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조 우지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조 우지야스는 1515년에 태어나 1571년에 사망한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호조 가문의 3대 당주였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력을 바탕으로 간토 지방을 통치하며 호조 가문의 세력을 확장했다. 우지야스는 가와고에 성 전투에서 승리하여 간토에서의 지배권을 확립했으며, 다케다 신겐, 우에스기 겐신과의 동맹과 대립을 통해 세력 균형을 유지했다. 또한, 내정 개혁을 통해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고, 오다와라 성을 동국 최대 도시로 발전시키는 등 훌륭한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1년 사망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1571년 사망 - 벤베누토 첼리니
    벤베누토 첼리니는 16세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금세공사이자 조각가로,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아 로마와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하며 '메두사의 머리를 든 페르세우스'와 '소금통' 같은 대표작을 남겼고, 그의 자서전은 후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1515년 출생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515년 출생 - 바바 노부하루
    바바 노부하루는 다케다 신겐을 섬긴 무장으로 70번 이상의 전투에서 부상없이 활약하여 불멸의 별칭을 얻었으며, 스와·이나 공략, 가와나카지마 전투,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에서 공을 세웠고 축성에도 능했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하여 다케다 가문 몰락의 계기가 되었다.
  • 고호조씨 - 호조 소운
    호조 소운은 무로마치 막부의 중신으로 이세 종수이나 이세 신쿠로 등으로 불렸으며, 이마가와 가문의 가독 다툼에 개입하고 이즈, 사가미 등지를 정복하며 고호조씨의 기반을 마련한 센고쿠 시대 초기의 중요 인물이다.
  • 고호조씨 - 호조 우지쓰나
    호조 우지쓰나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와라성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간토 지방의 패권을 다졌으며, 토지 검사 실시 등 정책을 추진하고 쓰루가오카 하치만구 재건 사업을 주도하다가 사망했다.
호조 우지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호조 우지야스
원어 이름北条 氏康
출생 이름지요마루
출생1515년
사망1571년 10월 21일
출생 장소오다와라 성, 사가미 국, 일본
사망 장소오다와라 성, 사가미 국, 일본
호조 우지야스 그림
별칭사가미의 사자
가문[[File:Mitsuuroko.svg|20px]] 후호조 씨
계급다이묘 (영주)
아버지호조 우지쓰나
어머니요주인도노
배우자즈이케이인
자녀하야카와 도노
호조 마사코
호조 우지마사
호조 우지테루
호조 우지쿠니
호조 우지노리
우에스기 가게토라
친척호조 겐안 (삼촌)
호조 쓰나시게 (처남)
이마가와 요시모토 (처남)
지휘오다와라 성
부대[[File:Mitsuuroko.svg|20px]] 후호조 씨
관직
관직후호조 씨 수장
재임 시작1541년
재임 종료1559년
이전호조 우지쓰나
이후호조 우지마사
전투
전투오자와하라 전투 (1530년)
가와고에 포위전 (1545년)
히라이 성 포위전 (1551년)
오다와라 포위전 (1561년)
이와쓰키 포위전 (1561년)
마쓰야마 포위전 (1563년)
고노다이 전투 (1564년)
누마지리 전투 (1567년)
오다와라 포위전 (1569년)
기타 정보
일본어 이름北条 氏康
로마자 표기Hōjō Ujiyasu
어린 시절 이름이즈치요마루
통칭신쿠로
타이세이켄
별명사가미의 사자, 사가미의 호랑이
계명다이쇼지덴 도요 소다이 다이고지
묘소가나가와 현 아시가라시모 군 하코네 정 소운지
관위종5위상, 사가미노카미, 사쿄다이후
씨족이세 씨 → 후호조 씨 (간무 헤이시)
형제호조 우지야스
호조 다메마사
호조 우지타카
다이초인덴
조신인
고겐인
호슌인
지요
마키다도노 ( 기라 요리야스의 아내)
엔야마 야스미쓰 아내의 자매
마쓰다도노 (마쓰다 노리히데의 딸)
자녀신쿠로
호조 우지마사
시치마가리 도노
호조 우지테루
오자키도노
호조 우지노리
조린인 도노
하야카와 도노
호조 우지쿠니
우에스기 가게토라
조코인 도노
게이린인 도노

