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부학은 니케아 공의회 이전과 이후 시대로 구분되며, 그리스 교부와 라틴 교부로도 나뉜다. 교부들은 기독교와 유대교 관계, 신약성경 정경 확립, 변증학, 그리고 신앙의 일관성을 위한 교리 논쟁 등 다양한 신학적 주제를 다루었다. 20세기에는 러시아 혁명 이후 신교부학적 종합이 등장하며 교부학 연구가 활발해졌다. 교부학 연구에는 자크 폴 미뉴의 『교부학 전집』, Corpus Christianorum 등의 자료가 활용되며, 영어 번역본과 연구 저널도 존재한다. 한국어 번역 자료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부 -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에 태어나 불가타를 완성하고 서방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자이며,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 교부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교부학
개요
정의초기 기독교 작가들인 교부 연구
관련 용어

상세 내용
대상교부로 지정된 초기 기독교 작가들
시대대략 기원후 100년부터
연구 분야초기 기독교 사상사, 성서 해석, 설교, 역사
중요 인물이레네오스
테르툴리아누스
아우구스티누스
관점
강조점서방 기독교 (가톨릭, 개신교, 라틴) 관점의 교부 연구

2. 시대 구분

교부들은 일반적으로 니케아 공의회(325년)를 기준으로 니케아 이전 교부와 니케아 이후 교부로 나뉜다. 그리스어라틴어 외에도 콥트어, 시리아어, 게에즈어, 아르메니아어 등으로 글을 쓴 교부들도 있었다. 역사적으로 칼케돈 신조를 따르는 기독교인들은 오리엔트 정교회나 동방 교회가 칼케돈 공의회나 에페소스 공의회를 거부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그러나 최근 기독교 분파 간 긴장이 완화되면서 이러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고, 로마와 교제를 유지하면서 오리엔트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도 있다.

교부 연구는 에우세비우스의 『교회사』나 히에로니무스의 『저명한 인물 열전』 등에서 볼 수 있듯이 4세기부터 시작되었고, 15세기 이후 활발해졌다.[24] 요한 게르하르트Johann Gerhard (Theologe)de가 1653년 유고 『''Patrologia''』에서 '교부학(Patrologia)'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했다.[24] 오늘날의 교부학(patrology)은 교부의 사상을 주로 다루며, 17세기 이래의 '교부 신학(theologia patristica)'과 거의 같은 범위를 다룬다.[24]

넓은 의미의 교부는 때때로 중세 신학자를 포함하기도 하며[16], 정교회에서는 교부(성사부)가 과거뿐 아니라 미래에도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17] 그러나 교부학의 대상은 일반적으로 동방 교회에서는 사도 시대 직후(2세기 초)부터 7번의 공의회(325년-787년) 시기까지, 구체적으로는 다마스쿠스의 요한(670년경-750년경)까지이며, 서방 교회에서는 그레고리오 1세(540년경-604년) 또는 세비야의 이시도르(560년경-636년)까지로 한정된다.[24]

2. 1. 언어에 따른 구분

교부들은 활동 지역과 언어에 따라 그리스 교부와 라틴 교부로 구분된다. 가장 저명한 그리스 교부들로는 순교자 유스티누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오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고백자 막시무스가 있다. 라틴 교부들 중에는 테르툴리아누스, 키프리아누스, 예로니모,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있다.[24]

그리스어라틴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글을 쓴 교부들도 있었는데, 콥트어, 시리아어, 게에즈어, 아르메니아어 등이 있다.

2. 2. 20세기 정교회 신학에서의 교부학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무신론을 내세운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정권이 들어섰다. 조국을 떠나 망명한 많은 러시아인 중 한 명인 게오르기 플로롭스키1936년 아테네의 정교 신학 회의에서 성사부(聖師父, 교부)의 전통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21]。이를 계기로 정교 신학자들은 교부에 대한 탐구를 활발하게 진행했고, 정교 신학은 크게 전환되었다[21]。플로롭스키는 파리 신학대학의 교부학 담당 교수를 역임했으며, 신(新)교부학적 종합(neo-patristic synthesis)으로 알려져 있다[22][25][26]。플로롭스키의 뒤를 이은 신교부학의 주요 학자로는 파벨 예브도키모프, 블라디미르 로스키, 올리비에 클레망, 존 메이엔도르프, 알렉산더 슈메만 등이 있다[18]

