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구 (울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 북구는 1997년 울산광역시 출범과 함께 중구 일부와 울주군 일부를 통합하여 설치되었다. 북구는 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4년 기준 19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신라 시대 충신 박제상이 일본으로 떠난 율포항이 현재 북구의 정자항이라는 설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염포가 삼포 중 하나로 개항되어 일본인들이 거주하기도 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울산공항, 동해선 북울산역 등이 있으며, 정자해수욕장, 강동몽돌해변 등 관광 명소도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구 - 남구 (울산광역시)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자치구로,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의 관광지를 포함한다.
  • 울산광역시의 구 - 동구 (울산광역시)
    울산 동구는 울산광역시 동쪽에 위치하며 동해안과 접해 조선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한 경제 중심지이자 일산해수욕장, 대왕암공원 등의 관광 명소와 동축사 같은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9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구이다.
  • 울산 북구의 행정 구역 - 농소동 (울산)
    농소동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으로, 신라 시대 율포현에서 유래하여 1914년 농동면과 농서면을 통합하여 농소면으로 개편되었으며,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과 함께 북구에 편입되어 현재는 농소1·2·3동으로 나뉘어 10개의 법정동을 관할한다.
  • 울산 북구의 행정 구역 - 효문동
    효문동은 울산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동으로, 효자 송도 선생의 출생지이며 진장디플렉스, 롯데마트 진장점, 코스트코 울산점 등 대형 유통 시설과 산업로, 북부순환도로, 무룡로 등의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남구 (울산광역시)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자치구로,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의 관광지를 포함한다.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울주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역사를 지닌 자치군으로, 반구대 암각화, 영남알프스와 같은 문화유적과 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6읍 6면으로 구성되어 언양 불고기 등의 특산물과 관광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일본 나가사키현과 쓰시마시를 자매 도시로 두고 있다.
북구 (울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북구
현지 이름북구 (北區)
로마자 표기Buk-gu
McCune–Reischauer 표기Puk-ku
북구 지도
북구 지도
국가대한민국
광역 자치 단체울산광역시
행정 구역
행정동 수27개 행정동
면적
총 면적80.41km²
인구
2024년216,56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방언경상도
정치
구청장박천동 (국민의힘)
상징
구목느티나무
구화참나리
구조산까치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북구청 (영문)

2. 역사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출범과 동시에 중구 일부(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와 울주군 일부(농소읍, 강동면)를 통합하여 북구가 설치되었다.

개편 전개편 후
울산시 울주구 농소읍, 강동면울산광역시 북구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울산시 중구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1998년 3월 1일 동구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되었다. 1998년 10월 1일 진장동이 효문동에 통합되었다. 2001년 6월 1일 구청 소재지를 남구 신정동 585-9번지에서 연암동 1004-1번지로 변경하였다.

신라 눌지왕 때 충신 박제상이 일본으로 떠난 율포항을 현재 북구의 정자항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사서에 기록된 '율포' 지명이 변하여 오늘날 유포(정자항의 별칭)가 됐다고 보는 견해를 중요한 근거로 한다. 그밖에 박제상과 관련된 유적인 망부석, 치술령 유적 등이 대부분 북구에 있다는 점도 주장의 중요한 근거로 삼는다. 이러한 주장을 신봉하는 사람들에 의해 정자항에는 '정자항이 박제상이 떠난 곳'이라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율포항이 정자항이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조선 태종 시기인 1418년 개항한 염포는 일본에게 개항한 삼포 중 한 곳이자 오늘날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 지역이다. 왜관을 두어 일본인들이 머물 수 있도록 하였다. 염포는 부산포(부산광역시)나 내이포(창원시 진해구)에 비해 일본에서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왕래하였다. <<울산염포지도>>와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에는 염포산 앞 오늘날 성내 일대에 염포 왜관이 있었던 것으로 돼있다.

2. 1. 구의 역사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출범과 동시에 중구 일부(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와 울주군 일부(농소읍, 강동면)를 통합하여 북구가 설치되었다.

개편 전개편 후
울산시 울주구 농소읍, 강동면울산광역시 북구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울산시 중구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1998년 3월 1일 동구 염포동이 북구로 편입되었다. 1998년 10월 1일 진장동이 효문동에 통합되었다. 2001년 6월 1일 구청 소재지를 남구 신정동 585-9번지에서 연암동 1004-1번지로 변경하였다.

