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 낌은 레 왕조의 유신으로, 막 왕조가 레 꿍 호앙을 폐위시키고 찬탈하자 이에 반발하여 세력을 키웠다. 그는 사위 찐 끼엠과 협력하여 레 왕조 부흥을 도모했으며, 라오스로 도망가 포티사랏 왕의 지원을 받아 레 장종을 옹립하고 레 왕조를 재건했다. 응우옌 낌은 막 왕조를 공격하여 타인호아와 응에안을 탈환했지만, 1545년 막 왕조 장수 즈엉 쩝 냣의 계략에 빠져 독살당했다. 그는 사후 소훈정공의 시호를 받았으며, 찐 가문과의 권력 다툼에서 그의 아들이 살해당하고 막내 아들 응우옌 호앙이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250년간 지속될 정치적 분열의 씨앗을 뿌렸다. 응우옌 왕조는 그를 조조로 추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 레 왕조의 국공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후 레 왕조의 국공 - 찐끼엠
찐끼엠은 후 레 왕조의 개국공신 찐카의 후손으로, 응우옌낌 사후 정권을 장악하여 찐씨 가문이 후 레 왕조의 정권을 잡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막 왕조를 여러 차례 북벌하고 태국공으로 진봉된 인물이다. - 후 레 왕조의 후작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후 레 왕조의 후작 - 레응이전
레응이전은 레 태종의 아들로 황태자에서 양산왕으로 강등된 후 쿠데타를 일으켜 황제에 즉위했으나 8개월 만에 폐위되었고, 천흥 연호를 사용하며 행정 개혁을 시도했지만, 1460년 쿠데타로 폐위되었다. - 1468년 출생 - 한효원
- 1468년 출생 - 윤은보
윤은보는 1468년에 태어나 1544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언관, 춘추관 편수관, 암행어사 등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고 영의정에 올랐으며 사후 문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응우옌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응우옌 김 |
| 한자 | 阮淦 |
| 사후 작위 | 정왕(靖王) |
| 사후 시호 |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貽謀垂裕欽恭惠哲顯祐宏休濟世啟運仁聖靖皇帝) |
| 인물 정보 | |
| 출생 이름 | 응우옌 김 |
| 출생 연도 | 1468년 |
| 출생지 | 타인호아 |
| 사망 연도 | 1545년 |
| 사망 나이 | 76–77세 |
| 사망지 | 응에안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찐국공(澄國公) 응우옌반르우(阮文溜) |
| 어머니 | 찐국공부인(澄國公夫人) 매씨(枚氏) |
| 배우자 | 자신덕비(慈信德妃) 응우옌 티 마이(阮氏梅) |
| 묘호 및 능묘 | |
| 묘호 | 조조(Triệu Tổ/肇祖) |
| 능호 | 장원릉(Trường Nguyên Lăng/長原陵) |
2. 생애
징국공(澄國公) 응우옌 반 리에우/阮文溜중국어와 징국부인 매씨(澄國夫人枚氏)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통응우옌(統元) 6년(1527년), 막당중이 레 꿍 호앙을 퇴위시키고 제위를 찬탈하여(막 왕조) 레 왕조를 무너뜨리자 응우옌 낌은 이에 반감을 품고 후 레 왕조의 유신들을 모아 세력을 키웠다.[1] 찐끼엠을 사위로 삼아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2] 막당중이 레 꿍 호앙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대월의 통치자가 되자, 옛 왕족의 충신이었던 응우옌 낌은 애뢰(라오스)로 도망쳤다.[2] 명덕 3년(1529년), 애뢰왕포티사랏/Photisarath영어의 지원을 받아 쩐쩌우(岑州, 현재의 삼느어)를 거점으로 레 왕조의 세력을 회복시켰다.[3] 1529년, 응우옌 낌은 라오스로 건너가 포티사랏 왕에게 복종하였고, 포티사랏은 응우옌 낌에게 삼느아 지역의 행정관 지위를 부여했다.
