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카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랙카본은 탄소를 포함하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생성되는 입자상 물질로, 대기 오염과 기후 변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초기에는 산업 도시의 연기 오염 문제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북극 헤이즈 현상 연구를 통해 지구적 영향이 드러났다. 블랙카본은 토양, 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바이오매스 연료, 화석 연료, 개방형 바이오매스 연소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다. 블랙카본은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특히 폐암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특히 북극 및 히말라야 빙하 해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디젤 미립자 필터, 대체 연료 사용 등 저감 기술을 통해 블랙카본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각국은 산림 및 사바나 화전 경작 규제, 차량 배출 가스 규제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기 (화학) - 연막
연막은 군사 작전 등에서 시야를 가리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장비로 생성되는 안개 또는 연기이며, 적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아군의 이동을 은폐하는 데 사용된다. - 연기 (화학) - 연막탄
연막탄은 시야 차단, 신호 전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군사적, 비군사적 활용이 가능하지만, 위험 물질 사용과 화재, 유해 물질 노출 위험이 있어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며, 종류와 규제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 미세먼지 - 안식각
안식각은 흙, 암석 조각, 모래 등 입자상 물질을 쌓았을 때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사면의 최대 각도를 의미하며, 입자 특성에 따라 달라지고 토목, 지질, 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미세먼지 - 디젤 배기가스
디젤 배기가스는 디젤 엔진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가스로, 이산화 탄소, 물, 질소 외에도 질소 산화물과 미세 입자를 포함한 유해 물질을 포함하며, 인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으로 인해 세계 보건 기구에서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각국에서 배출 규제 및 저감 기술 개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기후인자 - 온실 효과
온실 효과는 대기 중 특정 기체들이 지구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구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현상으로, 산업화 이후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메탄, 수증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 기후인자 - 도시 열섬
도시 열섬 현상은 도시의 토지 이용, 건축 환경, 건축 자재, 녹지 부족 등으로 인해 도시 지역의 기온이 주변 농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에너지 소비 증가, 대기 오염 심화, 인간 건강 악화 등의 영향을 미쳐 쿨 루프, 녹지 조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완화되고 있다.
블랙카본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미세먼지의 일종 |
주요 성분 | 탄소 |
발생 원인 | 불완전 연소, 특히 화석 연료, 바이오매스, 기타 연료의 연소 |
주요 발생원 | 디젤 엔진 가정용 난방 및 취사 산업 공정 산불 |
대기 중 수명 | 수일 ~ 수주 |
건강 영향 | 호흡기 질환 악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암 발생 위험 증가 |
기후 영향 | 지구 온난화 가속 빙하 및 눈 녹는 속도 증가 강수 패턴 변화 |
환경 영향 | 생태계 파괴 농작물 생산량 감소 가시거리 감소 |
규제 | 국제 협약 국가별 환경 기준 |
저감 노력 | 배출 규제 강화 청정 에너지 사용 확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산림 보호 |
정의 | |
정의 | 불완전 연소로 인해 생성되는 미세먼지의 일종인 순수한 형태의 탄소. |
다른 이름 | 그을음 검댕 |
특성 | |
물리적 특성 | 빛을 흡수하는 검은색 입자 크기가 매우 작음 (수십 나노미터 ~ 수 마이크로미터) |
화학적 특성 | 화학적으로 안정적 표면에 다양한 화학 물질 흡착 가능 |
발생 원인 | |
주요 발생원 | 디젤 엔진 바이오매스 연소 (난방, 취사, 농업 활동 등) 산업 공정 (석탄 연소, 시멘트 제조 등) 산불 및 화재 |
건강 영향 | |
인체 영향 | 호흡기 질환 악화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암 발생 위험 증가 (폐암, 방광암 등) |
노출 경로 | 호흡기를 통한 흡입 피부 접촉 |
기후 영향 | |
지구 온난화 | 태양 복사 에너지 흡수 → 대기 온도 상승 빙하 및 눈 표면에 침착 → 반사율 감소 → 녹는 속도 증가 |
강수 패턴 변화 | 구름 형성 및 강수 과정에 영향 지역별 강수량 변화 |
환경 영향 | |
생태계 영향 | 식물 성장 저해 토양 및 수질 오염 |
농업 영향 | 농작물 생산량 감소 작물 품질 저하 |
가시거리 | 대기 중 부유 → 가시거리 감소 스모그 발생 원인 |
규제 및 저감 노력 | |
국제적 노력 | 기후 변화 협약 미세먼지 저감 노력 |
국가별 노력 | 배출 기준 강화 청정 연료 사용 확대 대중교통 이용 장려 산림 보호 및 관리 강화 |
기타 | |
토양 내 블랙 카본 | 토양 내에 존재하는 블랙 카본은 토양 비옥도를 향상시키고 탄소 격리에 기여할 수 있음. |
연구 동향 | 블랙 카본의 발생원, 이동 경로, 건강 및 기후 영향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임. |
2. 역사
마이클 패러데이는 그을음이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소를 포함하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을 알아냈다.[8] 1950년대 초 런던에서 석탄 오염이 건강과 사망에 미치는 영향은 영국 1956년 대기 정화법(Clean Air Act 1956) 제정으로 이어졌다. 이 법은 영국에서 그을음 농도를 크게 줄였으며, 이는 미국 피츠버그와 세인트루이스 같은 도시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1970년대 연구를 통해 블랙 카본과 유기 그을음 성분이 미국과 유럽 도시 에어로졸의 주요 구성 요소임이 밝혀졌고,[12][15][16] 이는 배출 규제 강화로 이어졌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인구 증가와 함께 대기 질이 계속 나빠졌다.
