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니키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니키아어는 셈족 알파벳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최초의 국가 수준의 사회인 페니키아인들이 사용한 언어이다. 페니키아 문자는 자음 알파벳 중 하나로, 거의 모든 현대 알파벳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페니키아어는 티로-시도니아 방언과 비블로스 방언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역을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고대 그리스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영향을 미쳤다. 페니키아어는 기원전 1세기까지 지중해 동부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식민지화를 통해 서지중해로 확산되어 포에니 문자로 발전했지만, 점차 멸망했다. 페니키아어는 22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압자드였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모음을 표기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페니키아어의 음운 체계는 불완전하게 알려져 있으며, 셈어의 특징을 공유하며, 자음 어근을 중심으로 단어가 구성되고, 동사는 굴절된다. 어휘는 성경 히브리어와 유사하며, 현대 언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약 10,000개의 비문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니키아어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페니키아어 - 셈어파
    셈어파는 아랍어, 히브리어 등을 포함하는 어족으로, 노아의 아들 셈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자음 체계와 어근 활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페니키아 문자 - 아람어
    아람어는 기원전 1000년경 아람인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셈어족 언어로, 신아시리아 제국의 공용어 채택으로 넓은 지역에 확산되었고, 예수의 언어이자 성경과 탈무드의 주요 언어이며, 현대에는 일부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 페니키아 문자 - 요드
    요드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되어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등 다양한 문자에 영향을 미쳤으며, 히브리 문자에서는 자음이나 모음을 나타내고, 아랍 문자에서는 단어 내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 셈어파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페니키아어
언어 정보
이름페니키아어
자기 이름dabarīm Pōnnīm/Kana'nīm
다른 이름(카나안어)
사용 지역예전에는 레바논, 튀니지, 에스파냐, 몰타, 프랑스 남부와 시칠리아섬, 지중해의 다른 지역에서도 쓰였음.
사멸 시기7세기 말
문자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사용 시기기원전 11세기 중반 ~ 기원전 2세기 (카나안)
언어 분류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셈어파
어군서셈어군
분파중앙셈어, 북서셈어, 가나안어
언어 코드
ISO 639-2phn
ISO 639-3phn
Glottologphoe1239 (페니키아어), phoe1238 (페니키아-푸니키아어)
지도 정보
페니키아어 분포
페니키아어의 분포

2. 역사

페니키아인들은 셈족 알파벳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최초의 국가 수준의 사회였다. 페니키아 문자는 가장 오래 확인된 자음 알파벳, 즉 ''압자드'' 중 하나이다.[6] 이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까지 "원시 가나안 문자"로 불리다가, 청동 화살촉에 새겨진 비문에서 처음 확인된 이후인 기원전 1050년 이후부터 "페니키아 문자"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7] 페니키아 음성 알파벳은 거의 모든 현대 알파벳의 부분적인 조상으로 여겨진다.

지중해에서 페니키아의 주요 무역로와 도시


전통적인 언어학적 관점에서 페니키아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었다.[8][9] 일부 자료에 따르면, 티로-시도니아 방언과 비블로스 방언으로 발전했으며, 포에니 문자가 파생된 티로-시도니아 방언은 무역과 식민지화를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10] 그러나 언어의 미미한 차이와 당시 기록의 불충분함으로 인해 페니키아어가 별도의 통일된 방언을 형성했는지, 아니면 더 광범위한 언어 연속체의 피상적으로 정의된 부분에 불과했는지는 불분명하다. 페니키아인들은 해상 무역을 통해 알파벳 사용을 마그레브와 유럽으로 퍼뜨렸고, 이곳에서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를 채택했다.[11] 이후, 에트루리아 문명의 에트루리아인들이 자신들의 사용을 위해 수정된 버전을 채택했고, 이것이 다시 고대 로마인들에 의해 수정 및 채택되어 라틴 알파벳이 되었다.[12] 지중해 동부 지역에서는 기원전 1세기까지 이 언어가 사용되었고,[13] 이 지역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보인다.

히브리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지만, 히브리어의 는 페니키아어에서는 가 되고, 짧은 a가 페니키아어에서 o가 되는 경우가 있다.[53] 또한 기본적인 동사에 차이가 있어, "만들다"는 히브리어 에 대해 페니키아어 이며, "주다"는 히브리어 에 대해 페니키아어 이다.[54]

페니키아어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소아시아 비문에서는 아람어나 루위어로부터의 차용이 보이며, 포에니 어에서는 그리스어, 라틴어, Numidian language|누미디아어영어의 영향을 볼 수 있다.[55]

2. 1. 페니키아 본토

고대 그리스어[45] 및 현대 학자들이 '''페니키아'''라고 부르는 지역은 지중해 동부 연안의 레반트 지역 북부 연안 지역을 가리키며, 현재의 레바논에서 이스라엘 북부에 걸쳐 있다. 북쪽으로는 현재의 시리아의 텔 수카스Tell Sukas영어에서 남쪽으로는 현재 이스라엘아코까지 포함한다. 페니키아인들은 스스로를 가나안인으로 여기거나, 출신 도시를 기준으로 자신을 동일시했다.[46]

페니키아어 자료는 주로 비문이다. 어느 정도 길이의 자료로는 기원전 10세기의 비블로스 왕의 일련의 비문이 가장 오래되었다. 그 이전에도 자료가 있지만, 대부분 개인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어, 페니키아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47] 페니키아인들은 해상 무역 상인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페니키아어 비문은 페니키아 본토뿐만 아니라 지중해 세계 전체에 퍼져 있으며, 기원전 9세기 초부터 기원후 1세기에 걸쳐 소아시아, 키프로스, 시칠리아, 사르데냐, 몰타, 로도스, 이집트, 그리스, 발레아레스 제도, 스페인에 비문이 남아 있다.[46]

페니키아어는 몇 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기원전 10~9세기의 비블로스 방언을 고(古)비블로스어라고 부른다. 기원전 9세기 이후의 페니키아어는 대체로 균질적이며, 이를 표준 페니키아어라고 칭한다.[48]

