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 (울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구이다. 신라 시대 굴아화현의 일부였으며, 울산시로 승격되기 전에는 울산군 울산면에 속했다. 1997년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자치구인 울산광역시 남구로 출범했다. 현재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이 주요 관광지이다. 교통으로는 울산고속도로, 동해선, 국도 등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구 - 동구 (울산광역시)
울산 동구는 울산광역시 동쪽에 위치하며 동해안과 접해 조선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한 경제 중심지이자 일산해수욕장, 대왕암공원 등의 관광 명소와 동축사 같은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9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구이다. - 울산광역시의 구 - 북구 (울산광역시)
울산 북구는 1997년 울산광역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었으며, 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울산공항, 북울산역 등의 교통 시설과 정자해수욕장, 강동몽돌해변 등의 관광 명소를 포함한다.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울주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역사를 지닌 자치군으로, 반구대 암각화, 영남알프스와 같은 문화유적과 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6읍 6면으로 구성되어 언양 불고기 등의 특산물과 관광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일본 나가사키현과 쓰시마시를 자매 도시로 두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동구 (울산광역시)
울산 동구는 울산광역시 동쪽에 위치하며 동해안과 접해 조선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한 경제 중심지이자 일산해수욕장, 대왕암공원 등의 관광 명소와 동축사 같은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9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구이다. - 울산 남구 - 울산극동방송
울산극동방송은 울산광역시와 인근 지역에 FM 107.3MHz로 기독교 복음을 전하는 방송국으로, 2002년 개국하여 기독교 문화 행사와 전파선교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하며 무룡산 송신소에서 3㎾의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한다. - 울산 남구 - 울산번개시장
울산번개시장은 1960년대 울산 공단 조성으로 형성된 전통 시장으로, 야음체육관시장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환경 오염으로 상권 위축을 겪었으나 재도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남구 (울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남구 |
한자 표기 | 南區 |
로마자 표기 | Nam-gu |
맥큔-라이샤워 표기 | Nam-gu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영남 |
광역시 | 울산광역시 |
행정 구역 단위 | 14개 행정동 |
면적 및 인구 | |
총 면적 | 72.06 km² |
총 인구 (2012년) | 351,466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총 인구 (2023년) | 307,232명 |
남자 인구 (2023년) | 156,729명 |
여자 인구 (2023년) | 150,503명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4개 행정동 |
법정동 | 19개 |
정치 및 행정 | |
구청장 | 서동욱 (국민의힘) |
국회의원 (갑) | 김상욱 (국민의힘) |
국회의원 (을) | 김기현 (국민의힘) |
구청 소재지 |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233 |
기타 정보 | |
방언 | 경상 방언 |
구목 | 소나무 |
구화 | 벚꽃 |
구조 | 백로 |
상징 동물 | 고래 |
공식 웹사이트 | 남구청 홈페이지 |
![]() |
2. 역사
남구는 1985년 7월 15일에 설립되었다. 1995년 1월 1일에는 울산시와 울산군이 통합되면서 울산시 남구가 출범하였다. 1997년 7월 15일에는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울산광역시 남구가 설립되었다.[1]
- 울산시로 승격되기 전에는 울산군 울산면에 속한 지역이 있었다.
- 1962년 2월 1일 - 울산군 울산읍이 울산시로 승격되고, 장생포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6년 4월 20일 - 장생포출장소가 폐지되었다.
- 1985년 7월 15일 - 울산시 신정동, 달동, 무거동, 옥동, 여천동, 예음동, 선암동, 부곡동, 황성동, 용연동, 장생포동, 매암동 지역을 포함하여 남구를 신설하였다.
- 2020년 10월 8일~9일 - 달동에 있는 33층 고층 빌딩 “울산 삼환아르누보”에서 대규모 화재(울산 고층빌딩 화재) 발생.
2. 1. 구 설치 이전
신라시대에는 굴아화현의 일부였다. 굴아화현은 757년에 하곡현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폐합하여 흥례부가 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다시 울주로 승격하고, 1413년에 울산군이 되었다. 울산에 면이 설치되면서 남구 지역은 '''대대면(大垈面)'''이 되었다. 내대면(內大面)과 외대면(外大面)으로 분리되었다가 궁현면(弓峴面)으로 다시 합쳤고, 후에 '''대현면(大峴面)'''이 되었다. 1894년에 여천천을 경계로 '''내현면(內峴面)'''과 '''외현면(外峴面)'''으로 분리되었고, 1911년에 외현면이 '''현북면(峴北面)'''과 '''현남면(峴南面)'''으로 분리되었다.1914년 4월 1일 : 내현면은 상부면(중구 일부)과 통합하여 '''부내면(府內面)'''이 되고, 현북면과 현남면을 '''대현면(大峴面)'''으로 통합하였다.