블랙카본이 지구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최초의 징후는 북극 헤이즈 현상에 대한 연구에서 나타났다.[17] 블랙카본은 북극 헤이즈 에어로졸[18]과 북극 눈에서 확인되었다.[19]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입자는 복사 균형에 영향을 미쳐 냉각 또는 가열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온도 변화의 크기와 부호는 주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에어로졸 농도, 그리고 하부 표면의 알베도에 따라 달라진다.
2. 1. 초기 연구 및 완화 시도
마이클 패러데이는 그을음이 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소를 포함하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을 알아냈다.[8] 1950년대 초 런던에서 석탄 오염이 건강과 사망에 미치는 영향은 영국 1956년 대기 정화법(Clean Air Act 1956) 제정으로 이어졌다. 이 법은 영국에서 그을음 농도를 크게 줄였으며, 이는 미국 피츠버그와 세인트루이스 같은 도시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는 주로 가정 난방 연료를 무연탄, 연료유, 천연 가스 등으로 바꿔 연탄 사용을 줄였기 때문이다.1970년대 연구를 통해 블랙 카본과 유기 그을음 성분이 미국과 유럽 도시 에어로졸의 주요 구성 요소임이 밝혀졌고,[12][15][16] 이는 배출 규제 강화로 이어졌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인구 증가와 함께 대기 질이 계속 나빠졌다. 이러한 지역의 배출이 지구적 영향에 중요하다는 사실은 뒤늦게 인식되었다.
2. 2. 지구 대기 영향 연구
블랙카본이 지구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최초의 징후는 북극 헤이즈 현상에 대한 연구에서 나타났다.[17] 블랙카본은 북극 헤이즈 에어로졸[18]과 북극 눈에서 확인되었다.[19]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입자는 복사 균형에 영향을 미쳐 냉각 또는 가열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온도 변화의 크기와 부호는 주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에어로졸 농도, 그리고 하부 표면의 알베도에 따라 달라진다. 순수 산란 에어로졸은 지구-대기 시스템에 의해 일반적으로 흡수될 에너지를 다시 우주로 반사하여 냉각 효과를 유발한다. 에어로졸에 흡수 성분을 추가하면 하부 표면의 반사율이 충분히 높을 경우 지구-대기 시스템의 가열을 유발할 수 있다.
전 지구적 규모의 대기 복사 전달에 대한 에어로졸의 영향을 연구한 초기 연구에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잘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약간의 흡수 성분만 포함하는 지배적인 산란 에어로졸을 가정했다. 그러나 도시 에어로졸은 많은 블랙카본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입자가 전 지구적으로 수송될 수 있다면 눈이나 얼음과 같이 표면 알베도가 높은 곳에서 가열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입자가 눈에 침착되면 표면 알베도의 감소로 인해 추가적인 가열 효과가 발생한다.
3. 측정 및 모델링
블랙 카본 수준은 주로 침전된 입자가 섬유 필터의 광학적 특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에탈로미터는 필터를 통과하는 빛의 흡수 변화를 광학적으로 감지하는 장치로, 블랙 카본 측정에 자주 사용된다.[20]
1980년대 초, 미국 해양대기청(NOAA) AGAS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북극 대기에서 에탈로미터를 사용해 블랙 카본의 수직 분포를 처음으로 측정했다.[23] 측정 결과, 북극 대류권 전역에서 상당한 농도의 블랙 카본이 발견되었다. 이 블랙 카본은 층을 이루거나 최대 8km까지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층 내 농도는 미국 중위도 도시 지역의 지표면에서 발견되는 수준과 비슷했다.[24]
이러한 수직 분포와 관련된 흡수 광학 깊이는 상당히 컸는데, 특히 노르웨이 북극 상공에서 관찰된 수치는 블랙 카본과 다른 에어로졸 성분의 혼합 방식에 따라 0.023에서 0.052 사이였다.[24] 이러한 크기의 광학 깊이는 태양 복사 균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북극 온난화 추세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다.[25][26][27]
4. 존재 형태
블랙 카본은 토양과 물 속에 존재한다.
