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레슬라우 전투는 1757년 11월 22일, 7년 전쟁 중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슐레지엔 지역을 두고 벌어진 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은 브라운슈바이크-베베른 공작이 이끄는 프로이센군을 격파하고 브레슬라우를 점령했다. 그러나 이후 프리드리히 2세가 로이텐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어 브레슬라우는 다시 프로이센의 손에 들어갔다. 브레슬라우 전투는 7년 전쟁의 중요한 국면 중 하나였으며, 슐레지엔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벌어진 치열한 공방전의 일환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로츠와프의 역사 - 브레슬라우 포위전
    브레슬라우 포위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독일의 도시 브레슬라우를 소련군이 포위하고 점령하기 위한 전투였다.
  • 1757년 11월 - 로스바흐 전투
    로스바흐 전투는 1757년 7년 전쟁 중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가 프랑스-신성 로마 제국 연합군을 상대로 90분 만에 거둔 결정적인 승리이며, 프리드리히 2세의 기동전술과 자이들리츠 기병대의 활약으로 프로이센군이 병력 열세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어 7년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 1757년 오스트리아 - 프라하 전투
    프라하 전투는 1757년 7년 전쟁 중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의 전투로, 프로이센이 승리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고 이후 콜린 전투에서 패배하여 전략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 1757년 오스트리아 - 콜린 전투
    콜린 전투는 1757년 6월 18일, 프리드리히 2세의 프로이센군과 다운 원수의 오스트리아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프로이센군은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에 패배하여 프라하 공략을 포기하고 퇴각했다.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일부제3차 슐레지엔 전쟁 (7년 전쟁)의 일부
날짜1757년 11월 22일
장소브레슬라우, 프로이센 왕국 (현재 폴란드)
결과오스트리아의 승리
브레슬라우 전투 지도
전투 지도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로이센 [[파일:Flag of the Kingdom of Prussia (1750-1801).svg|테두리|가운데|90px]]
교전국 2오스트리아 [[파일:Flag of the Habsburg Monarchy.svg|가운데|93px]]
지휘관 및 병력
프로이센 지휘관브라운슈바이크-베베른 공작 아우구스트 빌헬름
오스트리아 지휘관카를 알렉산더 폰 로트링겐
프로이센 병력28,000명
오스트리아 병력60,000명
피해 규모
프로이센 피해사망 및 부상 6,350명, 포로 3,800명
오스트리아 피해5,857명

2. 7년 전쟁의 배경

7년 전쟁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1–1748) 이후 유럽에서 벌어진 분쟁이다. 1748년 엑스라샤펠 조약으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슐레지엔 지역을 획득했다. 오스트리아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는 군사력을 재건하고 새로운 동맹을 맺기 위해 조약에 서명했고, 신성 로마 제국에서 지배력을 되찾고자 했다.[1]

1754년 북아메리카에서 영국과 프랑스 간 긴장이 고조되자, 마리아 테레지아는 슐레지엔을 되찾고 프로이센의 커져가는 힘을 억제할 기회를 얻었다. 프랑스 역시 대서양 무역에서 영국의 지배력을 깨뜨리려 했다.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오랜 경쟁 관계를 뒤로하고 동맹을 맺었다. 영국은 프로이센 왕국과 동맹을 맺었고, 이 동맹은 하노버와 헤센-카셀 방백령까지 포함했다. 이러한 일련의 정치적 변화는 외교 혁명으로 불린다.[2]

조선의 입장에서 7년 전쟁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유럽 열강의 세력 확장이 동아시아에까지 미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3. 브레슬라우 전투 이전의 상황

7년 전쟁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연장선상에서, 프로이센오스트리아로부터 슐레지엔 지역을 획득하면서 시작되었다. 오스트리아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는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고 프로이센의 세력 확장을 막기 위해 군사력을 재건하고 새로운 동맹을 맺었다.[1] 1754년, 북아메리카에서 영국과 프랑스 간의 긴장이 고조되자, 오스트리아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고, 영국은 프로이센과 동맹을 맺었다. 이를 외교 혁명이라 부른다.[2]