3. 주요 활동 지역

초기 교회 교부들의 주요 활동 지역은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카르타고 주변 서부 북아프리카 지역이었다. 밀라노예루살렘도 중요한 지역이었다.[5]

4. 주요 신학적 발전

교부 시대의 신학자들은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 신약성경 정경의 확립, 변증학(기독교의 '옹호' 또는 '설명'), 그리고 특히 기독교화된 로마 제국 내에서 신앙의 일관성을 달성하려는 교리적 논쟁을 주요 관심사로 삼았다.[6] 앨리스터 맥그래스에 따르면, 교부 시대 동안 신약성경 정경의 범위, 전통의 역할, 에큐메니컬 신조의 고정, 그리스도의 양성, 삼위일체 교리, 교회 교리, 신의 은총 교리와 같은 여러 주요 신학 분야가 발전했다.[7]

5. 주요 교부 목록

이름언어생몰년비고
로마의 클레멘스그리스어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그리스어
아테네의 아리스테이데스그리스어~140
스미르나의 폴리캅그리스어
유스티누스 순교자그리스어
앗시리아의 타티아누스그리스어
사르디스의 멜리토그리스어d. 180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루스그리스어d. 184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그리스어
리옹의 이레네우스그리스어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그리스어
테르툴리아누스라틴어아프리카
로마의 히폴리투스그리스어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그리스어아프리카
오리게네스그리스어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펠릭스라틴어d. ~250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라틴어d. 258아프리카
카르타고의 폰티우스라틴어d. 259아프리카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그리스어d. 264
로마의 디오니시우스그리스어
그레고리우스 타우마투르구스그리스어
라오디게아의 아나톨리우스그리스어d. 283
페타우의 빅토르그리스어d. 304
가이사레아의 팜필루스그리스어d. 309
올림푸스의 메토디우스그리스어c. 311 사망
락탄티우스라틴어아프리카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그리스어d. 328
아르노비우스라틴어d. 330아프리카
가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그리스어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그리스어d. 342
아프라하트시리아어
파코미우스콥트어
안토니우스 대(大)콥트어
코르도바의 호시우스라틴어
에메사의 에우세비우스그리스어
안티오키아의 에우스타티우스그리스어d. 360
포타미우스라틴어d. 360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라틴어
베르첼리의 에우세비우스라틴어
칼리아리의 루키페르라틴어d. 371
아타나시우스그리스어-콥트어
시리아의 에프렘시리아어
안키라의 마르켈루스그리스어d. 374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그리스어
베로나의 제노라틴어아프리카
라오디게아의 아폴리나리스그리스어d. 382
암브로시아스터라틴어d. 384
예루살렘의 키릴로스그리스어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그리스어
티코니우스라틴어d. 390아프리카
네메시우스그리스어d. 390
타르수스의 디오도루스그리스어d. 390
파키아누스라틴어
엘비라의 그레고리우스라틴어d. 392
아겐의 포에바디우스라틴어d. 392
닛사의 그레고리우스그리스어
투르의 마르티누스라틴어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라틴어
디디무스 맹인그리스어
시리시우스라틴어
폰티쿠스의 에바그리우스그리스어
가이우스 마리우스 빅토리누스라틴어d. 400아프리카
옵타투스라틴어d. 400아프리카
푸블리리우스 옵타티아누스 포르피리우스라틴어d. 400아프리카
시리아의 루피누스라틴어d. 401
아나스타시우스 1세라틴어d. 401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그리스어
이코니움의 암필로키우스그리스어d. 403
요한 크리소스토모스그리스어
크로마티우스라틴어d. 407
브레시아의 가우덴티우스라틴어d. 410
놀라의 테라시아 (아내)라틴어d. 410
마카리우스 마그네스그리스어d. ~410
티라니우스 루피누스라틴어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루스그리스어d. 412
