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잔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잔타이는 해서여진의 울라 부족의 수장이었으며, 다양한 한자 표기로 불렸다. 그는 초기에는 다른 형제를 섬기며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고, 누르하치가 세력을 확장하자 이에 대항하여 연합군에 참여했다가 포로로 잡혔다. 이후 누르하치의 휘하에 들어가 울라로 돌아가 수장이 되었지만, 건주와의 동맹을 깨고 독자적인 세력을 추구했다. 그는 건주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울라가 멸망하고 여허에서 사망했다. 부잔타이는 누르하치 가문과 광범위한 혼인 관계를 맺었으며, 그의 딸들은 누르하치와 슈르하치의 손자들과 결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라나라 할라 - 압타이
압타이는 청나라 초기에 누르하치의 딸과 혼인하여 권력을 얻었지만, 홍타이지와의 갈등 및 국상 기간 중 부적절한 행동으로 작위를 박탈당한 인물이다. - 울라나라 할라 - 효경헌황후
효경헌황후 울라나라씨는 옹정제의 원비이자 황후로, 옹정제의 적복진으로 책봉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요절한 아들 홍휘를 두었고 사망 후 효경헌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서릉 태릉에 안장되었다. - 1618년 사망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1618년 사망 - 월터 롤리
월터 롤리 경은 16세기 잉글랜드의 탐험가, 군인, 정치가, 작가로, 엘리자베스 1세 치세에 활약하며 신대륙 탐험과 식민지 개척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1575년 출생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1575년 출생 - 귀도 레니
귀도 레니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화가로, 볼로냐에서 미술을 배워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라파엘로풍의 고전주의 양식을 발전시켜 《아우로라》, 《무고한 어린이 학살》 등의 대표작을 남기며 당대 "라파엘로의 재림"이라 불릴 정도로 명성을 얻었고 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부잔타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부잔타이 (Bujantai, 布占泰) |
| 관직 | 울라(Ula, 烏拉) 수장 |
![]() | |
| 전임 | 만타이(Mantai, 滿泰) |
| 후임 | 없음 |
| 출생일 | 1575년 |
| 사망일 | 1618년 |
| 사망지 | 여허(葉赫) 서성(西城) |
| 부친 | 부간(Bugan, 布干) |
| 형제 | 부단, 만타이 |
| 처 | 액실태, 아은철, 목고십 |
| 자녀 (아들) | 다르한(達爾漢), 달라무(達拉穆), 알라무(阿拉穆) 바얀(巴顏), 부얀투(布顏圖), 모오머르건(茂墨爾根), 동가(東阿), 가두훈(噶都渾), 조치나이(綽齊鼐), 홍쾅(洪匡) |
| 자녀 (딸) | 두두(杜度) 적복진(嫡福晉) 닝구시(寧古希), 쇼토(碩託) 적복진, 사할리얀(薩哈璘) 적복진 지하이(濟海), 아이두리(愛度禮) 적복진, 사할리연(薩哈廉) |
| 로마자 표기 | |
| 만주어 | ᠪᡠᠵᠠᠨ᠋ᡨ᠋ᠠᡳ (Bujantai) |
2. 이름
부잔타이는 한자로 布占泰 외에도 '''포첨태(布瞻泰)''',[5] '''복점태(卜占台)'''[6] 등으로 음차 표기되었다. 조선 문헌에서는 '''탁고(卓古)''', '''부자태(夫者太)'''[7] 등으로 표기되었다. 조선에서는 울라를 '홀온(忽溫)' 즉 '훌룬(hulun, 呼倫)'이라 하였기에 부잔타이를 '''홀호(忽胡, 홀온의 오랑캐)'''라고 부르기도 했다.[8]
부잔타이는 울라부의 수장 만타이의 명에 따라 여허와 호이파(Hoifa) 사이의 군사 충돌을 조정했다.[9] 누르하치가 건주에서 세력을 확장하자 1593년 부잔타이는 3천 명의 군사를 이끌고 누르하치를 상대로 정벌에 나섰으나, 구러산 전투(古勒山之戰)에서 패배하고 포로가 되었다.[10] 부잔타이는 목숨을 구걸하여 살아남았고, 누르하치는 부잔타이를 풀어주고 곁에 두었다.[10]
