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멘은 불가리아 동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1153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이 도시는 다양한 시대를 거치며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불가리아 문화 부흥의 중심지였다. 슈멘 요새는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겪었다. 현재는 불가리아 건국 1300주년 기념비, 툼불 모스크, 슈멘 요새 등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멘주 - 플리스카
플리스카는 아스파루흐 칸이 건설한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였으며, 넓은 면적과 요새화된 구조를 가졌으나 수도 이전 후 쇠퇴하여 현재는 유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 슈멘주 - 프레슬라프
프레슬라프는 9세기 초 불가리아 제1제국의 수도로서 정치, 외교, 문화, 문학, 미술의 중심지였으며, 특히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를 중심으로 키릴 문자 발전에 기여하고 도자기 생산이 활발했던 도시이다. - 불가리아의 도시 - 소피아
소피아는 불가리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발칸 반도 중심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한 불가리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불가리아의 도시 - 도브리치
도브리치는 불가리아 북동부 도브루자 지역의 중심 도시로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풍부한 문화 유적과 공원을 자랑하는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슈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슈멘 |
현지 명칭 | Шумен |
로마자 표기 | Shumen |
과거 명칭 | 콜라로브그라드 (Коларовград, Kolarovgrad) |
일반 정보 | |
국가 | 불가리아 |
광역 행정 구역 | 슈멘 주 |
시장 | 흐리스토 흐리스토프 (BSP) |
면적 | 136.358 km² |
고도 | 184 m |
시간대 | EET (UTC+2) |
하계 시간 | EEST (UTC+3) |
우편 번호 | 9700 |
지역 번호 | 054 |
차량 번호 | H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인구 | |
총 인구 (2021년) | 72,342명 |
도시 인구 | 85,410명 |
추가 정보 | |
![]() | |
![]() |
2. 역사
이 도시는 1153년 아랍 여행가 이드리시에 의해 ''Šimeonis''로 처음 언급되었다.[2] 이 이름은 불가리아어 ''shuma'' ('활엽수림')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2] 일각에서는 콘스탄틴 지레체크가 불가리아 황제 시메온 대제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이후 시대에 이 도시는 ''Şumena'', ''Şumna'', ''Şumular'', ''Sumunum'', ''Şumnu,'' 그리고 ''Şumen''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언급되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서는 이 도시를 플레벤을 Plevna로 표기하는 것과 유사하게 ''Shumla''로 표기했다.[3] 튀르키예어로는 ''Şumnu''로 알려져 있다.
슈멘에는 기원전부터 요새가 건설되었다. 트라키아인과 로마에 의해서도 다양한 요새가 건설되었다. 811년에 니케포로스 1세에 의해 슈멘은 불태워졌고, 1087년에는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다. 시메온 1세 치세 하의 866년부터 927년까지의 기간은 불가리아 문화의 황금기였으며, 슈멘은 문화와 종교의 중심지였다. 15세기까지 시가지는 슈멘 요새 주변으로 확장되었고 세련된 방어 시설과 종교 시설, 건물이 존재했다. 1380년대 후반 오스만 제국 황제인 무라드 1세의 군대가 불가리아로의 침공을 서서히 진행하고 있었다. 1444년, 브와디스와프 3세의 십자군이 무라드 2세의 오스만 군에게 패배하여 시가지는 파괴되었고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18세기, 방벽이 확장되었다. 1774년, 1810년, 1828년 세 차례에 걸쳐 러시아의 공격을 받았지만 모두 실패로 끝났다. 그 결과, 오스만은 승리를 의미하는 가지(Gazi)라는 명칭을 얻었다. 1854년, 오스만 제국 장군인 오마르 파샤는 크림 전쟁을 위해 슈멘에 주둔지를 설치했다. 19세기, 슈멘은 불가리아 조국 회복의 중심지였다. 1878년, 불가리아 공국이 성립되었다.
2. 1. 고대
슈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금석병용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4] 1907년 라파엘 포포프의 발굴로 중석기 시대와 후기 금석병용 시대(기원전 4500-4000년경)에 사람이 살았던 정착지 코자데르멘이 발견되었다.[4] 이 정착지는 지름 60m, 높이 5m이며, 도시에서 북쪽으로 6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4]슈멘 요새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초기 철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2세기부터 이 지역의 접근 가능한 부분을 둘러싼 최초의 요새가 있었다. 기원전 5세기에는 이전 벽 앞에 두 번째 벽이 건설되었다.