응우옌호아(元和) 원년(1533년) 12월, 소종의 아들인 레 닝을 맞이하여 황제로 옹립(레 장종)하고, 레 왕조를 부활시켰다.[4] 레 닌 (황제 레 지에우 쭝의 아들)을 대월의 왕으로 선포했고, 포티사랏은 이 주장을 인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했다. 장종으로부터 상부(尚父) 태사 흥국공(興國公)에 봉해져 레 왕조의 실권을 장악했다. 또한 장군인 찐끼엠의 재능을 높이 사 사위로 삼았다.[2] 이후 응우옌낌은 군사를 이끌고 막 왕조를 공격하였다. 1536년과 1537년에는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막당중을 찬탈자로 비난하고 레 왕조 복원을 위한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원화 10년(1542년) 막조를 침공하여 서도(西都) 탄호아와 응에안의 땅을 탈환했다.[5]
응우옌호아 13년(1545년), 막 왕조의 장수 즈엉 쩝 냣(양집일)/Dương Chấp Nhấtvi[6]이 거짓으로 항복하였다. 응우옌낌은 이를 모르고 항복을 받아주었고, 즈엉쩝녓은 응우옌낌을 독살하였다.[5] 향년 78세(만 76세)였다. 사망 후, 장종으로부터 '''소훈정공'''과 '''충헌'''의 시호를 받았다.[5] 이 사건으로 찐 가문은 권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응우옌낌 사후, 그의 장남은 찐끼엠에 의해 살해되었고, 막내 아들 응우옌호앙은 1558년 남부 지역으로 가서 250년간 지속될 정치적 분열의 시작을 알렸다.
2. 1. 초기 생애 및 막 왕조의 등장
1527년, 막당중이 막 왕조를 세우자 응우옌낌은 이에 반감을 가졌고, 사위인 찐끼엠과 함께 후 레 왕조의 유신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형성하였다. 1533년, 레 장종을 황제로 옹립하여 후 레 왕조를 중흥시켰다. 이후 응우옌낌은 군사를 이끌고 막 왕조를 공격하였다.1529년, 응우옌 낌은 라오스로 가서 라오스 왕 포티사랏(재위 1520 – 1547)에게 복종했고, 포티사랏은 응우옌 낌에게 삼느아 지역의 행정관 지위를 부여했다. 대월에서 막 당 둥은 타잉 호아에서 레 왕조의 충신들을 진압했고, 레 왕조의 잔당을 응우옌 낌의 영토로 피신하도록 강요했다. 1533년, 응우옌 낌은 왕자 레 닌 (황제 레 지에우 쭝의 아들)을 대월의 왕으로 선포했다. 포티사랏은 이 주장을 인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했다.
1545년, 막 왕조의 장수 즈엉 쩝 냣(양집일/Dương Chấp Nhấtvi)이 거짓으로 항복하였다. 응우옌낌은 이를 모르고 항복을 받아주었고, 즈엉쩝녓은 응우옌낌을 독살하였다. 향년 78세(만 76~77세)이다. 타잉 호아의 두 강력한 군사 가문인 응우옌과 찐의 지원을 받은 레 가문이 서서히 권력을 되찾으면서 투쟁은 계속되었고, 응우옌 낌과 찐 껨 (1503–1570)이라는 주요 인물로 대표되는 두 가문 사이에 경쟁이 나타났다. 응우옌 낌은 딸 중 한 명을 찐 껨과 결혼시켜 두 가문을 오랜 전통 방식으로 묶었다. 그러나 군사적, 결혼적 연결 모두 찐 껨의 개인적 야망을 막을 수 없었다. 정치적 지배권을 위한 지속적인 경쟁은 찐 가문이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1545년 응우옌 가문의 가장이 항복하는 막 장군에 의해 살해되면서 그 지위가 확고해졌다.