프루덴티우스라틴어
레메시아나의 니케타스라틴어
시네시우스그리스어아프리카
예루살렘의 요한 2세그리스어d. 417
술피키우스 세베루스라틴어
마루타스시리아어d. 420
마르티아누스 카펠라라틴어d. 420아프리카
파울리누스 디아코누스라틴어d. ~422
가발라의 세베리아누스그리스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아티쿠스그리스어d. 425
히에로니무스라틴어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라틴어아프리카
갈라티아의 팔라디우스그리스어
시나이의 닐루스그리스어d. 430
놀라의 파울리누스 (남편)라틴어
사이드의 필립그리스어
요한 카시안라틴어
라불라시리아어d. 435
포시디우스라틴어d. 437아프리카
아르메니아의 이사크아르메니아어
필로스토르기우스그리스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그리스어
호노라투스라틴어d. 440아프리카
플라비우스 루키우스 덱스테르라틴어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그리스어
리옹의 유케리우스라틴어
아를의 힐라리우스라틴어
포에멘그리스어
페트로스 크리솔로구스라틴어
콜브의 에즈니크아르메니아어
소조멘그리스어
아가탄젤로스아르메니아어d. ~450
쿼드불트데우스라틴어d. 450아프리카
레린스의 빈센트라틴어d. 450
펠루시움의 이시도르그리스어d. 450
마리우스 메르카토르라틴어아프리카
살비아누스라틴어
아키타니아의 프로스페르라틴어
시므온 스틸라이트시리아어
안티오키아의 이사크시리아어d. 460
아르노비우스라틴어d. 460아프리카
성 파트리치오라틴어
레오 1세라틴어
세누테콥트어
테오도레토스그리스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게나디우스그리스어d. 471
엘리세아르메니아어
알렉산드리아의 티모시 2세그리스어d. 477
이아코브 추르타벨리조지아어d. ~483
비토르 비텐시스라틴어아프리카
트랍수스의 비길리우스라틴어d. 484아프리카
포티케의 디아도쿠스그리스어
모브세스 호레나치아르메니아어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라틴어
툴의 아우스피키우스라틴어d. 490
은둔자 이사야그리스어d. 491
젤라시우스 1세라틴어d. 496아프리카
마실리아의 게나디우스라틴어d. 496
위(僞)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그리스어
논누스그리스어d. 500
보스트라의 안티파테르그리스어d. 500
나르사이시리아어
율리아누스 포메리우스라틴어d. 505아프리카
가자르 파르페치아르메니아어
루푸스그리스어
가자의 아에네아스그리스어d. 518
비엔의 아비투스라틴어
세루그의 야곱시리아어
마그누스 펠릭스 엔노디우스라틴어
필록세누스시리아어d. 523
보에티우스라틴어
러스페의 풀젠티우스라틴어아프리카
유기피우스라틴어
자카리아스 레토르그리스어
안티오키아의 세베루스그리스어
아를의 카이사리우스라틴어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라틴어
풀젠티우스 페란두스라틴어d. 547아프리카
코스마스 인디코플레우스테스그리스어d. 550
하드루메툼의 프리마시우스라틴어d. 560아프리카
가자의 도로테오스그리스어
요한 필로포누스그리스어
길다스라틴어
툰누나의 빅토르라틴어d. 570아프리카
요한 말랄라스그리스어
브라가의 마르티누스라틴어
칼리니쿰의 페트루스 3세시리아어
안티오키아의 그레고리우스그리스어d. 593
스콜라스티쿠스의 에바그리우스그리스어
투르의 그레고리우스라틴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4세그리스어d. 595
다윗 무적아르메니아어d. 600
옥시린쿠스의 바실리우스콥트어d. 600
세비야의 레안데르라틴어
그레고리오 1세라틴어
알렉산드리아의 에울로기우스그리스어d. 608
포르투나투스라틴어
세비야의 이시도르라틴어
아그리젠토의 그레고리오그리스어
테오필락투스 시모카타그리스어
카이사레아의 앤드류라틴어
예루살렘의 소프로니우스그리스어
요한 클리마쿠스그리스어
막시무스 고백자그리스어580–662
아나니아 시라카치아르메니아어
니네베의 이사악시리아어d. 700
에데사의 야곱시리아어
베데라틴어d. 735
다마스쿠스의 요한그리스어d. 749


6. 21세기 교부학의 과제

앨리스터 맥그래스는 21세기 초에 교부학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네 가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8]


  • 일부 논쟁은 현대 세계와 거의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 고대 철학의 사용
  • 교리의 다양성
  • 동서 분열, 즉 그리스와 라틴 신학의 방법, 고대 철학 사용의 정도.


