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리아-오스만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리아-오스만 전쟁은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초까지 불가리아와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일련의 군사적 충돌을 의미한다. 14세기 초 발칸 반도는 세르비아, 비잔틴 제국, 불가리아 등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오스만 제국은 이러한 혼란을 틈타 발칸 반도로 진출했다. 오스만 제국은 1350년대부터 불가리아를 침략하여 여러 도시를 점령했고, 1371년 체르노멘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불가리아의 세력을 크게 약화시켰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소피아를 함락하고 1388년 대규모 침공을 감행하여 불가리아의 영토를 대폭 축소시켰다. 1393년 터르노보가 함락되면서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은 멸망했고,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불가리아-오스만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배경 | |
날짜 | 1345년 – 1396년 |
장소 | 발칸 반도 |
결과 | 오스만 제국의 승리, 불가리아 제국 합병 |
교전 세력 | |
교전 1 | 불가리아 제국 비딘 차르국 도브루자 공국 로베치 공국 |
교전 2 | 오스만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불가리아 제국 | 이반 알렉산더르 미하일 아센 4세 이반 아센 4세 이반 아센 5세 이반 시슈만 이반 스라치미르 도브로티차 프루진 콘스탄틴 2세 |
오스만 제국 | 무라트 1세 바예지트 1세 랄라 샤힌 파샤 찬다를르 알리 파샤 메흐메트 첼레비 무사 첼레비 |
규모 | |
불가리아 제국 | 알 수 없음 |
오스만 제국 | 알 수 없음 |
피해 규모 | |
불가리아 제국 | 심각함 |
오스만 제국 | 심각함 |
2. 오스만 제국 침공 이전 발칸 반도의 상황
13세기부터 발칸 반도의 주요 세력인 비잔티움 제국과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은 지방 영주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와 터르노보의 황제로부터 더욱 강력하고 독립적으로 성장하면서 분권화 과정의 희생양이 되었다. 이는 중앙 통치자들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약화시켰다. 14세기에 이 과정은 더욱 심화되어 수많은 귀족들이 정부에 형식적으로만 복속되었다.[1]
세르비아는 두 제국이 막대한 내부적 어려움에 직면한 가운데, 자국의 영토를 확장할 기회를 잡았다. 1320년대와 1330년대의 비잔티움 내전 동안, 세르비아는 비잔틴으로부터 마케도니아의 대부분을 정복했다. 1330년 벨바즈드 전투에서 세르비아군은 불가리아군을 격파하여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부상했다. 1346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두샨은 황제 칭호를 받았으나, 1355년 그가 죽은 후 세르비아 제국은 여러 독립 국가로 분열되었다. 1341년부터 1347년까지 비잔틴 제국은 요한네스 5세 팔레올로고스와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 사이의 내전으로 흔들렸다.[1]
14세기 중반 무렵 발칸 반도는 정치적으로 여러 소국으로 분열되어 서로 경쟁했으며, 이슬람 침략자들에 맞설 만큼 강력한 군대를 가진 단일 세력이 없었다. 동방 정교회 국가 외에도,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헝가리 왕국 소유의 가톨릭 영토와 보스니아 교회가 이단으로 간주된 보스니아 왕국이 있었다. 종교적 이질성 또한 이 지역에서 끊임없는 정치적 긴장의 원인이었다.[1]
2. 1. 불가리아의 상황