토양 내 블랙 카본은 총 유기 탄소의 1~6%를 차지하며, 최대 60%까지 기여한다.[28]
산불로 인해 육지에 잔류하는 용해성 및 콜로이드성 블랙 카본은 지하수로 유입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블랙 카본이 담수 및 염수 지역으로 유입되는 속도는 산불로 인한 블랙 카본 생산 속도와 거의 일치한다.[30]
4. 1. 토양
토양 내 블랙 카본은 일반적으로 총 유기 탄소의 1~6%를 차지하며, 최대 60%까지 기여한다.[28] 특히 열대 토양에서 블랙 카본은 영양소 저장고 역할을 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블랙 카본이 많이 함유되지 않은 토양은 블랙 카본을 포함하는 토양보다 비옥도가 현저히 낮다. 이러한 토양 비옥도 증가의 예로는, 아마도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원주민들이 인위적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중앙 아마존의 테라 프레타 토양이 있다. 테라 프레타 토양은 주변의 비옥하지 않은 토양보다 평균적으로 토양 유기물(SOM) 함량이 3배 더 높고, 영양소 수준이 높으며, 영양소 보유 능력이 더 뛰어나다.[29] 이러한 맥락에서 열대 지역에서 사용되는 화전 농업은 불에 탄 식물에서 영양소를 방출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토양에 블랙 카본을 추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이산화탄소(CO2)와 휘발성 블랙 카본의 높은 배출을 막기 위해 개간 및 숯화 방식이 더 좋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농업은 넓은 지역에서 사용될 경우 식생이 토양 침식을 방지하지 못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상쇄된다.4. 2. 물
산불로 인해 육지에 잔류하는 용해성 및 콜로이드성 블랙 카본은 지하수로 유입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블랙 카본이 담수 및 염수 지역으로 유입되는 속도는 산불로 인한 블랙 카본 생산 속도와 거의 일치한다.[30]5. 배출원
블랙 카본은 바이오매스 연료 연소(약 20%), 화석 연료 연소(약 40%), 개방형 바이오매스 연소(약 40%)에서 발생한다.[4] 발생원별 블랙카본 배출 비중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38]
발생원 | 비율 |
---|---|
개방형 바이오매스 연소 (숲 및 사바나 연소) | 42% |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한 주거용 바이오매스 연소 | 18% |
디젤 엔진 (운송용) | 14% |
산업용 디젤 엔진 | 10% |
산업 공정 및 발전 (주로 소형 보일러) | 10% |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한 주거용 석탄 연소 | 6%[39] |
블랙 카본 발생원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남아시아는 바이오매스 요리가 주 원인이며,[40] 동아시아는 주거 및 산업용 석탄 연소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서유럽은 교통량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41]
디젤 엔진 및 해양 선박의 배출 가스는 다른 원인보다 블랙 카본 함량이 높다.[42] 따라서 이들의 배출을 규제하면 블랙 카본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영향을 줄일 수 있다.[43] 바이오매스 연소는 단기적으로는 냉각 효과를 유발하지만,[44] 장기적으로는 CO2 배출과 삼림 벌채로 인해 순 온난화를 유발할 수 있다.[45]
개간 및 소각 농업에서[46] 발생하는 블랙 카본을 줄이면, 연간 토지 이용 변화로 인한 인위적 탄소 배출량의 12%를 줄일 수 있다.[47][48]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로켓 발사는 성층권에 에어로졸(미세 입자)을 방출하여 오존층 파괴를 증가시킨다.[49][50] 로켓 엔진에서 나오는 블랙 카본은 다른 원인보다 거의 500배나 더 강력한 온난화 효과를 가진다.[51]
블랙 카본의 주요 구성 요소는 탄소이며, 화석 연료, 목질 연료 등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다. 구체적인 블랙카본 발생원은 장작, 목재 펠릿 등 목재 연료 사용, 선박, 트럭 등 디젤 엔진, 항공기, 로켓 등 로켓 엔진, 짚, 쓰레기 노천 소각[137] 등이 있다.
5. 1. 지역별 배출원
과거에는 선진국이 블랙 카본 배출의 주요 원인이었으나, 1950년대부터 오염 제어 기술이 도입되면서 개발도상국이 주요 배출원으로 부상했다.[4] 1950년대 초 런던에서 석탄 오염이 인간의 건강과 사망에 미치는 영향은 영국 1956년 대기 정화법(Clean Air Act 1956)으로 이어졌고, 이는 미국 도시들에서도 유사한 감소로 이어졌다.오늘날 블랙 카본 배출량의 대부분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며,[34]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가 가장 큰 배출원이다.[36] 중국과 인도는 전 세계 블랙 카본 배출량의 25~35%를 차지한다.[4]
블랙 카본 배출량이 많은 주요 지역 및 주변 지역에서는 블랙 카본으로 인한 대기 중 태양열 가열의 핫스팟이 발생한다.[4] 이러한 핫스팟 지역은 다음과 같다:[4]
약 30억 명의 사람들이 이러한 핫스팟 지역에 살고 있다.[4]

5. 2. 발생원별 배출원
블랙 카본은 바이오매스 연료 연소(약 20%), 화석 연료 연소(약 40%), 개방형 바이오매스 연소(약 40%)에서 발생한다.[4]발생원별 블랙카본 배출 비중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38]
발생원 | 비율 |
---|---|
개방형 바이오매스 연소 (숲 및 사바나 연소) | 42% |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한 주거용 바이오매스 연소 | 18% |
디젤 엔진 (운송용) | 14% |
산업용 디젤 엔진 | 10% |
산업 공정 및 발전 (주로 소형 보일러) | 10% |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한 주거용 석탄 연소 | 6%[39] |
블랙 카본 발생원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남아시아는 바이오매스 요리가 주 원인이며,[40] 동아시아는 주거 및 산업용 석탄 연소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서유럽은 교통량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41]
디젤 엔진 및 해양 선박의 배출 가스는 다른 원인보다 블랙 카본 함량이 높다.[42] 따라서 이들의 배출을 규제하면 블랙 카본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영향을 줄일 수 있다.[43]
바이오매스 연소는 기후 냉각 에어로졸과 입자상 물질을 더 많이 배출하여 단기적으로는 냉각 효과를 유발한다.[44]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CO2 배출과 삼림 벌채로 인해 순 온난화를 유발할 수 있다.[45] 따라서 바이오매스 배출 감소는 장기적인 지구 온난화 완화, 대기 오염 감소, CO2 배출 감소, 삼림 벌채 감소 등의 부수적 이점을 제공한다.