신교부학 및 후기 교부학이라는 용어는 교회 교부들이 먼 과거의 시대상을 반영했기 때문에 현대의 발전에 비추어 재해석되거나 비판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는 최근의 신학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러한 신학은 정통 신학자들에 의해 논란의 여지가 있거나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9][10]

7. 교부학 연구 자료

자크 폴 미뉴의 『교부학 전집』(Patrologiae cursus completus)은 그리스 교부 전집(Patrologia Graeca)과 라틴 교부 전집(Patrologia Latina)을 포함하는 방대한 자료이다.[13] 이 외에도 ''동방 교부학''(이전의 ''시리아 교부학'')과 ''Corpus Scriptorum Christianorum Orientalium''이 시리아어 및 기타 동방 언어 자료를 제공한다.[13]

재편집된 교부학 텍스트를 포함하는 주요 컬렉션으로는 Corpus Christianorum, Sources Chrétiennes, Corpus Scriptorum Ecclesiasticorum Latinorum이 있으며, 옥스퍼드 초기 기독교 텍스트, Fontes Christiani, Études Augustiniennes도 주목할 만하다.[13]

다음은 미뉴의 『교부학 전집』의 상세 목록이다.

제목권수비고
Patrologia Graeca|그리스 교부 전집la161권그리스 교부 총서라고도 함[19]
Patrologia Latina|라틴 교부 전집la221권라틴 교부 총서라고도 함[19]



한국어로 번역된 교부 저작 및 연구 자료는 아직 제한적이지만,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참조

[1] encyclopedia Patrology/Patristics "[[Brill Publishers]]"
[2] book Preaching in the Patristic Era: Sermons, Preachers, and Audiences in the Latin West https://books.google[...] Brill 2023-06-03
[3] journal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e Patristic Era, A 'Handbook of Patristic Exegesis' and Some Other Recent Books and Related Projects Brill
[4] book Historical Theology: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https://archive.org/[...] Oxford: Blackwell Publishers
[5] 문서 McGrath. op.cit. pp. 20–22.
[6] 문서 McGrath. op.cit. Ch. 1.
[7] 문서 McGrath. op.cit. pp. 27–37.
[8] 문서 McGrath. op.cit. pp. 23.
[9] 웹사이트 Dr. Triantafyllos Sioulis, «Πατερικός φονταμενταλισμός» ή «μετα-πατερική θεολογική θολούρα» http://www.zoiforos.[...]
[10] 웹사이트 Metropolitan of Nafpaktus ''ΝΕΟΠΑΤΕΡΙΚΗ ΚΑΙ ΜΕΤΑΠΑΤΕΡΙΚΗ "ΘΕΟΛΟΓΙΑ"'' http://panayiotistel[...]
[11] book Catholicism and Fundamentalism: The Attack on "Romanism" by "Bible Christians" https://archive.org/[...] Ignatius Press 1988
[12] 웹사이트 Patrology https://www.catholic[...] 2023-07-05
[13] 웹사이트 Research and Course Guides: Patristics / Patrology – The Early Church Fathers & Their Writings: Primary Sources --Original Languages https://libguides.st[...] 2023-07-05
[14] 문서 教父文献学
[15] 문서 教父学(教父研究)
[16] 웹사이트 教父 https://kotobank.jp/[...] 山川出版社 2024-02-04
[17] 웹사이트 生神女マリヤ、聖人、聖師父 http://www.orthodoxj[...] "[[日本正教会]]" 2024-01-01
[18] 문서 新教父学
[19] 웹사이트 ミーニュ教父叢書 http://www.lib.kochi[...]
[20] 간행물 "<연구>フロレンスキイにおける神と被造物の関係性の問題 --知識の視点から--" https://doi.org/10.1[...] 2024-01-07
[21] 문서 エフドキーモフ『ロシア思想におけるキリスト』
[22] 웹사이트 フロローフスキー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4-01-07
[23] 웹사이트 シモーニン:中世哲学概説 聖師父学 大学教材 http://www.nisso.net[...] 2024-01-01
[24] 웹사이트 教父学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ジャパン]]" 2024-01-07
[25] 웹사이트 キリスト教をとらえ直してみたい方へ http://www.orthodox-[...] 2024-01-09
[26] 뉴스 “WAITING FOR THE BARBARIANS”: IDENTITY AND POLEMICISM IN THE NEO-PATRISTIC SYNTHESIS OF GEORGES FLOROVSKY https://doi.org/10.1[...] Wiley Online Library 2024-01-09
[27] 웹사이트 Patristics/Theology https://orthodox.cn/[...] "[[中国正教会|正教会中華諸聖会]]" 202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