3. 생애
1596년, 부잔타이는 누르하치의 도움으로 울라의 수장이 되었고,[10] 이후 누르하치와 여러 차례 혼인 동맹을 맺었으나,[13] 1602년 이후 다시 한(汗)을 칭하며 건주와 대립하였다.[14]
1607년 오갈암 전투(烏碣岩)에서 패배하고,[13] 1612년 울라하 전투(烏拉河之戰)에서 패배한 후,[16] 1613년 울라성 전투(烏拉城之戰)에서 크게 패배한 부잔타이는 여허로 망명하였고, 울라는 건주에 병합되었다.[18] 1618년, 부잔타이는 재기를 노렸으나 실패하고, 그해 여허에서 44세로 병사하였다.[19]
3. 1. 누르하치와의 관계
부잔타이는 초기에는 울라부의 수장 만타이의 명에 따라 여허와 호이파(Hoifa, 輝發) 사이의 군사 충돌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9] 그러나 누르하치가 건주에서 세력을 확장하면서 해서여진에 위협이 되자, 1593년 부잔타이는 3천 명의 군사를 이끌고 여허를 중심으로 하는 구부 연합군에 가담하여 누르하치를 상대로 정벌에 나섰다.[10]
구러산 전투(古勒山之戰)에서 연합군이 패배하고 여허의 버일러 부자이(布寨)가 전사하면서, 부잔타이는 나림불루(Narimbulu, 納林布祿)의 엄호 속에 퇴각하다가 건주여진 군사에게 생포되었다.[11] 부잔타이는 누르하치에게 목숨을 구걸하며 충성을 맹세했고, 누르하치는 부잔타이를 풀어주고 극진히 대우했다.[10] 1596년 신년 연회에서 부잔타이는 직접 춤을 추며 누르하치에 대한 충성심을 드러내기도 했다.[12]
만타이가 피살된 후, 누르하치는 부잔타이를 지원하여 울라부의 수장 자리를 차지하도록 도왔다. 부잔타이는 건주군의 도움으로 숙부 힝니야(Hingniya, 興尼牙)를 제거하고 버일러가 되었다.[10] 이후 부잔타이는 누르하치 가문과 혼인 동맹을 맺었다. 1596년 12월, 부잔타이는 여동생 滹奈를 누르하치의 동생 슈르하치(舒爾哈齊)에게 시집보냈다.[10] 1601년에는 만타이의 딸 아바하이(Abahai, 阿巴亥)를 누르하치에게 시집보냈는데, 그녀가 바로 청태조대비(淸太祖大妃)이다.[13] 1603년에는 슈르하치의 딸 언저(娥恩哲)를 아내로 맞이했다.[13]
그러나 부잔타이는 건주의 휘하에 있는 것을 불만스러워했고, 1602년부터 다시 한(汗)을 칭하며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 했다.[14] 1597년에는 동맹을 깨고 건주여진의 와르카부(瓦爾喀部) 수령을 여허로 보내기도 했다.[13] 1607년, 동해여진(東海女眞) 와르카부(瓦爾喀部) 비유(蜚悠) 성주 첨터허(策穆特黑)가 누르하치에게 투항하자, 부잔타이는 군사를 이끌고 건주군과 격전을 벌였으나 패배했다.[13] 이듬해 건주군은 울라의 이한산성을 함락시켰다.(이한산성전투(宜罕山城之戰))[13] 부잔타이는 누르하치에게 딸 무쿠시(穆庫什)를 바치며 화친을 청했지만, 건주는 동해여진 지역을 계속 잠식했다.[15]
1612년, 부잔타이는 훌하로(虎爾哈路) 등을 수복하고 여허, 코르친(科爾沁)과 군사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부잔타이가 누르하치의 딸 어시타이를 활로 쏘았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누르하치는 울라를 공격하여 5개 성을 함락시키고 울라성을 포위했다.(울라하 전투烏拉河之戰) 부잔타이는 누르하치에게 화친을 청하며 항복 의사를 밝혔고, 누르하치는 부잔타이의 죄를 꾸짖은 후 군사를 철수시켰다.[16]
누르하치가 회군한 후, 부잔타이는 다시 어시타이를 구금했고, 1613년 누르하치는 다시 울라를 침공했다.(울라성 전투烏拉城之戰)[17] 건주군이 세 성을 함락시키자 부잔타이는 3만 군사를 이끌고 푸르하성(富爾哈城)에서 결전을 준비했으나, 누르하치의 공격에 대패했다. 부잔타이는 남은 병사들을 이끌고 여허로 도망쳐 투항했고, 울라는 건주에 병합되었다.[18]
1618년, 부잔타이는 긴타이시(金台石)와 함께 후금(後金)의 호이파성(輝發城)을 공격하여 재기를 노렸으나 실패하고, 그해 여허에서 병사했다.[19]
3. 2. 몰락과 최후
부잔타이는 초기에는 호이파(Hoifa)와 여허 사이의 군사 충돌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9] 1593년, 구러산 전투(古勒山之戰)에서 여허를 중심으로 한 구부 연합군이 패배하면서 건주여진 군사에게 생포되었다.[11] 부잔타이는 누르하치에게 목숨을 구걸하여 살아남았고, 누르하치는 부잔타이를 풀어주고 곁에 두었다.[10]
