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톨트 곰브로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톨트 곰브로비치는 20세기 폴란드의 소설가이자 극작가이다. 1904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했으며, 1930년대에 소설과 희곡을 발표하며 작가로 활동했다. 1939년 아르헨티나로 망명하여 1960년대까지 그곳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작품은 인물들의 심리적 갈등, 전통과 현대의 충돌, 부조리한 상황 묘사가 특징이며, 대표작으로 『페르디두르케』, 『포르노그라피아』, 『코스모스』 등이 있다. 곰브로비치의 작품은 실존주의, 구조주의 사상과 연관되며, 한국에서도 번역 출간되어 문학적,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일기 작가 - 스와보미르 므로제크
    스와보미르 므로제크는 폴란드의 극작가, 소설가, 만화가로, 풍자적인 작품을 통해 전체주의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했으며, 대표작으로 《탱고》, 《이민자들》 등이 있다.
  • 폴란드에서 아르헨티나로 이민간 사람 - 라이즐 보직
    라이즐 보직은 폴란드 태생으로 뉴욕 이디시 무대에서 활동한 배우이자 코미디언으로, 영화 출연 및 사회 문제 참여를 통해 진보적인 가치관을 옹호했다.
  • 폴란드의 성소수자 작가 - 예지 안제예프스키
    예지 안제예프스키는 폴란드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가톨릭적 주제와 사회 문제를 다룬 작품을 발표했으며, 반체제 활동을 하며 폴란드 연대 운동을 지지하다가 노벨 문학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 폴란드의 성소수자 작가 - 크리스토프 하람사
    크리스토프 하람사는 폴란드 출신의 전 가톨릭 사제로, 신앙교리성에서 근무하다가 동성애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교황청으로부터 해고 및 사제직 정지 처분을 받은 후 동성애자 권리 옹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비톨트 곰브로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Witold_Gombrowicz_by_Bohdan_Paczowski_-_detail.jpg
출생명비톨트 마리안 곰브로비치
출생일1904년 8월 4일
출생지마워시체, 콩그레스 폴란드, 러시아 제국
사망일1969년 7월 24일
사망지방스, 프랑스
국적폴란드
언어폴란드어
학력바르샤바 대학교 (법학 석사, 1927년)
직업소설가, 극작가, 일기 작가
웹사이트witoldgombrowicz.com
Gombrowicz signature.svg
서명
주요 작품
장르
사조
수상
노벨 문학상 후보여러 차례 후보에 오름

2. 생애

스벤토크시스키주 마워시체에서 태어난 곰브로비치는 1933년 처녀작 『성숙기의 일기』를 발표하고, 1937년에는 장편 『페르디두르케』를 발표하며 작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1939년, 여객선 「흐로브리호」를 타고 해외 여행을 떠났으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도착한 지 7일 만에 나치 독일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아르헨티나에서 망명 생활을 하게 되었다.[8] 이후 『포르노그라피아』(1960년), 『코스모스』(1965년) 등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63년 독일로 이주했고, 1969년 프랑스에서 사망하여 방스 묘지에 안장되었다.[18]

2. 1. 폴란드 시기 (1904-1939)

곰브로비치는 1904년 당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폴란드 의회 왕국 마워시체 근처 오파투프에서 부유한 귀족 가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4] 아버지 얀과 어머니 안토니나(결혼 전 성씨는 Ścibor-Kotkowska, 오스토야 가문(Clan of Ostoja) 출신)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자신의 가족이 400년 동안 리투아니아빌뉴스카우나스 사이의 영지에 살았지만, 할아버지가 1863년 1월 봉기에 참여했다는 혐의를 받은 후 쫓겨났다고 언급했다.[4] 그는 훗날 자신의 가족 기원과 사회적 지위를 평생 동안 "사이(between)"에 있다는 느낌의 초기 사례로 묘사했다.[5]

1911년 그의 가족은 바르샤바로 이주했다. 1922년 성 스타니슬라우스 코스트카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마친 후,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여 1927년 법학 석사(MJur) 학위를 받았다.[6] 그는 파리에서 1년을 보냈는데, 그곳에서 고등 국제 연구소(프랑스어: ''Institut des Hautes Etudes Internationales'')에서 공부했다. 학업보다는 프랑스의 젊은 지식인들과 교류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지중해를 여행하기도 했다.