2. 2. 후 레 왕조 부흥 운동
통응우옌(統元) 6년(1527년), 막당중이 막 왕조를 세우자 응우옌낌은 이에 반감을 가졌다.[1] 사위인 찐끼엠과 함께 후 레 왕조의 유신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형성하였다. 막당중이 레 꿍 호앙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대월의 통치자가 되자, 옛 왕족의 충신이었던 응우옌 낌은 라오스로 가서 라오스 왕 포티사랏에게 복종했다. 포티사랏은 응우옌 낌에게 삼느아 지역의 행정관 지위를 부여했다.응우옌호아(元和) 원년(1533년), 레 장종을 황제로 옹립하여 후 레 왕조를 중흥시켰다.[4] 레 닌 (황제 레 지에우 쭝의 아들)을 대월의 왕으로 선포했고, 포티사랏은 이 주장을 인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했다. 이후 응우옌낌은 군사를 이끌고 막 왕조를 공격하였다. 원화 10년(1542년) 막조를 침공하여 서도(西都) 탄호아와 응에안의 땅을 탈환했다.[5]
응우옌호아 13년(1545년), 막 왕조의 장수 즈엉 쩝 냣(양집일/Dương Chấp Nhấtvi)이 거짓으로 항복하였다.[6] 응우옌낌은 이를 모르고 항복을 받아주었고, 즈엉쩝녓은 응우옌낌을 독살하였다.[5] 향년 78세이다. 사망 후, 장종으로부터 '''소훈정공'''과 '''충헌'''의 시호를 받았다.[5]
2. 3. 찐 가문과의 협력과 갈등
1527년 막당중(막 왕조)이 레 왕조를 무너뜨리고 막 왕조를 세우자, 응우옌낌은 이에 반감을 품고 후 레 왕조의 유신들을 모아 세력을 키웠다. 찐끼엠을 사위로 삼아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2]1533년, 응우옌낌은 레 장종을 황제로 옹립하여 후 레 왕조를 부흥시켰다. 이후 군사를 이끌고 막 왕조를 공격하여 타인호아와 응에안 성을 탈환하기도 했다.[5] 1529년, 응우옌 낌은 라오스로 건너가 포티사랏 왕에게 복종하였고, 포티사랏은 응우옌 낌에게 삼느아 지역의 행정관 지위를 부여했다. 1536년과 1537년에는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막당중을 찬탈자로 비난하고 레 왕조 복원을 위한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1545년, 막 왕조의 장수 즈엉 쩝 냣(양집일)이 거짓 항복을 하였고, 응우옌낌은 이를 받아들였다가 독살당했다.[5] 이 사건으로 찐 가문은 권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응우옌낌 사후, 그의 장남은 찐끼엠에 의해 살해되었고, 막내 아들 응우옌호앙은 1558년 남부 지역으로 가서 250년간 지속될 정치적 분열의 시작을 알렸다.
2. 4. 죽음
1527년, 막당중이 막 왕조를 세우자 응우옌낌은 이에 반감을 가졌고, 후 레 왕조의 유신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형성하였다. 1533년, 레 장종을 황제로 옹립하여 후 레 왕조를 중흥시켰다. 이후 응우옌낌은 군사를 이끌고 막 왕조를 공격하였다.1545년, 막 왕조의 장수 즈엉 쩝 냣(양집일/Dương Chấp Nhấtvi)이 거짓으로 항복하였다. 응우옌낌은 이를 모르고 항복을 받아주었고, 즈엉쩝녓은 응우옌낌을 독살하였다. 향년 78세(만 76세)였다.
3. 사후
초기 레 왕조 시기에는 응우옌낌을 '''안청후'''(안청후/An Thanh Hầuvi)로 봉했다. 레 왕조 재건 후에는 공신 자격으로 상부태사(尙父太師) 겸 '''흥국공'''(흥국공/Hưng Quốc Côngvi)으로 진봉되었다.
응우옌낌이 사망하자, 후 레 왕조는 그를 '''소훈정공'''(소훈정공/Chiêu Huân Tĩnh Côngvi)에 추봉하고 충헌(충헌/Trung Hiếnvi)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이후 보철(輔哲)을 추가하여 '''소훈보철정공'''(소훈보철정공/Chiêu Huân Phụ Triết Tĩnh Côngvi)으로 다시 추봉하였다.
