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부두더지들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두더지들쥐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남부, 서시베리아, 아프가니스탄 북부, 몽골, 중국 북부 지역에 분포하는 작은 포유류이다. 몸길이 약 130mm, 몸무게 최대 70g이며, 쐐기 형태의 몸과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 주행성이며, 굴을 파고 집단 생활을 한다. 식물의 뿌리, 구근, 괴경, 근경을 먹고, 3주간의 임신 기간을 거쳐 연간 3~4회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개체수는 질병, 기생충, 혹독한 겨울, 굴 침수, 포식자에 의해 제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0년 기재된 포유류 - 얼룩족제비
    얼룩족제비는 유럽 남동부에서 중국에 걸쳐 분포하며 흑백 및 갈색 반점이 있고 악취 분비물을 배출하는 족제비과 동물로,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1770년 기재된 포유류 - 긴귀고슴도치
    긴귀고슴도치는 동부 지중해 지역부터 아시아 건조 지역까지 분포하며 곤충, 작은 척추동물을 먹고 사는 야행성 고슴도치이다.
  • 물밭쥐아과 - 밭쥐속
    밭쥐속(Microtus)은 밭쥐에 속하는 포유류 속으로, 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한국 등지에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갈밭쥐와 일본밭쥐가 발견된다.
  • 물밭쥐아과 - 발칸눈밭쥐
    발칸눈밭쥐는 5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북부두더지들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북부두더지들쥐
학명Ellobius talpinus
명명자팔라스, 1770
이명E. ciscaucasicus 스비리덴코, 1936
E. murinus 팔라스, 1770
E. rufescens 에베르스만, 1850
E. tanaiticus 주브코, 1940
E. transcaspiae 토마스, 1912
Mus talpinus 팔라스
Spalax murinus 팔라스
Georychus rufescens 에베르스만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쥐아목
상과쥐상과
비단털쥐과
아과물밭쥐아과
두더지들쥐족
두더지들쥐속
북부두더지들쥐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최소 관심 대상
IUCN 3.1최소 관심 대상
IUCN 참고Rusin, M. 2016. Ellobius talpin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7656A115085720. doi:10.2305/IUCN.UK.2016-3.RLTS.T7656A22339917.en

2. 분포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남부 지역, 서시베리아, 아프가니스탄 북부, 몽골, 중국 북부 지역에서 발견된다.[15][5]

3. 형태

북부두더지들쥐는 땅속 생활에 적응한 작은 포유류이다.[15][5] 굴을 파기에 적합한 쐐기 모양의 몸을 가졌으며, 납작한 머리와 강하게 발달한 앞다리 근육이 특징이다. 특히 큰 앞니를 사용하여 굴을 판다.[15][5]

3. 1. 신체 특징

북부두더지들쥐는 몸길이가 약 130mm이고 짧은 꼬리를 가진 작은 포유류로, 몸무게는 최대 70g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크다. 몸은 쐐기 모양이고, 머리는 납작하며 목은 짧다. 특히 앞다리 근육이 강하게 발달했다. 짧고 빽빽한 갈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몸 아랫부분은 색이 약간 더 연하다. 발에는 털이 없고 분홍색을 띤다. 큰 앞니를 이용하여 굴을 파며 땅속 생활에 적응했다.[15][5]

3. 2. 염색체

핵형은 2n = 54이다.[6] Y 염색체는 없으며, 수컷과 암컷 모두 친척인 텐크레두더지쥐(''E. tancrei'')의 경우와 같이 한 세트당 2개의 X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이는 또 다른 친척 종인 ''E. lutescens''가 두 성별 모두 세트당 X 염색체를 1개만 가지는 것과 대비된다.[7][8]

4. 생태

북부두더지들쥐는 몸길이 약 130mm에 짧은 꼬리를 가진 작은 포유류로, 몸무게는 최대 70g까지 나간다.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크다. 몸은 쐐기 형태이며, 머리는 납작하고 목은 짧다. 특히 앞다리 근육이 강하게 발달해 있다. 짧고 무성한 갈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등 쪽 털이 배 쪽보다 약간 더 연한 색을 띤다. 발에는 털이 없고 분홍색이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큰 앞니인데, 이를 이용해 땅속에 굴을 파고 생활하는 데 매우 잘 적응했다.[15] 땅속에서 복잡한 굴을 파고 집단생활을 하며, 식물의 뿌리나 구근, 괴경 등을 먹고 산다.[5][10]

