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 활동한 이탈리아 출신의 예수회 사제이자 추기경으로, 신학자, 변증가, 그리고 정치 사상가로 활동했다. 그는 몬테풀치아노에서 태어나 예수회에 입회하여 신학을 연구했으며, 루뱅 대학교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교수로 명성을 얻었다. 로마 대학교에서 논쟁 신학을 강의하고 《이단 논쟁》을 저술하여 가톨릭과 개신교 간의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교황청과 베네치아 공화국 간의 갈등,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와의 논쟁에 참여했다. 또한,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지동설에 대한 반대 입장을 보이며 코페르니쿠스 저서를 금서 목록에 올리고, 갈릴레오에게 지동설 옹호를 금지하기도 했다. 1930년에 시성되었으며, 1931년에는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르비니가 - 교황 마르첼로 2세
    교황 마르첼로 2세는 1555년 짧게 재임한 교황으로, 르네상스 시기 학자이자 외교관이었으며 트리엔트 공의회 의장을 역임했고, 교회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즉위 22일 만에 사망했음에도 검소하고 청렴한 생활과 교회 쇄신에 대한 열정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비르질리오 노에
    비르질리오 노에는 1922년 이탈리아 출생으로, 사제 서품 후 전례 개혁에 기여하고 교황청 경신성사성에서 활동하다 1991년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를 교황청의 부지런한 협력자로 평가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란프랑코
    란프랑코는 11세기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베크 수도원장, 학자로, 성변화 교리 논쟁에서 승리하고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정복 후 캔터베리 대주교가 되어 잉글랜드 교회 개혁을 이끌었으며, 교회 개혁과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와 노르만 통치 공고화에 대한 비판 속에 복자로 칭해진다.
  • 시에나도 출신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시에나도 출신 - 교황 비오 2세
    교황 비오 2세는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의 이름으로 1458년부터 1464년까지 재임한 210대 교황으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 원정을 추진하고 학자 및 작가로 활동했으며, 코르시냐노를 피엔차로 재개발하여 도시 계획을 시행했다.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7세기 로베르토 벨라르미노의 초상화, 앤트워프, 플랑탱-모레투스 박물관
17세기 로베르토 벨라르미노의 초상화, 앤트워프 플랑탱-모레투스 박물관
본명로베르토 프란체스코 로몰로 벨라르미노
출생1542년 10월 4일
출생지몬테풀치아노, 토스카나 대공국
사망1621년 9월 17일
사망지로마, 교황령
매장지산티냐시오 교회, 로마, 이탈리아
기념일9월 17일; 5월 13일 (로마 보편 전례력, 1932–1969)
칭호고해 사제 및 교회 학자
수호벨라민 대학교, 벨라민 예비 학교, 페어필드 대학교, 벨라민 칼리지 예비 학교, 세인트 로버트 학교, 다르질링, 교회법 학자, 교회법 변호사, 교리 교육자, 로버트 배런 (주교), 예비 신자, 신시내티 로마 가톨릭 대교구, 세인트 로버트 가톨릭 고등학교
가톨릭 교회 지도자 정보
유형추기경
직함추기경, 카푸아 대주교 명예
교회가톨릭 교회
대교구카푸아
임명일1602년 3월 18일
임기 시작1602년 4월 21일
임기 종료1605년 8월
이전체사레 코스타
이후안토니오 카에타니 2세
기타 직책산타 프라세데 추기경 사제
서품1570년 3월 19일
축성1602년 4월 21일
축성자클레멘스 8세
추기경 임명1599년 3월 3일
추기경 임명자클레멘스 8세
계급추기경 사제
수도회 정보
소속 수도회SJ
성인 정보
공경하는 교회가톨릭 교회
시복일1923년 5월 13일
시복 장소로마, 이탈리아 왕국
시복 결정자비오 11세
시성일1930년 6월 29일
시성 장소로마, 바티칸 시국
시성 결정자비오 11세
주요 성지산티냐시오 교회, 로마, 이탈리아

2. 일대기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1542년 몬테풀치아노에서 가난한 귀족 가문의 빈첸초 벨라르미노와 교황 마르첼로 2세의 여동생인 친치아 체르비니 사이에서 태어났다.[5] 어린 시절부터 문학적 재능을 보였으며, 1560년 예수회에 입회하였다.[5][6] 로마, 몬도비, 파도바 대학교 등에서 수학했고, 루뱅 대학교에서는 사제 서품을 받고 교수이자 설교자로서 명성을 얻었다.[6] 그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강의하고 미카엘 바이우스와 신의 은총, 자유 의지에 대해 논쟁했으며, 히브리어 문법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1576년 이탈리아로 돌아와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의 요청으로 로마의 대학교(현 교황 그레고리 대학교)에서 논쟁 신학을 가르쳤다.[5] 이 시기의 연구는 그의 대표작인 《논쟁집》(De Controversiis)으로 결실을 맺었으며,[7] 이 책은 당시 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의 주요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다루며 큰 영향을 미쳤다.

