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소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소수지는 화학 약품에 대한 내구성이 높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마찰 계수가 낮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1938년 듀폰의 로이 J. 플런켓 박사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플론)을 우연히 발견하면서 불소수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불소수지는 PTFE, PFA, FEP, ETFE, PCTFE, PVDF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내열성, 가공성, 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된다. 주요 상표로는 듀폰의 테플론, 다이킨 공업의 네오프론, AGC의 플루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가소성 플라스틱 -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중합으로 만들어진 열가소성 폴리머로, 내화학성, 내열성, 가벼움 등의 장점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폐기물과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 열가소성 플라스틱 - ETFE
    ETFE는 강도가 높고 자외선에 강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불소 기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건축, 항공 우주, 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유기 플루오린 화합물 - 플루니트라제팜
    플루니트라제팜은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향정신성 약물로, 심각한 불면증 치료 및 전마취제로 사용되지만 전향성 기억상실을 유발하여 데이트 강간 약물로 악용될 수 있어 제형 변경 및 국가별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 유기 플루오린 화합물 - 베타메타손
    베타메타손은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진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 다양한 제형으로 출시되어 피부 질환 및 내과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지만, 장기 사용 시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고분자 - 유기 반도체
    유기 반도체는 탄소 기반 유기 분자로 구성된 반도체 물질로, 넓은 밴드갭을 가지며 전하 주입, 도핑, 광여기 등을 통해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고, OLED, 유기 태양 전지, OFET 등의 광전자 소자에 활용되며 제작 용이성, 유연성, 저렴함 등의 장점을 가진다.
  • 고분자 - 실리콘
    실리콘은 실록산 결합을 주 골격으로 하는 유기규소 화합물인 폴리실록산으로, 다양한 유기 치환기를 포함하여 여러 특성을 지니며,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지만, 일부 고리형 실록산의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우려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불소수지
개요
종류플루오로폴리머
구조탄소-플루오린 결합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
특징높은 내열성
내화학성
낮은 표면 에너지
역사
발견1930년대 (초기 플루오로폴리머)
개발제2차 세계 대전 중 및 이후 (상업적 응용)
주요 플루오로폴리머 종류
PTFE테플론으로 더 잘 알려져 있음
PVDF압전 특성을 가짐
FEPPTFE와 유사한 특성, 더 나은 가공성
PFAFEP와 유사한 특성, 더 높은 온도 저항
ECTFE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 우수
ETFEECTFE와 유사한 특성, 더 나은 내방사선성
PVF내후성이 우수
특성
내열성고온에서도 안정적
내화학성대부분의 화학 물질에 불활성
낮은 표면 에너지비점착성
전기 절연성우수한 절연체
낮은 마찰 계수마찰이 적음
내후성자외선 및 환경 조건에 강함
제조
중합 방법라디칼 중합
이온 중합
모노머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FE)
불화 비닐리덴 (VDF)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HFP)
응용 분야
코팅비점착 코팅 (예: 프라이팬)
씰 및 개스킷화학적 환경에서의 사용
전선 및 케이블 절연높은 절연성 활용
멤브레인분리 공정
의료 기기생체 적합성
자동차 산업연료 라인, 씰
추가 정보
환경 영향일부 플루오로폴리머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
재활용플루오로폴리머 재활용 기술 개발 노력

2. 역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플론)은 1938년 듀폰의 로이 J. 플런켓 박사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맨해튼 계획에서 우라늄235 농축 공정에 사용되었으며, 플루오린 등에 견딜 수 있는 라이닝 소재로 개발되어 전쟁 후 상업화되었다.

2. 1. 발견

1938년, 듀폰에 새로 고용된 로이 J. 플런켓 박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듀폰의 상표명 테플론)을 우연히 발견했다. 냉매 개발을 위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가스를 사용하던 중, 그는 이전에 압력을 가했던 실린더에 압력이 남아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린더를 해부한 결과, 그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가스와 비슷한 양의 흰색 고체 덩어리를 발견했다. 이 물질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중합체로 밝혀졌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은 대부분의 산, 염기 및 용매에 의한 부식에 강하며 다른 어떤 플라스틱보다 우수한 고온 안정성을 가지고 있었다. 1941년 초, 테플론은 맨해튼 계획을 위해 대량 생산되는 긴급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맨해튼 프로젝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2차 세계 대전미국의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우라늄235 농축 공정에 사용되었다. 플루오린이나 플루오린화 수소산에 견딜 수 있는 라이닝 소재로 개발되어, 전쟁 후 상업화되었다. 1941년 초, 듀폰의 상표명인 테플론 대량 생산 긴급 프로그램이 맨해튼 계획을 위해 시작되었다.[1]