2. 2. 포에니 식민지와 포에니어

카르타고 사람들이 사용한 페니키아어 방언은 Punic language|포에니어영어라고 불리며, 수천 개의 비문 (대부분 봉헌문)이 남아 있고, 소수는 그리스 문자나 라틴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49] 기원전 6세기 이후의 비문은 현재의 튀니지, 알제리, 리비아, 몰타, 사르데냐, 시칠리아, 프랑스, 스페인, 발레아레스 제도에 남아 있다. 로마 공화정과의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가 멸망한 기원전 146년 이후의 포에니어를 '''신(新) 포에니 어''' (또는 후기 포에니 어)라고 부른다. 신 포에니 어 비문은 2세기까지 존재하며, 그 후 라틴 문자로 기록된 포에니 어 비문이 4-5세기까지 남아 있다.[50]

포에니의 식민지화는 페니키아어를 서지중해로 확산시켰고, 여기서 독특한 포에니 문자가 발전했다. 포에니 문자 또한 멸망했지만, 페니키아어보다 훨씬 더 오래, 아마도 9세기에서 6세기까지 살아남은 것으로 보인다.[14] 티레(Tyre, 레바논)의 페니키아 식민지였던 카르타고에서 사용되던 언어의 상당히 다른 후기 형태는 푸니 언어로 알려져 있으며, 페니키아 본토에서 페니키아어가 사용된 것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시대까지 존속한 것으로 추정된다.

푸니 언어는 존속하는 동안 베르베르어와 공존했으며, 베르베르어는 당시 튀니지 (카르타고 포함)와 북아프리카의 토착어였다. 푸니 언어가 마그레브의 무슬림 정복 이후 일부 작고 고립된 지역에서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있다. 지리학자 알 바크리는 이프리키야의 시골 지역인 시르테에서 베르베르어, 라틴어 또는 콥트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묘사했는데, 이 지역에서는 푸니어가 문자 사용 이후에도 오랫동안 구어로 살아남았다.[41] 그러나, 푸니 언어 화자들의 아랍어화는 정복자들의 언어와 같은 그룹에 속하고 (둘 다 셈어족) 많은 문법적, 어휘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촉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비문 외에 주변의 다른 언어로 페니키아어의 이름을 기록한 자료가 남아 있으며, 그리스어라틴어로 페니키아어의 어휘를 설명한 자료가 남아 있다. 플라우투스의 희곡 "카르타고인"(기원전 200년경)에서는 포에니 어 대화가 라틴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50] 현재 알제리에서 태어나 카르타고에서 공부한 아우구스티누스 (4-5세기)는 포에니인을 자처했고[51], 저작에서 종종 포에니 어의 어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52]

현대 투아레그족과 같은 베르베르족 집단이 불규칙적으로 사용하는 고대 리비코-베르베르 문자는 토착 이름인 티피나그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푸니"의 동족어에서 파생된 형태일 수 있다.[42] 하지만, 두 문자 체계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페니키아-푸니 문자의 직접적인 파생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확립되지 않았다. 언어 (문자가 아닌)에 관해서는, 푸니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들이 현대 베르베르 방언에 나타난다. 한 가지 흥미로운 예는 푸니 언어의 ''gader''에서 유래된 "벽"을 뜻하는 ''agadir''이다.

아마도 푸니 언어의 영향의 가장 흥미로운 사례는 히스파니아 (포르투갈스페인을 포함하는 이베리아 반도)의 이름인데, 한 이론에 따르면, 푸니 언어의 ''I-Shapha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바위너구리의 해안"을 의미하며, 이는 페니키아 탐험가들이 수많은 토끼를 바위너구리로 오인한 것이다.[43][44] 또 다른 사례는 항해자 한노가 기니 만에서 발견한 적대적인 "털이 많은 사람들"의 부족의 이름이다. 항해자 한노의 통역자들이 그 사람들에게 부여한 이름은 푸니 언어에서 그리스어로 ''고릴라이''로 전달되었으며, 1847년에 토마스 S. 사바지에 의해 서부 고릴라에게 적용되었다.

3.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가장 오래 확인된 자음 알파벳 또는 ''압자드'' 중 하나이다.[6] 이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까지 "원시 가나안 문자"로 불리다가, 청동 화살촉에 새겨진 비문에서 처음 확인된 이후인 기원전 1050년 이후부터 "페니키아 문자"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7] 페니키아 음성 알파벳은 거의 모든 현대 알파벳의 부분적인 조상으로 여겨진다.

페니키아 문자(Phoenician script)는 압자드(자음 문자)로 쓰였으며, 원 가나안 문자에서 유래되었고, 그리스 문자의 기초가 되었으며, 에트루리아 문자를 거쳐 라틴 문자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 푸니 문자 형태는 점차 다소 다른 필기체 형태의 문자로 발전했다. 기원전 3세기에 접어들면서, 특히 단어의 종결 모음을 알레프 또는 때때로 아인으로 표시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제2차 포에니 전쟁 즈음에는 더욱 필기체 형태가 발전하기 시작했으며,[15] 이는 신 푸니 문자라고 불리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고, 보수적인 형태와 공존하다가 카르타고 멸망 (기원전 149년경) 이후 어느 시점부터 지배적이 되었다.[16] 신 푸니 문자는 이전 체계보다 더 자주 모음의 어머니(matres lectionis, 자음 문자)를 사용하여 모음을 표기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양한 모음에 대해 서로 다른 문자를 체계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6] 현재 알제리 콘스탄틴에서 발견된 기원전 1세기에 제작된 여러 후기 비문은 페니키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고, 트리폴리타니아에서 발견된 서기 3, 4세기의 많은 비문은 그 목적으로 라틴 문자를 사용했다.[17]

페니키아어 쓰기에서는, 아람어, 히브리어 성경, 아랍어와 같은 압자드와 달리, 장모음조차 그 기원(이중 모음에서 유래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bt''' '집', 이전의 ''*bayt-''; 히브리어 철자는 '''byt''')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결국, 푸니 문자 작성자들은 '모음의 어머니'를 통해 모음을 표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3세기에 접어들면서 모든 종결 모음의 존재를 표시하기 위해 최종 'ālep

를 사용하고, 때때로 종결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yōd
를 사용하는 관행이 나타났다.