폴란드로 돌아온 곰브로비치는 법률 직책에 지원했지만 실패했다. 1920년대부터 글쓰기를 시작하여 1920년대 말과 1930년대 초에 단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 작품들은 후에 ''미성숙 시대의 회상(Memoirs of a Time of Immaturity)''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고, 나중에 곰브로비치가 편집하고 아르헨티나 망명 중에 살았던 거리 이름인 "바카카이(Bacacay)"라는 이름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이 시기부터 그의 비평과 칼럼이 주로 ''쿠리에르 포란니(Kurier Poranny)''(''모닝 쿠리어'')를 비롯한 언론에 실리기 시작했다. 곰브로비치는 바르샤바의 조디악(Zodiak)과 지엠얀스카(Ziemiańska) 같은 예술 카페에서 다른 젊은 작가들과 지식인들을 만나 교류했다. 1937년 그의 첫 번째 소설인 ''페르디두르케(Ferdydurke)''가 출판되면서 문학계의 찬사를 받았다.[7]

2. 2. 아르헨티나 망명 시기 (1939-1963)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곰브로비치는 폴란드 여객선 MS 흐로브리호(MS Chrobry)의 첫 항해에 참여하여 남아메리카로 떠났다.[8] 전쟁 발발 소식을 듣고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정착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머무르기로 결심했다. 1941년 폴란드 공사관에 참전을 요청했으나, 군 복무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1963년까지 아르헨티나에 망명 생활을 하였는데, 특히 전쟁 기간 동안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8]

1940년대 후반, 곰브로비치는 아르헨티나 문단에서 자리를 잡기 위해 노력했다. 기사를 발표하고 프레이 모초 카페에서 강연을 했다. 마침내 1947년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페르디두르케(Ferdydurke)를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 이 번역본은 아르헨티나 문학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지만, 출판 당시에는 큰 명성을 얻지 못했다. 1948년 스페인어로 출판된 그의 희곡 ''결혼''( ''엘 카사미엔토(El Casamiento)'')도 마찬가지였다. 1947년 12월부터 1955년 5월까지 페카오 은행(Bank Pekao)의 아르헨티나 지점인 폴란드 은행(Banco Polaco)에서 은행원으로 일하며 조피아 헌진스카(Zofia Chądzyńska)와 친분을 쌓았고, 그녀를 통해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정치 및 문화 엘리트 계층에 소개되었다.

1950년 예르지 기에드로이츠(Jerzy Giedroyc)와 서신 교환을 시작했고, 1951년부터 파리에서 발행되는 폴란드어 문예지 ''쿨투라''(Culture)에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1953년에는 ''일기(Dziennik)''의 일부가 실렸다. 같은 해 ''결혼''과 소설 ''트란스-아틀란틱(Trans-Atlantyk)''을 포함한 작품집을 출판했는데, 이 소설에서는 이민에 대한 국가 정체성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 1956년 10월 이후 폴란드에서 곰브로비치의 책 4권이 출판되어 큰 명성을 얻었지만, 당국은 ''일기(Dziennik)''의 출판을 허용하지 않았다.[9]

곰브로비치는 양성애자로, 남녀 모두와 관계를 가졌다. 그의 후기 연재물인 ''일기''(1953-69)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동성애자 사회에서의 모험, 특히 하층계급 젊은 남성들과의 경험에 대해 썼으며, 이 주제는 도미니크 드 루(Dominique de Roux)가 인터뷰한 ''일종의 유서(A Kind of Testament)''(1973)에서 다시 다루어졌다.[10]

2. 3. 유럽에서의 마지막 시기 (1963-1969)