2세기에는 고대 로마인들이 트라키아인의 요새 유적 위에 군사 요새를 건설했다. 벽은 모르타르와 결합되었고, 문 위에 탑이 건설되었으며, 서쪽에는 사각형 탑, 남쪽에는 반원형 탑이 건설되었다. 4-5세기에는 9개의 탑이 있는 새로운 벽으로 언덕 전체가 요새화되었다. 8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는 요새가 개조되었으며, 로마 시대의 벽과 탑이 사용되었고, 북동쪽에는 두 개의 탑이 있는 새로운 벽이 건설되었다.
슈멘에는 기원전부터 요새가 건설되었다. 트라키아인과 로마에 의해서도 다양한 요새가 건설되었다. 811년에 니케포로스 1세에 의해 슈멘은 불태워졌고, 1087년에는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다. 시메온 1세 치세 하의 866년부터 927년까지의 기간은 불가리아 문화의 황금기였으며, 슈멘은 문화와 종교의 중심지였다.[4] 15세기까지 시가지는 슈멘 요새 주변으로 확장되었고 세련된 방어 시설과 종교 시설, 건물이 존재했다.
2. 2. 중세
681년 칸 아스파루흐가 이 지역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 편입시켰다. 811년 슈멘은 비잔틴 제국 황제 니케포루스 1세에 의해 불탔으나, 플리스카 전투에서 니케포루스 1세가 사망하면서, 칸 크룸은 니케포루스의 두개골을 은으로 감싸 술잔으로 사용했다. 7~10세기의 불가리아 요새는 28개의 탑과 보루, 3개의 문과 5개의 작은 현관, 많은 교회와 작업장이 있는 성을 갖춘 봉건 도시로 발전했다. 시메온 1세 (893-927) 치하 불가리아 문화의 황금기 동안 슈멘은 문화 및 종교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시메오니스''라는 이름을 가졌을 수 있다.제2차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슈멘은 중요한 군사, 행정 및 경제 중심지였으며, 옛 불가리아 수도 프레슬라프를 대체하고 요새 밖으로 발전했다. 중세 도시 슈멘의 주요 종교는 동방 정교회였으며,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도시 정복 이후 이슬람교가 도입되었다. 1380년대 후반 오스만 제국 황제인 무라드 1세의 군대가 불가리아로 침공하였고, 1444년 브와디스와프 3세의 십자군이 무라드 2세의 오스만 군에게 패배하여 시가지는 파괴되었고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1388년 무라드 1세는 슈멘을 오스만 제국에 항복시켰다.[3] 1444년 브와디스와프 바르넨치크의 십자군 원정 실패 이후, 오스만 제국은 도시를 파괴하고 현재 위치로 이전시켰다.중세 이후 튀르크인들은 도시 유적을 활용해 여러 목욕탕과 모스크를 건설했다. 17~18세기 슈멘은 강력한 요새 도시로 성장하여 대규모 수비대가 주둔했고, 많은 튀르크인, 유대인, 타타르인, 아르메니아인들이 정착했다.[5] 콘스탄틴 지레체크에 따르면, 오스만 정복 당시 슈멘에는 800채의 집이 있었지만, 17세기에는 이미 4000~5000채로 늘어났다.[5] 오스만 제국 시대에 많은 튀르크인들이 슬라브계 불가리아 기독교인들에게 이슬람교를 전파하기 위해 이 지역에 정착했으며, 많은 무슬림 튀르크인들이 불가리아인 여성과 결혼하여 그들을 이슬람으로 개종시켰다. 18세기에는 도시가 확장되고 요새화되었다.[3]
19세기 슈멘은 오스만 제국에서 중요한 통신 중심지였다.[6] 1820년 포터는 슈멘에 "그리스도교 주민이 거주하는 교외"가 있다고 기록했다.[7] 세 차례(1774년, 1810년, 1828년) 러시아군에 의해 공격받았으나 모두 격퇴되었고,[3] 튀르크인들은 그 결과로 슈멘에 "가지"("승리자")라는 이름을 부여했다.[3] 1854년에는 오마르 파샤의 사령부였으며, 튀르크군이 집결하는 지점이었다(크림 전쟁 참조).[3]

19세기 동안 슈멘은 불가리아 민족 부흥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813년 5월 11일 불가리아 영토에서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축제가 처음으로 열렸고, 최초의 연극 공연도 열렸다. 1828년에는 여자 종교 학교가 세워졌으며, 1856년에는 여자 학교와 ''치탈리슈테''(시민회관)가 설립되었다. 최초의 불가리아 교향악단은 1850년에 이 도시에서 창단되었다. 같은 해에 영향력 있는 헝가리 정치인이자 혁명 지도자인 러요시 코슈트는 당시 오스만 제국의 도시였던 슈멘에서 망명 생활의 일부를 보냈다. 그가 살았던 집은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2. 4. 불가리아 독립 이후