이후, 주로 카르타고가 멸망한 이후, 소위 "신 푸니" 비문에서 wāw
는 , 요드 는 , 'ālep --는 와 , ʿayin
는 그리고 hē
는 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18] 이 후자의 시스템은 처음에는 외래어에 사용되었고, 그 다음에는 많은 고유어에도 확장되었다.

문헌에 보고된 세 번째 관행은,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페니키아 문자를 처음 적용했을 때 발생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자음 문자를 모음에 사용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푸니 문자 작성자에게는 여전히 명확했던 것으로 보인다. 즉, hē 는 를, 'ālep --는 를 나타내는 것이다.

나중에는 푸니 비문이 라틴 문자로 쓰이기 시작했고, 이는 또한 모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후기 비문들은, 그리스 문자로 된 일부 비문들과 페니키아어 이름을 다른 언어로 번역한 것들과 함께, 페니키아어 모음에 대한 지식의 주요 원천을 나타낸다. 페니키아어를 표기하는 페니키아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이며, 22개의 자음만 표기된다. 그러나 포에니어(특히 신 포에니어)에서는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준모음에 의해 모음을 표기했다.

4. 음운

셈어의 29개 자음은 페니키아어에서 융합되어 22개로 감소했다. 치 마찰음 은 로, 연구개 마찰음 는 인두 마찰음 로, 측면 마찰음 는 로 각각 융합되었다. 히브리어아람어에서는 모음 뒤의 파열음이 마찰음화되지만, 페니키아어에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다는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57]

모음은 말기까지 표기되지 않아 불명확한 점이 많다. 셈어의 8개 모음 중 ay는 로 변화했고, 와 aw는 가나안어파에서 로 변화한 후, 페니키아어에서는 더 나아가 로 바뀌었다. 짧은 a는 강세가 있는 열린 음절에서는 o로 바뀌었다. 짧은 i는 강세가 있는 열린 음절에서는 , 강세가 없는 열린 음절에서는 e로 변화했다. 또한, 히브리어와 마찬가지로, 강세가 있는 음절의 두 음절 전(명사) 또는 한 음절 전(동사)의 열린 음절의 단모음은 슈와로 바뀌었고, 어말의 단모음은 탈락했다[58]

4. 1. 자음

페니키아 문자는 압자드(자음 문자)로 쓰였으며, 원 가나안 문자에서 유래되었고, 그리스 문자의 기초가 되었으며, 에트루리아 문자를 거쳐 라틴 문자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 페니키아어 쓰기에서는 아람어, 히브리어 성경, 아랍어와 같은 압자드와 달리, 장모음조차 그 기원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bt''' '집'은 이전의 ''*bayt-''에서 유래했지만, 히브리어 철자는 '''byt'''이다.

결국, 푸니 문자 작성자들은 '모음의 어머니'를 통해 모음을 표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3세기에 접어들면서 모든 종결 모음의 존재를 표시하기 위해 최종 'ālep 를 사용하고, 때때로 종결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yōd 를 사용하는 관행이 나타났다.

이후, 주로 카르타고가 멸망한 이후, 소위 "신 푸니" 비문에서 wāw 는 , 요드 는 , 'ālep --는 와 , ʿayin 는 그리고 hē 와 ḥēt 는 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18] 이 후자의 시스템은 처음에는 외래어에 사용되었고, 그 다음에는 많은 고유어에도 확장되었다.

문헌에 보고된 세 번째 관행은,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페니키아 문자를 처음 적용했을 때 발생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자음 문자를 모음에 사용하는 것이었다. 즉, hē 는 를, 'ālep --는 를 나타내는 것이다.

나중에는 푸니 비문이 라틴 문자로 쓰이기 시작했고, 이는 또한 모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후기 비문들은, 그리스 문자로 된 일부 비문들과 페니키아어 이름을 다른 언어로 번역한 것들과 함께, 페니키아어 모음에 대한 지식의 주요 원천을 나타낸다.

다음 표는 페니키아어의 자음 음소를 페니키아 문자로 표현한 것과, 표준 셈어학 음역 및 재구축된 국제 음성 기호의 음성 값을 나타낸 것이다.[19][20]

페니키아 자음 (전통 학파)
colspan="2" rowspan="2" |양순치경경구개연구개구개수인두성문
평음강세
비음𐤌|mphn𐤍|nphn
파열음 /
파찰음
무성𐤐|pphn𐤕|tphn𐤈|ṭphn 𐤊|kphn𐤒|qphn𐤀|ʾphn
유성𐤁|bphn𐤃|dphn𐤂|gphn
마찰음무성𐤎|sphn𐤑|ṣphn 𐤔|šphn𐤇|ḥphn𐤄|hphn
유성𐤆|zphn𐤏|ʿphn
전동음 / 탄음𐤓|rphn
접근음𐤋|lphn𐤉|yphn𐤅|wphn



위에 나타난 아브자드는 여러 합병의 결과이다. 원시 북서 셈어에서 가나안어로, 와 는 로, 와 는 로, , 및 는 로 합병되었다. 다음으로, 가나안어에서 페니키아어로, 치찰음 와 는 로, 와 는 로, *와 *는 *로 합병되었다.

원시 원시 셈어의 치찰음, 그리고 이에 따른 페니키아어 대응어의 원래 음가는 논쟁의 대상이다. 전통적인 음가는 (), (), (), ()이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가 , 가 , 가 , 가 였다고 주장한다. 크라흐말코프 또한 페니키아어 *z*가 라틴어 표기에서 지시 대명사 𐤅|zphn를 ''esde''로 표기한 것을 근거로 [dz] 또는 심지어 [zd]였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20]

한편, 페니키아어 표기법에서 대체로 잘 구별되는 신

과 사멕
이 고전 페니키아어 또는 후기 푸니어를 거치면서 결국 어떤 시점에서 합쳐졌는지 여부도 논쟁의 대상이다.[21]

후기 포에니 시기에는 후두음과 인두음이 완전히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라틴 문자는 이러한 소리나 강조된 자음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었지만, 포에니 문자 표기에서도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다.