2. 생애

1515년 호조 우지쓰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이름은 치요마루(千代丸)였다. 1530년 오자와가하라 전투에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의 우에스기 도모오키를 상대로 첫 전투를 치렀다.[1]

1541년 아버지 우지쓰나가 사망한 후, 호조 가문의 주요 거점을 장악하려는 적들의 공격에 직면했다. 우지야스는 호조 영토의 행정 체제를 재편해야 했으며, 1542년부터 1543년 사이에 지적측량을 실시하고, 1550년에는 간다카(貫高制) 조세 제도를 개혁했다.

그의 본거지인 오다와라 성이 있는 오다와라는 주요 도로를 정비하고 성읍 내 장인 조합을 설립하면서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다. 호조 영토 전역에 역참과 시장이 생겨났고, 우지야스는 곧 간토 지방의 주요 세력 중 하나가 되었다.

그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호조 우지쓰나
어머니요쥬인도노
부인즈이케인1590년 사망
양형제호조 쓰나시게
측실가쓰라야마 야스미쓰의 여동생
측실마쓰다도노
자녀호조 신쿠로1537~1552, 즈이케인 소생
자녀하야카와 부인
자녀호조 부인1564~1582, 마쓰다도노 소생, 다케다 가쓰요리와 결혼
자녀호조 우지마사즈이케인 소생
자녀조코인아시카가 요시우지와 결혼, 아시카가 우지노히메 출산
자녀나나마가리도노호조 우지시게와 결혼
자녀호조 우지테루즈이케인 소생
자녀초린인오타 우지스케와 결혼
자녀호조 우지쿠니즈이케인 소생
자녀오자키도노지바 치카타네와 결혼
자녀호조 우지노리즈이케인 소생
자녀탄세이쿠지도노오가사와라 야스히로와 결혼
자녀호조 우지타다1593년 사망
자녀키쿠히메사토미 요시요리와 결혼
자녀호조 우지미쓰1590년 사망
자녀지바 토시타네와 결혼
자녀우에스기 가게토라가쓰라야마 야스미쓰의 여동생 소생


2. 1. 가독 상속

1515년 호조 우지쓰나의 적자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치요마루(千代丸)였다. 1530년 오자와가하라 전투에서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가의 우에스기 도모오키를 상대로 첫 출전하여 승리하였다.[1] 1538년 제1차 고노다이 전투에서 아버지와 함께 아시카가 요시아키, 사토미 연합군을 격파하고, 적장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전사시켰다.[12]

1541년 아버지 우지쓰나가 사망하자 가독을 이어받아 제3대 도슈가 되었다. 일설에는 1538년에 우지쓰나가 우지야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하며 후견했다는 이야기도 있다.[13]

2. 2. 간토에서의 전투

덴분 14년(1545년)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간토 간레이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노리마사와 오기가야쓰 우에스기 도모사다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켰다. 이때까지 호조와 협조해 온 아시카가 하루우지도 연합군과 밀약을 맺고 참전했다. 요시모토는 호조 우지쓰나에게 빼앗겼던 히가시 스루가의 일부를 되찾기 위해 군사 행동을 일으켰으나, 다케다 하루노부의 중재로 우지야스와 요시모토는 화친한다.