1589년 이후 프랑스 가톨릭 동맹과의 협상을 위해 파리에 파견되었고,[8][9] 1599년에는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추기경으로서 종교 재판의 재판관으로 활동하며 조르다노 브루노이단으로 판결하고 화형에 처하는 데 동의했다.[10] 1602년에는 카푸아의 대주교로 임명되어 트렌트 공의회의 개혁 정신을 실천하고자 노력했으며, 베네치아 파문 문제와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와의 신학 논쟁에도 관여했다.

벨라르미노는 1616년 교황의 지시에 따라 갈릴레오를 소환하여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주장하거나 옹호하지 말라고 경고했다.[12][13] 그는 과학적 증거 부족과 성서 및 교부들의 해석과의 충돌을 이유로 지동설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견지했다.[16][17]

말년에는 로마의 예수회 대학에 은퇴하여 영성 생활에 관한 여러 저서를 남겼다.[21][23] 그는 1621년 9월 17일 7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21] 로마의 산 이냐시오 성당에 안장되었다.[22]

2. 1. 초창기

벨라르미노는 몬테풀치아노에서 가난한 귀족 가문인 빈첸초 벨라르미노와 그의 아내 친치아 체르비니 사이에서 태어났다.[34][5] 그의 어머니 친치아 체르비니는 교황 마르첼로 2세의 여동생이었다.[5] 어린 시절 그는 베르길리우스의 시를 즐겨 암송했으며, 이탈리아어라틴어로 시를 짓는 등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34][5] 그가 지은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에 대한 찬미가는 성무일도에 포함될 정도로 뛰어났다.[34][5]

벨라르미노의 아버지는 아들이 정치적으로 출세하여 가문의 영광을 되찾기를 원했지만, 어머니는 그가 예수회에 입회하기를 강하게 희망했다. 결국 어머니의 뜻에 따라 1560년 로마의 예수회 수련원에 입회하여 3년간 머물렀다.[35][6] 그 후 피에몬테주 몬도비에 있는 예수회 수도원으로 가서 그리스어를 공부했다.[35][6]

1567년 파도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토미즘을 가르치는 교수들 아래서 신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하였다.[35] 1569년, 당시 개신교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던 루뱅으로 가서 개신교 교리를 깊이 연구하고자 했다.[35] 루뱅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그는 곧 뛰어난 교수이자 설교자로서 명성을 쌓았다. 그의 설교는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 개신교 신자들에게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35]

그는 예수회 회원으로는 최초로 대학 강단에 선 인물이 되었으며, 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을 강의했다.[35] 또한, 훗날 자신의 저서 《교회의 저술가들》(De scriptoribus ecclesiasticis)을 집필하기 위해 교부 시대부터 중세 신학자들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자료를 연구했다.[35]

2. 2. 루뱅에서의 활동

1567년 파도바 대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시작한 벨라르미노는, 루뱅 지역에 개신교가 널리 퍼졌다는 소식을 듣고 이를 바로잡고자 1569년 루뱅으로 향했다.[35] 루뱅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그는 곧 뛰어난 설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설교는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벨라르미노는 예수회원으로서는 최초로 루뱅 대학교 강단에 서게 되었다. 그의 주요 강의 주제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이었다. 그는 또한 신의 은총과 자유 의지를 주제로 미카엘 바이우스와 논쟁을 벌였고, 히브리어 문법서를 저술하기도 했다.[5]

루뱅에 머무는 동안 벨라르미노는 교부들부터 중세 신학자들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는 훗날 그의 저서 《교회의 저술가들》(De scriptoribus ecclesiasticislat, 1613년 로마에서 출판)을 집필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5] 그는 루뱅에서 총 7년간 활동했으며, 건강이 악화되어 1576년 이탈리아로 돌아갔다.[5]

2. 3. 로마에서의 변증

벨라르미노의 체계적인 신학 연구는 1567년과 1568년 토미즘 추종자들이었던 그의 스승들이 있던 파도바에서 시작되었다. 1569년, 그는 학업을 마치기 위해 브라반트 공국의 루뱅 대학교로 파견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서품을 받았고, 교수이자 설교자로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이 대학에서 가르친 최초의 예수회원이었으며, 그의 강의 주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이었다. 또한 신의 은총과 자유 의지를 주제로 미카엘 바이우스와 논쟁을 벌였고, 히브리어 문법서를 저술했다.