13세기부터 발칸 반도의 주요 세력인 비잔티움 제국과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은 지방 영주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와 터르노보의 황제로부터 더욱 강력하고 독립적으로 성장하면서 분권화 과정의 희생양이 되었다. 이는 중앙 통치자들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약화시켰다. 이러한 과정은 14세기에 더욱 심화되어 수많은 귀족들이 정부에 형식적으로만 복속되었다. 불가리아에서는 강력한 쉬슈만 가문이 서부의 비딘 지방을 통치했고, 동부에서는 발리크가 준 독립적인 도브루자 전제공국을 세웠다.[1]세르비아는 두 제국이 막대한 내부적 어려움에 직면한 가운데, 자국의 영토를 확장할 수 있는 유리한 기회를 잡았다. 1330년 세르비아군은 벨바즈드에서 황제 미하일 쉬쉬만이 이끄는 불가리아군을 격파하여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부상했다. 같은 시기 불가리아에서는 이반 스트라치미르가 1356년 아버지 이반 알렉산데르로부터 비딘을 물려받았고, 데스포트 도브로티차는 형식적으로 그의 신하였지만 도브루자를 통치했다.[1]
14세기 중반 무렵 발칸 반도는 정치적으로 여러 소국으로 분열되어 서로 경쟁했으며, 이슬람 침략자들에 맞설 만큼 강력한 군대를 가진 단일한 세력이 없었다. 불가리아, 비잔티움, 세르비아와 같은 주로 동방 정교회 국가 외에도,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헝가리 왕국이 소유한 서부 및 남부의 여러 가톨릭 영토와 보스니아 교회 (전통적으로 보고밀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짐)가 정교회와 가톨릭 모두에게 이단으로 간주된 보스니아 왕국이 있었다. 따라서 종교적 이질성 또한 이 지역에서 끊임없는 정치적 긴장의 원인이 되었다.[1]
2. 2. 비잔티움 제국의 상황
13세기부터 발칸반도의 주요 세력인 비잔티움 제국과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은 지방 영주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와 터르노보의 황제로부터 더욱 강력하고 독립적으로 성장하면서 분권화되었다. 이는 중앙 통치자들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약화시켰다. 14세기에 귀족들은 정부에 형식적으로만 복속되었다. 불가리아에서는 쉬슈만 가문이 서부의 비딘 지방을, 동부에서는 발리크가 준 독립적인 도브루자 전제공국을 세웠다.두 제국이 내부적 어려움에 직면한 가운데, 세르비아는 영토를 확장할 기회를 잡았다. 1320년대와 1330년대의 비잔티움 내전 동안, 세르비아는 비잔틴으로부터 마케도니아의 대부분을 정복했다. 1330년 벨바즈드 전투에서 불가리아군을 격파하여 이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부상했다. 1346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두샨은 황제 칭호를 받았지만, 1355년 그가 죽은 후 세르비아 제국은 몇 개의 독립 국가로 분열되었다. 같은 시기 불가리아에서는 이반 스트라치미르가 1356년 비딘을, 데스포트 도브로티차는 도브루자를 통치했다. 1341년부터 1347년까지 비잔틴 제국은 요한네스 5세 팔레올로고스와 요한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 사이의 내전으로 흔들렸다.
14세기 중반 무렵 발칸 반도는 정치적으로 여러 소국으로 분열되어 서로 경쟁했으며, 이슬람 침략자들에 맞설 만큼 강력한 군대를 가진 단일한 세력이 없었다. 동방 정교회 국가 외에도,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헝가리 왕국 소유의 서부 및 남부 가톨릭 영토와 보스니아 교회가 이단으로 간주된 보스니아 왕국이 있었다. 종교적 이질성 또한 이 지역에서 끊임없는 정치적 긴장의 원인이었다.
2. 3. 세르비아 제국의 상황
13세기부터 비잔티움 제국과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은 지방 영주들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분권화 과정을 겪었다. 이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와 터르노보의 중앙 정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성장하여, 중앙 통치자들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약화시켰다. 14세기에는 이러한 과정이 더욱 심화되어 많은 귀족들이 형식적으로만 정부에 복속되었다.두 제국이 내부 문제에 직면한 사이, 세르비아는 영토 확장의 기회를 얻었다. 1320년대와 1330년대의 비잔티움 내전 동안, 세르비아는 비잔틴으로부터 불가리아인과 아로마니아인이 거주하는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정복했다. 1330년 벨바즈드 전투에서 세르비아군은 불가리아군을 격파하여 이 지역의 최강국으로 부상했다. 1346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두샨은 불가리아 황제 이반 알렉산데르의 축복을 받아 황제 칭호를 받았으나, 1355년 그가 사망한 후 거대한 세르비아 제국은 몇 개의 독립 국가로 분열되었다.