개편 전 | 개편 후 |
---|---|
내현면 소정동(小亭洞), 봉월동(奉月洞), 월평동(月坪洞) | 부내면 신정리(新亭里) |
내현면 삼산동(三山洞), 신리(新里), 중리(中里) | 부내면 삼산리(三山里) |
내현면 곶지동(串旨洞) | 부내면 달리(達里) |
내현면 와와리(臥瓦里), 옥현동(玉峴洞), 상리동(上里洞), 격동(格洞), 갈현동(葛峴洞) | 부내면 옥리(玉里) |
현북면 야음동(也音洞), 도산동(途山洞) | 대현면 야음리(也音里) |
현북면 선암리(仙岩里) | 대현면 선암리(仙岩里) |
현북면 상개동(上開洞), 명산동(明山洞), 개운동(開雲洞) | 대현면 상개리(上開里) |
현북면 여천동(呂川洞), 화곡동(花谷洞), 만수동(晩峀洞) | 대현면 여천리(呂川里) |
현북면 매호동(梅湖洞), 교암동(橋岩洞), 대일동(大日洞), 양죽동(楊竹洞) | 대현면 매암리(梅岩里) |
현북면 구정동(九亭洞) | 대현면 장생포리(長生浦里) |
현북면 부곡동(夫谷洞), 현남면 화장동(化庄洞) | 대현면 부곡리(夫谷里) |
현북면 고사동(古沙洞), 현남면 유곶동(有串洞) | 대현면 고사리(古沙里) |
현남면 황암동(黃岩洞), 성외동(城外洞), 천곡동(泉谷洞), 세죽동(細竹洞), 계곡동(溪谷洞) | 대현면 황성리(黃城里) |
현남면 성암동(城岩洞) | 대현면 성암리(城岩里) |
현남면 용련동(用連洞), 반호동(半湖洞) | 대현면 용연리(龍淵里) |
현남면 심포동(沈浦洞), 심해동(沈海洞) | 대현면 남화리(南化里) |
현남면 용잠동(龍岑洞) | 대현면 용잠리(龍岑里) |
1917년 10월 1일 : 부내면을 울산면(蔚山面)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11월 1일 : 울산면이 울산읍(蔚山邑)으로 승격하였다.
1945년 4월 1일 : 대현면을 울산읍에 편입하여 대현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46년 1월 1일 : 대현출장소가 대현면으로 분리되었다. 면사무소는 장생포리에 두었다.
1952년 4월 25일 :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울산읍의회·대현면의회가 개원하였다.
1961년 9월 1일 : 5·16 군사 정변으로 읍·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 울산군 울산읍·대현면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었다. 대현면은 장생포출장소가 되었고, 울산읍은 폐지되었다가 1963년 11월 1일 옛 울산읍 지역에 무거동, 두왕동 등을 편입하여 중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2년 10월 1일 :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중앙출장소 관할 구역에 11개 행정동(남구 지역 4개 행정동)이, 장생포출장소 관할 구역에 9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3]
1976년 4월 20일 : 중앙출장소와 장생포출장소가 폐지되었다.
1977년 11월 1일 : 신정동을 신정1동과 신정2동으로 분동하고, 용잠동을 장생포동에 편입하였다.
1979년 5월 1일 : 신정1동을 신정1동과 신정3동으로, 야음동을 야음1동과 야음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2년 9월 1일 : 신정2동을 신정2동과 신정4동으로 분동하였다.