1596년, 부잔타이는 누르하치 막하에 머문 지 3년 만에 숙부 힝니야(Hingniya)를 격파하고 울라의 수장이 되었다.[10] 이후 누르하치와 여러 차례 혼인 동맹을 맺었으나,[13] 1602년 이후 다시 한(汗)을 칭하며 건주와 대립하였다.[14]
1607년, 오갈암 전투(烏碣岩)에서 동해여진(東海女眞) 와르카부(瓦爾喀部)를 둘러싸고 건주와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하였다.[13] 이듬해 이한산성 전투(宜罕山城之戰)에서 패배한 후, 누르하치에게 딸을 바치며 화친을 맺었다.[15]
1612년, 부잔타이는 다시 건주를 공격하고 여허, 코르친과 군사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울라하 전투(烏拉河之戰)에서 누르하치에게 패배하고 화해를 요청하였다.[16] 누르하치는 부잔타이의 죄를 묻고 철군하였으나, 부잔타이가 다시 누르하치의 딸을 구금하자 1613년 울라성 전투(烏拉城之戰)를 일으켰다.[17]
푸르하성(富爾哈城)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크게 패배한 부잔타이는 남은 병력 1천여 명을 이끌고 여허로 망명하였고, 울라는 건주에 병합되었다.[18] 1618년, 부잔타이는 긴타이시(金台石)와 함께 후금(後金)을 공격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그해 여허에서 44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19]
4. 가족 관계
부잔타이의 복진(福晉, 만주어로 푸진fujin, 후금/청의 황족이나 만주 고관 부인) 가운데 어시타이(額實泰)와 언저(娥恩哲)는 슈르하치의 딸이며, 무쿠시(穆庫什)는 누르하치의 딸이다.[20]
부잔타이는 모두 10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 중 차남 달라무(達拉穆)는 전사했고, 칠남 동가(東阿)는 생포되지 않았으나, 나머지 8명은 모두 누르하치에게 생포되었다. 부잔타이의 후예는 정백기(正白旗)에 소속되었으며, 장남 다르한(達爾漢)과 삼남 알라무(阿拉穆)는 좌령(佐領)에 임명되었다.[5] 사남 바얀(巴顏)과 오남 부얀투(布顏圖)는 어시타이 혹은 언저 소생이었으며, 육남 모오머르건(茂墨爾根)[5]과 팔남 가두훈(噶都渾)은 무쿠시 소생으로, 모두 대대로 세습 직함을 받았다.[20] 칠남 동가는 천총(天聰) 연간에 후금에 귀순한 후 양람기(鑲藍旗)에 소속되었다. 구남 조치나이(綽齊鼐)는 여허에 인질로 보내질 예정이었으나 울라성 전투 패배로 무산되었다. 십남 홍쾅(洪匡)은 울라 수복을 시도하다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했다.[21] 차남 달라무의 아들 투르사이(圖爾賽)는 전공으로 운기위(雲騎尉) 세습직을 받았다.[5]
부잔타이는 4명의 딸을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누르하치 혹은 슈르하치의 손자에게 시집갔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누르하치 가문과의 인척 관계" 참조)
4. 1. 누르하치 가문과의 인척 관계
부잔타이는 누르하치 가문 및 슈르하치 가문과 여러 차례 혼인 관계를 맺었다.- 누르하치의 장남 추연의 장남 두두의 적복진(嫡福晉)은 부잔타이의 딸 닝구시(寧古希)였다. 두르후(杜爾祜) 등 여섯 명은 부잔타이의 외손자였다.
- 누르하치의 차남 다이샨의 차남 쇼토의 적복진은 부잔타이의 딸이었다. 카라(喇喀) 등 세 명은 부잔타이의 외손자이다.
- 다이샨의 삼남 사할리얀의 적복진은 부잔타이의 딸 지하이(濟海)였다. 아달리(阿達禮) 등 세 명은 부잔타이의 외손자이다.
- 슈르하치의 차남 아민의 차남 아이두리(愛度禮)의 적복진은 부잔타이의 딸이었다. 하이두리(海度里) 등 일곱 명은 부잔타이의 외손자이다.[20]
- 부잔타이의 딸 사할리연(薩哈廉)은 부잔타이가 여허로 인질로 보낼 뻔했으나, 울라성 전투 패배로 성사되지 못했다. 사할리연이 위에 언급된 네 딸 중 하나인지, 아니면 다른 딸인지는 불확실하다.[21]
순치제 즉위 이후, 쇼토와 그의 조카 아달리는 도르곤을 옹립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쇼토의 적복진과 사할리얀의 적복진 지하이도 이 모의에 가담한 죄로 처형되었다.[21]
이외에도 부잔타이는 누르하치 가문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