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르질리오 노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르질리오 노에는 이탈리아의 추기경으로, 교황청에서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1922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파비아 신학교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로마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교회 역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교황청에 등용되어 경신성사성 사무차장, 전례 거행 담당관 등을 역임하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전례 개혁을 이끌었다. 1982년 주교로 서품되었으며, 전례 및 성사규정 성성의 서기, 성 베드로 대성당의 사제장, 바티칸 시국의 총대리, 바티칸 대성전의 수석사제 등을 거쳐 2002년 추기경-사제로 승격되었다. 2011년 90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미술사학자 - 조르조 바사리
    조르조 바사리는 16세기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건축가, 미술사가로서, 메디치 가문의 후원 아래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우피치 미술관과 바사리 복도를 설계했고, 르네상스 시대 미술가들의 생애를 다룬 《미술가 열전》을 저술하여 "미술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21세기 기독교 신학자 - 제럴드 브레이
    제럴드 브레이는 영국의 성공회 신학자이자 교회사가로, 틴데일 하우스 사서, 목회 활동, 신학대학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성경 해석학, 교회사, 조직 신학 등을 연구하고 다수의 저서를 출판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종교개혁 시기 가톨릭 교리를 옹호하고 갈릴레오 갈릴레이 사건에 관여한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신학자이자 추기경으로, 사후 가톨릭 교회에서 시성되어 교회학자로 공경받는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란프랑코
    란프랑코는 11세기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베크 수도원장, 학자로, 성변화 교리 논쟁에서 승리하고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정복 후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어 잉글랜드 교회 개혁을 이끌었으며, 교회 개혁과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와 노르만 통치 공고화에 대한 비판 속에 복자로 칭해진다.
비르질리오 노에
기본 정보
비르질리오 노에
비르질리오 노에
존칭추기경
이름비르질리오 노에
출생일1922년 3월 30일
출생지이탈리아 왕국 젤라타 디 베레구아르도
사망일2011년 7월 24일
사망지이탈리아 로마
매장지캄포 베라노
직책
바티칸 시국 총대리명예 총대리
성 베드로 대성전 관리처명예 총재
성 베드로 대성전 수석 사제명예 수석 사제
레지나 아포스톨로룸추기경 사제 (2002–2011)
교회
교파로마 가톨릭교회
서품 및 임명
사제 서품1944년 10월 1일
서품자카를로 알로리오
주교 서임1982년 3월 6일
서임자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추기경 서임1991년 6월 28일
서임자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직위추기경 부제 (1991–2002)
직위추기경 사제 (2002–2011)
임명일1991년 7월 1일
임기 종료일2002년 4월 24일
이전 담당자아우렐리오 사바타니
다음 담당자프란체스코 마르키사노
이전 직책
거룩한 전례 경성성 차관1969–1975
교황 전례 거행 실장1970–1982
성사 및 거룩한 전례 경성성 차관1975–1977
성사 및 거룩한 전례 경성성 부차관1977–1982
성사 및 거룩한 전례 경성성 장관1982–1984
본카리아 대주교1982–1991
거룩한 전례 경성성 장관1984–1988
거룩한 전례 및 성사 경성성 장관1988–1989
성 베드로 대성전 관리처 부총재1989–1991
성 베드로 대성전 부수석 사제1989–1991
교황청 역사 및 예술 기념물 보호 상설위원회 위원장1989–2003
바티칸 시국 부총대리1991
산 조반니 보스코 인 비아 투스콜라나 추기경 부제1991–2002
교황청 성지 추기경 위원회 위원장1993–1996
학력
모교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
좌우명
좌우명Deus meus misericordia mea (나의 하느님, 나의 자비)
문장
비르질리오 노에 문장
문장

2. 생애

1922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제라타디베레구아르도에서 태어나, 1944년 사제품을 받았다. 파비아 신학교에서 공부한 후 로마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교회 역사 학위를 받았다.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교황청에 등용되어 경신성사성 사무차장으로 봉직하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 개혁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 교황청 공식 행사 진행자로 임명되어 시성식, 시복식, 교황 장례식 등 교황 관련 주요 행사들의 개정 작업을 수행했다.[1][2][3] 198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경신성사성 사무총장 및 본카리아의 명의주교로 임명되었다.

1991년 추기경으로 서임되었고, 바티칸 대성전 수석사제바티칸 시국 교황 총대리를 역임했다.[6] 2002년 사제급 추기경으로 격상되었다.[7]

2011년 로마에서 향년 90세로 선종하였으며,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를 교황청의 부지런한 협력자였다고 평가했다.[8]

2. 1. 초기 생애 및 사제 서품

1922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제라타디베레구아르도에서 태어났다. 파비아 신학교에서 공부하던 중 1944년 10월 1일 사제품을 받았다. 1948년 파비아 교구장 카를로 알로리오 주교의 추천으로 로마로 가서 교황청립 그레고리오 대학교로 편입, 1952년 교회 역사 분야에서 학위를 받았다.