2. 2. 구 설치 이후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구제 실시로 태화강 이남지역을 관할하는 남구가 설치되었다.(16동)[1] 이후 여러 차례의 행정동 및 법정동 조정이 있었다. 1985년 10월 15일 야음2동이 야음2동과 야음3동으로 분동되었다.(17동) 1992년 1월 20일 법정동간 경계조정으로 옥동 일부가 무거동에, 신정동 일부가 삼산동에, 달동 일부가 신정동에 편입되었다. 1992년 4월 30일 구청 소재지가 야음동 675-11번지(지금의 대현동 주민센터)에서 달동 1320-1번지(현위치)로 이전되었다. 1995년 3월 2일 신정3동이 신정3동과 신정5동으로, 무거동이 무거1동과 무거2동으로, 달동이 달동과 삼산동으로 각각 분동되었다.(20동) 1995년 5월 1일 부곡동, 황성동, 용연동이 통합되어 개운동으로 개편되고 여천동이 야음1동에, 매암동이 장생포동에 편입되었다.(16동) 1996년 1월 15일 울주군 범서면 굴화리 일부(신세대아파트)가 무거2동에 편입되었다. 1997년 5월 2일 울주군 범서면 굴화리 일부(굴화주공아파트)가 무거1동에 편입되었다.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자치구인 '''울산광역시 남구'''로 새롭게 출범하였다.[1] 1998년 10월 17일 야음1동과 장생포동이 야음1장생포동으로 통폐합되고, 개운동이 선암동에 통합되었다.(14동) 2000년 1월 4일 법정동간 경계조정으로 옥동 일부가 무거2동에, 선암동 일부가 야음3동에, 여천동 일부가 삼산동에 편입되었고, 용연동 일부가 황성동에, 황성동 일부가 용연동에 편입되었다. 2002년 8월 30일 남구 무거동의 굴화2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아파트 지역[4]이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로 편입되고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의 공공시설용지 지역[5]이 남구 무거동으로 편입되었다.[6] 2007년 2월 26일 무거1동이 삼호동으로, 무거2동이 무거동으로, 야음1장생포동이 야음장생포동으로, 야음2동이 대현동으로, 야음3동이 수암동으로 개칭되었다.
2020년 10월 8일~10월 9일 - 달동에 있는 33층 고층 빌딩 “울산 삼환아르누보”에서 대규모 화재(울산 고층빌딩 화재)가 발생했다.
3. 지리
- '''장생포'''
남구 장생포동은 과거 고래잡이로 유명했던 포구이다. 장생포 연안은 귀신고래가 많이 서식하는 바닷가라고 하여 울산 극경 회유 해면이라는 이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밍크고래, 참고래 등 다양한 고래 종이 다수 서식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인에게는 고래고기를 먹는 풍습이 없었고, 교통의 미비로 고래고기의 유통 역시 쉽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 스스로 고래잡이에 나서는 경우는 없었다. 한반도에서 고래잡이가 처음 시작된 것은 1848년 미국에 의해서이다.
장생포에서 고래잡이가 시작된 것은 1899년, 러시아의 태평양어업 주식회사에 의해서였다. 이 회사는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포경 허가권을 양도받아 조업을 시작하였으며, 장생포를 고래 해체 작업장으로 이용하였다. 이 때부터 장생포는 포경의 전진기지로 조명받기 시작하였다.
1905년의 러일 전쟁 이후에 포경 허가권은 일본으로 넘어갔으며, 이후 일제강점기가 끝날 때까지 장생포의 고래잡이는 일본 포경선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1915년에 한반도 각지의 포경기지가 정비되면서부터는, 장생포가 고래잡이의 중심항이 되었다. 이 때에 생산된 고래고기의 대부분은, 소비량이 많은 일본으로 수출되었다.
1945년 광복을 맞이하면서, 한반도의 고래잡이는 한국인들에 의하여 스스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한국인이 설립한 최초의 포경회사는, 일제 강점기 당시 포경선에서 조업을 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 200여명이 출자하여 설립한 조선포경주식회사이다. 이 회사는 일제 강점기 당시에 이들 한국인 종업원들에 대한 체불임금과 퇴직금 몫으로, 일본수산주식회사로부터 목조 포경선 두 척을 양도받아 장생포를 중심으로 조업을 시작했다.