개간 및 소각 농업에서[46] 발생하는 블랙 카본을 줄이면, 연간 토지 이용 변화로 인한 인위적 탄소 배출량의 12% (약 0.66 Gt CO2-eq, 연간 전체 지구 CO2-eq 배출량의 2%)를 줄일 수 있다.[47][48]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로켓 발사는 성층권에 에어로졸(미세 입자)을 방출하여 오존층 파괴를 증가시킨다.[49][50] 로켓 엔진에서 나오는 블랙 카본은 향후 수십 년 동안 연간 1~10 기가그램(극단적인 경우 30~100 기가그램) 배출될 수 있다.[50] 또 다른 연구에서는 로켓에서 배출되는 블랙 카본 입자가 다른 원인보다 거의 500배나 더 강력한 온난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51]
블랙 카본의 주요 구성 요소는 탄소이며, 화석 연료, 목질 연료 등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다.
선진국은 공해 방지 조치 덕분에 개발 도상국에 비해 블랙 카본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예를 들어, 미국의 CO2 배출 비율은 21%인 반면 블랙 카본 배출 비율은 6.1%이다. 반면 중국과 인도는 블랙 카본 배출량의 35%를 차지한다.
동남아시아 등 개발 도상국에서는 장작 등의 목질 바이오매스를 난방 및 취사 연료로 사용하고, 농가에서 수확 후 짚 등을 노천 소각하여 오염이 심각하며, 국지적인 기온 핫스팟이 발생하기도 한다.
블랙 카본을 포함한 입자상 물질(PM2.5)은 폐 깊숙이 침착하여 폐암 등을 유발하는 유해한 대기 오염 물질이다. 이는 개발 도상국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구체적인 블랙카본 발생원은 다음과 같다:
6. 영향
블랙 카본은 초미세 입자상 물질의 한 형태로, 공기 중에 배출되면 조기 사망과 장애를 유발한다.[52] 또한, 대기 중의 블랙 카본은 기후 시스템의 복사 에너지 균형을 변화시켜 공기와 지표면 온도를 상승시키며, 이로 인해 인간, 농업, 동식물 생태계에 다양한 유해한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블랙 카본은 폐 깊숙이 침투하여 폐암 등 호흡기 질환 및 혈압 등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입자상 물질(PM2.5)은 매우 작아 폐 깊숙한 곳까지 도달하여 침착하기 때문에 개발 도상국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52]
블랙 카본은 대기 중에 떠다니면서 햇빛을 직접 흡수하고 지구의 알베도를 낮추며, 구름의 특성과 행동 변화를 통해 태양 복사 흡수 또는 반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눈이나 얼음 표면에 침착되면 표면 알베도를 감소시켜 복사 강제력을 유발한다. 블랙 카본은 기후 변화에서 이산화탄소(CO2) 다음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북극 및 히말라야 빙하 해빙에 큰 영향을 미친다.[66]
블랙 카본 복사 강제력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주요 기후 강제력 요인들의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성분 | IPCC (2007)[82] | 한센 외 (2005)[44] |
---|---|---|
CO2 | 1.66 | 1.50 |
BC | 0.05-0.55 | 0.8 |
CH4 | 0.48 | 0.55 |
대류권 오존 | 0.35 | 0.40 |
할로카본 | 0.34 | 0.30 |
N2O | 0.16 | 0.15 |
6. 1. 건강 영향
블랙 카본은 초미세 입자상 물질(PM2.5)의 한 형태로, 공기 중에 배출되면 조기 사망과 장애를 유발한다.[52] 입자상 물질은 유럽에서 모든 대기 오염 물질 중 공중 보건에 가장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블랙 카본 입자에는 미세한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해롭다.[52]블랙 카본은 폐 깊숙이 침투하여 폐암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혈압 등 심혈관 질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대기 오염으로 인해 매년 약 200만 명의 조기 사망이 발생한다고 추정한다.[64] 대기 중 블랙 카본 농도를 줄이면 매년 64만 명에서 490만 명의 조기 사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53]
블랙 카본 농도는 발생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한다. 주요 실내 발생원으로는 양초와 바이오매스 연소가 있으며, 교통과 때때로 산불이 주요 실외 발생원이다.[54] 특히 자동차 운전 중, 러시아워, 고속도로 및 교통 밀집 지역에서 차량 내 블랙 카본 농도가 높아진다.[58]
블랙 카본을 포함한 입자상 물질(PM2.5)은 매우 작기 때문에 폐 깊숙한 곳까지 도달하여 침착, 폐암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개발 도상국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6. 2. 기후 영향
블랙 카본 입자는 대기 중에 떠다니면서 햇빛을 직접 흡수하고 지구의 알베도를 낮춘다.[66] 이로 인해 공기와 지표면 온도가 상승하여 인간, 농업, 동식물 생태계에 다양한 유해한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블랙 카본은 구름의 특성과 행동 변화를 통해 태양 복사 흡수 또는 반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66] 눈이나 얼음 표면에 침착되면 표면 알베도를 감소시켜 양의 되먹임으로 인해 큰 복사 강제력을 유발한다.[66] 감소된 눈 알베도는 표면 온도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표면 온도는 눈 덮개를 감소시켜 표면 알베도를 더욱 감소시킨다.[66]