사제 서품 후 파비아의 산 살바토레(San Salvatore) 본당의 본당 사제가 되었고, 전례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청년 협회를 설립했다. 1948년 알로리오 주교의 추천으로 로마의 그레고리오 교황청립대학교에서 유학, 1952년 "롬바르드 왕들의 종교 정책"이라는 논문으로 교회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파비아와 토르토나 신학교에서 교회사, 교부학, 전례, 미술사를 가르쳤다. 산타고스티노(Sant'Agostino) 대학과 산 조르조(San Giorgio) 대학의 영적 지도자였으며, 교구 전례 위원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956년1964년 교구 성체 성찬 대회를 개최하는 등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 2. 로마에서의 활동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교황청에 등용되어 1975년까지 경신성사성 사무차장으로 봉직하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의해 고무된 전례 개혁 실행의 주역을 맡았다.[1] 1970년에는 교황청 공식 행사 진행자로 임명되어 시성식, 시복식, 교황 장례식, 그리고 1975년 대희년을 맞아 거행된 성문 개폐막식 등의 개정 작업을 수행하기도 했다.[2][3] 1982년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경신성사성 사무총장 및 본카리아의 명의주교로 임명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4-1969) 기간 동안 그는 로마의 국가 차원의 ''Centro di Azione Liturgica''(전례 행위 센터) 책임자이자, 그 센터의 저널 ''Liturgia''의 편집자를 역임했다. 또한, 새로 설립된 산탄젤모(Sant'Anselmo)의 교황청 전례 연구소에서 가톨릭 미술/성화를 강의했으며, 교황 전례 미사 개정 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1966년부터 1968년까지는 로마의 교황청 롬바르디아 신학교 부학장을 역임했다.

1969년, 1588년부터 전례 사무를 담당해 온 성전례성(Sacra Rituum Congregatio)을 대신하여 성전례성(신앙교리성)이 설립되었을 때, 노에 몬시뇰은 차관으로 임명되어 전례성이 해체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1970년 바오로 6세 교황은 그를 전례 담당관으로 임명했는데, 이 직책은 당시 처음으로 교황청 전례 거행 담당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2년 주교로 임명될 때까지 그 직책을 수행했으며, 후임으로 존 메이지 몬시뇰이 임명되었다. 같은 기간에 그는 교황청 근위대의 사제로도 봉직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노에 몬시뇰의 과제는 점차 개정되고 출판되고 있던 새로운 전례 서적의 지배 원칙과 실제 규범을 교황 전례의 특수한 상황에 적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교황 전례는 여러 면에서 모범으로 여겨지지만, 거의 항상 텔레비전으로 방송되며, 본질적으로 교황 전례에만 특유한 일부 의식이 있었다.

1975년 여름 성전례성이 성성사성(1908년 비오 10세에 의해 설립)과 합쳐져 성성사 및 전례성을 형성했을 때, 노에 몬시뇰은 전례 사무 담당 차관으로 임명되었다.

2. 3. 주교 및 추기경 서임

198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경신성사성 사무총장 및 본카리아의 명의주교로 임명되었다.[4] 1982년 3월 6일,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요한 바오로 2세를 주례자로 에두아르도 마르티네스 소말로 대주교와 파비아의 주교인 안토니오 주세페 안조니의 보좌를 받아 주교로 서품되었다.[4]

1991년 6월 28일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산 조반니 보스코 인 비아 투스콜라나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6] 3년 후에는 바티칸 대성전의 수석사제바티칸 시국의 교황 총대리로 임명되어 2002년 4월까지 머물렀다.[6]

추기경-부제로 10년을 보낸 후, 2002년 2월 26일 레지나 아포스톨로룸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으로 격상되었다.[7]

2. 4. 선종

2011년 7월 24일 로마에서 향년 90세로 선종하였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노에 추기경의 누이인 마리아 노에에게 보낸 추모 전문에서 “노에 추기경은 교황청의 부지런한 협력자”라고 치하하고 “모든 일에 있어서 그는 열렬한 사제적 열정과 복음에 대한 충실함을 보여주었다.”라고 전했다.[8]

그의 장례 미사는 2011년 7월 26일 성 베드로 대성당의 후진에서 추기경단 학장인 안젤로 소다노 추기경 주례로 거행되었으며, 많은 추기경과 주교들이 공동 집전했다. 그는 로마 캄포 베라노 묘지에 안장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bbey Roads: Cardinal Noe dies and no one mourns? https://abbey-roads.[...] 2011-07-26
[2] 웹사이트 RORATE CÆLI: Liturgical Renewal at Saint Peter's: How does an altar disappear? https://rorate-caeli[...]
[3] 웹사이트 The Infiltration of Modernism in the Church http://www.catholica[...]
[4]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1989
[5] 웹사이트 Pastor Bonus http://www.vatican.v[...]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20-07-01
[6]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1991
[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Cardinal Noè: Paul VI's “smoke of Satan” remark concerned liturgy from "What Does The Prayer Really Say?" http://wdtprs.com/bl[...] PETRUS
[8] 뉴스 Cardinal, who cared for upkeep of St. Peter's Basilica, other Vatican monuments, dies in Rome https://www.washingt[...] 201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