프리드리히 2세작센 공국을 점령하고 보헤미아에서 프라하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 프랑스군이 하노버 공국을 침공하자 서쪽으로 이동하여 로스바흐 전투에서 프랑스-오스트리아 연합군을 격파했다. 프리드리히 2세가 자리를 비운 사이, 오스트리아군은 슐레지엔 탈환에 성공했다. 로렌 공작 카를 알렉산더는 슈바이트니츠를 점령하고 슐레지엔의 브레슬라우로 진격했다.[3]

브라운슈바이크-베베른의 아우구스트 빌헬름 공작은 32,000명의 병력으로 슐레지엔 방어를 맡았으나, 로렌 공작 카를 알렉산더와 레오폴트 요제프 폰 다우가 이끄는 54,000명의 오스트리아군과 맞서야 했다. 프란츠 레오폴트 폰 나다스디 휘하의 28,000명 규모의 군단도 전선에 합류할 수 있었다. 나다스디 군단이 증원되어 병력이 43,000명으로 늘어나자, 오스트리아군은 10월 14일에 슈바이트니츠를 포위하여 11월 13일에 함락시켰다. 이후 오스트리아군은 프로이센 주력군이 도착하기 전에 브레슬라우를 점령하여 프로이센군의 슐레지엔 겨울나기를 막으려는 의도로 즉각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콜린 전투에서 패배한 프로이센은 북쪽의 러시아 제국군, 서쪽의 프랑스 왕국군과 신성 로마 제국 제후군에 의해 수세에 몰렸다. 프리드리히 대왕은 슐레지엔 탈환을 목표로 남쪽에서 접근하는 8만 명이 넘는 오스트리아군 주력에 맞서기 위해 서쪽으로 이동했다. 슐레지엔 방어는 브라운슈바이크-베베른 공 아우구스트 빌헬름이 맡았지만, 병력은 오스트리아군의 절반 수준이었다.

9월 7일, 오스트리아군은 모이스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격파하고, 11월 13일까지 슈바이트니츠를 함락시켰다. (1차 슈바이트니츠 포위전). 슈바이트니츠를 점령한 오스트리아군은 슐레지엔의 중심지인 브레슬라우로 진격했다. 브레슬라우는 프로이센군에게 중요한 보급 기지이자 전략적 요충지였다.

프로이센군과 오스트리아군의 병력 규모는 다음과 같다.

구분프로이센군오스트리아군
총 병력28,400명83,606명
대대40개96개
기병대102개141개
척탄병 중대-93개
-228문


4. 브레슬라우 전투의 진행 과정

11월 22일, 로렌 공작 카를 알렉산더는 브레슬라우 성문 밖에서 프로이센군을 공격하며 포격으로 전투를 시작했다. 프로이센군은 코젤과 그레브첸 마을 주변에 야전 축성을 통해 요새화된 진지를 구축하고 세 지점에서 공격을 받았다. 오스트리아군은 우세한 화력과 병력을 앞세워 맹렬한 포격을 가한 후 서쪽에서 남쪽으로 넓은 전선에서 총공격을 가했다.[1]

처음에 오스트리아군은 몇몇 마을을 점령하고 곡사포를 배치하여 포격을 강화했다. 이에 브라운슈바이크-베베른 공작은 10개 연대를 이끌고 반격에 나섰다. 마을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프로이센군은 오스트리아군을 상대로 몇 차례 결정적인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밤이 되자 프로이센군은 힘이 다해 패주하기 시작했고, 결국 전투 현장은 카를 공작에게 넘어갔다. 프로이센군은 브레슬라우를 거쳐 글로가우로 후퇴했다.

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은 5,723명, 프로이센군은 6,350명의 사상자를 냈다. 프로이센군 지휘관 아우구스트 빌헬름은 포로로 잡혔다.[1]

클라우제비츠는 자신의 저서 전쟁론에서, 프로이센군이 오스트리아군이 전투를 위해 전진해 왔을 때 브레슬라우 방면으로 전선을 낮춰 본격적인 전투를 피하고 시간을 벌어 대왕이 이끄는 프로이센군 주력의 지원을 기다렸어야 했다고 평가했다.[1]

5. 브레슬라우 전투의 결과

요한 게오르크 폰 레스트비츠 장군 휘하의 프로이센군 10개 대대가 남은 브레슬라우 요새는 오스트리아군에게 포위되었다. 브레슬라우 주민들은 친오스트리아 성향이 강해 프로이센군에게 요새를 비우라고 압박했고, 프로이센 탈영병을 돕기까지 했다.[4]