4. 1. 생활 방식

북부두더지들쥐는 주행성 동물로 하루 종일 활동한다. 활동량은 가뭄 기간과 겨울철에는 줄어들지만, 겨울잠을 자지는 않는다.[5] 연구에 따르면, 극한의 대륙성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체온 조절 방식에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보인다.[9]

이들은 집단생활을 하며, 보통 한 쌍의 성체와 한두 번의 출산으로 태어난 새끼들로 이루어진 약 10마리 정도의 가족 단위로 살아간다.[10]앞니를 이용해 땅속에 복잡한 굴을 파고 생활하는데,[15] 굴 입구는 대개 흙으로 막혀 있다. 둥지와 먹이를 저장하는 공간은 보통 지표면에서 약 4m 아래에 만든다.[10] 먹이로는 식물의 뿌리, 구근, 괴경, 그리고 수분이 많은 근경 등을 먹으며, 여름과 가을에는 약간의 먹이를 저장해두기도 한다.[5]

번식은 연간 3~4번 이루어지며, 임신 기간은 약 3주이다. 한 번에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새끼는 빠르게 성장하여 생후 6주가 되면 번식이 가능할 정도로 성숙한다.[5]

평소에는 땅 위로 거의 나오지 않지만, 굴을 파면서 나온 흙을 밖으로 밀어내거나 새로운 서식지로 이동할 때는 땅 위로 나온다. 이때 최대 800m까지 이동할 수 있다.[10] 개체 수는 감염성 질환이나 기생충, 땅이 깊게 얼어붙는 혹독한 겨울, 봄철 해빙기에 굴이 물에 잠기는 현상, 그리고 포식성 조류나 포유류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변동한다.[5]

4. 2. 번식

임신 기간은 3주이며, 연간 3~4번 출산하고 한 번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빠르게 성장하여 생후 6주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5]

4. 3. 서식 환경

북부두더지들쥐는 큰 앞니를 이용하여 굴을 파서 땅 속에서 생활하는 데 적응되어 있다.[15] 이들은 집단생활을 하는 종으로, 일반적으로 한 쌍의 성체와 한두 번의 출산에서 태어난 새끼들로 구성된 약 10마리 정도의 가족 그룹으로 함께 산다. 굴은 복잡하며, 입구는 보통 흙으로 봉쇄되어 있다. 둥지 방과 먹이를 저장하는 방은 일반적으로 지표면에서 약 4m 아래에 위치한다.[10] 주로 식물의 뿌리, 구근, 괴경 및 즙이 많은 근경을 먹으며, 여름과 가을에는 소량의 식량을 저장한다.[5] 굴에서 파낸 흙을 퍼뜨리거나 새로운 영역으로 이동할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지상으로 나오지 않으며, 이때 최대 800m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10] 개체수는 감염성 질환, 기생충, 땅이 깊이 얼어붙는 혹독한 겨울, 녹은 물에 의한 굴의 봄철 침수, 그리고 포식성 조류와 포유류 등에 의해 제한되며 변화한다.[5]

4. 4. 개체수 변동 요인

북부두더지들쥐의 개체수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주요 요인으로는 감염성 질환, 기생충, 땅이 깊게 얼어붙는 혹독한 겨울, 녹은 물로 인한 봄철 굴 침수, 그리고 포식조류포유류 등이 있다.[5]

참조

[1] 간행물 "''Ellobius talpinus''" 2022-03-08
[2] 웹사이트 Mammal Species of the World https://www.departme[...]
[3] 웹사이트 Bucknell https://www.departme[...]
[4] 서적
[5] 웹사이트 AgroAtlas http://www.agroatlas[...]
[6] 논문 Sox9 gene regulation and the loss of the XY/XX sex-determining mechanism in the mole vole ''Ellobius lutescens''. 2012-01
[7] 논문 Genomes of Ellobius species provide insight into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mammalian sex chromosomes 2016-09
[8] 논문 Sexual dimorphism in prophase I of meiosis in the Northern mole vole (Ellobius talpinus Pallas, 1770) with isomorphic (XX) chromosomes in males and females https://compcytogen.[...] 2010-09-07
[9] 논문 Seasonal changes of thermoregulation in the mole vole Ellobius talpinus
[10] 웹사이트 IUCN Red Book http://www.iucnredli[...]
[11] 간행물 Ellobius talpinus
[12] 웹인용 Mammal Species of the World http://www.bucknell.[...] 2017-04-29
[13] 웹인용 Mammal Species of the World - Browse: talpinus http://www.bucknell.[...] 2017-04-29
[14] 서적
[15] 웹사이트 AgroAtlas http://www.agroatl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