페니키아-푸니어가 다른 대부분의 북서셈어와 같이 유성음화(파열음)를 겪었는지에 대한 합의는 없다. 자음 는 푸니어를 비롯한 후기 페니키아어에서, 원시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로 변환되었을 수 있다.[22] 확실히 후기 푸니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한 것에는 다양한 위치에서 ''ph'', ''th'', ''kh''와 같은 마찰음화된 표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원래 *p에 대한 문자 ''f''도 포함되어 있다.[23] 그러나 신 푸니에서는 *b가 뒤따르는 자음에 인접하여 /v/로 유성음화되었으며, 라틴어 표기 ''lifnim''이 그 예로, 이는 𐤋𐤁𐤍𐤌|lbnmphn "그의 아들을 위해"를 의미한다.[20]

셈어의 29개 자음은 페니키아어에서 융합되어 22개로 감소했다.

4. 2. 모음

페니키아 문자는 압자드(자음 문자)로 쓰였으며, 처음에는 모음 표기가 없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모음의 어머니'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장모음조차도 그 기원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15]

기원전 3세기경부터 단어 끝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알레프(
)나 때로는 아인을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종결 장모음 를 표시하기 위해 요드()를 사용하기도 했다.[16]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에는 더욱 필기체 형태가 발전하면서, '모음의 어머니'를 더 자주 사용하여 모음을 표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신 푸니' 비문에서는 wāw()는 를, 요드()는 를, 'ālep(--)는 와 를, 아인()는 를 나타냈다.[18] hē()와 헤스()는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처음에는 외래어에, 나중에는 고유어에도 사용되었다.[18]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페니키아 문자를 처음 적용했을 때처럼 자음 문자를 모음에 사용하는 방식도 나타났다. hē()는 를, 'ālep(--)는 를 나타내는 식이었다.

후기 푸니 비문은 라틴 문자로 쓰였으며, 이는 모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후기 비문, 그리스 문자로 된 비문, 페니키아어 이름을 다른 언어로 번역한 것들이 페니키아어 모음에 대한 주요 정보원이다.

페니키아어에는 단모음 , , 와 장모음 , , , , 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원시 셈어 이중 모음 와 는 와 로 변화했다.

페니키아어에서 가장 두드러진 모음 변화는 가나안 변이이다. 원시 북서 셈어 와 는 가 되었다. 강세가 있는 원시 셈어 는 가 되었다.

페니키아어의 가능한 모음 체계
rowspan="2" |단모음장모음
전설후설전설후설
고모음rowspan="2" |rowspan="2" |
중모음
저모음colspan="2" |colspan="2" |



강세는 주로 최종 음절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장모음은 열린 음절에서만 나타났을 것이다. 원래 열린 음절의 단모음 는 로 낮아졌고 강세가 있으면 길어졌다.

5. 문법

셈어의 전형적인 특징처럼, 페니키아어 단어는 보통 자음 어근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형태론적 구분을 표현하기 위해 모음 변화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셈어와 달리, 페니키아어는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에서 보이는 수많은 단일 자음 및 이중 자음 어근을 보존하거나, 어쩌면 재도입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사 𐤊𐤍 '''kn''' "to be"와 아랍어 كون '''kwn''', 𐤌𐤕 '''mt''' "to die"와 히브리어아랍어 מות/موت '''mwt''', 그리고 𐤎𐤓 '''sr''' "to remove"와 히브리어 סרר '''srr'''를 비교해 볼 수 있다.

페니키아어는 인칭, 수, 성, 시제, 법에 따라 동사가 굴절된다.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페니키아어 동사는 동작 방식, 타동성 수준, 태를 표현하는 다양한 "동사 패턴" 또는 "어간"을 가지고 있다.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완료 또는 접미사 활용은 "하다"를 의미하는 어근 𐤐𐤏𐤋 '''p-ʻ-l''' (중립적, G-어간)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35][26]

단수복수
1인칭paʻaltisem 𐤐𐤏𐤋𐤕𐤉paʻalnusem 𐤐𐤏𐤋𐤍
2인칭 남성paʻaltasem 𐤐𐤏𐤋𐤕paʻaltimsem 𐤐𐤏𐤋𐤕𐤌
2인칭 여성paʻalt(i)sem 𐤐𐤏𐤋𐤕증거 없음, 아마도 paʻaltinsem 𐤐𐤏𐤋𐤕𐤍
3인칭 남성paʻalsem 𐤐𐤏𐤋paʻalusem 𐤐𐤏𐤋, 푸니크어 pʻlʼsem 𐤐𐤏𐤋𐤀
3인칭 여성paʻala(t)sem 𐤐𐤏𐤋𐤕,[36] 또한 𐤐𐤏𐤋, 푸니크어 pʻlʼsem 𐤐𐤏𐤋𐤀paʻalusem 𐤐𐤏𐤋, 푸니크어 pʻlʼsem 𐤐𐤏𐤋𐤀



현재 및 미래 시제를 표현하는 미완료 또는 접두사 활용 (소망을 표현하는 원시 셈어 유사법의 후손과 구별할 수 없음)은 어근 '''p-ʻ-l'''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수복수
1인칭ʼapʻulsem 𐤀𐤐𐤏𐤋napʻulsem 𐤍𐤐𐤏𐤋
2인칭 남성tapʻulsem 𐤕𐤐𐤏𐤋tapʻulū(n)sem 𐤕𐤐𐤏𐤋, 푸니크어 tpʻlʼsem 𐤕𐤐𐤏𐤋𐤀
2인칭 여성tapʻulīsem 𐤕𐤐𐤏𐤋𐤉tapʻulnasem 𐤕𐤐𐤏𐤋𐤍
3인칭 남성yapʻulsem 𐤉𐤐𐤏𐤋yapʻulū(n)sem 𐤉𐤐𐤏𐤋
3인칭 여성tapʻulsem 𐤕𐤐𐤏𐤋yapʻulnasem 𐤉𐤐𐤏𐤋𐤍



명령법 어미는 아마도 2인칭 단수 남성, 2인칭 단수 여성, 2인칭 복수 남성에 대해 각각 , -īsem, -ūsem였을 것이지만, 세 형태 모두 정서법에서 puʻulsem 𐤐𐤏𐤋 -∅sem로 나타난다. 원래 접두사 활용과 약간 달랐던 고대 셈어의 유사법은 현재 데이터로는 페니키아어에서 더 이상 구분할 수 없다.