1878년 6월 22일, 슈멘은 러시아에 항복했고, 새롭게 독립한 불가리아의 일부가 되었다.[8] 1882년에는 불가리아 최초의 양조장인 슈멘 양조장(Shumensko)이 설립되었다.[8] 불가리아 해방 이후, 슈멘은 수공예품 시장을 잃고 많은 오스만인들이 철수했으며, 현지 제품과 경쟁하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품질이 좋은 서구 제조 상품 때문에 초기에 쇠퇴했지만, 점차 회복하여 지역 및 구의 중심지가 되었다.[8] 1차 발칸 전쟁이 1912년에 발발했을 때, 슈멘 출신 35명이 마케도니아-드린스크 의용군에 자원했다.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기가 점차 보급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도시의 군사 클럽(1919년)에 설치되었다. 1927년 9월, 슈멘시에 최초의 발전소가 가동되기 시작했다.[8]
1944년 불가리아 쿠데타 직후, 공산주의자들이 경찰서 중 하나를 점령하려 했을 때 도시에서 심각한 총격전이 벌어졌다. 1950년부터 1965년까지 이 도시는 공산주의 지도자 바실 콜라로프의 이름을 따서 ''콜라로브그라드''라고 불렸다.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기념물 중 하나인 "불가리아 건국 1300주년 기념비"는 1981년 슈멘 고원 자연 공원에 건설되었다. 1980년대에는 외교 사절단의 방문을 앞두고 대규모 건설이 진행되었지만, 1980년대 후반의 변화로 인해 이 과정이 중단되었다. 도시에서 가장 큰 호텔-레스토랑 단지가 건설되었다. 전차 노선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나중에 중단되었다.
1989년 이후 슈멘(GUM)에 쇼핑몰이 건설되었다. "쿄슈코베테"와 "스테클로토"와 같이 호텔 부분을 갖춘 도시의 상징적인 레스토랑이 재건 및 복원되었다. 많은 수의 새로운 레스토랑과 호텔이 현대적인 스타일로 건설되었다. 불가리아의 유럽 연합 가입 이후, 주요 대로, 거리 및 도로가 아스팔트 포장되었다. 시내 중심에서 도시 정원을 거쳐 기차역까지 이어지는 보행자 구역이 개조되고 현대화되었다.
3. 지리
슈멘은 바르나에서 서쪽으로 80km 떨어져 있으며, 동쪽 발칸 산맥의 북쪽 기슭에 있는 언덕 무리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 언덕들은 말발굽 모양으로 도시의 서쪽과 남쪽을 감싸고 있다.[3] 울퉁불퉁한 협곡이 말발굽 능선의 땅을 세로로 관통한다.[3]
슈멘에서 도로는 북쪽으로 다뉴브강의 루세와 실리스트라 도시, 그리고 도브루자로, 남쪽으로 발칸 산맥의 고개로, 동쪽으로 바르나와 발치크로 뻗어 있다.[3]
3. 1. 기후
슈멘은 온난 습윤 기후를 나타내며,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춥다.[9] 연평균 기온은 12.5°C이며, 연간 강수량은 약 584mm이다.[9]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C) | 4.3 | 6.5 | 11.3 | 17.8 | 23.2 | 26.5 | 29.5 | 30.1 | 25.1 | 18.8 | 12.0 | 5.8 | 17.6 |
평균 기온 (°C) | 0.7 | 2.6 | 6.9 | 12.5 | 17.2 | 20.6 | 23.3 | 23.7 | 19.1 | 13.5 | 7.9 | 2.4 | 12.5 |
평균 최저 기온 (°C) | -2.9 | -1.3 | 2.6 | 7.1 | 11.2 | 14.7 | 17.1 | 17.2 | 13.0 | 8.1 | 3.9 | -1.1 | 7.2 |
강수량 (mm) | 35.56 | 40.64 | 38.1 | 53.34 | 63.5 | 78.74 | 48.26 | 40.64 | 33.02 | 40.64 | 53.34 | 50.8 | 584.2 |
4. 인구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슈멘의 인구는 약 80,855명이다.[11] 2012년 1월 슈멘에는 시 경계 내에 80,511명이 거주했으며, 슈멘 시(Shumen Municipality)와 법적으로 관련된 인접 마을을 합하면 93,160명의 주민이 있었다.[10] 시의 인구는 1990-1991년 기간에 110,000명을 넘어서며 정점을 찍었다.[11]
연도 | 인구 |
---|---|
1887 | 23,161 |
1910 | 22,225 |
1934 | 25,486 |
1946 | 31,327 |
1956 | 41,546 |
1965 | 59,293 |
1975 | 83,505 |
1985 | 100,116 |
1992 | 93,390 |
2001 | 89,214 |
2011 | 80,855 |
2021 | 72,997 |
2022 | 72,342 |
[12][13]
=== 민족 구성 ===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슈멘의 주요 민족은 불가리아인(76.2%), 튀르크인(12.4%), 로마인(2.7%) 순이다.[14][15] 민족 정체성을 밝힌 개인은 다음과 같이 분포되어 있다.