14세기 중반 무렵 발칸 반도는 정치적으로 여러 소국으로 분열되어 서로 경쟁했으며, 이슬람 침략자들에 맞설 만큼 강력한 군대를 가진 단일 세력은 없었다.
3. 이반 알렉산더르 시대의 군사적 충돌
1365년 헝가리 왕국의 왕 러요시 1세가 북서 불가리아를 침략하여 비딘 요새를 점령하고 이반 알렉산더르의 아들 이반 스라치미르를 포로로 잡았다.[24] 이반 알렉산더는 오스만 용병을 고용하기도 했지만, 비딘을 되찾는 데 실패했다.[25] 1369년 여름, 왈라키아의 보예보드 왈라키아의 블라디슬라프 1세의 도움으로 비딘을 회복했지만,[26] 이것이 그의 마지막 성공이었다.
1371년 2월 17일 이반 알렉산더가 사망한 후, 불가리아는 여러 독립 국가로 분열되었다. 제2차 불가리아 제국 영토 대부분은 이반 시슈만이 다스렸고, 북서 지역은 이반 스라치미르가, 도브루자는 데스포트 도브로티차가 차지했으며, 마케도니아는 세르비아 귀족들이 통치했다.
3. 1. 아이딘과의 충돌
비잔티움 제국 내전 동안, 팔레올로고스 가문과 칸타쿠제노스는 모두 외부 동맹을 찾고 외국 용병을 고용했다. 불가리아 황제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거점으로 하는 팔레올로고스 가문을 지원했다. 반면, 요안니스 칸타쿠제노스는 소아시아 출신 오스만 튀르크 용병을 정기적으로 고용했고, 이들은 곧 트라키아 전장에서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비잔틴인들은 1320년대 이후 오스만인들이 남부 발칸 반도의 마을을 약탈하면서 이들에 대한 통제력을 자주 잃었다.
1344년, 로도페와 에게해 지역의 독립적인 불가리아 통치자 모므칠은 2,000명의 군대를 이끌며 비잔틴 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처음에는 요안니스 칸타쿠제노스를 지원했지만, 1344년 봄부터 오스만 동맹군의 공격에 영향을 받아 칸타쿠제노스를 배신했다.[7][8] 6월, 그는 포르토갈로스 만 근처에서 아이딘 군대를 격파했다.[9] 밤에 불가리아 통치자는 배를 보내 닻에 묶인 아이딘 선박을 불태웠고, 얼마 지나지 않아 모시노폴리스에서 칸타쿠제노스의 군대를 격파했다는 기록이 있다.[9]
다가오는 튀르크의 위협을 가장 먼저 인지한 지역 통치자였던 모므칠은 불가리아와 비잔티움 황제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실패했다. 그의 군대는 동부 로도페에서 저항을 계속했지만, 1345년 5월 우무르 베이가 이끄는 튀르크 군대가 소아시아에서 진격하여 불가리아 영토를 황폐화시키고 사람과 가축을 몰아냈다.[10] 1345년 7월 7일, 우무르 베이가 이끄는 아이딘 군대는 페리토르 전투에서 모므칠의 군대를 격파했다.[11] 이 전투에서 모므칠은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했으며, 오스만 침략에 대항할 정치적 의지나 지도력은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12]
3. 2. 오스만 제국과의 초기 충돌

비잔틴 내전 동안 이반 알렉산더는 트라키아와 로도피 산맥의 여러 마을을 재장악했지만, 1332년에 평화가 수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잔틴 내부 문제에 자주 간섭하여 두 국가 간의 더 긴밀한 관계를 방해했다. 1352년, 튀르크 군은 불가리아를 다시 침공하여 트라키아, 특히 아이토스, 얌볼, 플로브디프 주변 지역을 약탈하고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13] 같은 해 오스만 제국은 발칸반도에서 첫 번째 요새인 갈리폴리 반도의 찜페를 점령하여 유럽에 발을 굳혔다.[14] 1354년까지 오스만 군은 얌볼과 플로브디프 주변, 그리고 마리차 강과 툰자 강 하류 계곡을 다시 한번 휩쓸었다.[15]