3. 특징

화학 약품에 대한 내구력과 전기 절연성이 높고, 표면의 마찰 계수는 알려진 물질 중 가장 낮으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이고 불연성이기 때문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용되고 있다.[1] 듀폰 사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프레온을 연구하던 로이 플런켓 박사에 의해 1938년 프레온의 우발적인 중합 반응으로 발명되었다.[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미국에서 제2차 세계 대전맨해튼 계획우라늄-235우라늄 농축 공정에서 불소나 불산에 견딜 수 있는 라이닝 소재로 개발되어, 전후에 산업화되었다.[1] 프라이팬이나 다리미의 눌어붙음 방지용 및 이형제로 일상용품에도 이용된다.[1]

최초로 개발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260°C의 내열성을 가지지만 열가소성을 나타내지 않아 가공성이 좋지 않은 소재이다.[1] 가압 성형 소성법, 압출 성형법으로 성형한다.[1]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 완전히 불소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불소기 일부를 수소 또는 염소로 치환하거나, 올레핀으로 한 다양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나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가 개발되었다.[1] 이들 수지는 내열성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미치지 못하지만 가공성은 높고, 압축, 압출, 사출 성형이 가능한 소재이다.[1]

금속 부품에 정전 분체 코팅(파우더 코트)하거나, 에폭시 수지와 함께 시트 형태로 가공되어, 금속제 또는 비금속성 운송 컨테이너의 내장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1]

불소수지는 탄화수소보다 반 데르 발스 힘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에서 불소화합물과 유사한 특성을 공유한다. 이는 비점착성 및 마찰 감소 특성에 기여한다. 또한, 다중 탄소-플루오린 결합이 화합물에 안정성을 더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불소수지는 기계적으로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분류될 수 있다. 불소수지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될 수 있다.

4. 분류

불소수지는 탄화수소보다 반 데르 발스 힘의 영향을 덜 받아 불소화합물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이는 비점착성 및 마찰 감소 특성에 기여한다. 또한, 다중 탄소-플루오린 결합이 화합물에 안정성을 더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불소수지는 기계적으로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분류될 수 있다.


  • 완전 불소화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 부분 불소화 수지: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PCTFE),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폴리불화비닐 (PVF)
  • 불소화 수지 공중합체: 퍼플루오로알콕시 불소 수지 (PFA),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FEP),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 (E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ECTFE)

4. 1. 완전 불화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사불소화 수지, 약호: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 2. 부분 불화수지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삼불소화 수지, 약호: PCTFE, CTFE)

폴리불화비닐리덴 (약호: PVDF)

폴리불화비닐 (약호: PVF)

4. 3. 불소수지 공중합체


  • 퍼플루오로알콕시 불소 수지 (약호: PFA)
  •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약호: FEP)
  •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 (약호: ETFE)
  •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약호: ECTFE)

5. 응용 분야

화학 약품에 견디는 내구력이나 전기 절연성이 높고, 표면의 마찰 계수가 기존 물질 중 가장 낮으며, 고온에도 안정된 불연성을 지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용된다.[21] 듀폰사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플루오린을 연구한 로이 플런켓 박사에 의해 1938년에 플루오린의 중합 반응으로 발명되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미국에서 제2차 세계 대전맨해튼 계획우라늄-235 농축 공정에 플루오린이나 불산에 견디는 라이닝 소재로서 개발되어, 전쟁 후 공업화되었다.[21] 프라이팬이나 금속의 타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형제로서 일회용품으로도 사용된다.

최근 개발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은 260°C에 내열성을 가지지만, 열가소성이 없고 가공성이 나쁜 소재이다.[21] 가압성형소성법, 압출 성형법에 따라 제작한다.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 완전 플루오린화시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플루오린기는 일부를 수소 또는 염소로 치환해, 올레핀으로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수지나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등이 개발되었다.[21] 이들 수지는 내열성으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가공성은 높고, 압축, 압출, 사출 성형이 가능한 소재이다.