방스의 곰브로비치 묘


1963년 포드재단의 지원을 받아 유럽으로 돌아왔다. 1963년 4월 이탈리아 선박을 타고 에 상륙한 후 파리로 가는 기차를 탔다. 곰브로비치는 1년 동안 서베를린에 머물렀는데, 그곳에서 폴란드 당국이 조직한 중상모략 캠페인을 겪었다.[12][13] 이 기간 동안 그의 건강은 악화되어 아르헨티나로 돌아갈 수 없었다. 1964년 프랑스로 돌아와 파리 근교의 로와몽 수도원에서 3개월을 보냈는데, 거기서 몬트리올 출신 캐나다인 리타 라브로스를 만났다. 1964년 그는 라브로스와 함께 프랑스 남부 코트다쥐르로 이주하여 그녀를 비서로 고용했다. 그는 니스 근처 방스에서 여생을 보냈다.[14][15]

1960년대에 곰브로비치는 『포르노그라피아』(1960), 『코스모스』(1965) 등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희곡들은 전 세계 극장, 특히 프랑스, 독일, 스웨덴에서 공연되었다.[11]

곰브로비치의 건강 상태는 그가 후기 명성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게 했다. 1964년 봄에 건강이 현저히 악화되어 침대에 누워 글을 쓸 수 없게 되었다. 1967년 5월 포르멘토르 국제 문학상을 수상했다. 1968년 12월 28일, 리타 라브로스와 결혼했다. 친구 도미니크 드 루의 제안으로, 그를 격려하기 위해 드 루와 라브로스에게 철학사에 관한 13회 강연을 했는데, 역설적으로 "6시간 15분 만에 배우는 철학 안내"라는 제목이 붙었고, 드 루가 이를 기록했다. 강연은 칸트로 시작하여 실존주의로 끝났다. 1969년 7월 24일 사망으로 인해 마지막 부분을 전달하기 전에 강연이 끝났다.[16][17] 그는 방스 묘지에 안장되었다.[18]

3. 작품 세계

곰브로비치는 폴란드어로 작품을 썼지만, 《일기》(Dziennik) 무삭제본에 대한 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폴란드에서 자신의 작품 출판을 허용하지 않았다. 폴란드 내 출판 거부로 인해 1970년대 전반까지 일반 독자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그의 작품은 예르지 기에드로이치의 파리 문학 연구소에서 폴란드어로 인쇄되었고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19] 그의 희곡은 호르헤 라벨리(Jorge Lavelli), 알프 시외베리(Alf Sjöberg), 잉마르 베리만(Ingmar Bergman), 폴란드의 예르지 야로츠키(Jerzy Jarocki)와 예르지 그제고제프스키(Jerzy Grzegorzewski) 등 저명한 연출가들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상연되었다.[19]

《사로잡힌 자들》(Opętani)을 제외한 소설들은 1인칭 서술과 신조어를 많이 사용하는 독특한 언어를 구사한다. 또한 풍자 속에 숨겨진 의미를 밝히는 "키워드"를 사용했다 (예: 《페르디두르케》의 "gęba", "pupa").[28]


  • 《이보나 공주(Iwona, księżniczka Burgunda)》: 형식, 관습, 의례의 예속을 묘사하는 희비극이다.
  • 《사로잡힌 자들》(Opętani) (1939): 고딕 소설과 세기말적 로맨스 형식을 혼합했다.
  • 《결혼》(Ślub): 셰익스피어와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Pedro Calderón de la Barca)의 극 형식을 사용, 낭만주의 극 주제를 비판하고 새로운 권력 개념과 인간을 묘사했다.
  • 《트란스-아틀란티크》(Trans-Atlantyk): 전통적 인간관과 자아를 실현하는 새로운 인간관을 대조한다.
  • 《포르노그라피아》(Pornografia): 전통 문화 질서가 무너진 전시 중 폴란드를 배경으로 노인과 젊은이가 에로티시즘이 섞인 잔혹한 매력을 실현하기 위해 협력하는 모습을 그렸다.
  • 《코스모스》(Kosmos): 인간의 세계관 형성 과정과 소설 형식의 의미 창조 과정을 묘사한다.
  • 《오페레타》(Operetka): 오페레타 형식을 사용하여 20세기 토탈리타리즘을 그로테스크하게 보여주며, 젊음을 통한 재생에 대한 믿음을 표현한다.


