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는 키예프 대공국의 공작으로, 프세볼로트 1세의 아들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9세의 외손자이다. 그는 1073년부터 스몰렌스크 공작, 체르니히우 공작, 페레야슬라우 공작을 거쳐 1113년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쿠만족을 정벌하고 키예프 대공국의 통일을 회복했으며, '모노마흐 법전'을 편찬하는 등 내정을 다졌다. 블라디미르는 1125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므스티슬라프 1세가 뒤를 이었다. 그는 웨식스의 기타, 비잔티움의 에우페미아, 킵차크족 칸의 딸과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3년 출생 - 시라카와 천황
시라카와 천황은 일본의 72대 천황으로, 고산조 천황의 아들이며, 호리카와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원정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고 섭관정치를 약화시키며 천황 중심의 정치 체제 확립과 호쇼지 건설을 통해 불교를 장려했다. - 1053년 출생 -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는 1071년 푸아티에에서 앙주 백작 앙리 2세와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사이에서 태어나 푸아티에 백작령의 상속자가 되었으며, 그의 출생은 잉글랜드 왕위 계승에 영향을 미쳤다. - 1125년 사망 - 블라디슬라프 1세
블라디슬라프 1세는 프르셰미슬 왕조 출신으로 1109년부터 1125년까지 보헤미아 공작으로 재임하면서 폴란드 압력, 공작위 경쟁 속에서 보헤미아를 통치하고 신성 로마 제국과 관계를 유지하며 독일인 정착 장려, 클라드루비 수도원 설립 등 종교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125년 사망 - 다비트 4세
다비트 4세는 11세기 말부터 12세기 초에 조지아 왕국을 통치한 군주로, 군사적 능력과 정치 개혁을 통해 조지아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셀주크 제국으로부터 조지아를 해방시키고 국가를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키예프 대공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키예프 대공 - 야로폴크 2세
야로폴크 2세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아들로, 1132년부터 1139년까지 키예프 대공으로 재위했으나, 모노마흐 가문 내부 갈등과 스뱌토슬라프 가문의 도전, 그리고 폴로츠크 공국의 부흥으로 인해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가며 키예프 대공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키예프 대공 |
본명 | 블라디미르 프세볼로도비치 |
다른 이름 | 볼로디미르 모노마흐 |
통치 | |
즉위 | 1113년 |
퇴위 | 1125년 |
선임자 | 스뱌토폴크 2세 |
후임자 | 므스티슬라프 1세 |
생애 | |
출생 | 1053년 5월 26일 |
사망 | 1125년 5월 19일 |
사망 장소 | 키예프 |
매장지 | 성 소피아 대성당, 키예프 |
가족 | |
배우자 | 기타 오브 웨식스 에우페미아 세 번째 아내 (이름 미상) |
자녀 | 므스티슬라프 1세 이자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 스뱌토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 야로폴크 2세 뱌체슬라프 1세 마리나 블라디미로브나 로만 오브 볼히니아 키예프의 에우페미아 아가피아 (아가타) 유리 (게오르기) 돌고루키 안드레이 오브 볼히니아 |
아버지 | 프세볼로트 1세 |
어머니 | 그리스 공주 |
왕가 | |
가문 | 류리크 |
왕조 | 류리크 왕조 |
종교 | |
종교 | 동방 정교회 |
기타 작위 | |
작위1 | 스몰렌스크 공작 |
통치 기간1 | 1073년–1078년 |
작위2 | 체르니고프 공작 |
통치 기간2 | 1076/8년–1094년 |
선임자2 | 프세볼로트 1세 |
후임자2 | 올레크 1세 |
작위3 | 페레야슬라블 공작 |
통치 기간3 | 1094년–1113년 |
2. 생애
프세볼로트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9세(콘스탄티누스 9세 모노마쿠스) 황제의 딸이며 그의 이름 또한 여기서 유래되었다. 1073년부터 1078년까지 스몰렌스크 공작, 1078년부터 1094년까지 체르니히우 공작, 1094년부터 1113년까지 페레야슬라우 공작을 역임했다.
