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반우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반우옌은 막 왕조가 후 레 왕조의 제위를 찬탈하여 베트남이 분열된 시기에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후 레 왕조 신하 가문 출신으로, 막당중의 난을 피해 뚜옌꽝에 근거지를 마련하고 만 명의 병사를 이끌며 막당중에 대항했다. 1536년경 명나라 변경에서 소요를 일으키기도 했으며, 1537년 명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여 막 왕조를 타도하려 했다. 그는 스스로를 '안남총병사경양후'라고 칭하며 명나라에 보고서를 올리기도 했다. 사후 동생 부반멋이 그의 무리를 통솔했으며, 뚜옌꽝진은 부씨 일족의 근거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우 주 - 부반멋
부반멋은 후 레 왕조 시기 뚜옌꽝 지역의 토장으로, 막 왕조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워 뚜옌꽝을 세습할 권리를 얻었으며 그의 통치 하에 뚜옌꽝진은 번영을 누렸다. - 버우 주 - 부꽁뚜언
부꽁뚜언은 후 레 왕조의 뚜옌꽝진 수장의 아들로, 반란을 일으켜 청나라와 막 왕조 잔당과 연합했으나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 후 레 왕조의 후작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후 레 왕조의 후작 - 레응이전
레응이전은 레 태종의 아들로 황태자에서 양산왕으로 강등된 후 쿠데타를 일으켜 황제에 즉위했으나 8개월 만에 폐위되었고, 천흥 연호를 사용하며 행정 개혁을 시도했지만, 1460년 쿠데타로 폐위되었다. - 1479년 출생 - 바실리 3세
바실리 3세는 이반 3세의 아들로서 영토 확장 정책을 펼쳐 프스코프 공화국 등을 병합하고 스몰렌스크를 점령했으며, 차르 칭호와 이중두상 독수리를 채택하고 후계자를 얻기 위해 재혼 후 이반 4세를 낳았으며, 승천 교회를 건립하고 농양으로 사망하기 전 수도승이 되었다. - 1479년 출생 - 후아나 (카스티야)
후아나 1세는 카스티야, 레온, 아라곤의 여왕이자 나폴리, 시칠리아 등의 상속자였으나, 정신 질환과 남편의 죽음으로 통치권을 박탈당하고 유폐되었으며 죽을 때까지 여왕 지위를 유지하며 역사적 논쟁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부반우옌 | |
---|---|
기본 정보 | |
작위 | 카인흐엉후 (慶陽侯, 경양후) |
휘 | 부반우옌 (武文淵) |
생몰년도 | 미상 |
출생지 | 선광 (宣光, tuyên quang) |
사망지 | 방냔 (Bằng Nhau) |
활동 시기 | 레 장종 시대 |
관직 | |
소속 | 막 왕조 |
직위 | 도총병 (都總兵)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부타이 (Vũ Thái) |
아들 | 부반머우 (Vũ Văn Mật) 부공저 (Vũ Công Trừ) |
2. 생애
16세기 막당중이 후 레 왕조의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세우면서 베트남이 후 레 왕조와 막 왕조의 두 세력으로 분열된 상태에서 부반우옌이 활동하였다. 1537년 음력 9월 임오일(10월 9일[1])에 그가 명나라에 제출한 '백안남란장언(白安南亂狀言)'에는 "문연(文淵, 부반우옌)은 대대로 레씨(黎氏, 후 레 왕조)의 신하가 되어 왔는데, 막당중의 난으로 인해 뚜옌꽝으로 나가 근거지로 삼았습니다."라는 문구가 있다. 그의 막하에는 '병사 만 명'이 있었고, 동시대에 활동한 후 레 왕조의 관원 응우옌년리엔(阮仁蓮), 레까인미(黎景瑂) 등도 '한 지방을 나누어 막당중과 서로 공격하였다'고 한다.[2]
명나라 사람 엄종간(嚴從簡)의 《수역주자록》(殊域周咨錄)에 따르면 약 가정 15년(1536년)에 부반우옌, 부응이엠우이(武嚴威), 부뜨랑(武子陵) 등이 함께 '죄를 피하여 달아났다'고 하며, 명나라 변경에서 소요를 일으켰는데 명나라 변경 관리들은 이를 저지할 수 없었다고 한다.[3] 운남총병(雲南總兵) 목소훈(沐紹勳)은 이를 발견한 뒤 '조정의 은혜와 위엄을 선포하고, 이해관계를 명시함'으로써 대응하였다.[4] 그러나 《명실록·세종실록(世宗實錄)》 권180에 따르면 해당 사건은 가정 14년 10월 을미일 조에 기록되어 있으나, 부반우옌이 그 일에 참여했다는 언급은 없다.
1537년 음력 9월, 부반우옌은 명나라에 병사의 진격에 대한 내용이 있는 지도를 제출하며 원조를 구하였고, 이 기회를 통해 후 레 왕조를 돕고 막 왕조를 타도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스로 뚜옌꽝을 근거지로 삼아 지키고 있으면서 '병사 만 명이 있고, 원컨대 천병(天兵, 명나라 병사)이 남하하기를 기다려 제질(弟侄) 부뜨랑(武子陵) 등을 이끌고 석롱관(石瀧關)에 주둔하여 이를 좇고, 나라 안의 의사(義士)들을 불러모은다면 막당중은 가히 깨뜨릴 수 있다'고 하였다. 명나라 조정은 부반우옌의 표현에 만족하여 관대(冠帶)를 주었으며, 무직(武職) 4품(品)의 장복(章服), 백금(白金), 문폐(文幣)를 하사하였고 부뜨랑 등에게도 관대를 주었다.[2] 엄종간의 《수역주자록(殊域周咨錄)》에는 부반우옌의 또 다른 보고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는 자신의 직함을 '안남총병사경양후(安南總兵使慶陽侯)'로 칭하고 있다.[5]
20세기 초에 지어진 베트남 문헌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에 따르면 부반우옌이 죽은 뒤 그의 동생 부반멋이 뒤를 이어 무리를 통솔하였고,[6] 뚜옌꽝진은 부씨 일족의 장기 근거지가 되었다.[7]
참조
[1]
웹사이트
台灣中央研究院計算中心─兩千年中西曆轉換
http://sinocal.sinic[...]
[2]
서적
明實錄·世宗實錄
武漢出版社
嘉靖十六年九月壬午
[3]
서적
殊域周咨錄
北京中華書局
[4]
서적
明實錄·世宗實錄
武漢出版社
嘉靖十四年十月乙未
[5]
서적
殊域周咨錄
北京中華書局
[6]
서적
南國偉人傳‧武將以下‧武文淵、武文密
臺灣學生書局
1987
[7]
서적
大越史記全書·本紀續編·黎紀·玄宗穆皇帝
http://www.nomfounda[...]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