1355년 오스만 군은 소피아를 향해 진군했지만, 곧 이반 알렉산더의 장남이자 계승자인 미하일 아센의 군대와 이흐티만 근처에서 교전했다. 이어진 전투에서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고, 젊은 미하일 아센이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튀르크 군은 소피아에 도달하지 못했다.[16]
3. 3. 실패한 동맹
요안니스 칸타쿠제노스의 퇴위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촉진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이 제거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는 트르노보뿐만 아니라 콘스탄티노플에도 심각한 경고를 제기했다. 위협에 직면한 불가리아와 비잔티움은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 1355년 불가리아 황제 케라차의 딸이 새로운 비잔틴 황제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의 어린 아들인 안드로니코스 4세 팔레올로고스와 결혼했다.[17] 그러나 트르노보와 콘스탄티노플 가문 간의 새로운 관계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대해 더 의미있는 대응을 하려는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1355년 12월 20일 스테판 두샨의 죽음 이후, 세르비아 제국은 서부 발칸에서 대부분의 패권을 잃었고 크고 민족적으로 다양한 제국은 여러 후계 국가로 분열되었다.[18] 당시 불가리아 제국과 비잔틴 제국은 오스만 제국의 확장을 막을 잠재력을 가진 반도에 남은 유일한 주요 정치 세력이었다. 1354년에서 1364년 사이에 투르크는 트라키아를 정복했으며, 플로브디프와 스타라 자고라와 같은 많은 중요한 요새와 도시가 공격을 받았다.[19] 1350년대 말부터는 오스만 군대가 수도 인근까지 진출했으며, 출처에 따르면 황제는 도시 성벽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20] 오스만 연대기 작가 호자 사데딘 에펜디는 1359년과 1364년 사이의 투르크의 진격이 많은 지역의 파괴와 인구 감소를 동반했다고 주장한다. 플로브디프, 스타라 자고라, 슬리벤 마을이 황폐화되었고, 베네츠와 소티르그라드와 같은 다른 지역은 완전히 파괴되었다.[21] 파괴는 지역 주민들의 학살과 소아시아로의 추방을 동반했다.[22]
두 제국 간에는 완전한 조정 부족뿐만 아니라 흑해 항구인 메셈브리아와 안키알로스를 두고 다툼이 있었다. 불가리아는 1364년에 이들을 성공적으로 방어했지만, 임박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분쟁은 두 국가 간의 불신과 적대감을 심화시켰다.[23]
4. 체르노멘 전투와 그 결과