스뱌토폴크 2세와는 사촌 관계로, 그의 치세 동안 긴장된 대립 관계에 있었다. 1093년 이후, 블라디미르는 자신의 상속지인 페레야슬라블-루스키 외에, 북쪽의 수즈달, 로스토프를 지배했으며, 후에 대공국의 수도가 되는 블라디미르를 포함해 여러 도시를 건설했다. 1097년 류베치 제후 회의를 포함하여 내분을 해소하고 유목민과의 싸움에 대비하기 위해 제후 회의를 세 차례 조직했다. 1096년에는, 스뱌토폴크를 따라 폴로베츠 족의 원정에 동행했다.
1113년 스뱌토폴크 2세가 사망하자, 키예프 주민들은 반란을 일으켜 블라디미르의 즉위를 요구했다. 블라디미르는 키예프에 평화롭게 입성하여 1125년까지 대공위를 유지했다. 그는 키예프 주민들의 생활을 개선하고 쿠만인을 정벌하는 등 정력적인 활동을 펼쳤다.
1125년 5월 19일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키예프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6]
2. 1. 가계와 초기 생애
프세볼로트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9세(콘스탄티누스 9세 모노마쿠스)의 딸이며, 그의 이름 또한 여기서 유래되었다. 1073년부터 1078년까지 스몰렌스크 공작, 1078년부터 1094년까지 체르니히우 공작, 1094년부터 1113년까지 페레야슬라우 공작을 역임했다.그의 어머니의 이름과 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비잔틴 자료에는 이 결혼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으며, ''원초 연대기''에는 그의 아버지 프세볼로트가 그를 '차르 차리차 그르키나', 즉 "그리스 공주"와 낳았다고만 기록되어 있다. 블라디미르 프세볼로도비치에게 나중에 '모노마흐'라는 별명이 붙여졌다는 사실은 그의 어머니가 당시 통치자 콘스탄티누스 9세와 같은 비잔틴 모노마코스 가문의 일원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당시 비잔틴 명명 관례에 따르면, 어머니의 가문이 아버지의 가문보다 더 고귀하다고 여겨질 경우 어머니의 성을 채택할 수 있었다.
16세기 초에 쓰여진 후대의 허구적인 이야기인 ''블라디미르 공작의 이야기''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프세볼로도비치는 전쟁에서 콘스탄티누스 모노마코스를 물리쳤고, 콘스탄티누스는 그에게 많은 선물을 제공하며 평화를 구걸했으며, 이후 블라디미르 프세볼로도비치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는 블라디미르가 불과 1년 반이었던 1055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이는 불가능하다. 그는 ''원초 연대기''에서는 '모노마흐'라고 불리지 않으며, 1126년(오류)의 찬사에서 처음으로 '볼로디메르 모노마흐'로 등장한다. 이는 키예프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그의 인장에서도 발견되었다.
2. 2. 키예프 대공 즉위와 통치
1113년 스뱌토폴크 2세 대공이 사망하면서 키예프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이에 블라디미르 2세가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했다.[7] 그는 키예프 주민들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개혁을 실시하고, 키예프 대공국을 위협하던 쿠만인을 정벌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스스로 83번의 군사 원정을 수행했고, 19번 폴로브치와 화해했다고 밝혔다.[6]1107년에는 키예프 루스를 침공한 쿠만 칸 보니악을 격파했다. 1111년에는 오늘날의 이줌으로 추정되는 Сальница (летописная река)|살니치 강ru에서 쿠만족 군대를 격파했다.[7]
블라디미르 2세는 고대 루스 제후들을 대초원과의 투쟁에서 통일시키기 위해 세 차례 제후 회의를 소집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1097년 류베치 회의와 1103년 돌롭스크 회의였다.
그는 조부 야로슬라프 1세가 만든 법규 루스카야 프라다를 상세화하고 보완한 "모노마흐 법전"을 공포하여 수도의 사회적 긴장을 완화했다. 그의 통치 시기는 고대 루스가 마지막으로 번성한 시기로 평가받으며, 후대에는 그의 통치를 키예프의 황금기라고 불렀다.
1125년 5월 19일 사망 후 그의 시신은 키예프의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그의 이름과 관련된 수많은 전설이 있는데, 콘스탄티노플에서 루스로 블라디미르의 성모와 모노마흐의 모자라고 불리는 블라디미르/모스크바 왕관 등 귀중한 성물들을 이송했다는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2. 3. 죽음과 유산
1125년 5월 19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키예프의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에 안치되었다.[6] 그는 자신의 자녀들에게 보내는 유명한 ''교훈서''(일명 ''유언'')에서 83번의 군사 원정을 수행했고, 19번 폴로브치와 화해했다고 언급했다.[7]블라디미르 모노마흐는 성 소피아 대성당에 묻혔다. 다음 세대들은 종종 그의 통치를 그 도시의 황금기라고 불렀다. 모노마흐의 이름과 관련된 수많은 전설들이 있는데, 여기에는 콘스탄티노플에서 루스로의 블라디미르의 성모와 모노마흐의 모자라고 불리는 블라디미르/모스크바 왕관과 같은 귀중한 성물들의 이송이 포함된다.

