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나 국제 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엔나 국제 센터(VIC)는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국제 기구 단지이다.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도나우강 북부에 건설되었으며, 건축가 요한 슈타버가 설계를 맡았다. 6개의 Y자형 사무실 타워와 원통형 회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230,000제곱미터이다. 유엔 빈 사무국을 비롯하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유엔 산업 개발 기구(UNIDO) 등 여러 유엔 기구 및 국제 기구가 입주해 있다. 일반인들을 위한 가이드 투어가 제공되며, 빈의 경제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유엔 관계 - 유엔 빈 사무국
유엔 빈 사무국은 오스트리아 정부의 유치로 빈 국제 센터에 위치한 유엔의 세 번째 사무소로,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를 비롯한 여러 유엔 기구의 사무국 기능을 수행하며 빈 국제 센터 내 유엔 기구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도나우슈타트의 건축물 - 유엔 빈 사무국
유엔 빈 사무국은 오스트리아 정부의 유치로 빈 국제 센터에 위치한 유엔의 세 번째 사무소로,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를 비롯한 여러 유엔 기구의 사무국 기능을 수행하며 빈 국제 센터 내 유엔 기구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도나우슈타트의 건축물 - 도나우탑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252미터 높이의 도나우탑은 1964년 빈 국제 원예 박람회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회전식 레스토랑, 카페, 고속 엘리베이터, 안테나 등을 갖춘 비엔나의 랜드마크이다. - 1979년 완공된 건축물 - 쿠웨이트 타워
쿠웨이트 타워는 쿠웨이트의 랜드마크로, 1962년에 구상되어 1979년에 완공되었으며, 덴마크 건축가가 설계하고,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로 건설되었으며, 레스토랑과 회전 카페를 갖춘 주 타워를 포함한 세 개의 타워로 구성되어 쿠웨이트의 국가적 자부심을 상징한다. - 1979년 완공된 건축물 - 신주쿠 센터 빌딩
신주쿠 센터 빌딩은 일본 도쿄 신주쿠에 위치한 마천루로, 장주기 지진동 대책이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업과 점포가 입주해 있고, 과거에는 전망 레스토랑이 있었으나 현재는 사무실로 사용되며, 영화 《고질라》에 등장하기도 했다.
| 비엔나 국제 센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비엔나 국제 센터 |
| 원어 이름 (독일어) | Büro der Vereinten Nationen in Wien |
| 위치 | 도나우슈타트, 비엔나, 오스트리아 |
| 용도 | 사무실, 회의장, 국제 기구 직원 근무 (약 5001명) |
| 현재 임차인 | 비엔나 유엔 사무국 |
![]() | |
| 건축 시작 | 1973년 |
| 완공 | 1979년 |
| 웹사이트 | unvienna.org |
| 건축 세부 정보 | |
| 층수 (A동) | 28층 |
| 건축가 | 요한 슈타버 |
| 대중 교통 | 카이저뮐렌 |
2. 역사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요한 슈타버가 비엔나 국제 센터(VIC)를 설계했으며,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도나우강 북쪽에 건설되었다. 오스트리아 연방수상 브루노 크라이스키가 빈에 국제 기구를 설립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1]
2. 1. 건설 배경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요한 슈타버가 비엔나 국제 센터(VIC)를 설계했으며,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도나우강 북쪽에 건설되었다. 오스트리아 연방수상 브루노 크라이스키가 빈에 국제 기구를 설립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1] 그는 유엔 사무총장 선거에서 오스트리아 출신 쿠르트 발트하임을 지지했고, 발트하임의 협력을 얻어 VIC 건설을 추진했다.2. 2. 건설 과정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요한 슈타버가 설계를 맡아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도나우강 북부에 건설되었다. 비엔나에 국제 기구를 설립하자는 아이디어는 오스트리아 연방수상 브루노 크라이스키가 제안하였다.6개의 Y자형 사무실 타워가 원통형 회의 건물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총 바닥 면적은 230000m2이다. 가장 높은 타워는 높이 127m, 28층 규모이다. 이 사무실 타워는 오스트리아에서 건설된 최초의 현대식 고층 건물 중 하나였다.
2000년대 초부터 석면 제거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와 함께 새로운 회의 건물(M 빌딩)이 건설되어 2009년에 가동되었다.