덴분 15년(1546년), 야마노우치, 오기가야쓰 두 우에스기가와 아시카가 하루우지의 연합군 약 8만 대군이 호조 영토로 침공했다. 이때 호조 군은 1만 미만으로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다. 우지야스는 두 우에스기, 아시카가 진영에 ‘이제까지 빼앗은 영토는 돌려주겠다.’라는 편지를 보내 장기전으로 이끌어 방심을 유도했다. 그리고 우지야스는 호조 쓰나시게와 연합하여 연합군을 기습했다. 이 기습으로 우에스기 도모사다는 전사하고 오기가야쓰 우에스기씨는 멸망했다. 우에스기 노리마사고즈케 히라이로, 아시카가 하루우지는 시모우사로 도주했다. (가와고에성 전투)[2] 우지야스의 형제인 타메마사의 의붓아들이자 우지쓰나의 사위인 호조 쓰나시게가 지휘하는 성의 수비대는 3,000명에 불과했지만, 공격군은 무려 8만 명에 달했다고 알려져 있다. 우지야스는 8,000명의 병사로 구성된 구원군을 이끌고 일부 사무라이들을 적진을 통과시켜 쓰나시게에게 적의 접근을 알리고, 닌자들을 이용하여 적의 전략과 태도를 파악했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그는 아시카가-우에스기 연합군에 대한 야습을 감행했는데, 이는 현재 사무라이 역사상 가장 주목할 만한 야전 전투 중 하나로 여겨진다.[3]

이 승리로 우지야스는 간토에서 지배권을 확립했다. 덴분 20년(1551년)에는 노리마사를 에치고로 추방하고(히라이 전투)[4] 덴분 23년(1554년) 2년 전에 고가 구보 자리에 고호조씨 피가 흐르는 요시우지에게 양도한 하루우지를 하다노에 유폐했지만, 하루우지의 장남 후지우지가 군사를 일으켜 고가성을 침공해 진압했다.

2. 3. 삼국 동맹

우에스기 노리마사가 에치고로 도망가면서, 나가오 가게토라와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1554년 다이겐 셋사이의 중개로 딸을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아들 우지자네에게 시집보내고, 다케다 하루노부(신겐)의 딸을 아들 우지마사의 부인으로 맞이하여 이마가와, 다케다 가문과 동맹 관계를 맺었다. (고소슨 삼국 동맹)[15]

2. 4. 우에스기 겐신과의 전투

1559년, 우지야스는 차남 호조 우지마사에게 가독을 양도하고 은거했지만, 오다와라 성 혼마루에 머무르면서 정치와 군사의 실권을 장악하고 우지마사를 후견했다.[5] 1561년, 우에스기 겐신이 간토 일원의 다이묘와 호족들을 이끌고 침공해 왔지만, 우지야스는 오다와라 성에서 농성하여 우에스기 군을 격퇴했다. 겐신이 가와나카지마 전투 때문에 시나노에 있는 틈을 타 우에스기 씨에게 빼앗긴 영토 대부분을 수중에 넣고, 겐신이 옹립한 고가쿠보 아시카가 후지우지를 붙잡았다.

1564년 제2차 고노다이 전투에서 사토미 요시타카, 요시히로 부자와 가즈사 등의 지배권을 놓고 대립했다. 호조 군은 병력에서 우세했지만, 사토미 군은 정신적으로 똘똘 뭉쳐 있었다. 이 전투에서 호조 군은 도야마 쓰나카게 등 유력 무장을 다수 잃었지만, 우지야스가 사토미 군을 기습하여 아와로 몰아냈다. 같은 해, 오타 스케마사를 격파하고 무사시를 평정했다. 이후 우에스기 겐신이 우스이 성 공격에 실패하면서 고즈케의 유라 씨, 사즈사의 사카이 씨, 도키 씨, 마사키 씨 일부 등 많은 호족들이 호조 씨에게 복종했다. 고즈케 마야바시 성의 우에스기 가 가신인 기타조 다카히로가 호조 씨로 배신하여, 겐신은 철수했다. 이로써 우에스기 겐신과의 항전에서 호조 우지야스가 우위에 서게 되었다.

1567년, 우지야스는 아들 호조 우지마사, 호조 우지테루에게 사토미 공략을 위임했지만, 우지마사는 미후네야마 전투에서 사토미 군에게 대패하여 가즈사 남부를 잃었다. 사위 오타 우지스케도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러나 히타치에서는 히타치 남부의 오다 씨 등이 복속하여 사타케 령을 제외한 히타치는 호조 가의 세력권 안에 들어오게 되었다.