잦은 내란과 외적의 침입으로 쇠퇴해 가던 대공국을 중흥시키고, 후세에 가장 인기 있는 키예프 대공이 되었다. 블라디미르는 폴로베츠 족(킵차크 또는 쿠만)과의 전투에서 전과를 올리고, 키예프 대공국 전체의 통일을 회복했다. 모노마흐라는 별명은, 외할아버지인 동로마 황제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에서 유래했다. 블라디미르는 모계 혈통을 통해 동로마 황실, 더 나아가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와 아르메니아 출신 레오 5세의 혈통에 속하여 외교 면에서 큰 이점이 있었다.
1113년 스뱌토폴크 2세가 사망하자, 키예프 주민들은 즉시 폭동을 일으켜, 블라디미르의 즉위를 요구했다. 블라디미르는 키예프에 평화롭게 입성하여, 이후 1125년까지 공위를 유지했다. 그는 생애에 "큰 원정을 83번이나 했다"고 스스로 말할정도로 정력적으로 활동했다. 또한 내정 면에서는, 조부 야로슬라프 1세가 만든 법규 루스카야 프라다를 상세화하고 보완하는 "모노마흐 법전"을 만들었다. 블라디미르는 복종하지 않는 제후들로부터 영지를 몰수하여, 아들들에게 줌으로써, 최종적으로 국토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었다. 블라디미르 사후에는 아들 므스티슬라프 1세가 뒤를 이어, 공국의 안정을 유지했다.
3. 가족 관계
블라디미르 2세는 세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전사한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의 딸 웨식스의 기타로, 둘 사이에는 므스티슬라프 1세를 포함한 다섯 아들이 태어났다. 첫 번째 부인 혹은 두 번째 부인에게서 낳은 것으로 추정되는 딸 마리나 블라디미로브나는 로마노스 4세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며 비잔틴 제국의 왕위를 찬탈한 레온 디오게네스와 결혼했다.
두 번째 부인은 비잔티움 귀족 출신인 에우페미아였다. 이 결혼으로 로만, 키예프의 에우페미아, 아가피아(아가타), 유리, 안드레이 등 최소 다섯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세 번째 부인은 쿠만족 칸 아에파 오체네비치의 딸이었다. 그녀의 부족은 투르크계 유목민 연합인 킵차크족에 속했다. 다만, "원초 연대기"에는 아에파가 유리 돌고루키의 장인으로 기록되어 있어, 블라디미르가 아들을 위해 결혼을 주선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1. 첫 번째 부인: 웨식스의 기타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블라디미르가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전사한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의 딸이자 에디스 스와네샤의 딸인 웨식스의 기타와 결혼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이 결혼은 동시대의 어떤 자료에서도 보고되지 않았으며, 러시아 자료 중 블라디미르의 첫 번째 아내의 이름이나 부모에 대해 언급하는 자료는 없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유언"에는 블라디미르의 아들 유리의 어머니가 1107년 5월 7일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그녀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1108년에 유리가 결혼하기에 적절한 나이였다는 점을 근거로, 유리의 어머니가 기타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다.이 결혼으로 최소한 다음 자녀들이 태어났다.
- 므스티슬라프 1세 (1076년 6월 1일 – 1132년 4월 14일)
- 이쟈슬라프, 쿠르스크 공작 (1077년경 – 1096년 9월 6일)
- 스뱌토슬라프, 스몰렌스크 공작 및 페레야슬라프 공작 (1080년경 – 1114년 3월 16일)
- 야로폴크 2세 (1082년 – 1139년 2월 18일)
- 뱌체슬라프 1세 (1083년 – 1154년 2월 2일)
첫 번째 아내 또는 두 번째 아내의 소생으로 여겨지는 딸이 한 명 있다.