벨라르미노는 루뱅에서 7년을 머물렀으나, 공부와 고행 생활로 건강이 나빠지자 1576년 건강 회복을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왔다.[36] 로마에 도착하자 그의 평판을 들은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새로 설립된 로마의 대학교(현재 교황 그레고리 대학교)에서 논쟁 신학 강의를 맡아달라고 요청했고, 벨라르미노는 이를 영광으로 여기며 수락했다.[5] 그는 재직 중 이 대학의 학생이었던 알로이시우스 곤자가의 시복을 훗날 추진하기도 했다.[5]

벨라르미노는 11년간 로마 대학교에서 헌신적으로 강의했으며, 이 기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Disputationes de controversiis christianae fidei|디스푸타티오네스 데 콘트로베르시이스 크리스티아나이 피데이la(《이 시대의 이단들에 대한 기독교 신앙논쟁 강의》, 통칭 《논쟁집》)이 탄생했다.[7] 이 책의 초판은 1581년부터 1593년까지 잉골슈타트에서 출판되었다. 이 기념비적인 저작은 당시 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에 벌어지던 다양한 종교적 논쟁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최초의 시도였으며,[24] 교리 분야뿐만 아니라 체사레 바로니오의 《교회 연대기》와 같은 역사 분야까지 그의 연구 영역이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논쟁집》은 유럽 전역에 엄청난 양으로 인쇄되어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논란이 많던 학설들을 효과적으로 반박했으며, 특히 많은 개신교 신자들이 이 책을 읽고 가톨릭으로 회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독일잉글랜드의 개신교계에서는 벨라르미노의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 대학에 특별 강좌를 개설할 정도였고, 칼뱅파에서는 이 책을 읽는 것 자체를 금지하기도 했다.[36]

《논쟁집》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36]

  • 제1권: 하느님, 그리스도, 교황의 권위에 대해 다룬다.
  • 제2권: 공의회와 교회의 권위, 그리고 투쟁하는 교회, 기다리는 교회, 승리하는 교회를 다룬다.
  • 제3권: 성사에 대해 다룬다.
  • 제4권: 하느님의 은총, 자유 의지, 칭의, 선행의 문제를 다룬다.

2. 4. 1589년 이후의 활동

1589년까지 신학 교수로 활동하던 벨라르미노는 그해 프랑스 국왕 앙리 3세가 암살되자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었다. 당시 교황 식스토 5세는 엔리코 가에타니 추기경을 교황 특사로 파견하여 프랑스 가톨릭 동맹과 협상하도록 했고, 벨라르미노를 신학 전문가로서 동행시켰다.[37][9] 그는 나바라의 앙리(훗날 앙리 4세)가 파리를 포위했을 때 도시에 머물렀다.[38]

1590년 교황 식스토 5세가 선종하자, 스페인 대사 올리바레스 백작 엔리케 데 구스만은 펠리페 2세에게 "벨라르미노는 교황이 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는 오직 교회의 이익만을 염두에 두고 군주들의 이해관계에는 무관심하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24]

새로 선출된 교황 클레멘스 8세는 벨라르미노를 매우 중용하여 "하느님의 교회는 학식 면에서 그와 동등한 사람을 갖지 못했다"고 평가했다.[5] 벨라르미노는 불가타 성경의 새로운 개정판인 식스토-클레멘티나 불가타의 서문을 작성했으며,[5] 1592년에는 로마 대학교 총장, 1598년에는 주교 조사관을 거쳐 1599년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추기경이 되자마자 교황 클레멘스 8세는 그를 종교 재판의 추기경 재판관으로 임명했다. 이 자격으로 그는 조르다노 브루노의 재판에 참여하여, 브루노를 완고한 이단자로 판단하고 화형에 처하는 결정에 동의했다.[39][10]

1602년, 벨라르미노는 카푸아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한 사람이 여러 교구를 맡는 복수주의와 주교가 자신의 교구에 상주하지 않는 부재 문제를 비판하는 글을 썼으며, 임명된 지 4일 만에 직접 카푸아로 가서 교구장 직무에 헌신했다. 그는 주교로서 트리엔트 공의회의 개혁 정신을 실천하며 교구를 쇄신하고자 노력했다.

교황 바오로 5세(재위 1605-1621) 시대에는 교황청베네치아 공화국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다. 베네치아의 대변인이었던 파올로 사르피 수사는 교황의 성무 정지 명령에 반발하며 콘스탄츠 공의회와 바젤 공의회의 원칙을 내세워 세속 문제에 대한 교황의 권위를 부정했다. 벨라르미노는 베네치아 신학자들에게 세 차례 반박 글을 보냈으며, 동시에 암살 위협을 받고 있던 사르피에게 경고하여 그의 목숨을 구하려 했다고 전해진다.

벨라르미노는 또한 신학적 지식을 자부하던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 국왕과도 중요한 논쟁을 벌였다. 그는 잉글랜드의 수석사제 조지 블랙웰이 교황에 대한 의무를 저버리고 국왕에게 충성 서약을 한 것을 비판하는 서신을 보냈다. 이에 제임스 1세가 1608년 라틴어 논문으로 벨라르미노를 공격하자, 벨라르미노는 왕의 라틴어 문법 오류를 지적하며 응수했다. 제임스 1세는 다시 글을 써 루돌프 2세 황제를 비롯한 유럽 군주들에게 헌정하며 자신을 기독교의 수호자로 내세웠고, 벨라르미노는 이에 대해 포괄적인 반박 논증을 제시했다.