민족 | 인구 |
---|---|
불가리아인 | 61,584 |
튀르크인 | 10,029 |
로마인 | 2,165 |
기타 | 600 |
불분명 | 552 |
미신고 | 5,925 |
총계 | 80,855 |
=== 종교 ===
슈멘의 인구는 대부분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상당수의 이슬람교 신자와 그보다 훨씬 적은 수의 다른 종교 소수 집단이 존재한다.
불가리아 정교회에서 슈멘은 바르나 및 벨리키 프레슬라프 교구의 일부이며, 슈멘 교회 구역(오콜리아)의 수도이다. 시내에는 성 승천 교회(1829년 설립)와 세 성직자 교회(1857년 설립) 등 두 개의 주요 정교회 사찰과 몇 개의 예배당이 있다.
슈멘에는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이자 발칸 반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세리프 할릴 파샤 모스크가 위치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툼불 (또는 툼불) 모스크로 알려져 있으며 1740년에서 1744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4. 1. 민족 구성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슈멘의 주요 민족은 불가리아인(76.2%), 튀르크인(12.4%), 로마인(2.7%) 순이다.[14][15] 민족 정체성을 밝힌 개인은 다음과 같이 분포되어 있다.민족 | 인구 |
---|---|
불가리아인 | 61,584 |
튀르크인 | 10,029 |
로마인 | 2,165 |
기타 | 600 |
불분명 | 552 |
미신고 | 5,925 |
총계 | 80,855 |
4. 2. 종교
슈멘의 인구는 대부분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상당수의 이슬람교 신자와 그보다 훨씬 적은 수의 다른 종교 소수 집단이 존재한다.불가리아 정교회에서 슈멘은 바르나 및 벨리키 프레슬라프 교구의 일부이며, 슈멘 교회 구역(오콜리아)의 수도이다. 시내에는 성 승천 교회(1829년 설립)와 세 성직자 교회(1857년 설립) 등 두 개의 주요 정교회 사찰과 몇 개의 예배당이 있다.
슈멘에는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모스크이자 발칸 반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세리프 할릴 파샤 모스크가 위치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툼불 (또는 툼불) 모스크로 알려져 있으며 1740년에서 1744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5. 교육
슈멘에는 11개의 초등학교와 5개의 일반 학교, 2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슈멘 에피스코프 콘스탄틴 프레슬라브스키 대학교, 바실 레프스키 국립 군사 대학교의 포병 및 방공 학부, 바르나 의과대학 부속 기관이 이 도시의 고등 교육 기관이다. 슈멘 에피스코프 콘스탄틴 프레슬라브스키 대학교는 작은 천문 관측소를 운영한다.
6. 문화
6. 1. 주요 명소
슈멘에는 불가리아 건국 1300주년 기념비가 있는데, 이는 불가리아 건국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묘사한 기념비이다. 불가리아 제국 시대의 중요한 역사적 기념물인 슈멘 요새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파괴된 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슈멘 고원에 위치하고 있다.1904년 라파일 포포프가 설립한 고고학회의 후신인 지역 역사 박물관이 있다.
마다라 기마상은 세계 유산으로, 710년에 제작된 유럽 유일의 중세 암석 예술 작품이다. 이 유적은 슈멘에서 2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도시의 종교 건물로는 동방 정교회 성 삼위일체 대성당과 성 승천 바실리카, 그리고 불가리아에서 가장 크고 발칸 반도에서 가장 큰 모스크 중 하나인 세리프 할릴 파샤 모스크(툼불 모스크)가 있다. 1774년 오스만 제국 시대에 지어진 쿠르슌 체쉬메 분수도 있다.