응우옌 주에서는 응우옌호앙이 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추존하였다. 응우옌푹코앗은 까인흥 5년(1744년)에 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시호를 고쳤다.
응우옌 왕조 건국 후인 자롱 4년(1806년), 자롱 황제는 묘호를 '''조조'''(조조/Triệu Tổvi), 시호를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Khải Vận Nhân Thánh Tĩnh Hoàng Đếvi)로 추봉하였다. 능호는 '''장원릉'''(장원릉/Trường Nguyên Lăngvi)이다.
3. 1. 후 레 왕조의 추증
초기 레 왕조 시기에는 응우옌낌을 '''안청후'''(안청후/An Thanh Hầuvi)로 봉했다. 레 왕조 재건 후에는 공신 자격으로 상부태사(尙父太師) 겸 '''흥국공'''(흥국공/Hưng Quốc Côngvi)으로 진봉되었다. 응우옌낌이 사망하자 후 레 왕조는 그를 '''소훈정공'''(소훈정공/Chiêu Huân Tĩnh Côngvi)에 추봉하고 충헌(충헌/Trung Hiếnvi)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이후 보철(輔哲)을 추가하여 '''소훈보철정공'''(소훈보철정공/Chiêu Huân Phụ Triết Tĩnh Côngvi)으로 다시 추봉하였다.응우옌 주에서는 응우옌호앙이 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추존하였다. 응우옌푹코앗은 까인흥 5년(1744년)에 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시호를 고쳤다.
응우옌 왕조 건국 후인 자롱 4년(1806년), 자롱 황제는 묘호를 '''조조'''(조조/Triệu Tổvi), 시호를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Khải Vận Nhân Thánh Tĩnh Hoàng Đếvi)로 추봉하였다. 능호는 '''장원릉'''(장원릉/Trường Nguyên Lăngvi)이다.
3. 2. 응우옌 주의 추존
봉호는 초기 레 왕조 시기에는 '''안청후'''(안청후/An Thanh Hầuvi)이며, 레 왕조가 재건후에는 공신자격으로 상부태사(尙父太師) 겸 '''흥국공'''(흥국공/Hưng Quốc Côngvi)으로 진봉되었다.응우옌낌이 사망하자, 후 레 왕조는 그를 '''소훈정공'''(소훈정공/Chiêu Huân Tĩnh Côngvi)에 추봉하였고, 충헌(충헌/Trung Hiếnvi)이란 시호를 내렸다. 후에 보철(輔哲)을 추가하여 '''소훈보철정공'''(소훈보철정공/Chiêu Huân Phụ Triết Tĩnh Côngvi)으로 재추봉을 하였다.
응우옌 주에서는 완주(阮主)로 즉위한 응우옌호앙(완황/Nguyễn Hoàngvi)이 시호를 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추존 하였다.
이후 응우옌푹코앗(완복활/Nguyễn Phúc Khoátvi)이 칭왕한 후인 까인흥(景興) 5년(1744년)에 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시호를 고쳤다.
응우옌 왕조 건국 후인 자롱 4년(1806년), 자롱 황제가 칭제한 후에 묘호를 '''조조'''(조조/Triệu Tổvi)로, 시호를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Khải Vận Nhân Thánh Tĩnh Hoàng Đếvi)로 황제로 재추봉 하였다.
능호는 '''장원릉'''(장원릉/Trường Nguyên Lăngvi)이다.
3. 3. 응우옌 왕조의 추존
초기 레 왕조 시기에는 응우옌낌은 '''안청후'''(안청후/An Thanh Hầuvi)로 봉해졌으며, 레 왕조가 재건된 후에는 공신 자격으로 상부태사(상부태사/Thượng phụ Thái sưvi) 겸 '''흥국공'''(흥국공/Hưng Quốc Côngvi)으로 진봉되었다.응우옌낌이 사망한 후, 후 레 왕조는 그를 '''소훈정공'''(소훈정공/Chiêu Huân Tĩnh Côngvi)에 추봉하고 충헌(충헌/Trung Hiếnvi)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이후 보철(보철/Phụ Triếtvi)을 추가하여 '''소훈보철정공'''(소훈보철정공/Chiêu Huân Phụ Triết Tĩnh Côngvi)으로 다시 추봉하였다.