1616년, 교황 바오로 5세의 지시에 따라 벨라르미노 추기경은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소환했다. 그는 갈릴레오에게 지구가 움직이고 태양이 고정되어 있다는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지동설)이 곧 발표될 금서 목록 교령에 따라 금지될 것임을 알리고, 이 주장을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 갈릴레오는 이를 받아들였다. 이후 갈릴레오가 강압에 의해 지동설 지지를 철회하고 참회를 강요당했다는 소문이 돌자, 벨라르미노는 이를 부인하는 증명서를 작성하여 갈릴레오가 단지 교령을 통보받고 이에 순응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벨라르미노는 추기경으로서 1605년 3월(교황 레오 11세 선출), 1605년 5월(교황 바오로 5세 선출), 1621년(교황 그레고리오 15세 선출)의 세 차례 콘클라베에 참여했으며, 특히 두 번째 콘클라베에서는 교황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예수회 소속이라는 점이 일부 추기경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5]

말년에 벨라르미노는 로마에 있는 예수회 산 안드레아 신학교에서 은퇴 생활을 하며, 일반 신자들의 영성 생활을 돕기 위한 여러 소책자를 저술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영혼의 하느님께로의 상승》(1614년), 《선종을 위한 기술》(1619년), 《십자가상의 일곱 말씀》 등이 있다. 그는 1621년 9월 17일 로마에서 사망했다.

2. 5. 갈릴레오와의 논쟁

벨라르미노는 코페르니쿠스의 저서를 금서목록에 올리고, 지동설을 주장한 갈릴레오의 저작들에 대한 조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41]

1613년 갈릴레오가 태양 흑점의 이동 관찰을 바탕으로 코페르니쿠스 체계가 옳다는 내용의 편지를 출판하자, 이에 대한 교회의 대응이 시작되었다. 1616년 3월 5일, 교회는 코페르니쿠스 체계가 오류라고 공식적으로 선언하며 관련 저서를 금서 목록에 포함시켰다.[41] 이 공식 발표에 앞서, 바오로 5세의 지시에 따라 벨라르미노는 갈릴레오를 소환했다. 그는 갈릴레오에게 성좌성성에서 코페르니쿠스의 학설, 즉 지구가 움직이고 태양은 움직이지 않는다는 주장을 비난하는 교령이 곧 발표될 것임을 알리고, 앞으로 이 학설을 지지하거나 변론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12][41] 갈릴레오는 이 경고를 받아들였다.[13]

나중에 갈릴레오가 강제로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고 참회해야 했다는 소문이 퍼지자, 벨라르미노는 이를 부인하는 증명서를 작성해주었다. 이 문서에는 갈릴레오가 단지 교령의 내용을 통보받았으며, 그 결과 코페르니쿠스 학설을 "옹호하거나 고수"할 수 없게 되었다고 명시되어 있었다. 이는 갈릴레오가 코페르니쿠스 이론을 순전히 수학적 가설로서 사용하는 것까지 금지한 것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14][15]

벨라르미노는 지동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했는데, 주된 이유는 그것이 교부들이 만장일치로 해석해 온 성서 해석과 모순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트렌토 공의회(1546년)에서는 이러한 교부들의 해석을 모든 가톨릭 신자가 따라야 할 기준으로 정했기에, 벨라르미노는 이 원칙을 중시했다.[16] 그는 지동설을 뒷받침할 결정적인 과학적 증거가 제시되지 않는 한, 기존의 성서 해석을 고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615년, 지동설을 지지했던 파올로 안토니오 포스카리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의 입장을 엿볼 수 있다.[17]

> "트렌토 공의회는 성경을 성부들의 일반적인 합의에 반하여 해석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만약 태양이 세상의 중심에 있고 지구가 세 번째 하늘에 있으며, 태양이 지구를 돌지 않고 지구가 태양을 돈다는 진정한 증거가 있다면, 우리는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성경을 설명하는 데 매우 신중해야 하며, 그것들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해야지, 증명된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그런 증거가 제게 제시되기 전까지는 믿지 않겠습니다. 또한 태양이 중심에 있고 지구가 하늘에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현상을 설명하는 것과, 실제로 태양이 중심에 있고 지구가 하늘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같지 않습니다. 저는 첫 번째 증명은 가능할 수 있다고 믿지만, 두 번째 증명에 대해서는 매우 큰 의문이 있으며,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성부들이 해석한 성서를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17]

즉, 벨라르미노는 지동설이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일 수는 있지만, 그것이 '실제 사실'임을 증명하는 확실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했으며,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는 성경과 교회의 전통적 해석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17]