금속 부품의 분체 정전 코팅을 하거나 에폭시 수지와 함께 시트상에서 가공되어, 금속제 또는 비금속성 운송 컨테이너에 내장되어 사용하기도 한다.[21]

특성시험 방법단위PTFEFEPPFAETFEECTFEPCTFEPVDF
비중D792-2.172.152.151.71.72.151.78
항복 강도D638MPa101215.524314046
항복 강도D638PSI1,4501,7402,2503,4804,5005,8006,670
신율D638%200-500250-350300200-500200-30080-25020-150
인장 탄성 계수D638MPa6005007001500165515002400
인장 탄성 계수D638ksi8772.5101.5217.5240218348
경도D2240Shore D60576275759079
HDT, @ 66 PSID648°F약 121.1°C약 70.0°C약 73.3°C약 103.9°C약 115.6°C약 120.0°C약 148.9°C
HDT, @ 264 PSID648°F약 50.0°C약 53.9°C약 47.8°C약 71.1°C약 76.1°C-약 115.0°C
한계 산소 지수D2863%>95>95>9530-36
유전율D1501 MHz2.12.12.12.6


6. 주요 상표

다음은 불소수지의 주요 상표이다.

상표명제조사종류
테프론®(Teflon®)케머스(구 듀폰)불화수지류(PTFE, PFA, FEP)
테프젤®(Tefzel®)듀폰ETFE
칼레츠®(Kalrez®)듀폰FFKM
바이톤®(Viton®)케머스(구 듀폰)불소고무류(FPM / FKM)
테들러®(Tedlar®)듀폰PVF
폴리프론™(Polyflon™)다이킨 공업PTFE
네오플론™(Neoflon™)다이킨 공업PFA, FEP, CTFE, ETFE
다이엘™(Daiel™)다이킨 공업불소고무류
뎀넘™(Demnum™)다이킨 공업불소오일류
플루온®(Fluron®)AGCPTFE・PFA・ETFE
헤일라®(Halar®)솔베이ECTFE
하일라®(Hylar®)솔베이PVDF
카이나®(Kynar®)아르케마PVDF
테크노플론®(Tecnoflon®)솔베이FKM, FFKM
레아프론®(NOK®)NOK (기업)PTFE
다이니온®(Dyneon®)3MFKM, FFKM, PTFE
Kel-F®3MPCTFE (1995년에 생산 중단)


참조

[1] 서적 The Magic of Chemistry Eastleigh:BDH
[2] 서적 Modern Fluoroorganic Chemistry: Synthesis, reactivity,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2011-05-07
[3] 서적 Science and Corporate Strategy: DuPont R&D, 1902–198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Overview on the history of organofluorine chemistry from the viewpoint of material industry
[5] 문서 Tedlar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DuPont
[6] 서적 THERMOPLASTIC MATERIALS Properties, Manufacturing Methods, and Applications CRC Press
[7] 문서 Kynar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Arkema, Inc.
[8] 문서 Solef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Solvay specialty polymers S.p.A.
[9] 문서 Hylar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Solvay specialty polymers S.p.A.
[10] 웹사이트 PCTFE plastic (polytetrafluoroethylene) - SPN technical plastic manufacturer https://www.plastiqu[...] 2022-03-07
[11] 웹사이트 Typical Properties of Fluropolymers http://fluorotherm.c[...] Fluorotherm 2014-04-09
[12] 문서 Hyflon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Solvay Solexis S.p.A.
[13] 문서 Fluon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Asahi Glass Company]]
[14] 문서 Tefzel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DuPont
[15] 문서 Halar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Solvay Solexis S.p.A.
[16] 문서 Kalrez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DuPont
[17] 문서 Tecnoflon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Solvay Solexis]] S.p.A.
[18] 문서 Viton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DuPont
[19] 문서 AFLAS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AGC(Asahi Glass Co, Ltd.)
[20] 문서 Krytox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DuPont
[21] 웹사이트 Typical Properties of Fluoropolymers http://fluorotherm.c[...] Fluorotherm 2014-04-09
[22] 문서 テフロンは単一物質に対してではなく同社が販売するさまざまなフッ素樹脂に使用される商標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