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레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레타는 10세기 초에 처음 언급된, 사각형 모양의 모자이다. 중세 시대 대학교에서 사용된 학사모가 비레타의 원형으로 여겨지며, 1311년 베르가모 종교회의 이후 교회 복장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성직자 계급에 따라 색상이 다른 비레타를 착용하며, 성공회, 루터교에서도 사용된다. 또한, 중세 대학교에서 학위 수여 시 비레타를 사용했으며, 교황청립 대학교 박사 학위자의 주요 표식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공회 전례복 - 영대
    영대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기독교 예배 의복으로, 어깨에 걸쳐 늘어뜨리는 형태로 성직자의 권위와 직분을 상징하며, 교파별로 형태와 의미가 다르고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에서도 사용된다.
  • 성공회 전례복 - 주교 지팡이
    주교 지팡이는 주교, 아빠스 또는 사도의 통치권을 상징하며, 서방 기독교에서는 목자의 지팡이 형태로 하느님의 양 떼의 목자 역할을, 동방 기독교에서는 서방 교회와 유사한 형태 또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홀과 비슷한 형태를 띠고, 주교 서품 시 수여되며 교회 문장학에서 목회적 권위를 나타낸다.
  • 가톨릭 전례복 - 영대
    영대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기독교 예배 의복으로, 어깨에 걸쳐 늘어뜨리는 형태로 성직자의 권위와 직분을 상징하며, 교파별로 형태와 의미가 다르고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스트에서도 사용된다.
  • 가톨릭 전례복 - 모제타
    모제타는 가톨릭 교회에서 착용자의 지위를 나타내는 어깨 덮개로, 주교는 자주색, 추기경은 진홍색을 착용하며 교황은 특별한 다섯 종류를 착용하고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지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소탈함을 강조하기 위해 착용하지 않는다.
  • 모자 - 파파하
    파파하는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남성들의 정체성 상징으로 여겨지는 카라쿨 양가죽으로 만든 원통형 모피 모자이며, 러시아 군복으로 채택된 후 전통 의상이나 문화적 상징으로 널리 착용된다.
  • 모자 - 말라하이
    말라하이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만들어진 러시아 전통 모자로, 기원에 대한 여러 설이 있으며, 과거 방한용이나 마부의 상징, 때로는 헬멧처럼 사용되기도 했지만, 구교도들에게는 특정 형태가 금지되기도 했다.
비레타

2. 역사

비레타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10세기 초 문헌에서 처음 언급된다.[2][18] 중세 시대 대학에서 사용되던 학사모가 비레타의 원형으로 여겨지며, 이는 오늘날 대학교 졸업 가운에서 사용되는 사각모의 조상 격이다.[2] 1311년 베르가모 종교회의에서 성직자들이 "평신도의 방식대로 머리에 비레타를 착용"하도록 명령한 이후[2] 교회 복장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8] 초기 비레타에는 술이나 방울 장식이 없었으나, 후대에 추가되었다.[2][18]

비레타의 "스페인 버전", Philippi Collection에서

2. 1. 기원

비레타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10세기 초 문헌에서 처음 언급된다.[2][18] 중세 시대 대학에서 사용되던 학사모가 비레타의 원형으로 여겨지며, 이는 오늘날 대학교 졸업 가운에서 사용되는 사각모의 조상 격이다.[2] 1311년 베르가모 종교회의에서 성직자들이 "평신도의 방식대로 머리에 비레타를 착용"하도록 명령한 이후[2] 교회 복장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8] 초기 비레타에는 술이나 방울 장식이 없었으나, 후대에 추가되었다.[2][18]

2. 2. 발전

3. 전례용 비레타

3. 1. 가톨릭교회

가톨릭교회에서는 모든 계급의 성직자(추기경, 주교, 사제, 부제, 신학생)가 비레타를 사용할 수 있다.[3] 추기경은 진홍색 비레타를, 주교는 아마란스 색상의 비레타를 착용하며, 사제, 부제, 신학생은 검은색 비레타를 착용한다.[3] 교황은 비레타를 사용하지 않는다. 베네딕토 16세는 비레타 대신 카마우로 모자를 썼다.

트리엔트 공의회로마 미사 경본 규정에 따르면, 사제는 제단으로 이동하는 동안 비레타를 착용하고, 도착하면 복사에게 비레타를 건네주고, 떠날 때 다시 착용해야 한다.[3] 장엄 미사에서는 성직자들이 앉을 때도 비레타를 착용한다.[4]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비레타 사용이 폐지되지는 않았으나 선택 사항이 되었다. 비레타는 1962년 로마 미사 경본에 따라 거행되는 미사에 참석한 성직자들이 착용하기도 한다.