1632년, 갈릴레오는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와 코페르니쿠스 체계를 비교하는 내용의 저서 〈2개의 주된 우주체계―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에 관한 대화〉를 출판했다. 이 책으로 인해 그는 1633년에 다시 종교 재판소에 회부되었다. 이때는 벨라르미노가 사망한 지(1621년 사망) 약 12년이 지난 후였지만, 갈릴레오는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기 위해 1616년 벨라르미노로부터 받았던 증명서를 법정에 제출했다.[18][41]

후대의 일부 학자들, 예를 들어 피에르 뒤엠과 칼 포퍼는 벨라르미노의 입장을 다른 각도에서 평가하기도 한다. 그들은 벨라르미노가 지동설에 대해 '엄격한 증거'를 요구하고, 천문학 이론이 반드시 '실제로 일어나는 일'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겉보기 현상을 설명'하는 것일 수 있다고 본 점에서, 과학철학적으로는 갈릴레오보다 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고 주장했다.[19] 과학사학자 토머스 쿤 역시 그의 저서 《코페르니쿠스 혁명》에서, 벨라르미노와 같은 갈릴레오 반대자들이 망원경 관측 결과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지동설을 결정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 점이 당시로서는 합리적인 측면이 있었다고 평가했다.[20]

2. 6. 말년

16세기 성 로베르토 벨라르미노의 초상화


말년에 벨라르미노는 몬테풀치아노 교구장으로 4년간 봉직한 후, 로마에 있는 예수회의 산탄드레아 데글리 스코체시 대학으로 돌아와 은퇴 생활을 했다. 그는 콘클라베에 참여하여 교황 레오 11세, 교황 바오로 5세,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등의 선출에 표를 행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벨라르미노 자신도 두 차례 교황 후보로 추천받았으나 겸손하게 이를 사양했다.

은퇴 기간 동안 그는 일반 신자들의 영적 생활을 돕기 위해 여러 소책자를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 De ascensione mentis in Deum per scalas rerum creatorum opusculum|하느님께 대한 신심 향상lat (1614), 잘 죽는 기술 (1619), 그리고 Septem verba a Christo in cruce prolatis|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lat 등이 있다.[31][32] 《하느님께 대한 신심 향상》은 헨리 아이작슨에 의해 1638년 A Ladder of Ascension to God|야곱의 사다리eng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기도 했다.[31]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1621년 9월 17일 로마에서 78세의 나이로 선종했으며,[21] 로마의 산 이냐시오 성당에 묻혔다.[22]

3. 시성과 유해

수년간 예수회 회원들은 벨라르미노의 시성을 위해 노력하였다.[21] 마침내 1930년 5월 13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시성되었으며,[33] 이듬해인 1931년에는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21][33]

벨라르미노는 1621년 9월 17일 로마에서 7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21] 그의 유해는 로마 대학교의 부속 성당인 산티냐치오 성당에 안치되었다.[22] 유해는 추기경의 붉은 예복을 입은 채 유리관에 안치되어 있으며, 생전 그의 뜻에 따라 제자였던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의 유해 옆 측면 제단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21][33]

로마 일반 전례력에서 성 로베르토 벨라르미노의 축일은 그의 사망일인 9월 17일이다.[21][33] 그러나 일부에서는 1969년 이전의 전례력을 따라 과거 37년간 사용되었던 5월 13일을 축일로 기념하기도 한다.[33] 축일의 등급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이중 축일"(1932–1959), "3등급 축일"(1960–1968)을 거쳐 1969년 개정 이후에는 "기념일"로 지정되었다.[33]

4. 사상과 영향

은퇴 후 벨라르미노는 평신도들의 영성 생활을 돕기 위한 여러 소책자를 저술했다. 대표적으로 《창조된 사물의 사다리를 통한 마음의 신에 대한 상승》( De ascensione mentis in Deum per scalas rerum creatorum opusculumlat, 1614)은 헨리 아이작슨이 《야곱의 사다리》( Jacob's Laddereng, 1638)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했으며,[31] 《잘 죽는 기술》( De arte bene moriendilat, 1619)은 에드워드 코핀이 영어로 옮겼다. 이 외에도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 De septem verbis a Christo in cruce prolatislat ) 등이 있다.[32]

4. 1. 신학 사상

벨라르미노의 저술들은 당대의 특징을 반영하여, 문학적 기교보다는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인간 지식의 모든 영역을 신학에 통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의 논쟁적인 저작들은 많은 반론을 불러일으켰으며, 사후 수십 년간 연구 대상이 되었다. 그는 루뱅 시절 교부들과 스콜라 철학자들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는 그의 저서 《교회 작가에 관하여》( De scriptoribus ecclesiasticisla, 1613)의 기초가 되었다. 이 책은 후대에 시르몽, 라베, 카시미르 오딘 등에 의해 수정 및 증보되었다. 벨라르미노는 또한 새로운 식스토-클레멘테 불가타 성서의 서문을 작성했으며,[5] 각 시편에 대한 해설서를 남겼다.[23]