많은 학자들은 그의 《일기》(Dziennik)를 문학, 철학 작품으로 평가한다. 보이치에흐 카르핀스키(Wojciech Karpiński)는 《일기》를 니체의 비판과 시의 《즐거운 과학》에 합당한 후계자로 꼽았다.[21] 《일기》는 1953년부터 1969년까지 《쿨투라》(Kultura)에 연재되었으며, 삶의 기록, 철학적 논문, 논쟁, 민요에 대한 자기 성찰, 정치, 국가 문화, 종교, 전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곰브로비치 소설 3편은 영화로 각색되었다: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Jerzy Skolimowski) 감독의 《페르디두르케》(1991),[22] 얀 야쿠브 콜스키(Jan Jakub Kolski) 감독의 《포르노그라피아》(2003),[23] 안제이 주와프스키(Andrzej Żuławski) 감독의 《코스모스》(2015).[23]

2004년은 그의 탄생 100주년으로 곰브로비치의 해로 선포되었다.[24]

《크로노스》(Kronos)는 그의 마지막 장편 작품으로 2013년 폴란드에서 출판되었다.[25] 2024년부터 《크로노스》 원고는 바르샤바 연방궁전의 상설 전시회에서 공개된다.[26][27]

3. 1. 주요 특징

곰브로비치의 작품은 등장인물들의 심리적 얽힘,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가치의 충돌, 부조리한 상황에 대한 날카로운 묘사가 특징이다. 특히 인간의 미성숙함, 사회적 가면, 억압적인 권력 구조, 개인과 사회 간의 갈등을 깊이 있게 다루었다.[28] 아담 미츠키에비치의 영향을 받은 폴란드 낭만주의 문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했다.[20]

그의 작품은 실존주의구조주의와 연관성을 가지며, 미셸 푸코, 롤랑 바르트, 질 들뢰즈, 자크 라캉, 장 폴 사르트르 등 20세기 후반 유럽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았다.[20] 곰브로비치는 사르트르가 '타자의 시선' 이론을 발표하기 전에 이미 『페르디두르케』에서 이와 유사한 개념을 다루었다고 언급했다.[20]

곰브로비치는 소설에서 1인칭 서술을 사용하며, 신조어를 많이 사용하는 독특한 언어를 구사했다. 『페르디두르케』에 등장하는 "upupienie"(개인에게 미성숙한 역할을 부여하는 것)와 "gęba"(타인에게 부과된 인격)와 같은 단어는 폴란드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페르디두르케』는 진보적 부르주아, 시골, 보수주의자 등 다양한 폴란드 사회 집단을 풍자하며, 인간을 사회 구성원이거나 자신과 세계와 씨름하는 개인으로 제시한다.[28]

3. 2. 주요 작품


  • 바카카이 (단편 소설, 1933): 원제 ''Pamiętnik z okresu dojrzewania'', 후에 ''Bakakaj''로 개제.
  • * 바카카이, 빌 존스턴 역, 아키펠라고 북스, 2004.
  • 이보나, 부르고뉴 공주 (희곡, 1935): Iwona, księżniczka Burgunda|이보나, 크시에주니치카 부르군다pl
  • 페르디두르케 (소설, 1937)
  • * 페르디두르케, 다누타 보르하르트 역, 예일대학교 출판부, 2000.
  • 빙의 (소설, 1939): Opętani|오펭타니pl
  • * 빙의: 미슬로치의 비밀: 고딕 소설, J.A. 언더우드 역, 마리온 보이어스, 1980.
  • * 빙의, 안토니아 로이드-존스 역, 핏츠캐럴도 에디션스, 2023.
  • 결혼 (희곡, 1948): Ślub|실루프pl
  • 트란스-아틀란티크 (소설, 1953)
  • * 트란스-아틀란티크, 캐롤린 프렌치와 니나 카르소프 역, 예일대학교 출판부 (재판), 1995.
  • * 트란스-아틀란티크: 다른 번역, 다누타 보르하르트 역, 예일대학교 출판부, 2014.
  • 포르노그라피아 (소설, 1960)
  • * 포르노그라피아, 다누타 보르하르트 역, 그로브 프레스, 2009.
  • 코스모스 (소설, 1965): Kosmos|코스모스pl
  • * 코스모스와 포르노그라피아: 두 편의 소설, 에릭 모스바허와 앨리스테어 해밀턴 역, 그로브 프레스 (재발행), 1994.
  • * 코스모스, 다누타 보르하르트 역, 예일대학교 출판부, 2005.
  • 오페레타 (희곡, 1966): Operetka|오페레트카pl
  • 일기, 1953–1969 (일기, 1969): Dzienniki|지엔니키pl
  • * 일기 1~3권, 릴리안 발리 역, 서문: 보이치에흐 카르핀스키, 노스웨스턴 대학교 출판부, 1988.