- 마리나 블라디미로브나 (1146년 사망). 레온 디오게네스와 결혼했는데, 그는 로마노스 4세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며 비잔틴 제국의 왕위 찬탈자였고 오세티야에서 쿠만족의 칸 지위에 올랐다.[1]
3. 2. 두 번째 부인: 비잔티움의 에우페미아
블라디미르 2세의 두 번째 부인은 비잔틴 귀족 에우페미아로 알려져 있다. 이 결혼으로 적어도 다섯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로만, 볼히니아 공작 (1119년 1월 6일 사망)
- 키예프의 에우페미아 (1139년 4월 4일 사망). 헝가리의 칼만과 결혼했다.
- 아가피아(아가타). 그로드노 공작인 브세볼로트 다비도비치와 결혼했다. 이전 역사가들에 따르면 그녀의 남편은 볼히니아 공작인 다비드 이고레비치 (1113년 사망)의 아들이었지만, 이 이론은 거부되었다.
- 유리 (게오르기), 나중에 유리 돌고루키로 알려짐 (1157년 5월 15일 사망).
- 안드레이, 볼히니아 공작 (1102년 7월 11일 – 1141년)
3. 3. 세 번째 부인: 아에파 오체네비치의 딸
블라디미르의 세 번째 부인은 쿠만족의 칸인 아에파 오체네비치의 딸이었다. 그녀의 아버지 쪽 할아버지는 오센이었다. 그녀의 부족은 투르크계 유목민이자 전사들의 연합인 킵차크족에 속했다.그러나 "원초 연대기"는 아에파를 유리 돌고루키의 장인으로 지목하고 있으며, 블라디미르가 아들을 대신하여 결혼을 협상했다고 기록했다. 아버지와 아들이 자매와 결혼했는지, 아니면 약혼자가 잘못 식별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4. 평가와 영향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는 잦은 내란과 외적의 침입으로 쇠퇴하던 키예프 대공국을 부흥시킨 인물로, 후대에 가장 인기 있는 키예프 대공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모노마흐'라는 별명은 그의 외할아버지인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에게서 유래했다. 그는 동로마 황실의 혈통을 이어받아 외교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했다.[6]
블라디미르는 폴로베츠 족(킵차크 또는 쿠만)과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승리하였고, 키예프 대공국 전체의 통일을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스스로 "83번의 군사 원정을 수행했다"고 언급할 정도로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1107년에는 쿠만 칸 보니악을 격파했고, 1111년에는 Битва на Сальниціuk에서 쿠만족 군대를 크게 무찔렀다.[7]
또한, 블라디미르는 내분을 해소하고 유목민과의 싸움에 대비하기 위해 제후 회의를 세 차례 조직했다. 특히 1097년 류베치에서 각자의 상속지를 현상 유지하는 합의를 이끌어냈으나, 제후들 간의 내분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1113년 선대 대공 스뱌토폴크 2세가 사망하자 키예프 시민들은 폭동을 일으켜 블라디미르의 즉위를 요구했고, 그는 키예프에 입성하여 1125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다. 그는 조부 야로슬라프 1세가 만든 법규 루스카야 프라다를 보완한 "모노마흐 법전"을 만들어 사회적 긴장을 완화하는 등 내정 개혁에도 힘썼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는 성 소피아 대성당에 묻혔으며, 후대 사람들은 그의 통치 시기를 키예프의 황금기라고 불렀다. 그의 이름과 관련된 수많은 전설이 전해지는데, 콘스탄티노플에서 루스로 블라디미르의 성모와 모노마흐의 모자라고 불리는 왕관 등 귀중한 성물이 이송되었다는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참조
[1]
서적
The Holy Russian Church and Western Christianity
SCM Press
1996
[2]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웹사이트
Владимир Мономах
http://drevo-info.ru[...]
2020-07-03
[4]
서적
Ipat'evskaya letopis'
http://litopys.org.u[...]
Typography of M. A. Aleksandrov / Izbornyk
1908
[5]
PhD diss.
The Kievan Chronicle: A Translation and Commentary
https://www.proquest[...]
[6]
문서
Pilipchuk 2017
[7]
웹사이트
Ізюм, Ізюмський район, Харківська область
https://ukrssr.com.u[...]
2023-10-25
[8]
문서
Wczesnośredniowieczne księstwo grodzieńskie w historiografii ostatniego dwudziestolecia
[9]
문서
Владимир Мономах의 다양한 이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