블랙 카본은 기후 변화에서 이산화탄소(CO2) 다음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66] 특히 북극 및 히말라야 빙하 해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블랙 카본의 지구 평균 직접 복사 강제력은 0.34 W/m²에서 0.9 W/m²까지 다양하게 추정되며,[4] 이는 이산화탄소 다음으로 큰 수치이다.
블랙 카본 배출 감소는 단기적으로 기후 변화를 늦추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블랙카본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배출을 줄이면 수 주 내에 효과를 볼 수 있다.[66]
다음은 블랙 카본 복사 강제력 추정치를 나타낸 표이다.
다음은 주요 기후 강제력 요인들의 추정치를 비교한 표이다.
성분 | IPCC (2007)[82] | 한센 외 (2005)[44] |
---|---|---|
CO2 | 1.66 | 1.50 |
BC | 0.05-0.55 | 0.8 |
CH4 | 0.48 | 0.55 |
대류권 오존 | 0.35 | 0.40 |
할로카본 | 0.34 | 0.30 |
N2O | 0.16 | 0.15 |
7. 저감 기술
선진국들은 1950년대 이후 1956년 대기 정화법과 같은 대기 질 개선 정책과 기술 도입을 통해 화석 연료에서 발생하는 블랙 카본 배출량을 크게 줄였다.[4] 특히 디젤 차량의 경우, 디젤 미립자 필터(DPF)를 장착하여 블랙 카본 배출량의 90% 이상을 제거할 수 있다.[124] 이 필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저유황 디젤 연료(ULSD)가 필요하다.[125] 또한, 연료를 압축 천연 가스로 전환하는 것도 블랙 카본 배출 감소에 효과적인데, 인도 뉴델리에서는 대중교통 차량에 압축 천연 가스 사용을 의무화하여 블랙 카본 배출량을 크게 줄였다.[128][129]
해양 선박의 경우, 디젤 엔진에 사용되는 미립자 필터와 유사한 필터가 시험 중에 있으며,[43] 이 역시 선박이 ULSD를 사용해야 한다.[131] 그 외에도 저속 운항, 육상 전력 사용 등의 노력을 통해 연료 사용량과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바이오매스 연소가 블랙 카본 배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4] 대체 에너지 효율적이고 무연 조리기구(태양열, 바이오, 천연 가스 등) 보급이 필요하다.[4] 또한, 소규모 산업에서 석탄 연소로 인한 그을음 배출을 줄이는 기술 도입도 중요하다.[4] 남아시아와 동아시아에서는 블랙 카본이 없는 조리기구로 대체하면 블랙 카본 가열을 각각 70~80%, 20~40% 감소시킬 수 있다.[4]
8. 정책
많은 국가에서 블랙 카본 배출을 규제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법률에는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국제 환경 준수 및 집행 네트워크는 2008년에 블랙 카본 감소를 지구 온난화 완화의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언급했다.[134]
대한민국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블랙 카본 배출 저감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정책을 적극 지지한다. 주요 정책으로는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친환경차 보급 확대, 사업장 배출 규제 강화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lack Carbon: A Deadly Air Pollutant
https://nomoreplanet[...]
2020-09-13
[2]
간행물
Global Air Quality and Health Co-benefits of Mitigating Near-Term Climate Change through Methane and Black Carbon Emission Controls
2012-06
[3]
간행물
Bounding the role of black carbon in the climate system: A scientific assessment
2013
[4]
간행물
Global and regional climate changes due to black carbon
2008-04
[5]
간행물
New directions in black carbon organic geochemistry
[6]
간행물
Black carbon in soils and sediments: Analysis, distribution, implications and current challenges
[7]
간행물
Prehistorically modified soils of central Amazonia: a model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7-02-28
[8]
서적
Chemical History of a Candle
Harper
1861
[9]
웹사이트
Carbonaceous Aerosols and Climate Change: How Researchers Proved Black Carbon is a Significant Force in the Atmosphere
http://eetd.lbl.gov/[...]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15-01-05
[10]
간행물
Raman scattering and the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11]
간행물
Photoacoustic investigations of urban aerosol particles
https://escholarship[...]