비한정 형태는 부정사 구성, 부정사 절대 및 능동 및 수동 분사이다. G-어간에서 부정사 구성은 일반적으로 전치사 𐤋 '''l-''' "to"와 결합되어 lipʻulsem 𐤋𐤐𐤏𐤋 "to do"와 같이 사용된다. 반대로, 부정사 절대 paʻōlsem 𐤐𐤏𐤋는 주로 동일한 어근을 가진 후속 한정 동사의 의미를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 ptḥ tptḥsem 𐤐𐤕𐤇 𐤕𐤐𐤕𐤇 "너는 정말로 열 것이다!",[36] 따라서 paʻōl tipʻulsem /𐤐𐤏𐤋 𐤕𐤐𐤏𐤋 "너는 정말로 할 것이다!"

분사는 G-어간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졌다.


  • 능동:
  • 남성 단수 pōʻilsem (나중에 pūʻelsem[36]) 𐤐𐤏𐤋, 복수 poʻlimsem[36] 또는 pōʻilīmsem 𐤐𐤏𐤋𐤌
  • 여성 단수 pōʻilatsem 𐤐𐤏𐤋𐤕, 복수 pōʻilōtsem 𐤐𐤏𐤋𐤕
  • 수동:
  • 남성 단수 paʻūlsem[36] 또는 paʻīlsem[37] 𐤐𐤏𐤋, 복수 paʻūlīmsem 𐤐𐤏𐤋𐤌
  • 여성 단수 paʻūlatsem 𐤐𐤏𐤋𐤕, 복수 paʻūlōtsem 𐤐𐤏𐤋𐤕


위에서 누락된 형태는 원시 북서 셈어 조상 형태와 증명된 페니키아어 대응 간의 일치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 PNWS 분사 형태는 *pāʻil-, pāʻilīma, pāʻil(a)t, pāʻilāt, paʻūl, paʻūlīm, paʻult or paʻūlat, paʻūlātsem이다.

파생 어간은 다음과 같다.

  • N-어간 (수동으로 기능): 예시 napʻalsem 𐤍𐤐𐤏𐤋. N-형성 요소는 접두사 활용에서 손실되어 첫 번째 어근 자음 ypʻlsem 𐤉𐤐𐤏𐤋을 동화시키고 두 배로 한다.
  • D-어간 (사실적 기능): 형태는 완료 시 piʻʻilsem 𐤐𐤏𐤋, 접두사 활용 시 yapaʻʻilsem 𐤉𐤐𐤏𐤋, 명령법 및 부정사 구성 시 paʻʻilsem 𐤐𐤏𐤋, 부정사 절대 시 paʻʻōlsem 𐤐𐤏𐤋, 분사 시 mapaʻʻilsem 𐤌𐤐𐤏𐤋이었을 것이다. 중간 자음의 특징적인 이중화는 외국어 알파벳 전사에서만 식별할 수 있다.
  • C-어간 (사역 기능): 원래 𐤄 *ha- 접두사는 히브리어 ה *hi-가 아닌 𐤉 *yi-를 생성했다. 형태는 완료 시 yipʻilsem 𐤉𐤐𐤏𐤋, 접두사 활용 시 ʼipʻilsem 𐤀𐤐𐤏𐤋 (후기 푸니크어), yapʻilsem 𐤉𐤐𐤏𐤋, 부정사 또한 yapʻilsem 𐤉𐤐𐤏𐤋이고, 분사는 아마도 mapʻilsem 𐤌𐤐𐤏𐤋이거나, 적어도 후기 푸니크어에서는 mipʻilsem 𐤌𐤐𐤏𐤋이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어간은 명백히 수동 및 재귀 대응도 가지고 있었으며, 전자는 모음으로, 후자는 접두사 𐤕 '''-t-'''로도 달랐다. G 어간 수동은 pyʻalsem 𐤐𐤉𐤏𐤋 < *puʻalsem로 증명되었다;[36] t-어간은 yitpaʻilsem 𐤉𐤕𐤐𐤏𐤋 (tG) 및 yiptaʻʻilsem 𐤉𐤕𐤐𐤏𐤋 (Dt)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일부 전치사는 명사 앞에 항상 붙으며, 정관사의 초기 가 있으면 삭제된다. 예를 들어 𐤁 '''b-''' "안에", 𐤋 '''l-''' "~에, ~을 위해", 𐤊 '''k-''' "처럼" 및 𐤌 '''m-''' minsem "에서"가 있다. 이들은 𐤍 '''-n''' 또는 𐤕 '''-t'''가 추가되어 확장된 형태로 발견되기도 한다. 다른 전치사는 그렇지 않다. ʼlsem 𐤀𐤋 "위에", ʻdsem 𐤏𐤃 "까지", ʼḥrsem 𐤀𐤇𐤓 "후에", tḥtsem 𐤕𐤇𐤕 "아래에", b(y)nsem 𐤁𐤉𐤍, 𐤁𐤍 "사이에"가 있다. 새로운 전치사는 명사로 형성된다: lpnsem 𐤋𐤐𐤍 "앞에"는 𐤋 '''l-''' "에"와 pnsem 𐤐𐤍 "얼굴"에서 유래했다. 히브리어와 달리, 명확히 구별되는 정관사 대상 표지 ʼytsem 𐤀𐤉𐤕 (ʼiyyūtsem?)가 있다.