3. 1. 1. 형태

전례용 비레타는 세 개의 봉우리가 있으며 (독일과 네덜란드에서는 네 개의 봉우리가 일반적), "봉우리 없는" 모서리는 머리의 왼쪽에 닿도록 착용한다.[5] 추기경은 술이나 "폼"을 지니지 않는다.[5] 주교는 보라색 폼을, 고위 성직자로 임명된 사제는 붉은색 폼이 달린 검은색 비레타를, 교구 사제와 부제는 검은색 폼이 있거나 없는 검은색 비레타를 착용한다.

3. 2. 성공회

앵글로-가톨릭 성공회 사제들도 비레타를 착용하는 경우가 드물게 있지만, 일반적으로 로마 가톨릭교의 유물로 여겨진다. 참사원과 교구장은 붉은 폼폼이 달린 검은색 비레타를 착용할 수 있다.

"비레타 벨트"는 역사적으로 앵글로-가톨릭 사제가 눈에 띄게 많았고, 비레타를 더 흔하게 착용했던 지역을 가리키는 속어이다.

캔터베리 캡은 비레타와 유사하지만 보다 성공회적인 대안으로 여겨진다. 캔터베리 캡은 비레타에서 발전된 단단한 뿔 대신 부드럽고 네모난 윗부분을 가지고 있다. 성당 참사 회원이나 사제장은 자주 보라색 술 장식이 달린 검은색 비레타 모자를 착용한다.

3. 3. 루터교

주로 복음주의 가톨릭 교회를 따르는 루터교 성직자들도 비레타를 착용할 수 있다.

4. 학술용 비레타

스페인
의 대학 총장(rector)이 완전한 학위복을 입고 둥근 ''비레테''(birette)(스페인 대학교의 학위모)를 쓰고 있다.

==== 중세 대학 ====

중세 대학교에서 새로운 석사 또는 박사가 학위를 받는 의식에는 비레타티오(birretatio), 즉 비레타를 수여하는 의식이 포함되었다. 이는 종종 그 사람의 학식을 인정하는 의미로 작은 책과 함께 수여되었다.[9] 학술용 비레타는 유럽 대륙과 영국 제도에서 다양한 스타일의 학위 모자로 발전했다. 오늘날 일부 세속 대학교에서는 실제 비레타가 아니더라도 학위 모자의 명칭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9]

==== 교황청립 대학교 ====

교황청립 대학교 또는 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은 "박사 학위의 주요 표시는 네 뿔 비레타(biretta)이다."[10] 1917년 교회법에 따르면, 교황청립 학부 및 대학교의 4개 교회 학문 분야(철학, 신학, 교회법, 성경) 박사들은 학위 수여식과 기타 학문적 환경에서 박사 비레타를 착용할 권리가 있었다.[11] 1983년 교회법전에서는 학문적 복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지만, 학문적 비레타의 사용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19]

==== 색상 ====

교회 대학교 및 학부에서 수여하는 박사 학위 비레타의 색상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학위에 따라 색상 파이핑이 적용된다.[12][13] 신학(S.T.D.)은 진홍색(Scarlet), 교회법(J.C.D.)은 녹색, 철학(Ph.D.)은 파란색이다. 사회 과학(H.E.D., S.I.C.D 등)은 주황색이다. 성직자(D.Min.)의 경우 암적색(Crimson) 끈을 사용한다.

한때 대학마다 비레타 자체의 색상과 스타일에 대한 다른 관행이 있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 교황청립 대학교, ''안젤리쿰''의 '전통적인' 비레타는 흰색이며, 이는 도미니코 수도회의 흰색 의복에 맞춰진 것이다.[14] 2011년 5월, ''안젤리쿰'' 학술원은 검은색 비레타를 특정 학부의 색상으로 테두리와 폼폼을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명시했다.[15]

세 개의 봉우리가 있는 검은색 비레타는 석사 학위(S.T.L., Ph.L.)를 받는 사람들도 사용할 수 있다.