1371년, 마케도니아의 봉건 영주 부카신과 우글레샤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을 계획했다. 프릴레프의 왕 부카신과 세르의 데스포트 우글레샤는 이슬람 침략자들을 막기 위해 많은 기독교 군대를 모았다. 동쪽으로 오스만 제국 영토와 국경을 맞댄 우글레샤는 위협을 인지하고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실패했다. 세르비아-그리스-불가리아 혼합 인구를 다스리던 두 형제는 2만에서 7만 명의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향했다. 라라 샤힌 파샤가 이끄는 훨씬 적은 수의 군대가 9월 26일 밤, 체르노멘 마을 근처 하부 마리차 계곡에 야영 중이던 연합 발칸 군대를 기습하여 군대 전체가 밀려났고, 부카신과 우글레샤는 대부분의 병력과 함께 사망했다.[27]
전투 직후, 무라드 1세의 군대는 북부 트라키아 점령 작전을 개시하여 이반 시쉬만을 발칸 산맥 북쪽으로 몰아냈다. 디암폴을 비롯한 여러 요새가 치열한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다. 디암폴은 티무르타쉬 군대에 몇 달 동안 저항했지만 식량 부족으로 항복했다.[28] 이반 시쉬만의 ''보이보데'' 시쉬킨은 발칸 산맥 남쪽 전투에서 사망하여, 오스만 제국의 로도피 산맥, 코스테네츠, 이흐티만, 사모코프 정복이 더욱 쉬워졌다. 오스만 제국은 피비린내 나는 포위 공격 후 남서부 비톨라를 점령하고 소피아 계곡으로 진격했다.[28] 1373년, 이반 시쉬만은 굴욕적인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오스만 제국의 봉신이 되었으며, 무라드와 시쉬만의 여동생 케라 타마라의 결혼으로 동맹을 강화했다. 그 대가로 오스만 제국은 이흐티만과 사모코프를 포함한 정복된 일부 영토를 반환했다.[29]
1371년에서 1373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에서 상당한 세력으로 부상했다. 그들은 트라키아 전역을 통치했고, 동부 마케도니아에서 우글레샤의 영토를 빼앗았으며, 부카신의 아들 마르코와 이반 시쉬만을 봉신으로 복속시켰다.
4. 1. 로도피 산맥 함락

1371년부터 1373년까지 오스만 제국은 북쪽으로 진격하여 로도피 산맥을 장악했다.[30] 로도피 산맥은 강력하고 잘 지켜진 요새로 가득한 산악 지대였다. 라코비차 요새(현재 폐허)는 다우드 파샤에게 포위되었고, '보이보다' 쿠르트가 격렬하게 방어했다. 오스만군은 무력으로 요새를 점령하려다 실패한 후 협상에 동의했고, 불가리아인들은 재산을 유지한 채 항복했다.[24]
로도피 산맥의 전략적 요새 중 하나인 체피나 주민들은 다우드 파샤가 물 공급을 끊은 후 9개월 동안 오스만 제국의 공격에 저항했다. 이후 생명과 재산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항복했다.[31] 스타니마카(아세노브그라드)[33]와 북부 로도피 산맥의 바트쿤 요새도 함락되었으며, 바트쿤 요새 지휘관 게오르기는 마지막 공격에서 사망했다.[34]
오스만 제국은 로도피 산맥 내부에서 완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중앙 지역은 제디트 파샤와 이브라힘 파샤의 군대에 의해 침략당했다. 제디트 파샤는 스타니마카와 바치코보 수도원 사이의 체펠라르스카 강 계곡을 따라 진격했고, 이브라힘 파샤는 플로브디프에서 파르베네츠를 거쳐 바차 강 계곡으로 진격했다. 자레니차, 자그라드, 그라디슈테, 칠테페, 카라쿨라스(바차 강을 따라), 임레데레, 모미나보다(아르디노 근처 고지) 등지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특히 모미나보다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져 오스만 제국의 장군 사라 바바가 전사했고, 카라쿨라스에서는 에니한 바바가 사망했다.