가장 흔한 부정 표지는 blsem 𐤁𐤋 (balsem/)인데, 동사를 부정하지만 때로는 명사도 부정한다. 다른 하나는 ʼysem 𐤀𐤉 (ʼīsem/)로, 존재하지 않음과 동사의 부정을 모두 나타낸다. 부정 명령 또는 금지는 ʼlsem 𐤀𐤋 (ʼalsem/)로 표현된다. "~하지 않도록"은 lmsem 𐤋𐤌이다. 흔한 접속사로는 wsem 𐤅 (원래는 아마 wa-?sem/, 하지만 후기 푸니에서는 확실히 u-sem/) "그리고", ʼmsem 𐤀𐤌 (/ʼim/sem) "때", 그리고 ksem 𐤊 (/kī/sem) "그것; ~때문에; ~때"가 있다. 접속사 ʼpsem 𐤀𐤐/𐤐 (/ʼap/sem) "또한"도 있었다. l-sem 𐤋 (lū, lisem/)는 (드물게) 희망적 구문을 도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가 X를 하기를!"). l-sem 𐤋는 호격도 도입할 수 있다. 전치사와 접속사는 모두 복합어를 형성할 수 있었다.

기본적인 어순은 동사-주어-목적어이다. 현재 시제에서 동사 "be"는 존재하지 않으며, 보어를 사용하는 구절에서는 주어가 술어 앞에 올 수 있다. 명사는 형용사나 소유격과 같은 수식어 앞에 위치한다.

명사는 (남성 및 여성), (단수, 복수, 흔적이 남아있는 쌍수)에 따라 변화한다. 은 최소한 속격이 남아있었고, 대격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히브리어와 마찬가지로 명사에는 절대형과 연어형이 있었다.[59] 정관사는 히브리어와 마찬가지로 h-를 접두하여 명사의 첫 자음을 중자음화했다.[60] 남성 복수 접미사는 , 쌍수 접미사는 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어형에서는 모두 가 되었다. 여성 단수는 -t로 표기되었으며, -t 또는 -ot를 나타냈다. 신 포에니어에서는 t가 탈락하여 -o만 남았다. 여성 복수도 -t로 표기되지만, 이쪽은 를 나타냈다.[61]

인칭 대명사는 인칭, 성 (1인칭 제외), 수에 따라 다르다. 또한 독립된 대명사 외에도 대명사 접미사가 있다. 지시 대명사는 성과 수에 따라 변화한다.[62]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동사는 3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어근을 변화시킨다. 동사 어간으로는 기본 어간 (G), n- 접두사를 더한 수동 어간 (N, 히브리어의 니팔), 어근 두 번째 자음을 중복시킨 타동사화·다회 어간 (D, 히브리어의 피엘), h- 또는 ʾ- 접두사를 더한 사역 어간 (C, 히브리어의 히필), 위 각각에 t를 더한 재귀 어간 (히브리어의 히트파엘)이 있다. 동사는 완료형과 미완료형이 있으며, 각각 인칭, 성 (1인칭 제외), 수에 따라 변화한다. 지시형은 형태상 미완료형과 구별할 수 없다. 명령형은 항상 2인칭이다. 그 외에 부정형·능동 분사·수동 분사가 있다.[63]

어순은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VSO형이 기본이지만, 종종 주어는 동사 앞에 놓인다. 또한, 계사를 사용하지 않고 "P는 Q다"라고 표현하는 명사문이 있다.[64]

6. 어휘

셈어의 일반적인 특징처럼, 페니키아어 단어는 주로 자음 어근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형태론적 구분을 위해 모음 변화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셈어와 달리, 페니키아어는 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에서 보이는 수많은 단일 자음 및 이중 자음 어근을 보존하거나, 어쩌면 재도입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사 𐤊𐤍 '''kn''' "to be"는 아랍어 كون '''kwn'''와, 𐤌𐤕 '''mt''' "to die"는 히브리어 및 아랍어 מות/موت '''mwt'''와, 𐤎𐤓 '''sr''' "to remove"는 히브리어 סרר '''srr'''와 비교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명사는 자음 어근과 모음 패턴의 조합으로 형성되지만, 접두사(행위 또는 그 결과물을 나타내는 𐤌, 드물게 𐤕)와 접미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추상명사는 접미사 𐤕 '''-t''' (아마도, )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37] 형용사는 친숙한 셈족의 nisba 접미사 𐤉 '''y''' 𐤑𐤃𐤍𐤉 (예: '''ṣdny''' "시돈의")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문법과 마찬가지로 어휘도 성경 히브리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몇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동사 "to be"는 𐤊𐤍 '''kn'''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히브리어와 아람어 היה '''hyh'''와는 반대로)이고, 동사 "to do"는 𐤐𐤏𐤋 '''pʿl''' (아람어 פעל '''pʿl'''과 아랍어 فعل '''fʿl'''과 마찬가지로, 히브리어 עשה '''ʿśh'''와는 반대로, 히브리어에서 פעל '''pʿl'''은 "행동하다"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이다.

히브리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지만, 히브리어의 는 페니키아어에서는 가 되고, 짧은 a가 페니키아어에서 o가 되는 경우가 있다.[53] 또한 기본적인 동사에 차이가 있어, "만들다"는 히브리어 에 대해 페니키아어 이며, "주다"는 히브리어 에 대해 페니키아어 이다.[54]

페니키아어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소아시아 비문에서는 아람어나 루위어로부터의 차용이 보이며, Punic language|포에니어영어에서는 그리스어, 라틴어, Numidian language|누미디아어영어의 영향을 볼 수 있다.[55]

다음은 페니키아어 비문의 예시이다.