2. 5. 다케다 신겐과의 전투

1560년, 이마가와 요시모토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오다 노부나가에게 패사하면서 이마가와 가문의 세력이 쇠퇴했다. 1568년, 다케다 신겐의 스루가 침공으로 삼국 동맹이 파기되었다. 우지야스는 신겐과 적대 관계가 되어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밀약을 맺고 스루가 협공을 계획했으나, 신겐은 스루가 방어를 포기하고 철퇴했다.

우에스기 겐신과 에쓰소 동맹을 체결했으나, 호조 우지히데를 인질로 보내는 등 형식적인 동맹에 그쳤다. 1569년 9월, 다케다 군이 무사시에 침공했으나, 하치가타 성과 다키야마 성에서 격퇴하고, 오다와라 성을 포위한 다케다 군도 격퇴했다. 미마세 고개 전투에서 다케다 군에게 패배했다.

에쓰소 동맹은 두 가문의 정전이라는 의미는 있었지만, 간토 간레이로서 간토에 세력을 확대하려는 겐신과 간토 제패를 목표로 하는 우지야스는 이해관계가 맞지 않아 곧 재검토하게 되었다.

2. 6. 말년

1571년부터 우지야스는 기타조 다카히로를 통해 다케다 신겐과의 화친, 혹은 동맹을 모색했다. 사실 우지야스는 1570년 8월경부터 병을 얻어, 그 해 병이 악화되어, 마지막 업무로써 우지마사를 비롯한 친지들을 모아, '''우에스기 겐신과의 동맹을 파기하고, 다케다 신겐과 동맹을 맺으라'''라고 유언을 남겼다.[25] 그리고, 1571년 10월 3일(양력 10월 21일) 오다와라 성에서 병사했다. 향년 57세. 사인은 중풍, 혹은 위암이라고 전해진다.

사후 12월 27일, 우지야스의 유언대로 호조와 다케다는 다시 동맹을 맺었다. 다만, 근래에는 우지야스의 유언이 아니라 신겐 측의 요청이었다는 설도 유력하다. 이후 우지야스는 자신의 가장 강력한 적이었던 우에스기 겐신다케다 신겐과 화해를 이루었고, 그의 일곱째 아들 호조 사부로를 자식이 없는 겐신에게 양자로 보냈다. 또, 다케다-이마가와-호조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두 딸을 이 두 가문에 시집보냈다. 하야카와 부인은 이마가와 우지자네와 결혼했고, 호조 부인(호조 마사코)은 다케다 가쓰요리와 결혼하여 그의 두 번째 부인이 되었다. 우지야스는 1571년에 사망하여 비교적 유리한 상황에서 그의 장남 우지마사에게 호조 영지를 물려주었다.

3. 정책 및 업적

호조 우지야스는 내정 개혁에 힘써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다. 그는 영내 모든 토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소령역장을 작성하여 가신과 영민의 부담을 명확히 했다.[16] 세제 개혁을 통해 백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메야스바코를 설치하여 백성들의 억울함을 직접 듣고 해결하고자 노력했다.[16]

1550년 4월, 우지야스는 제점역이라 불리던 공사를 폐지하고 관고의 6%에 해당하는 현전을 납부하게 하여 불규칙적인 징수로부터 백성을 해방시켰다. 이는 백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동시에 세금이 호조 씨의 창고로 직접 납입되도록 하여 중간 착취를 없애고 국인 등의 지배력을 약화시켜 호조 씨의 권력을 강화했다.[16] 또한 동별전을 50문에서 35문으로 감액하고, 흉년이나 기근 시에는 세금을 감면하거나 연공을 면제했다.[16]