[12]
간행물
Soot in Urban Atmospheres: Determination by an Optical Absorption Technique
1980-05-16
[13]
기타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arbonaceous Particles in the Atmosphere
1984
[14]
간행물
Applicability of a noise-based model to estimate in-traffic exposure to black carbon and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s in different cultures
https://biblio.ugent[...]
2015-01
[15]
간행물
Sulfates as pollution particulates:Catalytic formationon carbon(soot) particles
[16]
간행물
Formation of pollution particulate nitrogen compounds by NO-soot and NH3-soot gas particle surface reactions
http://www.escholars[...]
[17]
기타
Visual Range in the polar region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Alaskan Arctic
1956
[18]
간행물
Soot in the Arctic
https://www.osti.gov[...]
[19]
간행물
Soot in Arctic snowpack: A cause for perturbation in radiative transfer
[20]
웹사이트
ETV Joint Verification Statement
https://nepis.epa.go[...]
2014-02
[21]
웹사이트
Advanced Monitoring Systems Center Verified Technologies {{pipe}} ETV {{pipe}} US EPA
https://archive.epa.[...]
[22]
간행물
An instantaneous spatiotemporal model to predict a bicyclist's Black Carbon exposure based on mobile noise measurements
https://biblio.ugent[...]
[23]
간행물
The Aethalometer: an instrument for real-time measurement of optical absorption by aerosol particles
https://digital.libr[...]
[24]
간행물
Role of graphitic carbon particles in radiative transfer in the Arctic haze
http://www.escholars[...]
[25]
간행물
Parametric study of the effects of arctic soot on solar radiation
[26]
간행물
Arctic Aerosol Model estimates of interactive influences upon the surface-atmosphere clear sky radiation budget
[27]
기타
Basic Energy Sciences Accomplishments
Archives of U.S. Department of Energy
1985
[28]
간행물
The effect of fire on soil organic matter-a review
http://www.fsl.orst.[...]
[29]
간행물
The 'Terra preta' phenomenon: a model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humid tropics
[30]
웹사이트
Where Does Charcoal, or Black Carbon, in Soils Go?
http://www.nsf.gov/n[...]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3-04-13
[31]
기타
Jacobson Testimony, ''supra'' note 9, at 4.
[32]
웹사이트
Clean Air Fine Particle Implementation Rule
http://www.epa.gov/f[...]
2007-04-25
[33]
웹사이트
IMO Environment meeting Approves Revised Regulations on Ship Emissions
http://www.imo.org/A[...]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08-04-04
[34]
웹사이트
Testimony for the Hearing on Black Carbon and Climate Change
http://oversight.hou[...]
U.S. House Committee on Oversight and Government Reform
2007-10-18
[35]
기타
Jacobson Testimony, ''supra'' note 9, at 5.
[36]
간행물
"Summary: Aerosols"
http://www.giss.nasa[...]
Air Pollution as a Climate Forcing: A Workshop, Honolulu, Hawaii, April 29–May 3, 2002
2008-05-18
[37]
문서
Ramanathan Testimony
[38]
문서
Bond Testimony
[39]
문서
Bond Testimony
[40]
논문
Residential Biofuels in South Asia: Carbonaceous Aerosol Emissions and Climate Impacts
[41]
논문
Impact of time-activity patterns on personal exposure to black carbon
[42]
문서
Jacobson Testimony
[43]
논문
Light absorbing carbon emissions from commercial shipping
https://hal.archives[...]
2008-07-11
[44]
논문
Efficacy of climate forcings
2005-09-01
[45]
논문
The Short-Term Cooling but Long-Term Global Warming Due to Biomass Burning
https://journals.ame[...]
2020-10-25
[46]
논문
Climate Effects of Black Carbon Aerosols in China and India
2002-09-27
[47]
논문
Bio-char Sequestration in Terrestrial Ecosystems – A Review
2006-03
[48]
논문
Global and regional drivers of accelerating CO2 emissions
2008-07-22
[49]
논문
The Climate and Ozone Impacts of Black Carbon Emissions From Global Rocket Launches
https://onlinelibrar[...]
2022-06-27
[50]
간행물
The Black Carbon Cost of Rocket Launches
https://www.wired.co[...]
2022-07-18
[51]
웹사이트
The pollution caused by rocket launches
https://www.bbc.com/[...]
2022-07-19
[52]
웹사이트
Black carbon: Better monitoring needed to assess health and climate change impacts
http://www.eea.europ[...]