표준 페니키아어 (기원전 5세기 시돈의 타브닛의 석관 비문)[38][39]
텍스트음차음역번역
align=right|ʾnk tbnt khn ʿštrt mlk ṣdnm bn
ʾšmnʿzr khn ʿštrt mlk ṣdnm škb bʾrn z
my ʾt kl ʾdm ʾš tpq ʾyt hʾrn z
ʾl ʾl tptḥ ʿlty wʾl trgzn
k ʾy ʾrln ksp ʾy ʾr ln ḥrṣ wkl mnm mšd
blt ʾnk škb bʾrn z
ʾl ʾl tptḥ ʿlty wʾl trgzn
k tʿbt ʿštrt hdbr hʾ
wʾm ptḥ tptḥ ʿlty wrgz trgzn
ʾl ykn zrʿ bḥym tḥt šmš
wmškb ʾt rpʾm
ʾanōk(ī) Tabnīt kōhēn ʿAštart mīlk Ṣīdūnīm bīn
ʾEšmūnʿūzēr kōhēn ʿAštart mīlk Ṣīdūnīm šūkēb bāʾarūn ze(h)
mī ʾata kūl ʾadōm ʾīš tūpaq ʾīyat hāʾarūn ze
ʾal ʾal tīptaḥ ʿalōtīya waʾal targīzenī
kī ʾīy ʾarū[ ]lanī kesep waʾal ʾīy ʾarū lanī ḥūreṣ wakūl manīm mašōd
būltī ʾanōk(ī) šūkēb bāʾarūn ze
ʾal ʾal tīptaḥ ʿalōtīya waʾal targīzenī
kī tōʿebūt ʿAštart hadōbōr hīʾa
wāʾīm pōtōḥ tīptaḥ ʿalōtīya waragōz targīzenī
ʾal yakūn zeraʿ baḥayīm taḥat šamš
wamīškōb ʾet Repaʾīm
나는 시돈의 왕 아스타르테의 사제 타브닛, 에쉬문아자르의 아들이며, 이 석관에 누워 있다.
이 석관을 발견하는 자, 어떤 사람이든,
열지 말고, 나를 방해하지 말라,
나에게는 은도 없고, 금도 없고, 그 어떤 가치 있는 것도 없다,
나는 단지 이 석관에 누워 있을 뿐이다.
열지 말고, 나를 방해하지 말라,
이는 아스타르테가 혐오하는 것이다.
만약 정말로 그것을 열고 나를 방해한다면,
해 아래 사는 자들 중에 당신의 씨가 없기를,
레파이트들과 함께 안식처도 없기를.



후기 Punic language|포에니어영어 (기원전 1세기)[40]
텍스트그리스어 음역재구성 (이고르 디아코노프에 의해)[40]추론된 음차번역
align=right|Ladun liBal Amun
u liribathōn Thīnīth phane Bal
is nadōr Sōsīpatīos bin Zopuros
samō kulō barakhō
align="right" |lʾdn lbʿl ḥmn
wlrbtn tnt pn bʿl
ʾš ndr S. bn Z.
šmʾ qlʾ brkʾ
lāʾadūn līBaʿl Ḥamūn
wūlīrībatōn(ū) Tīnīt pāne Baʿl
ʾīš nadōr S(osipatius) bīn Z(opyrus)
šamōʾ qūlōʾ barakōʾ
주인 바알 하몬에게
그리고 우리 여주인 타닛, 바알의 얼굴에게,
조피루스의 아들 소시파티우스에게 봉헌된 것.
그는 그의 목소리를 듣고 그를 축복했다.


7. 현대 언어에 대한 영향

페니키아인들은 셈족 알파벳을 널리 사용한 최초의 국가로, 페니키아 문자는 가장 오래된 자음 알파벳 중 하나이다. 이 문자는 기원전 1050년 이후부터 "페니키아 문자"로 불린다.[6][7] 페니키아 음성 알파벳은 현대 알파벳 대부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페니키아어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었다.[8][9] 일부 자료에 따르면, 티레-시도니아 방언과 비블로스 방언으로 나뉘며, 티레-시도니아 방언은 무역과 식민지화를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10] 페니키아인들은 해상 무역을 통해 알파벳을 마그레브와 유럽으로 전파했고,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를 채택했다.[11] 이후 에트루리아인들이 수정하여 사용했고, 고대 로마인들이 이를 다시 수정하여 라틴 알파벳이 되었다.[12]

카르타고에서 사용된 후기 형태는 푸니 언어로 알려져 있으며, 페니키아 본토보다 훨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시대까지 존속했고, 베르베르어와 공존했다. 알 바크리는 시르테에서 베르베르어, 라틴어, 콥트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묘사했는데, 이는 푸니어가 구어로 오랫동안 생존했음을 보여준다.[41] 푸니 어 화자들은 아랍어와 같은 셈어파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아랍어화가 촉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티피나그 문자는 "푸니"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42] 푸니 어에서 차용된 단어들이 현대 베르베르 방언에 나타나는데, "벽"을 뜻하는 ''agadir''는 푸니 어의 ''gader''에서 유래했다.

히스파니아는 푸니 어의 ''I-Shaphan''(바위너구리의 해안)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43][44] 항해자 한노가 발견한 "털이 많은 사람들" 부족의 이름 ''고릴라이''는 푸니 어에서 그리스어로 전달되었고, 서부 고릴라에게 적용되었다. 영어의 "mat"(매트)는 페니키아어의 "matta"(침대)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8. 남아있는 자료

페니키아어는 현재까지 약 10,000개의 비문을 통해 주로 알려져 있으며, 간혹 다른 언어로 쓰인 책의 주석으로 보충된다. 페니키아인들은 수많은 다른 종류의 기록 자료를 남겼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부분은 남아있지 않다.

살루스티우스와 같은 로마 작가들은 포에니 언어로 쓰여진 몇몇 책들을 언급했지만, 번역본(예: 마고의 논문)이나 단편(예: 플라우투스의 희곡)으로만 간혹 살아남았다. 1694년 몰타에서 발견된 고대 그리스어와 카르타고어로 된 이중 언어 비문인 멜카르트의 키피는 프랑스 학자 장자크 바르텔레미가 1758년에 알파벳을 해독하고 재구성할 수 있게 해준 열쇠였다. 1837년까지 학자들에게 알려진 페니키아 비문은 70개에 불과했다. 이들은 빌헬름 게세니우스의 ''Scripturae linguaeque Phoeniciae monumenta''에 수집되었으며, 당시 학자들이 페니키아에 대해 알고 있던 모든 것을 포함했다.

페니키아어로 된 몇 가지 주요 생존 비문은 다음과 같다.


  • 아히람 석관
  • 보다슈타르트 비문
  • 치네쾨이 비문
  • 멜카르트의 키피
  • 므디나 석비
  • 에슈문아자르 2세 석관
  • 카라테페 이중 언어 비문
  • 킬라무와 석비
  • 노라 석비
  • 피르기 석판
  • 에슈문 신전


기원전 5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에트루리아어와 페니키아어 비문이 모두 있는 이중 언어 피르기 석판이 1964년에 발견된 이후, 더 완벽하게 이해된 페니키아어와 비교하여 더 많은 에트루리아어가 해독되었다.