전투 패배와 징집병 비율이 높은 탓에 프로이센군의 사기는 매우 낮았고, 규율도 무너졌다. 결국 레스트비츠는 11월 25일 밤, 방해받지 않고 철수하는 조건으로 항복했다. 4,227명의 프로이센군 중 599명만이 글로가우로 향했고 나머지는 탈영했다.[4]

브레슬라우 시내에는 10개 대대 규모의 수비 부대가 남아 있었지만, 이들은 현지 시민과 작센군 포로로 구성되어 사기가 낮았다. 패전 소식에 병사들은 도주했고, 시민들은 항복 압력을 가했다. 결국 지휘관은 11월 25일 항복했다.[4]

이러한 상황은 프리드리히 대왕의 작전 계획을 완전히 바꾸게 만들었다. 프리드리히 2세는 로스바흐 전투에서 프랑스-오스트리아 연합군을 격파한 후, 12일 만에 272km를 이동하여 로이텐 전투에서 승리했다.[4] 이후 짧은 포위전 끝에 1757년 12월 말, 프로이센은 브레슬라우를 탈환했다.[5][6]

오스트리아는 슐레지엔 주요 지역을 장악했지만, 로스바흐 전투로이텐 전투에서 프로이센이 승리하면서 슐레지엔을 둘러싼 싸움은 5년간 더 이어졌다.

6. 로이텐 전투와 전세 역전

프리드리히는 영국 동맹국인 하노버를 방어하기 위해 서쪽으로 행군하던 중, 브레슬라우 함락 소식을 듣고 작전 계획을 완전히 변경해야 했다. 그러나 그는 방향을 바꾸기 전 로스바흐 전투에서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 연합군을 격파했다.[4] 전투 후, 그는 방향을 바꿔 12일 만에 272km를 이동하여 로이텐에 도착했다. 거기에서 그는 1757년 12월 4일에 카를 공과 다우를 모두 속이는 훌륭하게 고안된 기동 및 책략 계획을 실행했다. 로이텐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도시를 방어하던 오스트리아군 대부분이 철수했지만, 솔로만 슈프레허 폰 베르네크가 지휘하는 17,000명의 수비대와 물자, 탄약을 남겨두었다. 짧지만 잔혹한 포위전 후, 프리드리히는 1757년 12월 말에 항복을 강요했다.[5][6] 이 일련의 전투들로 오스트리아는 슐레지엔 주요부를 제압했지만, 결국 로이텐 전투의 승리로 슐레지엔을 둘러싼 싸움은 이후 5년이나 더 계속되었다.

7. 슐레지엔 분쟁의 지속과 역사적 의의

7년 전쟁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1–1748) 이후 엑스라샤펠 조약을 통해 프로이센슐레지엔 지역을 획득하면서 시작되었다.[1] 오스트리아마리아 테레지아는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고 프로이센의 성장을 견제하기 위해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고, 프로이센은 영국과 동맹을 맺으면서 외교 혁명이라 불리는 일련의 정치적 변화가 일어났다.[2]

프리드리히 2세는 작센 공국을 점령하고 보헤미아에서 프라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로스바흐 전투에서 프랑스-오스트리아 연합군을 격파한 후 로렌 공작 카를 알렉산더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에게 슐레지엔을 빼앗겼다.[3]

참조

[1] 서적 The Heart of Europe: A History of the Holy Roman Empire Penguin Publishing 2016
[2] 논문 "The Diplomatic Revolution" in J.O. Lindsay, ed.,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7, The Old Regime: 1713–63'' 1957
[3] 서적 Crucible of War: The Seven Years' War and the Fate of Empire in British North America, 1754–1766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
[4]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5] 서적 Frederick the Great and the Seven Years' War, 1756–1763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6] 간행물 Diarium der Belagerung von Breslau; und Capitulations-Puncte von der Uebergabe an Se. Königl. Majestät in Preussen: Nebst einem Verzeichniß mit Nahmen, derer Generals, Staabs-Officiers und andern Officiers, dann vom Feldwebel an summariter derer Kayserl. Königl. Trouppen, so den 21ten December https://books.google[...] Berlin 1757-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