5. 소피아 함락
이반 시쉬만이 오스만 제국의 압력에 저항하는 동안, 그의 형제 이반 스라치미르는 도움을 주지 않고 오히려 소피아를 장악하려 했다. 1373년까지 소피아는 다시 타르노보 차르국에 속했으나, 1380년 오스만 제국이 다시 공격을 시작했다.[36] 술탄 무라드는 소피아를 점령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진격했다. 즐라티차 계곡에서 격렬한 전투 후,[38] 투르크군은 소피아를 포위했다. 반 야누카가 지휘하는 소피아는 라라 샤힌의 공격을 격퇴했지만,[39] 결국 함락되었다(1382년).[40] 오스만 제국은 소피아에 수비대를 설치하고 무슬림 정착민들을 데려왔다.[41] 이듬해 세레스가 함락되었다.[42] 1384년에서 1386년 사이 불가리아와 왈라키아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고, 단 1세가 사망했다.[43] 이반 스라치미르는 왈라키아 동맹으로 참전하여[44] 형제간 불신을 깊게 하였다. 소피아 주변을 확보한 오스만 제국은 1386년 피로트와 나이수스를 점령했다.[45]
6. 1388년 오스만 제국의 침공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중앙부 진출은 불가리아의 이반 시쉬만 뿐만 아니라 세르비아, 보스니아에도 큰 불안감을 일으켰다. 세르비아 공작 라자르와 보스니아 국왕 트브르트코 1세는 반 오스만 연합을 결성했고, 불가리아 황제도 참여했지만 군대를 파견할 수는 없었다. 1387년 플로치니크 전투에서 보스니아인과 세르비아인 연합군은 오스만 제국을 격파했다.[46]
그러나 기독교 국가들이 승리를 활용하지 못한 사이, 오스만 제국은 신속하게 대응했다. 1388년 알리 파샤가 이끄는 3만 명 규모의 대군이 동부 발칸 산맥을 넘어 불가리아 북부 깊숙이 진격했다. 불가리아는 기습을 당했고, 침략군은 오베치, 슈멘, 마다라 등 여러 도시를 점령했다.[46] 초기에는 도시와 성채들이 제대로 방어하지 못했지만, 이후 불가리아인들은 대비책을 마련했다. 알리 파샤의 군대가 바르나를 포위했을 때, 수비군은 완강하게 저항하여 튀르크군은 포위를 풀고 북쪽으로 이동해야 했다.[47]
투트라칸에서 시민들은 튀르크군이 소규모 수비대를 주둔시키는 것을 허락했지만, 이후 튀르크 병사들을 살해하고 포위에 대비했다. 알리 파샤는 즉시 주변 들판을 불태웠고, 굶주린 도시는 결국 항복해야 했다.[48] 이후 튀르크군은 서쪽의 니코폴리스로 진격했는데, 이곳은 다뉴브강을 따라 위치한 가장 강력한 불가리아 요새 중 하나였다. 당시 도시에 있던 이반 시쉬만이 방어를 지휘했다. 오스만 제국은 3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지만 니코폴리스를 점령하지 못했고, 알리 파샤는 무라드 1세에게 직접 지원군을 요청해야 했다. 세아데딘에 따르면 술탄은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도시를 점령하겠다는 결심으로 대군을 이끌고 니코폴리스로 진군했다. 이반 시쉬만은 새로운 적에 맞서 휴전을 요청했다. 무라드는 이에 동의했고 불가리아는 니코폴리스를 지켰지만, 또 다른 주요 다뉴브 강 요새인 도로스톨론을 넘겨줘야 했다. 그러나 알리 파샤가 실리스트라에 도착했을 때, 불가리아인들은 도시를 넘겨주기를 거부했다. 무라드는 다시 니코폴리스를 포위했고, 결국 이반 시쉬만은 오스만 제국의 조건에 동의하여 실리스트라에 튀르크 수비대가 주둔하게 되었다.