- '''태화강'''
울산 서부지역 산지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며, 울산만을 거쳐 동해로 이어진다. 울산의 지역문화는 전통적으로 태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태화강은 울산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중구 다운동과 남구 무거동을 잇는 삼호교에서 하구까지는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4. 행정 구역
울산 남구의 행정 구역은 19개의 법정동과 이를 관리하는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구의 면적은 72.69km2이며, 202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137,925세대(내국인), 320,064명(내국인)이다.[7]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신정1동 | 新亭1洞 | 1.80 | 9,895 | 19,117 |
신정2동 | 新亭2洞 | 2.67 | 9,661 | 24,772 |
신정3동 | 新亭3洞 | 1.12 | 7,514 | 16,361 |
신정4동 | 新亭4洞 | 0.81 | 8,560 | 21,448 |
신정5동 | 新亭5洞 | 0.60 | 4,613 | 8,855 |
달동 | 達洞 | 1.22 | 13,376 | 27,340 |
삼산동 | 三山洞 | 5.78 | 22,674 | 48,826 |
삼호동 | 三湖洞 | 2.42 | 9,253 | 20,841 |
무거동 | 無去洞 | 3.48 | 13,081 | 32,325 |
옥동 | 玉洞 | 11.23 | 9,824 | 26,716 |
야음장생포동 | 也音長生浦洞 | 13.20 | 6,014 | 11,386 |
대현동 | 大峴洞 | 1.08 | 11,415 | 30,503 |
수암동 | 峀岩洞 | 0.52 | 6,058 | 16,986 |
선암동 | 仙岩洞 | 26.76 | 5,987 | 14,588 |
남구 | 南區 | 72.69 | 137,925 | 320,064 |
남구는 동으로 더 세분화된다.[1]
행정동 | 법정동 |
---|---|
무거동 | 무거동 |
삼호동 | |
신정1동 | 신정동 |
신정2동 | |
신정3동 | |
신정4동 | |
신정5동 | |
삼산동 | 달동, 삼산동 |
옥동 | 옥동, 두왕동 |
달동 | 달동 |
야음동 | 야음동 |
대현동 | |
야음장생포동 | 여천동, 야음동, 장생포동, 매암동 |
선암동 | 선암동, 상개동, 부곡동, 고사동, 성암동, 황성동, 용연동, 남화동, 용섬동 |
5. 정치·행정
5. 1. 구청장
역대 남구청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울산 남구청장 문서 및 울산 남구청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5. 2. 국회의원
남구는 국회의원을 2명 선출한다. 초대·2대 민선 남구청장 이었던 이채익이 남구 갑 선거구의 국회의원이고, 울산광역시장을 지낸 김기현이 남구 을 선거구의 국회의원이다.5. 3. 광역의원
경상남도 울산시 남구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하였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원 4명을 선출하다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6명을 선출하고 있다.5. 4. 기초의원
남구의회는 2018년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6. 문화/관광
장생포고래박물관은 옛 고래잡이 전진기지였던 장생포에 있는 국내 유일의 고래박물관으로, 1986년 포경 금지 이후 사라져가는 포경유물을 수집, 보존·전시하고 고래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8] 2005년 5월 개관하여 해양생태계 및 교육연구 체험공간을 제공하고 해양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8] 고래생태체험관, 고래바다여행선 시설도 갖추고 있다.
선암호수공원, 태화강, 울산대공원, 문수국제양궁장, 남산근린공원, 울산문화공원 등도 남구의 주요 관광지이다. 울산광역시문화예술회관에서는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과 전시가 열린다.
삼산동은 울산의 시내로, 비교적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 울산에는 12개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도시 전역에서 광고되고 있다. 매일 일부 관광지를 돌아보는 유료 관광 버스가 운행되며, 삼산동에는 관광 안내소가 있어 관광 정보와 버스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울산박물관, 울산과학관, 울산농수산물도매시장도 남구에 위치해 있다. 울산공업센터기념탑 로터리 교차로는 5개의 대로와 대부분의 시내 교통을 연결하는 혼잡한 곳으로, 10대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7. 교육
울산대학교는 무거동에 위치한 대학교이다.[1] 울산과학대학교 서부캠퍼스와 한국폴리텍7대학 울산캠퍼스 또한 남구에 위치한다.
7. 1. 대학교
울산대학교는 무거동에 위치한 대학교이다.[1] 울산과학대학교 서부캠퍼스와 한국폴리텍7대학 울산캠퍼스 또한 남구에 위치한다.7. 2. 고등학교
8. 교통
울산고속도로의 종점이 무거동에 있고, 울산 나들목이 개설되어 있다. 남구 중부의 신정동, 달동, 삼산동 일대에서 부산방향으로 갈 때는 울주군 청량면의 동해고속도로 청량 나들목이 가깝다.