페니키아어 자료는 주로 비문이다. 어느 정도 길이의 자료로는 기원전 10세기의 비블로스 왕의 일련의 비문이 가장 오래되었다. 그 이전에도 자료가 있지만, 대부분 개인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어, 페니키아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47] 페니키아인들은 해상 무역 상인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페니키아어 비문은 페니키아 본토뿐만 아니라 지중해 세계 전체에 퍼져 있으며, 기원전 9세기 초부터 기원후 1세기에 걸쳐 소아시아, 키프로스, 시칠리아, 사르데냐, 몰타, 로도스, 이집트, 그리스, 발레아레스 제도, 스페인에 비문이 남아 있다.[46]

비문 외에 주변의 다른 언어로 페니키아어의 이름을 기록한 자료가 남아 있으며, 그리스어라틴어로 페니키아어의 어휘를 설명한 자료가 남아 있다. 플라우투스의 희곡 "카르타고인"(기원전 200년경)에서는 포에니어 대화가 라틴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50] 현재 알제리에서 태어나 카르타고에서 공부한 아우구스티누스 (4-5세기)는 포에니인을 자처했고,[51] 저작에서 종종 포에니어의 어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52]

참조

[1] 간행물 "Phoenician" in ''A Companion to Ancient Phoenicia'' Wiley-Blackwell 2017
[2] 서적 A Phoenician-Punic Grammar https://books.google[...] BRILL 2015-11-02
[3] 서적 Itineraria Phoenici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4] 웹사이트 https://gallica.bnf.[...] 2021-12
[5] 서적 Samuelis Bocharti Geographia sacra, seu Phaleg et Canaan https://books.google[...] Cornelium Boutesteyn & Jordanum Luchtmans
[6] 서적 A history of writing Reaktion Books
[7] 서적 Phoenicia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서적 Phoenicia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서적 A grammar of the Phoenician language
[10] 서적 Phoenician-Punic Dictionary
[11] 서적 Phoenicia: Episodes and Anecdotes From the Ancient Mediterranean Eisenbrauns
[12] 서적 Story of the Alphabet Kessinger
[13] 간행물
[14] 서적 Report on the Phœnician and Roman Antiquities in the Group of the Islands of Malta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52
[15] 간행물 Late Punic epigraphy
[16] 간행물 Personal Names in the Phoenician and Punic Inscriptions
[17] 간행물 Late Punic epigraphy
[18] 서적 Late Punic epigraph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Neo-Punic and Latino-Punic Inscriptions
[19] 서적 A Phoenician Punic grammar Brill 2001
[20] 서적 A Phoenician-Punic Grammar https://books.google[...] BRILL 2000-11-28
[21] 서적 Latino-Punic Epigraphy: A Descriptive Study of the Inscriptions
[22] 서적 Финикийский язык. Языки мира: семитские языки. Аккадский язык. Северозапазносемитские языки. ред. Белова, А.Г. и др
[23] 서적 Latino-Punic Epigraphy: A Descriptive Study of the Inscriptions
[24] 서적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70
[25] 간행물 Phoenician and Punic Morphology. In Morphologies of Asia and Africa. ed. by Alan S. Kaye
[26]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Near Eastern Languag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2-25
[27] 서적 Dictionary of the North-West Semitic Inscriptions: M-T Front Cover Jacob Hoftijzer, Karel Jongeling, Richard C. Steiner, Bezalel Porten, Adina Mosak Moshavi
[28] 서적 Ugaritische Grammatik
[29] 서적 Die Keilalphabete: die phönizisch-kanaanäischen und altarabischen Alphabete in Ugarit
[30] 논문 Phoenician Sphinx inscription https://www.jstor.or[...] 1971
[31] 논문 La bilingue royale louvito-phénicienne de Çineköy https://www.persee.f[...] 2000
[32] 서적 Dictionary of the North-West Semitic Inscriptions: M-T Front Cover Jacob Hoftijzer, Karel Jongeling, Richard C. Steiner, Bezalel Porten, Adina Mosak Moshavi
[33] 서적 Phönizisch-Punische Grammatik 3. Auflange
[34] 간행물 Phoenician and Punic Morphology. In Morphologies of Asia and Africa. Morphologies of Asia and Africa. ed. by Alan S. Kaye
[35] 간행물 Phoenician and Punic Morphology. In Morphologies of Asia and Africa. Morphologies of Asia and Africa. ed. by Alan S. Kaye
[36] 서적 Phoenician and Punic Morphology Morphologies of Asia and Africa. ed. by Alan S. Kaye 2007
[37] 서적 Финикийский язык Языки мира: семитские языки. Аккадский язык. Северозапазносемитские языки. ред. Белова, А.Г. и др. 2009
[38] 웹사이트 Using corpus linguistics to address some questiongs of Phoenician grammar and syntax found in the Kulamuwa inscription http://boothhouse.co[...] 2007
[39] 웹사이트 Alfabeto fenicio http://www.proel.org[...] 2011-07-05
[40] 서적 Языки древней Передней Азии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967
[41] 웹사이트 Latino Punic Texts from North-Africa, Introduction http://www.let.leide[...] 2009-08-25
[42] 서적 Tamazight of the Ayt Ndhir Undena Publications 1973
[43] 서적 קרתגו המעצמה הימית [= “Carthage, the Maritime Empire”] Massadah Ltd 1963
[44] 서적 Living floors: The animal world in the mosaics of Israel and its surroundings 2019
[45] 문서 Φοινίκη
[46] 문서 2004
[47] 문서 2004
[48] 문서 2004
[49] 문서 1997
[50] 문서 2004
[51] 서적 The Richness of Augustine: His Contextual and Pastoral Theolog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5
[52] 간행물 Augustine, Jerome, Tyconius and the Lingua Punica https://journal.fi/s[...] 1988
[53] 문서 1997
[54] 문서 1997
[55] 문서 2004
[56] 문서 2004
[57] 문서 2004
[58] 문서 2004
[59] 문서 2004
[60] 문서 2004
[61] 문서 2004
[62] 문서 2004
[63] 문서 2004
[64] 문서 2004
[6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http://www.etymonl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