이 작전의 결과로 튀르크군은 여러 주요 도시를 포함한 동부 불가리아 대부분을 점령했다. 이반 시쉬만의 권위는 수도 터르노보 서쪽 지역과 다뉴브 강변의 여러 성채로 축소되었다. 동쪽에서 불가리아인들은 카르부나 공국의 수도인 바르나와 칼리아크라를 유지했다. 아마도 이 시기에 이반 스라치미르가 오스만 제국의 봉신이 되었을 것이다.[49]
7. 불가리아-오스만 전쟁의 주요 전투 목록
전투 | 날짜 | 결과 | ||
---|---|---|---|---|
이흐티만 전투 | 1355년 | 미하일 아센 | 알 수 없음 | 결론 불분명 |
플로브디프 및 스타라 자고라 포위 | 1369년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오스만 제국 승리 |
사모코프 전투 | 1371년 | 이반 시쉬만 | 랄라 샤힌 | 오스만 제국 승리 |
소피아 전투[50] | 1372년 | 알 수 없음 | 랄라 샤힌 | 오스만 제국 퇴각[51][52] |
소피아 포위[53] | 1380년 | 반 야누카 | 랄라 샤힌 | 불가리아 승리 |
소피아 2차 포위 | 1382년 | 반 야누카 | 랄라 샤힌 | 오스만 제국 승리 |
1388년 원정 | 1388년 | 이반 시쉬만 | 찬다르리 알리 파샤 | 오스만 제국 승리 |
바르나 포위 | 1388년 | 이반코 | 찬다르리 알리 파샤 | 불가리아 승리 |
터르노보 포위전 | 1393년 | 에우티미 | 바예지드 1세 | 오스만 제국 승리 |
니코폴리스 전투 | 1396년 | 이반 스라치미르 | 바예지드 1세 | 오스만 제국 승리 |
참조
[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3]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6]
간행물
Byzantina historia
[7]
간행물
Byzantina historia
[8]
간행물
Historiarum...
[9]
간행물
Historiarum...
[10]
간행물
Historiarum...
[11]
간행물
Byzantina historia
[12]
간행물
L'emirat d'Aydin...
[13]
간행물
Historiarum...
[14]
간행물
Historiarum...
[15]
간행물
Historiarum...
[16]
간행물
Из старата българска книжнина
[17]
간행물
Byzantina historia
[18]
간행물
Историја срба
[19]
간행물
Турското завладяване на България и съдбата на последните Шишмановци-ИИД
1928
[20]
간행물
Ad Romaeos deliberativa
[21]
간행물
Certains aspects de la conquete des peuples balkaniques par des turks - BSI
1956
[22]
간행물
Chronica dell' origine e progresse della casa ottomana
Vienna
1649
[23]
간행물
Historiarum...
[24]
간행물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С.
1929
[25]
간행물
Турското завладяване на България и съдбата на последните Шишмановци-ИИД
1928
[26]
간행물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С.
1929
[27]
간행물
Българското средновековие. От Черномен до Косово поле
С.
1972
[28]
간행물
Chronica dell' origine e progresse della casa ottomana
Vienna
1649
[29]
간행물
Синодник царя Борила
[30]
간행물
Миналото на Чепеларе
С.
1928
[31]
간행물
Цит. съч.
[32]
간행물
Цит. съч.
[33]
간행물
Цит. съч.
[34]
간행물
Цит. съч.
[35]
간행물
Die Besiehungen der Königs von Vidin, Ivan Sracimir zu den osmanischen Herrschern. EB
1971
[36]
간행물
Търговски връзки между България и Дубровник през XIV в.
ИБИД
1967
[37]
서적
Добруджа в миналото
[38]
서적
Героичната съпротива на българите срещу османските нашественици
[39]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https://books.google[...]
TRUD Publishers
2009
[40]
서적
Chronica dell' origine e progresse della casa ottomana
Vienna
1649
[41]
서적
Historiarum demonstrationes
[42]
간행물
La prise de Serres par les Turcs
1965
[43]
서적
Istoria României
[44]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45]
서적
Chronica dell' origine e progresse della casa ottomana
Vienna
1649
[46]
서적
Chronica dell' origine e progresse della casa ottomana
Vienna
1649
[47]
서적
Historiae musulmane turcorum de monumentis ipsorum sxcerptae. Libri XIII
Frankfurt
1501
[48]
서적
Historiae musulmane turcorum de monumentis ipsorum sxcerptae. Libri XIII
Frankfurt
1501
[49]
간행물
Турското завладяване на България и съдбата на последните Шишмановци
1928
[50]
서적
Великите владетели на Второто българско царство
Ciela
[51]
학술지
Tsar Ivan Shishman through the Ottoman's eyes
https://bulgarianhis[...]
2017-07-19
[52]
서적
Крепостта Урвич и късносредновековният манастир в нея
Unicart
[53]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я (военна история)
Trud
[54]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