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구덩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구덩이는 고고학, 종교, 민속, 건축 및 야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고고학에서는 불을 피우는 시설을, 종교와 민속에서는 신성한 공간이나 가족 간의 연결을 의미하며, 건축에서는 난로의 바닥을, 야금에서는 금속을 녹이는 장소를 가리킨다.
난로세는 비잔티움 제국과 영국에서 시행되었던 세금 제도이다. 비잔틴 제국에서는 '카프니콘'이라고 불렸으며, 니키포로스 1세 (802년~811년) 치세에 처음 언급되었지만, 실제로는 7세기경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에서는 1662년에 도입되어 1689년에 폐지되었다.[3]
2. 고고학적 특징





"hearth"(화덕)라는 단어는 불, 열, 화재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어근 '*ker-'에서 유래되었다.[1] 고고학에서 화덕은 모든 시대의 화덕 구덩이 또는 기타 화덕 유구를 말한다. 화덕은 선사 시대 야영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많은 시대의 일반적인 유구이며, 돌과 같은 광범위한 재료로 덮거나 덮지 않을 수 있다. 요리, 난방, 그리고 돌, 나무, 동물, 식물 자원 가공에 사용되었다. 때때로 농업이나 발굴과 같은 유적 형성 과정은 화덕 유구를 변형시키거나 분산시켜 면밀한 연구 없이는 식별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덮인 화덕은 불에 탄 돌의 존재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덮이지 않은 화덕은 식별하기가 더 어려운데, 불에 탄 돌, 조각난 물고기와 동물 뼈, 숯, 재 및 기타 폐기물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탄소화된 외골격과 같은 유기 화합물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과정을 통해 화덕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날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2. 1. 덮인 화덕
"hearth"(화덕)는 불, 열, 화재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어근 '*ker-'에서 유래되었으며, 'carbon'이라는 단어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1] 고고학에서 화덕은 모든 시대의 화덕 구덩이 또는 기타 화덕 유구를 말한다. 화덕은 선사 시대 야영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많은 시대의 일반적인 유구이며, 돌과 같은 광범위한 재료로 덮거나 덮지 않을 수 있다. 요리, 난방, 그리고 돌, 나무, 동물, 식물 자원 가공에 사용되었다. 때때로 농업이나 발굴과 같은 유적 형성 과정은 화덕 유구를 변형시키거나 분산시켜 면밀한 연구 없이는 식별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덮여 있는 화덕은 불에 탄 돌의 존재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데, 이는 종종 화덕 내부의 열이 돌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고 금이 가게 할 때 생성된다. 종종 조각난 물고기와 동물 뼈, 탄소(charcoal)화된 외골격, 숯, 재 및 기타 폐기물이 화덕 위에 퇴적된 층서의 토양에 모두 박혀 있다. 덮이지 않은 화덕은 식별하기가 더 어려운데, 이러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항목의 대부분이 유기 화합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과정을 통해 화덕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날짜를 정확히 찾아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화덕 사용자가 오래된 나무나 석탄을 태웠을 경우 탄소 연대 측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 과정은 매우 신뢰할 수 있다. 이것은 시원한 계절에 요리를 하고 실내 공간을 난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2. 2. 덮이지 않은 화덕
"화덕(hearth)"이라는 단어는 불, 열, 화재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어근 '*ker-'에서 유래되었다(carbon에서도 볼 수 있음).[1] 고고학에서 화덕은 모든 시대의 화덕 구덩이 또는 기타 화덕 유구이다. 화덕은 선사 시대 야영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많은 시대의 일반적인 유구이며, 돌과 같은 광범위한 재료로 덮거나 덮지 않을 수 있다. 요리, 난방, 일부 돌, 나무, 동물, 식물 자원 가공에 사용되었다. 때때로 농업이나 발굴과 같은 유적 형성 과정은 화덕 유구를 변형시키거나 분산시켜 면밀한 연구 없이는 식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덮이지 않은 화덕은 식별하기가 더 어려운데, 불에 탄 돌, 조각난 물고기와 동물 뼈, 숯, 재 및 기타 폐기물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탄소화된 외골격과 같은 유기 화합물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과정을 통해 화덕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날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화덕 사용자가 오래된 나무나 석탄을 태웠을 경우 탄소 연대 측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 과정은 매우 신뢰할 수 있다. 이는 시원한 계절에 요리를 하고 실내 공간을 난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3. 화덕세
난로세는 각 가구의 난로 수에 따라 부과되었으며, 가옥의 크기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되었다. 난로세 기록은 당시 가옥 규모와 분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지역 역사가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된다. 로햄튼 대학교는 난로세 데이터를 국가적 틀에 배치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3]
3. 1. 비잔틴 제국
비잔티움 제국(비잔틴 제국)에서는 '카프니콘'(kapnikon)으로 알려진 난로세가 니키포로스 1세(802년~811년) 치세에 처음 명시적으로 언급되었지만, 그 맥락상 이미 오래전부터 확립된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서기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카프니콘은 가난한 사람들을 제외하지 않고 모든 가구에 부과되는 세금이었다.[2]
3. 2. 영국
비잔틴 제국에서는 '카프니콘(kapnikon)'으로 알려진 난로세가 니케포로스 1세(802–811) 치세에 처음 명시적으로 언급되었지만, 그 맥락상 이미 오래 전부터 확립된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서기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카프니콘은 가난한 사람들을 제외하지 않고 모든 가구에 부과되는 세금이었다.[2]
영국에서는 1662년 5월 19일에 난로세가 도입되었다. 가구주들은 각 난로당 연간 2GBP의 세금을 납부해야 했으며, 지불액의 절반은 미카엘 축일에, 나머지 절반은 성모 영보 대축일에 납부해야 했다. 이 세금은 빈민 구제를 받는 사람, 연간 가치가 20GBP 미만인 가옥 소유자, 교회세와 빈민 세율을 모두 납부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면제되었다. 또한 학교, 구빈원과 같은 자선 단체와 대장간과 제빵사의 오븐을 제외한 산업용 난로도 면제되었다. 반환금은 1662년에서 1688년 사이에 평화 재판소 서기에게 제출되었다.[3]
1664년의 법 개정으로 굴뚝이 2개 이상인 모든 사람이 세금을 납부해야 했다.
