 경사(京師, 탕롱)로 진격해 압박하게 하였다. 막푹응우옌은 금성(金城, 현재의 하이즈엉성 낌타인현)으로 달아났고, 막낀디엔을 도통사(都總師)로 삼아 남겨두어 병사를 이끌고 막고 지키게 하였다.'라고 적혀 있다.[3]
베트남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부반멋은 본래 뚜옌꽝을 진수하였다가 후 레 왕조를 위하여 막 왕조를 치는 데 공을 세워 세습(世襲)할 권리를 획득하였다고 한다. 《대월사기전서·본기속편(本紀續編)·여기(黎紀)·현종목황제(玄宗穆皇帝)》의 기록에는 '처음에, 뚜옌꽝 안북영(安北營, 安西로 적은 기록도 있음)의 가국공(Gia Quốc Công|가국공vie) 부반멋은 회복한 날에 병사를 이끌고 의를 좇아 여러 차례 공로가 있었다. 이전 조정에서 뚜옌꽝 지방을 계속 지키게 하였고, 대대로 지키며 전습(傳襲)하도록 허락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 또한 그가 재위할 때 뚜옌꽝진은 매우 번영하는 상황으로, '상려(商旅)가 몰려들고 사서(士庶)는 번성하니, 낙토(樂土)라 일컬었다'고 적고 있다. 부반멋 이후 아들 부꽁끼가 뒤를 이었다.[4]
2. 2. 후 레 왕조와 막 왕조의 대립
후 레 왕조 시기 가록(嘉祿) 파동(巴東) 사람이다.[1] 약 20세기 초에 작성된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에 따르면 부반멋은 부반우옌의 동생이고, 부반우옌 사후에 뒤를 이어 무리를 거느렸다고 한다.[2] 이와 달리 《대월사기전서·본기속편(本紀續編)·여기(黎紀)·중종무황제기(中宗武皇帝紀)》및《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등 사서에 따르면 부반멋은 원래 뚜옌꽝(宣光)의 토장(土將)이었으며, 1551년에 막 왕조에 대한 전쟁에 참여하였다.해당 기록에는 '태사(太師) 양국공(諒國公) 찐끼엠이 막 왕조의 항장(降將) 레바리(黎伯驪)와 부반멋 등을 시켜 경사(京師, 탕롱)로 진격해 압박하게 하였다. 막푹응우옌은 금성(金城, 현재의 하이즈엉성 낌타인현)으로 달아났고, 막낀디엔을 도통사(都總師)로 삼아 남겨두어 병사를 이끌고 막고 지키게 하였다.'라고 적혀 있다.[3]
베트남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부반멋은 본래 뚜옌꽝을 진수하였다가 후 레 왕조를 위하여 막 왕조를 치는 데 공을 세워 세습(世襲)할 권리를 획득하였다고 한다. 《대월사기전서·본기속편(本紀續編)·여기(黎紀)·현종목황제(玄宗穆皇帝)》의 기록에는 '처음에, 뚜옌꽝 안북영(安北營, 安西로 적은 기록도 있음)의 가국공(Gia Quốc Công|가국공vie) 부반멋은 회복한 날에 병사를 이끌고 의를 좇아 여러 차례 공로가 있었다. 이전 조정에서 뚜옌꽝 지방을 계속 지키게 하였고, 대대로 지키며 전습(傳襲)하도록 허락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또한 그가 재위할 때 뚜옌꽝진은 매우 번영하는 상황으로, '상려(商旅)가 몰려들고 사서(士庶)는 번성하니, 낙토(樂土)라 일컬었다'고 적고 있다. 부반멋 이후 아들 부꽁끼가 뒤를 이었다.[4]
2. 3. 뚜옌꽝 지역 통치와 세습
후 레 왕조 시기 가록(嘉祿) 파동(巴東) 사람이다.[1] 약 20세기 초에 작성된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에 따르면 부반멋은 부반우옌의 동생이고, 부반우옌 사후에 뒤를 이어 무리를 거느렸다고 한다.[2] 이와 달리 《대월사기전서·본기속편(本紀續編)·여기(黎紀)·중종무황제기(中宗武皇帝紀)》및《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등 사서에 따르면 부반멋은 원래 뚜옌꽝(宣光)의 토장(土將)이었으며, 1551년에 막 왕조에 대한 전쟁에 참여하였다.[3]베트남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부반멋은 본래 뚜옌꽝을 지키다가 후 레 왕조를 위하여 막 왕조를 치는 데 공을 세워 세습(世襲)할 권리를 획득하였다고 한다. 《대월사기전서·본기속편(本紀續編)·여기(黎紀)·현종목황제(玄宗穆皇帝)》의 기록에는 '처음에, 뚜옌꽝 안북영(安北營, 安西로 적은 기록도 있음)의 가국공(Gia Quốc Công|가국공vie) 부반멋은 회복한 날에 병사를 이끌고 의를 좇아 여러 차례 공로가 있었다. 이전 조정에서 뚜옌꽝 지방을 계속 지키게 하였고, 대대로 지키며 전습(傳襲)하도록 허락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또한 그가 재위할 때 뚜옌꽝진은 매우 번영하는 상황으로, '상려(商旅)가 몰려들고 사서(士庶)는 번성하니, 낙토(樂土)라 일컬었다'고 적고 있다. 부반멋 이후 아들 부꽁끼가 뒤를 이었다.[4]
참조
[1]
서적
欽定越史通鑑綱目正編卷之二十八,黎中宗順平三年注
http://www.nomfounda[...]
2019-08-15
[2]
서적
《南國偉人傳‧武將以下‧武文淵、武文密》,收錄於《越南漢文小說叢刊》第一輯第七冊《筆記小說類》
臺灣學生書局
1987
[3]
서적
《大越史記全書·本紀續編·黎紀·中宗武皇帝紀》
http://www.nomfounda[...]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2019-08-13
[4]
서적
《大越史記全書·本紀續編·黎紀·玄宗穆皇帝》
http://www.nomfounda[...]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2019-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