응우옌 주에서는 응우옌호앙(Nguyễn Hoàng)이 완주(阮主)로 즉위한 후 시호를 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혜철현우굉휴제세위적소훈정왕/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추존하였다. 이후 응우옌푹코앗(Nguyễn Phúc Khoát)이 칭왕한 후인 까인흥(景興) 5년(1744년)에 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이모수흠공혜철현우휴제세위적소훈정왕/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Vĩ Tích Chiêu Huân Tĩnh Vươngvi)으로 시호를 고쳤다.
응우옌 왕조 건국 후인 자롱 4년(1806년), 자롱 황제가 칭제한 후에 묘호를 '''조조'''(肇祖, 조조/Triệu Tổvi), 시호를 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이모수유흠공혜철현우굉휴제세계운인성정황제/Di Mưu Thùy Dụ Khâm Cung Huệ Triết Hiển Hựu Hoành Hưu Tế Thế Khải Vận Nhân Thánh Tĩnh Hoàng Đếvi)로 황제로 재추봉하였다. 능호는 '''장원릉'''(長原陵, 장원릉/Trường Nguyên Lăngvi)이다.
4. 가족 관계
응우옌낌은 정실 부인으로 자신덕비(Từ Tin Đức Phi) 응우옌 티 마이/阮氏梅중국어를 두었다.[7][8] 그 외에 차부인으로 도 티 띤/杜氏信중국어 등이 있었다.
응우옌낌에게는 아들 둘과 딸 한 명이 있었다.[9][10][11][12]
| 이름 | 봉호 | 시호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응우옌 왕 | 낭군공(Lãng Quận Công/朗郡公) | 1남[9] | |||
| 응우옌 황 | 단국공(Đoan Quốc Công/端國公) | 근의(Cần Nghĩa/謹義) | 1525년 ~ 1623년 | 정실 응우옌 티 마이 | 응우옌 주의 초대 군주, 10남 2녀[10] |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응우옌 티 응옥바오/阮氏玉寶중국어 | ? ~ 1586년 | 도 티 띤 | 찐 검에게 시집감[11][12] |
- 랑군공(朗郡公)
- 근의공(勤義公) 응우옌 황
- 응우옌 티 응옥 바오/阮氏玉寶중국어 - 찐 검에게 시집갔다.
4. 1. 부인
응우옌낌은 정실 부인으로 자신덕비(Từ Tin Đức Phi) 응우옌 티 마이(Nguyễn Thị Mai, 阮氏梅)를 두었다.[7][8] 그 외에 차부인으로 도 티 띤(Đỗ Thị Tín, 杜氏信) 등이 있었다.4. 2. 자녀
응우옌낌에게는 아들 둘과 딸 한 명이 있었다.[9][10][11][12]| 이름 | 봉호 | 시호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응우옌 왕 | 낭군공(Lãng Quận Công/朗郡公) | 1남[9] | |||
| 응우옌 황 | 단국공(Đoan Quốc Công/端國公) | 근의(Cần Nghĩa/謹義) | 1525년 ~ 1623년 | 정실 응우옌 티 마이 | 응우옌 주의 초대 군주, 10남 2녀[10] |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응우옌 티 응옥바오/阮氏玉寶중국어 | ? ~ 1586년 | 도 티 띤 | 찐 검에게 시집감[11][12] |
5. 평가
참조
[1]
서적
ベトナム史略
[1]
서적
大越史記全書
[2]
서적
ベトナム史略
[3]
서적
大越史記全書
[4]
서적
大越史記全書
[5]
서적
大越史記全書
[6]
서적
ベトナム史略
[6]
서적
大越史記全書
[7]
문서
응우옌민비엔
[8]
문서
응우옌푹코앗
[9]
문서
낭천후
[10]
문서
하계후
[10]
문서
단군공
[10]
문서
선주
[11]
문서
태국공
[11]
문서
찐끼엠
[12]
문서
자의태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