1559년, 우지야스는 오다와라슈소령역장을 작성하여 가신들의 부담을 명확하게 하였다.[16] 같은 해 12월에는 대물법도를 제정하여 화폐 제도를 실시하고, 이듬해 비율을 개정하여 완성했다.[16] 1564년에는 반전을 쌀로 납부하는 곡반전을 창설하고, 1565년에는 동별전의 2/3를 보리, 1/3을 영락전으로 납부하는 정목동별 제도를 창설했다. 1569년에는 동별전과 반전을 전납에서 쌀 등의 물납으로 전면 전환하여 재정 안정화를 도모했다. 또한, 지역마다 다르게 사용되던 도량형을 통일하기 위해 엔슈의 하지와라마스를 공정 마스로 지정했다.[16]

우지야스는 독자적인 관료 기구를 설치하여 행정 효율성을 높였다. 효조슈가 그 대표적인 예로, 영내 소송 처리 등을 담당했으며 주로 고마가이슈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16] 거의 모든 문서에 호랑이 인판을 사용하여 행정 효율을 높였는데, 이는 동시대 센고쿠 다이묘 중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오다와라성 밑 마을을 발전시키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장인과 문화인들을 초빙하고 대규모 도시 개발을 추진했다.[16] 그 결과 오다와라 성 밑 마을은 동쪽으로는 오다와라, 서쪽으로는 야마구치라고 불릴 만큼 간토 지방 최대 도시가 되었다. 당시로서는 드물게 상수도를 완비했고, 마을은 먼지 하나 없을 만큼 청결했다고 한다.[16] 1551년 4월, 우지야스를 접견한 난젠지의 승려 도레이 지오는 "태수 우지야스는 겉은 문인이요, 속은 무인이라, 치세는 청렴하고 범상치 않다. 당대 필적할 자가 없는 패왕이라 하겠다."라고 높이 평가했다.

그 밖의 시책으로는 장인 사역을 위한 공용 사역제 채용, 전마제 확립 등이 있다.[16]

4. 평가

호조 우지야스는 문무를 겸비한 명장으로 평가받는다. 가와고에 성 전투는 오다 노부나가오케하자마 전투, 모리 모토나리이쓰쿠시마 전투와 함께 센고쿠 3대 기습 작전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보여주었다. 미후네야마 전투와 미마세 고개 전투를 제외한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으며,[25] 특히 미마세 고개 전투는 실질적으로 비긴 전투였다.

산조니시 사네타카에게서 와카 작법을 배우고, 아시카가 학교에서 중국 병법서인 삼략 강의를 듣는 등 학문과 교양에도 힘썼다. 그의 와카는 저명한 가인들의 주목을 받을 정도였다. 1551년 우지야스를 만난 승려 東嶺智旺는 그를 "겉은 문인이요, 속은 무인이라, 치세는 청렴하고, 범상치 않다. 당대 필적할 자가 없는 패왕"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우지야스는 백성을 위한 선정으로도 유명하다. 1550년에는 세제 개혁을 통해 백성들의 세금 부담을 줄였다. 정무를 폐지하고, 간다카(貫高)[34]의 6%에 해당하는 겐센(懸錢)을 납부하게 하여 부정기적인 징수로부터 백성을 해방시켰다. 무네베쓰센(棟別銭)[35]을 50문에서 35문으로 경감하고, 흉년에는 세금을 감면하거나 면제했다. 메야스바코(目安箱)를 설치하여 백성들이 직접 불법 행위를 고발할 수 있게 했다. 에이로쿠센(永楽銭)[36]으로 통화를 통일하고, 공용사역제 채용, 전마제 확립 등 다양한 시책을 추진했다.

독자적인 관료기구, 특히 효조슈를 설치하여 영내 소송 처리를 담당하게 했다. 호조 가문의 행정기구는 당시 전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이후 에도 막부의 경제 운용에 영향을 주었다. 오다와라성 아래 마을을 발전시키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장인과 문화인을 초빙하여 대규모 도시 개발을 추진했다. 그 결과 오다와라는 동쪽으로는 오다와라, 서쪽으로는 야마구치라고 불릴 정도로 간토 지방 최대 도시로 성장했으며, 당시로서는 드물게 상수도가 완비된 깨끗한 도시였다.