2014-05-06
[53]
논문
Global Bang for the Buck: Cutting Black Carbon and Methane Benefits Both Health and Climate
2012-06
[54]
논문
Modeling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Hourly land use regression models for black carbon
2013-08
[55]
논문
Impact of time–activity patterns on personal exposure to black carbon
2011-07
[56]
논문
Personal exposure to Black Carbon in transport microenvironments
2012-08
[57]
논문
Transport most likely to cause air pollution peak exposures in everyday life: Evidence from over 2000 days of personal monitoring
[58]
논문
Street characteristics and traffic factors determining road users' exposure to black carbon
[59]
논문
Black Carbon Reduces the Beneficial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Lung Function
2018-09
[60]
논문
Airway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markers in exhaled breath from children are linked with exposure to black carbon
2014-12
[61]
논문
Short-term and long-term exposures to fine particulate matter constituents an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www.scienced[...]
2019-04-01
[62]
논문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air pollution on blood pressure
https://eprints.qut.[...]
2021-04-01
[63]
뉴스
Black Carbon Testing Finds High Levels
https://www.nytimes.[...]
2011-04-22
[64]
웹사이트
Ambient (outdoor) air quality and health
https://www.who.int/[...]
2020-10-04
[65]
논문
Black carbon semi-direct effects on cloud cover: review and synthesis
2010
[66]
논문
Bounding the role of black carbon in the climate system: A scientific assessment: BLACK CARBON IN THE CLIMATE SYSTEM
2013-06-16
[67]
뉴스
Burning Fuel Particles Do More Damage to Climate Than Thought, Study Says
https://www.nytimes.[...]
2013-01-17
[68]
뉴스
A Smut Above: Unhealthy Soot in the Air Could Also Promote Global Warming: Atmospheric black carbon is not only bad for the lungs, but can also act as greenhouse particles under certain circumstances
http://www.scientifi[...]
2013-01-22
[69]
간행물
Changes in Atmospheric Constituents and in Radiative Forcing
http://www.ipcc.ch/i[...]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8-10-05
[70]
웹사이트
Effects of Anthropogenic Aerosol Particles and Their Precursor Gases on California and South Coast Climate
http://www.stanford.[...]
California Energy Commission
2004-11
[71]
간행물
Carbon's Other Warming Role
http://www.geotimes.[...]
GEOTIMES
2001-05
[72]
간행물
Changes in Atmospheric Constituents and in Radiative Forcing
IPCC
2007
[73]
논문
Strong radiative heating due to the mixing state of black carbon in atmospheric aerosols
2001-02
[74]
논문
Climate response of fossil fuel and biofuel soot, accounting for soot's feedback to snow and sea ice albedo and emissivity
2004-11-16
[75]
논문
Effects of Externally-Through-Internally-Mixed Soot Inclusions within Clouds and Precipitation on Global Climate
2006-06
[76]
논문
Trends of measured climate forcing agents
2001-12-18
[77]
논문
Climate change and trace gases
2007-07-15
[78]
간행물
Hansen 2002 estimate
[79]
간행물
Hansen 2002 estimate
[80]
간행물
[81]
간행물
Ramanathan Testimony
[82]
간행물
[83]
간행물
[84]
간행물
[85]
논문
Black carbon in the Arctic: the underestimated role of gas flaring and residential combustion emissions
2013-09-05
[86]
웹사이트
Gas flaring: An industry practice faces increasing global attention
https://arctic-counc[...]
World Bank
2018-12-10
[87]
간행물
Zender Testimony
[88]
간행물
[89]
논문
Short-lived pollutants in the Arctic: their climate impact and possible mitigation strategies
2008-03-25
[90]
뉴스
Vast cracks appear in Arctic ice
http://news.bbc.co.u[...]
2008-05-23
[91]
간행물
Charles Zender, Written Testimony for the Hearing on Black Carbon and Climate Change, U.S. House Committee on Oversight and Government Reform 1
http://oversight.hou[...]
2007-10-18
[92]
논문
Dangerous human-made interference with climate: a GISS modelE study
2007-05-07
[93]
논문
Aerosol and fresh snow chemistry in the East Rongbuk Glacier on the northern slope of Mt. Qomolangma (Everest)
[94]
논문
Carbonaceous particles in the atmosphere and precipitation of the Nam Co region, central Tibet
[95]
논문
Black carbon in the snow of glaciers in west China and its potential effects on albedos
[96]
논문
Black carbon record based on a shallow Himalayan ice core and its climatic implications
[97]
간행물
Melting Mountain Glaciers Will Shrink Grain Harvests in China and India
http://www.earth-pol[...]
Earth Policy Institute
2008-03-20
[98]
논문
Darkening of the mid-Himalaya glaciers since 2000 and the potential causes
[99]
논문
Widespread albedo decreasing and induced melting of Himalayan snow and ice in the early 21st century
[100]
간행물
Changes in Atmospheric Constituents and in Radiative Forcing
http://www.ipcc.ch/i[...]
IPCC
2007
[101]
간행물
[102]
간행물
Ramanathan Testimony
2007-10-18
[103]
뉴스
Third-World Stove Soot Is Target in Climate Figh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4-15
[104]
간행물
Mark Z. Jacobson, Testimony for the Hearing on Black Carbon and Arctic, U.S. House Committee on Oversight and Government Reform
http://oversight.hou[...]
