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레셋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레셋어는 블레셋인들이 사용했던 언어로, 현재는 충분한 정보가 남아있지 않아 다른 언어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밝히기 어렵다. 비문 자료를 통해 가나안어 방언의 일종으로 추정되기도 하며, 인도유럽어족과의 관련성도 제기된다. 블레셋어의 어휘와 이름에서 인도유럽어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하며, 특히 '세렌'과 같은 단어는 그리스어 및 히타이트어와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다. 기원전 8~7세기에는 가나안어 방언을 사용했으며, 아시리아 제국 멸망 이후에는 아람어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레셋 - 가자
    가자는 기원전 15세기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1993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2007년부터 하마스 통치 하에 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지속되는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최대 도시이다.
  • 블레셋 - 아슈켈론
    아슈켈론은 고대 불레셋의 항구 도시로, 십자군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맘루크 술탄에 의해 파괴된 후 국립공원으로 관리되고, 이스라엘 횡단 파이프라인의 종착역이자 경제적 시설을 갖춘 도시이다.
  • 아시아의 미분류 언어 - 유연어
    유연어는 ‘l’ 발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와 ‘-nd’ 형태의 복자음, 여성형 접미사 ‘-tu-’를 사용하는 특징적인 음운 및 어형론적 구조를 가진 언어이다.
  • 아시아의 미분류 언어 - 선비어
    선비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며, 선비족이 사용했고, 거란어와 몽골어의 유사성을 보이며, 현재 연구가 미흡하고, 토욕혼 묘지명에서 토욕혼문으로 추정되는 문자가 발견되었다.
  • 아시아의 사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아시아의 사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블레셋어
언어 정보
이름블레셋어
사용 지역블레셋
사용자블레셋인
사멸 시기기원전 9세기 경
계통미분류
ISO 3없음
글롯토로그없음
음성 정보
발음IPA(영어): /ˈfɪləstiːn/, /ˈfɪləstaɪn/, /fəˈlɪstən/, /fəˈlɪstiːn/
기타 정보
관련 정보블레셋인 정의 (Dictionary.com)

2. 분류

비문만으로 판단해 보면, 블레셋어는 히브리어, 에돔어, 모압어, 에크론어, 페니키아어를 포함하는 지역 가나안 제어 공동체의 일부인 것처럼 보인다.[35][36] 예를 들어, 고고학 유적지를 성서의 에크론으로 확실하게 식별하는 에크론 비문은 위치를 기준으로 블레셋어로 식별되어 연결되는 최초의 텍스트 문헌이지만, 페니키아어나 히브리어와 유사한 가나안 방언으로 기록되었다.[37]

블레셋어에 대한 정보는 충분하지 않아 다른 어떤 언어와도 자신 있게 연관 지을 수 없다.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의 가능한 관계, 심지어 미케네 그리스어까지도 블레셋 이주민들이 "바다 민족" 사이에서 기원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비셈어 어휘와 의성어에 대한 암시가 있지만, 현대의 위작들에 의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이 비문들은 수수께끼이며,[38][39] 여러 블레셋 지역에서 수많은 미니어처 "닻 인장"이 발견되었다.[40]

한편, 철기 시대 IIA-IIB 텔에스사피의 간략한 비문[41]에서 나온 증거는 블레셋 사람들이 지역 철기 시대의 어느 단계에서 가나안 지역 언어와 문자의 방언들 중 하나를 사용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시간이 지나면서 초기의 비지방 언어 전통을 가리고 대체한 가나안 지역 언어와 문자는 비문에 더 이상 기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심할 바 없이 언어적 기반으로 축소되었다.[42]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블레셋 사람들의 주요 문자 언어는 가나안 방언으로, 서셈 문자의 한 버전으로 쓰여져 프랭크 무어 크로스가 "신블레셋 문자"라고 부를 정도였다.[43] 아시리아바빌로니아의 정복은 해안에 있던 블레셋의 존재를 파괴했다.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 제국) 치하에서 기록이 재개된 이후로는, 아시리아 제국, 바빌로니아 제국, 아케메네스 제국의 링구아 프랑카아람어로 기록되었다.

2. 1. 인도유럽어로서의 블레셋어

블레셋인들이 본래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44] 이는 블레셋 도자기 양식과 장식적인 모티프, 특히 지역 셈족 예술 양식과 구별되는 필리스테인 이중색 도기의 에게 그리스 기원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블레셋과 관련된 단어 중 다수는 비셈어이며 어떤 경우에는 인도유럽조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블레셋 바이크롬 도자기