벨라르미노의 소 교리 문답서 페이지: ''Dottrina cristiana breve'', 1752


그의 가장 중요한 저작은 《논쟁집》( Disputationes de controversiis christianae fidei adversus huius temporis haereticosla )으로, 1581년부터 1593년까지 잉골슈타트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이 저서는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사이의 다양한 신학적 논쟁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최초의 시도였다.[24] 벨라르미노는 로마 대학의 논쟁 신학 교수로서 11년간 이 연구에 매진했으며, 이 기념비적인 저작은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독일과 잉글랜드의 개신교 진영에서는 그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대학에 특별 강좌를 개설할 정도였다. 『논쟁집』은 기독교 교리 논쟁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의 비판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논쟁집』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1권: , 그리스도, 교황
  • 제2권: 공의회의 권위, 세 가지 상태의 교회(지상의 교회, 연옥의 교회, 천상의 교회)
  • 제3권: 성사
  • 제4권: 은총, 자유 의지, 칭의, 선행


1590년 교황 식스토 5세는 『논쟁집』 제1권을 금서 목록에 올리려 했다. 벨라르미노가 교황의 직접적인 세속 통치권을 부정하고, 세속 군주의 권력이 신에게서 직접 오는 것이 아니라 피통치자의 동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스토 5세가 금서 목록 개정판 발행 전에 사망하고, 후임 교황 우르바노 7세가 즉위 직후 이를 철회했다.[25]

벨라르미노는 1597-98년에 두 종류의 교리 문답서( Dottrina cristiana breveit 와 Dichiarazione più copiosa della dottrina cristianait )를 출판했다. 이 책들은 60개 언어로 번역되어 수 세기 동안 가톨릭교회의 공식적인 교리 교육 자료로 사용되었다.[26]

그는 또한 여러 신학 논쟁에 직접 참여했다.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갈등에서는 파올로 사르피의 주장에 맞서 교황의 권위를 변호했으며,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와는 충성 서약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다. 제임스 1세가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변호하는 글을 발표하자, 벨라르미노는 이를 반박하며 국왕의 라틴어 문법 오류를 지적하기도 했다.

1616년, 교황 바오로 5세의 지시에 따라 벨라르미노는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소환했다. 그는 갈릴레오에게 지동설을 주장하는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이 교회 금서 목록 교령에 의해 비판받을 것임을 알리고, 이 학설을 포기할 것을 요청했다. 갈릴레오는 이에 동의했다. 훗날 갈릴레오가 강압에 의해 지동설을 철회했다는 소문이 돌자, 벨라르미노는 갈릴레오가 단지 교령을 통보받고 이에 순응했을 뿐, 어떠한 처벌이나 참회를 강요받지 않았다는 내용의 증명서를 작성해주었다.

말년에는 영성 생활을 돕는 소책자들을 저술했는데, 『영혼의 하느님께로의 상승』( De ascensione mentis in Deum per scalas rerum creatorumla, 1614년), 『선종을 위한 행위』( De arte bene moriendila, 1619년), 『십자가상의 일곱 말씀』( De septem verbis a Christo in cruce prolatisla ) 등이 있다.

4. 2. 정치 사상

벨라르미노는 신학 교수로서 활동하던 중, 1589년 프랑스 국왕 앙리 3세가 암살된 후 정치적인 역할에도 관여하게 되었다. 당시 교황 식스토 5세는 가에타노 추기경을 교황 특사로 파견하여 프랑스의 가톨릭 동맹과 협상하도록 했는데, 벨라르미노는 이때 신학 전문가로서 특사단에 동행했다. 그는 나바라의 앙리(훗날 프랑스 국왕 앙리 4세)가 파리를 포위했을 때 도시에 머물기도 했다.

이후 교황 클레멘스 8세의 신임을 얻어 여러 중책을 맡았다. 1592년 로마 아카데미 원장, 1598년 주교 순찰관, 1599년에는 추기경에 임명되었다. 추기경이 된 직후에는 이단 심문 담당 추기경으로 임명되어, 조르다노 브루노의 재판에 재판관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그는 브루노를 개심의 여지가 없는 이단자로 판단하여 화형에 처하는 데 동의했다.