2007-10-18
[105]
간행물
Ramanathan Testimony
[106]
논문
Tipping elements in the Earth's climate system
2008-02-12
[107]
간행물
"Technical Summary"
http://www.ipcc.ch/i[...]
IPCC
2007
[108]
논문
Soot climate forcing via snow and ice albedos
2004-01-13
[109]
논문
Present-day climate forcing and response from black carbon in snow
http://www.escholars[...]
2007-06-05
[110]
문서
Gross global warming should result in about 2 °C (4 °F) temperature rise. However, observed global warming is only about 0.8 °C because cooling particles off set much of the warming. Reducing fossil fuel and biofuel soot would reduce about 40% of the observed warming and about 16% of the gross warming. Jacobson Testimony, supra note 13, at 3. ("The figure also shows that fossil-fuel plus biofuel soot may contribute to about 16% of gross global warming (warming due to all greenhouse gases plus soot plus the heat island effect), but its control in isolation could reduce 40% of net global warming.").
[111]
문서
Jacobson Testimony, id. at 4.
[112]
문서
Jacobson Testimony, id.
[113]
문서
Jacobson Testimony, id. As an aerosol, there is not standardized formula for developing global warming potentials (GWP) for black carbon. However, attempts to derive GWP100 range from 190 – 2240 relative to CO2.
[114]
논문
Correction to 'Control of fossil-fuel particulate black carbon and organic matter, possibly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slowing global warming'
2005-07-27
[115]
논문
Can Reducing Black Carbon Emissions Counteract Global Warming?
2005-08
[116]
문서
Jacobson Testimony, supra note 9 at 4 (GWP BC – 2240).
[117]
문서
Jacobson Testimony, supra note 9, at 4.
[118]
문서
INTEGRATED ASSESSMENT OF BLACK CARBON AND TROPOSPHERIC OZONE, SUMMARY FOR DECISION MAKERS
UNEP and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1-06
[119]
문서
Ramanathan Testimony, supra note 4, at 4.
[120]
문서
Jacobson Testimony, supra note 9, at 9.
[121]
문서
Jacobson offers an estimate of total U.S. CO2 emissions in 2005 of 6270 metric tonnes, 26% of which is 1630. Id.
[122]
문서
Jacobson Testimony, supra note 9, at 9.
[123]
문서
Emission Control Technologies for Diesel-Powered Vehicles
http://www.meca.org/[...]
Manufacturers of Emission Controls Association (MECA)
2007-12
[124]
문서
Id., ("DPFs can achieve up to, and in some cases, greater than a 90 percent reduction in PM. High efficiency filters are extremel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carbon fraction of the particulate, the portion of the particulate that some health experts believe may be the PM component of greatest concern").
[125]
문서
Id., at 5, ("Mobile source black carbon emissions are estimated at 234 Gg in 2001, representing 54 percent of the nationwide black carbon emissions of 436 Gg. Under Scenario F, mobile source emissions are projected to decline to 71 Gg, a reduction of 163 Gg."
[126]
문서
Use of Black Carbon and Organic Carbon Inventories for Projections and Mitigation Analysis
http://www.epa.gov/t[...]
Bahner, Mark A., Weitz, Keith A., Zapata, Alexandra and DeAngelo, Benjamin
2007
[127]
문서
Heavy-Duty Highway Diesel Program
http://www.epa.gov/o[...]
EPA
[128]
논문
Climate Impacts of Air Quality Policy: Switching to a Natural Gas-Fuel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New Delhi
2008-08
[129]
논문
Who Changed Delhi's Air? The Roles of the Court and the Executive in Environmental Policymaking
2005
[130]
문서
Id., at Section 3.1 ("In total there is about a 10% reduction of net CO2(e) emissions, and if buses are considered separately, net CO2(e) emissions are reduced by about 20%").
[131]
문서
That is, if particulate filters could be shown reduce black carbon emissions 90 percent from ships as they do for land vehicles, 120,000 metric tons of today's 133,000 metric tons of emissions would be prevented.
[132]
논문
Direct molecular evidence for the degradation and mobility of black carbon in soils from ultrahigh-resolution mass spectral analysi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rom a fire-impacted forest
[133]
문서
Climate trade-off between black carb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O. Boucher and M.S. Reddy
2007
[134]
웹사이트
Jump-Starting Climate Protection: INECE Targets Compliance with Laws Controlling Black Carbon
http://inece.org/cli[...]
2008-06-12
[135]
웹사이트
環境用語集:「ブラックカーボン」|EICネット
https://www.eic.or.j[...]
[136]
웹사이트
北極のブラックカーボンはどこからくるのか?(2020年度 39巻3号)|国環研ニュース 39巻|国立環境研究所
https://www.nies.go.[...]
[137]
웹사이트
Global and regional climate changes due to black carbon - NASA/ADS
https://ui.adsabs.ha[...]
[138]
웹사이트
The pollution caused by rocket launches - BBC Future
https://www.bbc.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