7. 스포츠
FC 슈멘 1929는 PFC 슈멘 2010의 재정적 실패 이후 2013년부터 지역 축구 클럽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파나요트 볼로프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17][18][19] 농구, 배구, 핸드볼팀도 있으며, 대부분의 경기는 'Mladost' 스포츠 센터와 아레나 슈멘에서 열린다. 아레나 슈멘은 2018년에 개장한 2,300석 규모의 실내 경기장이다.
다른 스포츠 활동으로는 무술 (대부분 가라테)과 경마가 있다. 슈멘에는 자체 랠리 토너먼트인 '스타리 스톨리치'가 있다. 슈멘 모토피스타는 2016년에 재개장한 오토바이 스피드웨이 트랙으로 불가리아 유일의 스피드웨이 트랙이다.
8. 자매 도시
슈멘은 헝가리 데브레첸, 중국 정저우 시, 프랑스 마콩, 튀르키예 아다파자리, 루마니아 툴체아, 러시아 포돌스크, 우크라이나 헤르손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0]
9. 저명한 출신 인물
- 막심 베하르는 홍보 전문가이다.
- 하초 보야지예프는 영화 감독이다.
- 스토얀 다네프는 정치인이자 불가리아 총리를 2회 역임했다.
- 이반 도체프는 반공주의 정치인이다.
- 바실 드루메프(타르노보의 클레멘트)는 성직자이자 정치인으로, 불가리아 총리를 2회 역임했다.
- 솔로몬 골드스타인은 정치인이다.
- 니콜라이 군데로프는 수상 경력이 있는 극작가, 연출가, 시인, 배우이다.
- 유수프 이스마일은 레슬러였다.
- 바실 콜라로프는 정치인이자 공산주의 지도자였다.
- 토도르 콜레프는 배우였다.
- 라초 페트로프는 불가리아의 주요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다.
- 아흐메트 피크리 튀제르는 1942년 7월 8–9일 하루 동안 터키의 총리를 역임했으며, 당시 슈므누에서 출생했다.
- 슬라베나 바토바는 미스 불가리아 2006이다.
- 베네타 비체바는 합창 지휘자였다.
- 판초 블라디게로프는 작곡가, 교육자, 피아니스트였다.
- 파나요트 볼로프는 1876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불가리아 4월 봉기의 규르게보 혁명 위원회 조직자이자 지도자였다.
- 도브리 보이니코프는 작가이자 계몽가였다.
- 나데즈다 파나요토바는 성우 및 가수이다.
- 토니 스토라로는 가수, 작곡가이다.
- 피키는 가수이며, 토니 스토라로의 아들이다.
- 바실 스테파노프는 지휘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области, общини, местоживеене и пол | Национален статистически институт
https://nsi.bg/bg/co[...]
[2]
서적
Geograficheskie nazvaniya mira
Russkie slovari
1998
[3]
간행물
Shumla
[4]
문서
Светлана Венелинова, Развитие на селищната система през праисторическата епоха по горното и средното течение на река Голяма Камчия
https://museum-shume[...]
museum-shumen.eu
2018-03
[5]
웹사이트
К. Иречек -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 27
http://macedonia.kro[...]
[6]
서적
България и нейният народ под османска власт: през погледа на англосаксонските пътешественици (1586 – 1878)
https://www.worldcat[...]
ТАНГРА ТанНакРа
2013
[7]
서적
България и нейният народ под османска власт: през погледа на англосаксонските пътешественици (1586 – 1878)
https://www.worldcat[...]
ТАНГРА ТанНакРа
[8]
간행물
Светлини от шуменския дом
2017
[9]
웹사이트
Shumen, Bulgaria Travel Weather Averages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10]
웹사이트
Otrasal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 Towns population 1956-1992
http://statlib.nsi.b[...]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02-14
[13]
웹사이트
Cities of Bulgaria
http://pop-stat.mash[...]
2024-04-03
[14]
웹사이트
Population by age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nicity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Shumen
http://www.speedwayp[...]
2024-04-21
[17]
웹사이트
World Championship
https://dlprezes.pl.[...]
2024-02-06
[18]
웹사이트
World Championship
http://www.speedway.[...]
2024-02-06
[19]
웹사이트
Speedway World Cup
http://www.internati[...]
2024-02-06
[20]
웹사이트
Podolsk sister cities
https://translate.go[...]
2010-04-29
[21]
웹인용
Shumen, Bulgaria Travel Weather Averages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