2. 3. 석면 제거 및 개보수
2000년대 초반부터 건설에 사용된 석면을 제거하기 위한 개보수 작업이 진행되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1단계로 A, B, D, E 빌딩을, 2007년부터 2010년까지 2단계로 F, G 빌딩을 개보수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C 빌딩(회의실이 있는 중심 원형 기둥)에서 석면을 제거했다. 2009년에는 오스트리아 건축가 알베르트 빔머(Albert Wimmer)가 설계한 새로운 회의 건물(M 빌딩)이 건설되었다.3. 입주 기구
뉴욕, 제네바, 나이로비와 함께 주요 유엔 시설인 비엔나 국제 센터(VIC)에는 여러 기구들이 입주해 있다.[1] 유엔 빈 사무국은 비엔나 국제 센터에 위치한 주요 유엔 사무국 중 하나이다.
비엔나 국제 센터는 유엔 경비 인력에 의해 경비된다.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석유 수출국 기구(OPEC), OPEC 국제 개발 기금(OFID), 국제 반부패 아카데미(IACA), 국제 응용 시스템 분석 연구소(IIASA) 등 비엔나에 본부를 둔 다른 주요 국제 기구들은 비엔나 국제 센터(VIC) 외부에 시설을 두고 있다.
3. 1. 유엔 기구
국제 원자력 기구 (IAEA), 유엔 산업 개발 기구 (UNIDO),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 (UNODC), 유엔 국제상거래법 위원회 (UNCITRAL),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UNHCR), 유엔 우주업무국 (UNOOSA), 유엔 군축부 (UNODA) 등은 비엔나 국제 센터에 입주해 있는 주요 유엔 기구들이다.[1]| 기구명 | 약칭 |
|---|---|
|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 준비위원회 | CTBTO |
| 국제 원자력 기구 | IAEA |
| 유엔 국제상거래법 위원회 | UNCITRAL |
| 유엔 산업 개발 기구 | UNIDO |
|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 | UNODC |
|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 UNHCR |
| 유엔 우주업무국 | UNOOSA |
| 국제 다뉴브강 보호 위원회 | ICPDR |
| 유엔 군축부 | UNODA |
3. 2. 기타 국제기구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 준비위원회(CTBTO)와 국제다뉴브강보호위원회(ICPDR)는 비엔나 국제 센터에 입주해 있다.[1]| 기구명 | 약칭 | 설명 |
|---|---|---|
|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 준비위원회 | CTBTO | 핵무기 실험금지 조약을 위한 준비 위원회 |
| 국제다뉴브강보호위원회 | ICPDR | 다뉴브강 보호 위원회 |
4. 시설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요한 슈타버가 설계했으며,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다뉴브강 북부에 건설되었다. 오스트리아 연방수상 브루노 크라이스키가 빈에 국제 기구를 설립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6개의 Y자형 사무실 타워가 원통형 회의 건물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총 바닥 면적은 230000m2이다. 가장 높은 타워는 127m이며, 28층이다.
2000년대 초 VIC에서 석면 제거 작업이 진행되었고, 2009년에는 새로운 회의 건물(M 빌딩)이 가동되었다.
4. 1. 편의 시설
비엔나 국제 센터(VIC)에는 약 5,00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다양한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우체국''' (우편번호 1400 비엔)
- '''식당 및 쇼핑 시설''':
- '''커미서리''': 국제 원자력 기구(IAEA)에서 비영리 방식으로 운영하며, 국제적인 식료품 및 가정 용품을 판매하여 외국인 직원들이 고국에서 익숙한 품목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은행''': 방크 아우스트리아(Bank Austria), 바바크 P.S.K.(BAWAG P.S.K.), 유엔 연방 신용 협동조합(United Nations Federal Credit Union) 사무소가 있다.
- '''여행사''' 등 기타 상업 서비스 시설
4. 2. 회의 시설
M 빌딩과 C 빌딩은 현재 회의에 사용되고 있다. 비엔나 국제 센터 건물과 실내 연결 통로가 있는 인접한 '''오스트리아 센터 비엔'''(ACV)에서 6,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회의 및 전시 센터를 개최할 수 있다.5. 접근성
VIC는 비엔나 지하철 U1호선의 카이저뮐렌/VIC 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https://www.unvienna.org/visit UN 비엔나 방문자 서비스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일반 대중을 위해 VIC 가이드 투어를 제공한다.
6. 일반인 방문
유엔 빈 사무소는 일반 대중을 위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비엔나 국제 센터(VIC) 가이드 투어를 제공한다.[1] 투어는 월요일~금요일 11시, 14시, 15시 30분에 진행되며, 7월과 8월에는 12시 30분에도 시작된다.[1] 가이드 투어에서는 유엔의 다양한 활동을 자세히 소개하고, 전시 및 회의실을 견학한다.[1]
7. 경제적 효과
비엔나 국제 센터(VIC)는 빈에서 큰 경제적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된다. 조직의 상근 직원 외에도 회의를 통해 막대한 관광 효과가 발생했다. 2005년에는 약 1,000건의 소규모 및 대규모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여기서 발생한 경제 효과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