1602년에는 카푸아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당시 한 사람이 여러 교구를 소유하거나, 이름만 올려놓고 실제로는 교구에 거주하지 않는 부재 주교 문제가 심각했는데, 벨라르미노는 이를 비판하며 임명된 지 4일 만에 직접 카푸아로 부임하여 모범을 보였다. 이는 트리엔트 공의회가 추구했던 가톨릭 개혁 정신을 실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교황 바오로 5세(재위 1605–1621) 시기에는 교황청베네치아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다. 베네치아의 대변인이었던 파올로 사르피는 교황이 내린 성무 정지 조치에 반발하며, 과거 콘스탄츠 공의회와 바젤 공의회의 결정을 근거로 교황이 세속 문제에 개입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했다. 벨라르미노는 교황청의 입장을 대변하여 사르피의 주장을 반박하는 세 편의 글을 썼다. 한편, 1607년 면직된 수도사 로틸리오 오를란디니가 사르피를 암살하려 했을 때, 벨라르미노가 사전에 사르피에게 경고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7] 오를란디니의 암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공범들과 함께 베네치아 영토로 넘어오다 체포되었다.[28]

벨라르미노는 잉글랜드제임스 1세 국왕과 벌인 논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논쟁은 잉글랜드 가톨릭교도들이 교황에게 충성할 것인가, 아니면 국왕에게 충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 시작되어 서유럽 전역의 관심을 끌었다.[29] 제임스 1세는 자신의 신학적 지식을 내세우며 칼뱅주의적 프로테스탄티즘을 옹호했고, 벨라르미노는 반종교개혁 이후의 가톨릭 입장을 대변했다.[30] 벨라르미노는 잉글랜드의 수석 사제 조지 블랙웰이 교황에 대한 충성을 저버리고 국왕이 요구한 충성 서약에 서명한 것을 비판하는 편지를 보냈다. 이에 제임스 1세는 1608년 라틴어로 쓴 논박문을 발표했으나, 벨라르미노는 답신에서 국왕의 라틴어 문법 오류를 지적하며 반박했다. 제임스 1세는 문법 실수를 수정하여 두 번째 논박문을 작성하고, 이를 신성 로마 황제 루돌프 2세를 포함한 유럽 군주들에게 헌정하며 자신을 기독교의 수호자로 내세우려 했다. 벨라르미노는 이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반박하는 글을 발표했다.

1616년에는 교황 바오로 5세의 지시에 따라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소환했다. 벨라르미노는 갈릴레오에게 지구가 움직이고 태양이 멈춰있다는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이 곧 금서 목록에 포함될 것이며, 교회 교리에 어긋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라고 알리고 해당 주장을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 갈릴레오는 이를 받아들였다. 이후 갈릴레오가 강압에 의해 지동설 지지를 철회하고 참회를 강요당했다는 소문이 돌자, 벨라르미노는 이를 부인하는 증명서를 작성해주었다. 그는 갈릴레오가 단지 교회의 결정을 통보받고 이에 따랐을 뿐이며, 코페르니쿠스 이론을 "지키거나 유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갈릴레오는 1633년 이 문제로 다시 재판을 받게 된다.)

말년에 벨라르미노는 추기경으로서 레오 11세, 바오로 5세, 그레고리오 15세를 선출한 세 번의 콘클라베에 참여했으며, 특히 바오로 5세 선출 시에는 교황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은퇴 후에는 로마 예수회의 산타 안드레아 신학교에서 지내며 『영혼의 하느님께로의 상승』(1614년), 『선종을 위한 행위』(1619년), 『(예수의) 십자가상의 일곱 말씀』 등 여러 신앙 서적을 저술하다가 1621년 9월 17일 로마에서 사망했다.

4. 3. 과학과 종교의 관계

벨라르미노는 이단심문관으로서 당시 과학적 발견과 가톨릭 교리 사이의 긴장을 다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지동설을 주장한 조르다노 브루노가 주재한 종교재판에서 브루노에게 주장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브루노는 "나는 내 주장을 철회해야 할 이유가 없고, 그러지도 않을 것이다. 나는 철회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답하며, 오히려 "내 형량이 선고되는 것을 듣는 당신들의 두려움이 나의 두려움보다 오히려 더 클 것이다"라고 말했다. 결국 브루노는 유죄 판결을 받았고, 선고 직후 벨라르미노와 예수회 사제들은 브루노의 턱에 쇠 재갈을 물리고 혀와 입천장을 쇠꼬챙이로 꿰뚫는 등 잔혹한 형벌을 가한 뒤, 1600년 2월 19일 발가벗겨 화형에 처했다.[40]

벨라르미노는 코페르니쿠스의 저서를 금서목록에 포함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며,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지지한 갈릴레오의 저작에 대한 조사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갈릴레오가 1613년 태양 흑점 관측을 근거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이 옳고 프톨레마이오스가 틀렸음을 밝히는 편지를 출판하자, 벨라르미노는 1616년 3월 5일 코페르니쿠스 체계가 오류라고 공식 선언하고 관련 서적을 금서 목록에 추가했다. 이 결정 이전에 벨라르미노는 갈릴레오에게 이 사실을 알리며 앞으로 코페르니쿠스 체계를 지지하거나 변호하지 말라고 경고했다.[41]