4. 한국에서의 수용

Witold Gombrowicz|비톨트 곰브로비치pl의 작품은 1989년 『포르노그라피아』(工藤幸雄|공도 유키오일본어 역)가 한국어로 처음 번역, 출간된 이후 꾸준히 한국에 소개되고 있다. 그의 작품은 한국 문학과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곰브로비치의 주요 작품들이다.

출판 연도작품 제목번역자출판사
1989년『포르노그라피아』工藤幸雄|공도 유키오일본어河出書房新社|가와데쇼보신샤일본어
1990년『코스모스―그리고 다른 동유럽 문학』工藤幸雄|공도 유키오일본어恒文社|고분샤일본어
1998년『바카카이―곰브로비치 단편집』工藤幸雄|공도 유키오일본어河出書房新社|가와데쇼보신샤일본어
2004년『트란스-아틀랜틱』西成彦|니시나리 히코일본어国書刊行会|코쿠쇼칸코카이일본어
2004년『페르디두르케』米川和夫|요네카와 카즈오일본어平凡社ライブラリー|헤이본샤 라이브러리일본어
2015년「부르군트 공주 이보나」関口時正|세키구치 토키마사일본어未知谷|미치타니일본어


5. 작품 목록


  • 바카카이 (단편 소설, 1933)
  • 이보나, 부르고뉴 공주 (희곡, 1935)
  • 페르디두르케 (소설, 1937)
  • 빙의 (소설, 1939)
  • 결혼 (희곡, 1948)
  • 트란스-아틀란티크 (소설, 1953)
  • 포르노그라피아 (소설, 1960)
  • 코스모스 (소설, 1965)
  • 오페레타 (희곡, 1966)
  • 일기, 1953–1969 (일기, 1969)
  • ''6시간 15분 만에 배우는 철학 안내서'' (A Guide to Philosophy in Six Hours and Fifteen Minutes) (예일대학교 출판부, 2004)
  • ''폴란드 기억'' (Polish Memories) (예일대학교 출판부, 2004)
  • ''어떤 유언장'' (A Kind of Testament) (댈키 아카이브 프레스, 2007)


곰브로비치의 소설과 희곡은 35개 언어로 번역되었다.[29]

일본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 『포르노그라피아』 (가와데쇼보신샤, 1989년)
  • 『코스모스―그리고 다른 동유럽 문학』 (고분샤, 1990년)
  • 『바카카이―곰브로비치 단편집』 (가와데쇼보신샤, 1998년)
  • 『트란스-아틀랜틱』 (코쿠쇼칸코카이, 2004년)
  • 『페르디두르케』 (헤이본샤 라이브러리, 2004년)
  • 「부르군트 공주 이보나」 (미치타니, 2015년)