2. 2. 박제상과 정자항

신라 눌지왕 때 충신 박제상이 일본으로 떠난 율포항을 현재 북구의 정자항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사서에 기록된 '율포' 지명이 변하여 오늘날 유포(정자항의 별칭)가 됐다고 보는 견해를 중요한 근거로 한다. 그밖에 박제상과 관련된 유적인 망부석, 치술령 유적 등이 대부분 북구에 있다는 점도 주장의 중요한 근거로 삼는다. 이러한 주장을 신봉하는 사람들에 의해 정자항에는 '정자항이 박제상이 떠난 곳'이라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율포항이 정자항이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2. 3. 염포

조선 태종 시기인 1418년 개항한 염포는 일본에게 개항한 삼포 중 한 곳이자 오늘날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 지역이다. 왜관을 두어 일본인들이 머물 수 있도록 하였다. 염포는 부산포(부산광역시)나 내이포(창원시 진해구)에 비해 일본에서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왕래하였다. <<울산염포지도>>와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에는 염포산 앞 오늘날 성내 일대에 염포 왜관이 있었던 것으로 돼있다.

3. 정치·행정

행정 구역도


역대 울산 북구청장 정보는 울산 북구청장 문서를 참고하라.

이상헌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현재 울산 북구의 국회의원이다. 역대 울산 북구 국회의원 정보는 울산 북구의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하라.

북구 설치 후 첫 지방 선거에서는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2명을 선출했다. 제3회 지방 선거부터는 3명을 선출하고 있다. 역대 울산광역시의원 정보는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 울산광역시 관련 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3. 1. 구청장

역대 울산 북구청장 정보는 울산 북구청장 문서를 참고하라.

3. 2. 국회의원

이상헌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현재 울산 북구의 국회의원이다. 역대 울산 북구 국회의원 정보는 울산 북구의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하라.

3. 3. 광역의원

북구 설치 후 첫 지방 선거에서는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2명을 선출했다. 제3회 지방 선거부터는 3명을 선출하고 있다. 역대 울산광역시의원 정보는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 울산광역시 관련 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4. 행정 구역

울산 북구의 행정 구역은 8개 행정동으로 구분되며, 면적은 157.344km2이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65,589세대, 191,196명(외국인 포함)이다.[12]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농소1동農所1洞14.9111,07531,350
농소2동農所2洞11.4110,74733,086
농소3동農所3洞31.0713,15143,302
강동동江東洞60.712,7986,455
효문동孝門洞16.2810,82929,893
송정동松亭洞10.786,92721,584
양정동楊亭洞6.675,06712,570
염포동鹽浦洞5.544,99512,956
북구北區157.3465,589191,196



북구의 행정동은 8개로,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이 있다.

행정동법정동
농소1동창평동, 호계동, 매곡동, 신천동
농소2동매곡동, 신천동, 중산동
농소3동가대동, 상안동, 천곡동, 달천동, 시례동
강동동무룡동, 구유동, 정자동, 신명동, 대안동, 당사동, 신현동, 산하동, 어물동
효문동명촌동, 진장동, 연암동, 효문동
송정동화봉동, 송정동
양정동양정동
염포동염포동


4. 1. 하위 행정 구역

북구의 행정동은 8개로,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이 있다. 각 행정동별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법정동
농소1동창평동, 호계동, 매곡동, 신천동
농소2동매곡동, 신천동, 중산동
농소3동가대동, 상안동, 천곡동, 달천동, 시례동
강동동무룡동, 구유동, 정자동, 신명동, 대안동, 당사동, 신현동, 산하동, 어물동
효문동명촌동, 진장동, 연암동, 효문동
송정동화봉동, 송정동
양정동양정동
염포동염포동


5. 인구

2000년 118,088명에서 2005년 140,845명, 2010년 167,821명, 2015년 188,664명으로 울산광역시 북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총인구비고
2000년118,088명
2005년140,845명
2010년167,821명
2015년188,664명



2006년 기준으로 북구의 면적은 80.41 km2이며, 149,676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중 한국인 남성은 77,214명, 한국인 여성은 71,183명, 외국인 남성은 961명, 외국인 여성은 318명이다.

6. 교통

도로는 다음과 같다.

국도 제7호선
50px
산업로, 북부순환도로
국도 제31호선동해안로, 무룡로, 북부순환도로
지방도 제1027호선동해안로



철도는 다음과 같다.



공항은 다음과 같다.

30px
울산공항
서울, 제주 노선 운행 (송정동)



북구의 교통은 단순한 편이다. 대부분의 주민들이 울산 외곽 순환도로나 대한민국 동해안을 따라 뻗어 있으며, 이 지점에서 북쪽의 경주와 울산을 연결하는 국도 제7호선과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울산공항(IATA 코드: USN)은 서울을 잇는 국내선 공항으로 북구에 위치해 있다. 울산공항을 통해 서울 및 제주와 연결된다.

국도 제7호선(산업로, 북부순환도로)은 울산 시내 및 경주, 포항 방면으로 연결된다. 국도 제31호선(동해안로, 무룡로, 북부순환도로)은 울산 시내 및 경주, 포항 방면으로 연결된다. 지방도 제1027호선 (동해안로)이 있다.