국도 제31호선이 구의 중부를 지나면서 울주군 청량면과 중구로 연결되고, 국도 제7호선과 국도 제14호선의 중첩구간이 서부의 무거동을 지나면서 울주군 청량읍과 중구로 연결된다. 국도 제24호선(울밀로)의 종점이 무거동에 있으며 울밀로는 울산광역시와 밀양시를 연결하는 도시고속도로 역할을 한다. 울산고속도로는 남구에서 서쪽으로 달리며 울주군 중심부의 언양읍과 연결된다. 부산울산고속도로는 울주군을 남쪽으로 관통하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로 이어진다.
=== 철도 ===
1992년 8월 20일 이전까지 신정동에 동해남부선 남울산역, 달리역이 있었고, 달리역에서 분기한 울산선이 야음동의 야음역으로 연결되고, 야음역에서 울산항선과 장생포선이 분기하여 공단지역에 있는 울산항역과 장생포역으로 연결되었다. 남울산역은 임시승강장, 달리역은 신호장이었고 야음역, 울산항역, 장생포역은 화물역이었다.
1992년 8월 20일에 울산 도심구간 철도가 이설되면서 중구 학성동에 있었던 태화강역(당시 울산역)이 삼산동으로 이전하고 상개동에 선암역이 신설되었다. 남울산역, 달리역, 야음역이 모두 폐지되고 울산항선과 장생포선은 태화강역으로 연결되었다.
8. 1. 도로
울산고속도로의 종점이 무거동에 있고, 울산 나들목이 개설되어 있다. 남구 중부의 신정동, 달동, 삼산동 일대에서 부산방향으로 갈 때는 울주군 청량면의 동해고속도로 청량 나들목이 가깝다.국도 제31호선이 구의 중부를 지나면서 울주군 청량면과 중구로 연결되고, 국도 제7호선과 국도 제14호선의 중첩구간이 서부의 무거동을 지나면서 울주군 청량읍과 중구로 연결된다. 국도 제24호선(울밀로)의 종점이 무거동에 있으며 울밀로는 울산광역시와 밀양시를 연결하는 도시고속도로 역할을 한다. 울산고속도로는 남구에서 서쪽으로 달리며 울주군 중심부의 언양읍과 연결된다. 부산울산고속도로는 울주군을 남쪽으로 관통하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로 이어진다.
8. 2. 철도
1992년 8월 20일 이전까지 신정동에 동해남부선 남울산역, 달리역이 있었고, 달리역에서 분기한 울산선이 야음동의 야음역으로 연결되고, 야음역에서 울산항선과 장생포선이 분기하여 공단지역에 있는 울산항역과 장생포역으로 연결되었다. 남울산역은 임시승강장, 달리역은 신호장이었고 야음역, 울산항역, 장생포역은 화물역이었다.1992년 8월 20일에 울산 도심구간 철도가 이설되면서 중구 학성동에 있었던 태화강역(당시 울산역)이 삼산동으로 이전하고 상개동에 선암역이 신설되었다. 남울산역, 달리역, 야음역이 모두 폐지되고 울산항선과 장생포선은 태화강역으로 연결되었다.
9. 자매 결연
지역 & 국가 | 도시 | |
---|---|---|
대한민국 | ||
일본 | ||
멕시코 | 누에보레온주 | 몬테레이 (2014) |
10. 상징
남구의 상징은 다음과 같다.
- 동백: 사계절의 조화를 나타내며 남구 주민들의 활기와 열정을 상징한다.
- 비둘기: 평화와 번영을 나타내며 더 나은 공동체를 건설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자 하는 남구 주민들의 염원을 상징한다.
- 은행나무: 병충해와 오염에 강한 나무로, 강하고 최적으로 성장하려는 의지를 나타내며 남구 주민들의 영원한 번영을 상징한다.
2013년까지 남구의 마스코트는 7살 소년 타비(Tabi)였다. 강하고 건강하며 아름다운 남구의 비전을 상징한다.


참조
[1]
웹사이트
Ulsan Metropolitan Namgu Information
http://english.ulsan[...]
2013-04-26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표
[4]
주소
[5]
주소
[6]
간행물
대통령령 제17692호 울산광역시남구와울주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http://gwanbo.mois.g[...]
2002-07-30
[7]
웹사이트
울산광역시 구·군별 주민등록인구 및 세대수
https://kosis.kr/sta[...]
[8]
웹인용
홈페이지
http://www.whalecity[...]
2019-05-03
[9]
웹인용
홈페이지
http://www.uimc.or.k[...]
2018-09-28
[10]
웹인용
홈페이지
http://www.uimc.or.k[...]
2018-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