4. 1. 중세 대학

중세 대학교에서 새로운 석사 또는 박사가 학위를 받는 의식에는 비레타티오(birretatio), 즉 비레타를 수여하는 의식이 포함되었다. 이는 종종 그 사람의 학식을 인정하는 의미로 작은 책과 함께 수여되었다.[9] 학술용 비레타는 유럽 대륙과 영국 제도에서 다양한 스타일의 학위 모자로 발전했다. 오늘날 일부 세속 대학교에서는 실제 비레타가 아니더라도 학위 모자의 명칭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9]

4. 2. 교황청립 대학교

교황청립 대학교 또는 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은 "박사 학위의 주요 표시는 네 뿔 비레타(biretta)이다."[10] 1917년 교회법에 따르면, 교황청립 학부 및 대학교의 4개 교회 학문 분야(철학, 신학, 교회법, 성경) 박사들은 학위 수여식과 기타 학문적 환경에서 박사 비레타를 착용할 권리가 있었다.[11] 1983년 교회법전에서는 학문적 복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지만, 학문적 비레타의 사용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19]

4. 3. 색상

교회 대학교 및 학부에서 수여하는 박사 학위 비레타의 색상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학위에 따라 색상 파이핑이 적용된다.[12][13] 신학(S.T.D.)은 진홍색(Scarlet), 교회법(J.C.D.)은 녹색, 철학(Ph.D.)은 파란색이다. 사회 과학(H.E.D., S.I.C.D 등)은 주황색이다. 성직자(D.Min.)의 경우 암적색(Crimson) 끈을 사용한다.

한때 대학마다 비레타 자체의 색상과 스타일에 대한 다른 관행이 있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 교황청립 대학교, ''안젤리쿰''의 '전통적인' 비레타는 흰색이며, 이는 도미니코 수도회의 흰색 의복에 맞춰진 것이다.[14] 2011년 5월, ''안젤리쿰'' 학술원은 검은색 비레타를 특정 학부의 색상으로 테두리와 폼폼을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명시했다.[15]

세 개의 봉우리가 있는 검은색 비레타는 석사 학위(S.T.L., Ph.L.)를 받는 사람들도 사용할 수 있다.

5. 여성과 비레타

잉글랜드웨일스에서 여성 변호사의 머리 장식으로 비레타가 고려되었다.[16] 1922년, 최초의 여성 변호사가 변호사 자격을 얻기 직전에, 고위 판사들 사이에서 그녀가 머리에 무엇을 써야 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달링 J와 호리지 J는 비레타를 제안했지만, 참석한 다른 9명의 판사들에게 부결되었다. 그 결과, 여성 변호사들은 남성 변호사와 마찬가지로 가발을 착용하며, 가발은 머리카락을 완전히 덮는다.

성녀 아빌라의 테레사는 살라망카 대학교로부터 박사 학위를 받았기 때문에 그녀의 묘사에서 때때로 박사 학위 비레타가 보이는데, 이는 교회 학자로서의 지위와는 별개이다.[17] 박사 학위 비레타는 또 다른 교회 학자인 성녀 리시외의 테레즈의 묘사에도 차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iretta Definitions https://www.encyclo.[...]
[2] 서적 Church Vestments: Their Origin and Development
[3] 웹사이트 Ritus servandus in celebratione Missae http://aomoi.net/odv[...]
[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irett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8-08-09
[5] 백과사전 Biretta
[6] 웹사이트 Biretta Belt https://www.episcopa[...] 2023-07-25
[7] 웹사이트 What is Anglo-Catholicism? Part Four http://anglicanhisto[...] 2023-07-25
[8] 웹사이트 About Us https://theparishpre[...] 2023-07-25
[9] 서적 Milton's Teeth and Ovid's Umbrella: Curiouser & Curiouser Adventures in History Simon & Schuster
[10] 서적 Costume of Prelates of The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Roman Etiquette
[11] 법전 Codex Iuris Canonici
[12] 서적 Costume of Prelates of the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Roman Etiquette John Murphy Company
[13] 법전 Codex Iuris Canonici
[14] 웹사이트 Accessed 3-25-2011 http://cantate-domin[...] Cantate-domino.blogspot.com 2008-04-26
[15] 웹사이트 Ring, Biretta and Gown for Graduates http://www.pust.it/i[...] Pust.it 2011-06-15
[16] 간행물 Saint Teresa in New Mexico http://nmsantos.com/[...]
[17] 웹사이트 Portraits/Chicago Inc http://www.portraits[...]
[18] 서적 Church Vestments: Their Origin and Development
[19] 서적 Costume of Prelates of The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Roman Etiquet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