6. 영화화된 작품


  • '''페르디두르케'''(1991) (Ferdydurke|페르디두르케pl)는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Jerzy Skolimowski) 감독의 영화이다. '''30개의 열쇠'''(30 Door Key)로도 알려져 있다.
  • '''포르노그라피아'''(2003) (Pornografia|포르노그라피아pl)는 얀 야쿠브 콜스키(Jan Jakub Kolski) 감독의 영화이다. '''포르노그라피'''(Pornography)로도 알려져 있다.
  • '''코스모스'''(2015) (Cosmos|코스모스프랑스어)는 안제이 주와프스키(Andrzej Żuławski) 감독의 영화이다.[30] 2015년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31]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니콜라 필리베르(Nicolas Philibert)는 급진적인 프랑스 정신병원 라 보르드를 배경으로 한 다큐멘터리 '''모든 작은 것들'''(Every Little Thing)(La Moindre des choses|모든 작은 것들프랑스어)을 제작했다. 1997년에 개봉한 이 영화는 환자들과 직원들이 곰브로비치의 '''오페레트'''(Operette)를 공연하는 과정을 따라간다.[32]

참조

[1] 뉴스 Birthday Suit http://www.theparisr[...] 2014-08-04
[2] 잡지 Imp of the Perverse https://www.newyorke[...] 2012-07-23
[3] 웹사이트 Witold Marian Gombrowicz https://www.nobelpri[...] 2022-09-27
[4] 서적 A Kind of Testament https://books.google[...] Dalkey Archive Press 2007-09-01
[5] 서적 Kierkegaard's Influence on Literature, Criticism and Art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6] 뉴스 Witold Gombrowicz https://www.britanni[...]
[7] 뉴스 "Bywa, iż sobą zdumiewam siebie." – 50. rocznica śmierci Witolda Gombrowicza https://www.gov.pl/w[...]
[8] 뉴스 85 lat temu we włoskiej stoczni w Monfalcone nad Adriatykiem położono stępkę MS "Batory" https://dzieje.pl/ak[...]
[9] 뉴스 Patron biblioteki https://biblioteka.o[...]
[10] 잡지 Imp of the Perverse https://www.newyorke[...] 2012-07-23
[11] 뉴스 Witold Gombrowicz https://culture.pl/e[...]
[12] 저널 Gombrowicz w Berlinie : czyli Gombrowicz uwikłany w historię http://bazhum.muzhp.[...] IBL PAN 2004
[13] 웹사이트 O krok od Polski : Berlin (1963-1964) https://witoldgombro[...]
[14] 뉴스 Modernism: Representations of national culture https://books.opened[...]
[15] 뉴스 What You Didn't Know About Gombrowicz… https://culture.pl/e[...]
[16] 웹사이트 Guide to philosophy in six hours and fifteen minutes http://www.gombrowic[...] Gombrowitz.net
[17] 서적 The Rhetoric of Failure: Deconstruction of Skepticism, Reinvention of Modernism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5-01
[18] 뉴스 Vence, Gombrowicz's city https://frenchrivier[...]
[19] 뉴스 BIBLIOGRAFIA WITOLDA GOMBROWICZA https://sbc.wbp.kiel[...]
[20] 서적 Three Novels: Ferdydurke, Pornografia, and Cosmos https://archive.org/[...] Grove Press
[21] 서적 Diary Volumes 1–3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2] 뉴스 Ferdydurke https://www.filmpols[...]
[23] 뉴스 Pornografia https://adapter.pl/f[...]
[24] 뉴스 2004 rokiem Witolda Gombrowicza https://culture.pl/p[...]
[25] 뉴스 Kronos - Witold Gombrowicz https://culture.pl/e[...]
[26] 웹사이트 Palace of the Commonwealth open to visitors https://bn.org.pl/en[...] National Library of Poland 2024-05-28
[27] 서적 The Palace of the Commonwealth. Three times opened. Treasures from the National Library of Poland at the Palace of the Commonwealth National Library of Poland 2024
[28] 서적 Gęba Erosa. Tajemnice stylu Witolda Gombrowicza Universitas 2005
[29] 웹사이트 witoldgombrowicz - Witold Gombrowicz http://www.gombrowic[...]
[30] 영화 Cosmos https://www.imdb.com[...] 2015-12-03
[31] 뉴스 Locarno Interview: Andrzej Żuławski http://www.filmcomme[...] Film Society of Lincoln Center 2015-08-14
[32] 영화 Every Little Thing
[33] 뉴스 http://www.theparis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