동해선 외동역, 북울산역, 태화강역을 경유한다.

울산공항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 김포제주를 잇는 노선이 운항 중이다.

북구에는 국가어항인 정자항과 지방어항인 당사항이 있다. 그 외에도 어촌정주어항인 구명항, 신명항, 어물항, 저전항과 소규모 어항인 우가항, 상우가항, 판지항, 화암항이 있다.

6. 1. 도로

국도 제7호선(산업로, 북부순환도로)은 울산 시내 및 경주, 포항 방면으로 연결된다. 국도 제31호선(동해안로, 무룡로, 북부순환도로)은 울산 시내 및 경주, 포항 방면으로 연결된다. 지방도 제1027호선 (동해안로)이 있다.

6. 2. 철도

동해선 외동역, 북울산역, 태화강역을 경유한다.

6. 3. 항공

울산공항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 김포제주를 잇는 노선이 운항 중이다.

6. 4. 항만

북구에는 국가어항인 정자항과 지방어항인 당사항이 있다. 그 외에도 어촌정주어항인 구명항, 신명항, 어물항, 저전항과 소규모 어항인 우가항, 상우가항, 판지항, 화암항이 있다.

7. 교육 기관

울산광역시강북교육지원청의 관할 구역이다.

'''초등학교'''

울산양정초등학교, 염포초등학교, 농서초등학교 등이 있다.

'''중학교'''

강동중학교, 고헌중학교, 농소중학교, 달천중학교, 매곡중학교, 상안중학교, 연암중학교, 울산스포츠과학중학교, 이화중학교, 천곡중학교, 호계중학교, 효정중학교가 있다.

'''고등학교'''

울산광역시 북구에는 일반계 고등학교로 강동고등학교, 달천고등학교, 매곡고등학교, 무룡고등학교, 울산동천고등학교, 호계고등학교, 화봉고등학교, 효정고등학교가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로는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울산에너지고등학교가 있으며, 특수목적 고등학교로는 울산외국어고등학교, 울산스포츠과학고등학교가 있다.

'''특수학교'''

메아리학교태연학교가 있다.

7. 1. 초등학교

울산양정초등학교, 염포초등학교, 농서초등학교 등이 있다.

7. 2. 중학교

강동중학교, 고헌중학교, 농소중학교, 달천중학교, 매곡중학교, 상안중학교, 연암중학교, 울산스포츠과학중학교, 이화중학교, 천곡중학교, 호계중학교, 효정중학교가 있다.

7. 3. 고등학교

울산광역시 북구에는 일반계 고등학교로 강동고등학교, 달천고등학교, 매곡고등학교, 무룡고등학교, 울산동천고등학교, 호계고등학교, 화봉고등학교, 효정고등학교가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로는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울산에너지고등학교가 있으며, 특수목적 고등학교로는 울산외국어고등학교, 울산스포츠과학고등학교가 있다.

7. 4. 특수학교

메아리학교태연학교가 있다.

8. 자매결연도시

울산광역시 북구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3]

국가지역도시
25px 강원도25px 평창군
25px 경기도25px 의왕시
25px 경상남도25px 고성군
25px 대구광역시25px 군위군
25px 광주광역시25px 북구
25px 대구광역시25px 남구
25px 대전광역시25px 유성구
25px 인천광역시25px 부평구
25px 전라남도25px 완도군
25px 전라북도25px 무주군
25px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25px 충청남도25px 금산군
25px 충청북도25px 충주시
상하이시(上海市)난후이 구(南汇区)


9. 관광지

정자해수욕장은 울산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해수욕장 중 하나이며, 해안 도로를 따라 횟집과 레스토랑 겸 바가 있다. 하지만 울산 시내에서 무룡산 남쪽 언덕을 지나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진다. 강동몽돌해변(주전몽돌해변)은 주전과 강동을 잇는 약 1.5km 길이의 해변으로, "울산 12경" 중 하나이다. 모래 대신 몽돌로 덮여 있으며, 주전-정자-강동을 잇는 해안 코스는 울산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정자시장, 강동화암주상절리 등이 북구의 관광지로 꼽힌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Ulsan Airport https://web.archive.[...] 2008-05-27
[3] 웹사이트 Sister Cities of Buk-gu https://web.archive.[...] Ulsan Buk-gu 2008-05-28
[4] 웹사이트 RFC 3.0 오류 메세지 http://tour.ulsan.go[...]
[5] 문서 null null
[6] 웹사이트 울산 12경 https://terms.naver.[...]
[7] 웹사이트 주전해변 https://terms.naver.[...]
[8] 웹사이트 주전 몽돌해안과 봉수대 https://terms.naver.[...]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웹사이트 통계조회 및 다운로드 http://stat.kosis.kr[...] 2015-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