이 세금은 윌리엄 3세에 의해 1689년에 폐지되었으며, 마지막 징수는 그 해 성모 영보 대축일에 이루어졌다. 스코틀랜드에서는 1690년에 폐지되었다.[3]
난로세 기록은 당시 평가된 각 가옥의 규모를 나타내므로 지역 역사가들에게 중요하다. 난로의 수는 일반적으로 가옥의 크기에 비례한다. 평가는 크고 작은 가옥의 수와 지역적 분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방에 난로가 있는 것은 아니며, 같은 크기의 모든 가옥이 정확히 같은 수의 난로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므로, 가옥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로햄튼 대학교는 각 카운티와 도시에 적용되는 일련의 표준 부의 밴드를 제공하여 난로세 데이터를 국가적 틀에 배치하는 지속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많은 반환금 목록이 출판되었으며, 원본 문서는 공공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 가장 유익한 반환금은 1662–1666년과 1669–1674년 사이에 발생했으며, 그 중 많은 수가 출판되었다.
4. 종교와 민속
그리스 신화의 헤스티아와 로마 신화의 베스타는 난로의 여신이다.[4]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조로아스터교 전통에 따라 모든 집에 희생과 기도를 바치는 난로를 두었다.[5] 알바니아 민속 신앙에서 집의 난로인 바테르는 과거, 현재, 미래 세대를 잇는 영적인 연결 고리이다.[5] 난로는 이교 종교에서 가족 구성원이나 지역 예배 그룹을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다.
4. 1. 그리스와 로마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헤스티아는 난로의 여신이며, 로마 신화에서는 베스타가 같은 역할을 한다.[4]4. 2. 페르시아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조로아스터교 전통에 따라 모든 집에서 희생과 기도를 바치는 난로를 두어야 했다.[5]4. 3. 알바니아
전통적인 알바니아 민속 신앙에서 집의 난로인 바테르는 과거, 현재, 미래 세대 간의 영적인 연결 고리이며, 부족의 선조를 오늘날의 가족과, 내일의 친족에게 연결한다.[5]5. 일본의 건물 화로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의 수혈 주거에서 지상로, 돌둘레 노, 토기 매설 노 등 다양한 형태의 화로가 발견되었다.[7] 고분 시대 중기 초에는 화로 대신 가마도가 도입되었는데, 초기에는 점토로, 중세 이후에는 사암 계통의 석재로 만들어졌다.[8]
5. 1. 고분 시대 이전
조몬 시대의 수혈 주거 노에는, 바닥면을 파서 움푹하게 만든 지상로, 돌로 가장자리를 만든 돌둘레 노, 바닥에 토기를 묻은 토기 매설 노 등이 있다.[7]5. 2. 고분 시대 중기 이후
고분 시대 중기 초, 화로를 대신하여 일본 열도에 도입된 가마도는 점토로 만들어졌다.[8] 중세 이후의 가마도에는 사암 계통의 석재가 자주 사용되었다.[8]6. 야금
야금용 노에서 평로(open hearth furnace|오픈 하스 퍼니스영어)에서 철을 녹이는 장소와 같이 가공 대상을 놓는 장소·구조물(평평하지 않을 수도 있음)이 로상(爐床)에 해당한다. 티타늄의 전자 빔 용해에서 녹은 티타늄을 정련하는 평평한 접시 모양의 장소도 외래어 그대로 "하스"라고 부르지만, 역시 로상(爐床)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7. 로상(炉床) 재료
장작을 때울 경우, 로상 부근은 700°C에서 800°C에 달한다[6]. 로 내 재료에는 내화 벽돌, 사암, 활석, 오야이시, 용암, 경석 콘크리트, 철판, 주철 등이 사용된다[6]. 사암은 많이 사용되어 온 내열재이지만 점토 성분이 많은 것은 갈라지는 경우가 있다[8].
난로의 로상은 장작의 연소를 촉진하기 위해 장작을 로상에서 수 센티미터 높은 위치로 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6]. 구체적으로 내화 벽돌 등으로 로상에 요철을 만들거나, 철 등으로 불 격자를 붙이거나, 장식을 겸한 파이어독(firedog, Andiron|파이어독영어)이라고 불리는 기구를 놓는 방법 등이 있다[6].
참조
[1]
웹사이트
'*ker- {{!}} Etymology of root *ker-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4-02-25
[2]
서적
Byzantium in the Seventh Century: the Transformation of a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Hearth Tax, other later Stuart Tax Lists, and the Association Oath Rolls
Federation of Family History Societies
[4]
서적
Handbook of classical mythology
ABC-CLIO
[5]
서적
A history of Zoroastrianism
E.J. Brill
[6]
서적
暖炉づくりハンドブック
建築資料研究社
[7]
웹사이트
赤塚遺跡
http://www.pref.akit[...]
秋田県
2020-04-26
[8]
서적
暖炉づくりハンドブック
建築資料研究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