이 두 단어는 모두 히브리어로 채택되었다. 골리앗, 아키시, 피콜과 같은 블레셋인들의 이름은 어원이 비셈어 계통인 것으로 보이며, 인도유럽어 어원이 제시되었다.[57][58] 2005년에, 기원전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두 개의 이름의 비문이 텔에스아피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유명한 블레셋인의 이름인 골리앗(리디아어로 *알랴테스*[59], 그리스어로 *칼리아데스*, 카리아어로 *울자트*와 비교됨)의 어원 중 하나와 매우 유사하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Philistines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 문서
[3] 논문 Hebrew 'argáz, a Philistine Word 1936
[4] 문서
[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Phoenician and Punic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26
[6] 웹사이트 "Philister-Projekt: ""The Cultural Dynamics of the Philistine Culture: A Case Study in the Transformation of an Immigrant Culture" http://www.stefan-ja[...]
[7] 논문 A Royal Dedicatory Inscription from Ekron https://web.archive.[...] 1997
[8] 간행물 Some Recently Forged Inscriptions 1982
[9] 서적 From Nomadism to Monarchy 1994
[10] 서적 Saul and the Monarchy: A New Look Ashgate 2005
[11] 논문 A Late Iron Age I/early Iron Age IIA Old Canaanite Inscription from Tell es-Sâfi/Gath, Israel: Palaeography, Dating, and Historical-Cultural Significance 2008
[12] 문서
[13] 간행물 A Philistine Ostracon From Ashkelon 1996-01
[14] 논문 Who Were the Philistines 1946-04
[15] 서적 New Cambridge Ancient History
[16] 서적 New Cambridge Ancient History
[17] 서적 The Sea Peoples: Warrior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1250–1150 BC Thames and Hudson 1978
[18] 논문 The First Tyrants in Greece 1972
[19] 논문 Ein sprachliches Indiz für die Herkunft der Philister 1983
[20] 논문 Schizzo della delineazione nominale dell'eteo geroglifico (Continuazione e fine) 1953
[21]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Histoire des mots 1968
[22] 논문 Isoglossi lessicali Greco-Ittite 1969
[23] 논문 Une étymologie étrusco-hittite
[24] 논문 Hittite Words in Hebrew 1963
[25] 논문 Hebrew 'helmet,' a loanword, and its bearing on Indo-European phonology 1937-03
[26] 논문 Hebrew ‘Helmet," a Loanword, and Its Bearing on Indo-European Phonology www.jstor.org/stable[...] 1937
[27] 문서
[28] 문서
[29] 논문 Who Were the Philistines 1946
[30] 간행물 Some Early Philistine History 1959-01
[31] 웹인용 Definition of Philistines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32] 문서
[33] 논문 Hebrew 'argáz, a Philistine Word 1936
[34] 문서
[3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Phoenician and Punic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26
[36] 웹인용 '"Philister-Projekt: ""The Cultural Dynamics of the Philistine Culture: A Case Study in the Transformation of an Immigrant Culture"' http://www.stefan-ja[...]
[37] 논문 A Royal Dedicatory Inscription from Ekron https://web.archive.[...] 1997
[38] 간행물 Some Recently Forged Inscriptions 1982
[39] 서적 Egyptians, Canaanites and Philistines in the Period of the Emergence of Israel 1994
[40] 서적 Saul and the Monarchy: A New Look Ashgate 2005
[41] 논문 A Late Iron Age I/early Iron Age IIA Old Canaanite Inscription from Tell es-Sâfi/Gath, Israel: Palaeography, Dating, and Historical-Cultural Significance 2008
[42] 문서 In the late 9th century BC in Tell es-Safi, the West Semitic alphabet script was in use.
[43] 뉴스 A Philistine Ostracon From Ashkelon 1996-01
[44] 서적 De Filistijnen 1905
[45] 서적 The Sea Peoples
[46] 문서 Only used in Hebrew in connection with Philistine princes; the Philistine etymology of ''seren, sranim'' was admitted by W.F. Albright in the ''New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I, part I, p. 25, note 3.
[47] 서적 The Sea Peoples: Warrior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1250–1150 BC Thames and Hudson 1978
[48] 논문 The First Tyrants in Greece 1972
[49] 문서 Ein sprachliches Indiz für die Herkunft der Philister 1983
[50] 문서 Schizzo della delineazione nominale dell'eteo geroglifico (Continuazione e fine) 1953
[51] 문서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Histoire des mots, vol. 4.1 1968
[52] 문서 Isoglossi lessicali Greco-Ittite 1969
[53] 문서 Une étymologie étrusco-hittite 1995
[54] 문서 Hittite Words in Hebrew 1963
[55] 논문 Hebrew 'helmet,' a loanword, and its bearing on Indo-European phonology 1937-03
[56] 논문 Hebrew ‘Helmet," a Loanword, and Its Bearing on Indo-European Phonology www.jstor.org/stable[...] 2021-08-16
[57] 문서 Achish has been connected to Greek (Ἀγχίσης) and [[Hurrian]].
[58] 문서 Little is known of Philistine personal names, but the little we know seems to confirm Jacobsohn's Illyrian hypothesis
[59] 논문 Some Early Philistine History 195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