하지만, 다케다 신겐, 우에스기 겐신과의 끊임없는 전쟁으로 백성들이 고통을 겪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5. 인물

젊었을 때에는 소심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당주가 된 후에는 선친 호조 우지쓰나가 남긴 훈계장을 명심하며 훌륭한 지도자로 성장했다. 산조니시 사네타카로부터 가도(와카를 작시하는 방법)를 배웠고, 아시카가 학교에서 중국 병법서인 삼략(三略) 강의를 받는 등, 교양과 학문에도 힘썼다. 와카를 읊으면 저명한 가인(歌人)조차도 관심을 가질 정도였다.[28] 덴분 20년(1551년) 4월 우지야스를 접견한 난젠지의 승려 도레이 치오는 "태수 우지야스는 겉은 문인이요, 속은 무인이라, 치세는 청렴하고, 범상치 않다. 당대 필적할 자가 없는 패왕이라 하겠다."라고 높이 평가했다.[28]

고미즈노오 천황의 칙선으로 전해지는 『집외삼십육가선』의 30번에 그의 한 수가 실려 있다.[29][30]

6. 묘소

가나가와현 아시가라시모군 하코네정 소운지에 묘소가 있다.[2]

현재 소운지 경내에 존재하는 우지야스를 포함한 호조 5대의 묘소는 에도 시대 간분 12년(1672년)에 호조 우지노리의 자손으로 사야마 번 호조가 5대 도슈 호조 우지하루가 호조 소운의 기제일에 해당하는 8월 15일에 건립한 공양탑이다.[2] 우지야스의 본래 묘소는 넓은 소운지 경내의 다이쇼인에 배향되었지만,[2] 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와라 정벌 때 소실되어 묘소의 위치는 정확히 어디인지 알 수 없다.[2]

소운사의 호조 5대의 묘. 중앙이 우지야스의 묘.

참조

[1] 웹사이트 三代氏康と合戦 https://www.city.oda[...] Odawara city official 2021-10-18
[2]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3]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Hojo Ujiyasu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18
[5] 웹사이트 四代氏政の時代 https://www.city.oda[...] Odawara city official 2021-10-18
[6] 문서 Also known as Musashi-Matsuyama Castle (武蔵松山城).
[7] 서적 国史大辞典 吉川弘文館
[8] 웹사이트 町指定重要文化財:第21号:寒川神社の棟札(小田原北条氏ゆかりの棟札3点) http://www.town.samu[...] 寒川町役場教育政策課(神奈川県高座郡寒川町) 2021-12-05
[9] 서적 日本人名大辞典 講談社
[10] 서적 戦国時代年表 後北条氏編
[11] 서적 ( 추정 )
[12] 서적 ( 추정 )
[13] 서적 神奈川県史 通史編Ⅰ
[14] 서적 ( 추정 )
[15] 서적 ( 추정 )
[16] 서적 ( 추정 )
[17] 학술지 『彦部家譜』所収里見氏関係文書
[18] 서적 ( 추정 )
[19] 서적 奔る雲のごとく(今よみがえる北条早雲)
[20] 문서 今川義元-史料による年譜的考察
[21] 서적 ( 추정 )
[22] 서적 ( 추정 )
[23] 서적 ( 추정 )
[24] 서적 戦国北条氏一族事典 戎光祥出版
[25] 서적 ( 추정 )
[26] 서적 ( 추정 )
[27] 문서 甲越和与の発掘と越相同盟
[28] 서적 ( 추정 )
[29] 웹사이트 酒井抱一・集外三十六歌仙(姫路市立美術館) http://www.city.hime[...]
[30] 웹사이트 30.北条氏康 http://www.city.hime[...]
[31] 서적 ( 추정 )
[32] 서적 小田原史跡めぐり 名著出版
[33] 서적 明治維新人名辞典 吉川弘文館 1981-09
[34] 문서 중세 토지의 면적, 지대를 돈으로 환산한 방식
[35] 문서 가옥의 동수를 기준으로한 과세
[36] 문서 중국 명나라 영락 9년(1411년)에 주조된 청동으로 된 동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