같은 해(1616년), 당시 교황 바오로 5세의 지시에 따라 추기경 벨라르미노는 갈릴레오를 직접 소환했다. 그는 갈릴레오에게 지구의 운동과 태양의 부동성을 주장하는 코페르니쿠스의 학설이 곧 나올 금서 목록 교령에서 단죄될 것임을 알리고, 해당 학설을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 갈릴레오는 이 요구를 받아들였다. 후에 갈릴레오가 강압에 의해 지동설 지지를 철회하고 참회를 강요당했다는 소문이 돌자, 벨라르미노는 이를 부인하는 증명서를 작성하여 갈릴레오가 단지 교령을 인지하고 이에 복종했을 뿐이며, 따라서 코페르니쿠스 학설을 "지키거나 유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갈릴레오는 1632년 자신의 대작 《두 개의 주된 우주 체계—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에 관한 대화》(Dialogo sopra i due massimi sistemi del mondo, tolemaico e copernicano)를 출판했고, 이로 인해 다시 종교재판소에 회부되었다. 이번에는 브루노와 달리 자신의 과거 주장을 "맹세코 포기하며, 저주하고 혐오한다"고 선언한 후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41]

벨라르미노의 이러한 활동은 당시 과학적 진리와 종교적 믿음 사이의 충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서적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11-19
[2] 서적 Were "heretics" Ever Burned Alive at Rome?: A Report of the Proceedings in the Roman Inquisition Against Fulgentio Manfredi. Taken from the Original Manuscript Brought from Italy by a French Officer, and Edited, with a Parallel English Version and Illustrative Additions https://books.google[...] John Petheram 2020-11-19
[3] 학술지 Giordano Bruno and the heresy of many worlds 2016-10-01
[4] 서적 A Golden Chain or the description of Theology http://www.onthewing[...] University of Cambridge 1600
[5] 백과사전 http://www.newadvent[...]
[6] 서적 Celebrated Jesuits John Mason
[7] 웹사이트 St. Robert Bellarmine The Great Defender of the Faith https://christianapo[...] 2020-12-02
[8]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AETANI, Enrico (1550-1599) https://cardinals.fi[...] 2017-06-23
[9]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BELLARMINO, S.J., Roberto (1542-1621) https://cardinals.fi[...] 2017-06-23
[10] 문서 Blackwell (1991, pp. 47–48)
[11] 서적 Thomas Hobbes: a Biography Cambridge U.P. 1999
[12] 문서 Blackwell (1991, p. 126), Blackwell (1991, p. 127–128)
[13] 문서 Fantoli (2005, p.119), Fantoli (2005, pp.121, 124)
[14] 문서 Blackwell (1991, p.127), Finocchiaro
[15] 서적 Galileo, Bellarmine, and the Bib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tre Dame Pess 2020-11-19
[16] 웹사이트 Fourth Session of the Council of Trent http://www.ccel.org/[...] 2013-12-16
[17] 서적 The Galileo Affair: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U. California P. 1989
[18] 서적 The Trial of Galileo: Essential Documents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2014
[19] 백과사전 Robert Bellarmine Scribner &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20] 서적 The Copernican Revolution Random House / Vintage Books
[21] 문서 Chisholm (1911)
[22] 뉴스 Church of St. Ignatius in Rome: the jewel of baroque architecture https://www.romerepo[...] 2023-09-15
[23] 웹사이트 A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https://www.ecatholi[...] 2019-11-22
[24] 웹사이트 The Galileo Project Christianity Robert Cardinal Bellarmine http://galileo.rice.[...] 2017-06-23
[25] 서적 Galileo, Bellarmine, and the Bibl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20-09-04
[26] 서적 Doctrina Christiana: The Timeless Catechism of St. Robert Bellarmine Mediatrix Press
[27]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Volume 4: Fra Paolo Sarp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6
[28] 서적 Fra Paolo Sarpi: the greatest of the Venetians Sampson, Low, Marston & Co. 1893
[29] 서적 James VI and I and the Reunion of Christendom 1997
[30] 뉴스 Bellarmine, Jefferson an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www.ncregiste[...] 2017-06-23
[31] 웹사이트 Iacob's ladder consisting of fifteene degrees or ascents to the knowledge of God by the consideration of his creatures and attributes. http://quod.lib.umic[...] 2017-06-23
[32] 백과사전
[33] 서적 Empire of Souls: Robert Bellarmine and the Christian Commonwealt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9
[34] 웹사이트 http://www.newadvent[...] 2009
[35] 서적 Celebrated Jesuits John Mason
[36] 서적 Reformed dogmatics https://www.worldcat[...] Baker Academic 2008
[3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12-01
[38] 웹사이트 http://www2.fiu.edu/[...]
[39] 문서 Blackwell (1991, pp. 47–48)
[40] 서적 우주의 발견 푸른숲
[41] 백과사전 갈릴레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