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프란츠 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대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프란츠 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대공은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슈테판의 아들로, 폴란드 왕위 계승을 위한 아버지의 교육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 민족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지지하며 군 복무를 했고, 이후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에 참여했다. 그는 1930년대에 나치 독일에 동조했으나, 이후 반나치 활동을 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위해 첩보 활동을 했다. 1947년 소련에 체포되어 간첩 혐의로 기소되었고, 2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48년 옥중에서 사망했다. 소련 붕괴 후 복권되었으며, 현재 우크라이나에서는 독립 영웅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성소수자 작가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군주주의자 - 다닐로 스코로파즈키
우크라이나의 정치 운동가이자 왕위 요구자였던 다닐로 스코로파즈키는 아버지 파블로 스코로파즈키의 우크라이나 군주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아버지 사망 후 망명지에서 왕위 요구자로서 운동을 이끌었으나 큰 지지를 얻지 못했고,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KGB 암살 의혹이 제기되었다.
| 빌헬름 프란츠 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빌헬름 프란츠 요제프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 |
| 우크라이나어 이름 | 바실 비시바니 |
| 다른 이름 | 자수옷 입은 바실 |
| 칭호 | 오스트리아 대공 |
| 왕가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 출생일 | 1895년 2월 10일 |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로신섬 (현재의 크로아티아) |
| 사망일 | 1948년 8월 18일 |
| 사망지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예프 |
| 아버지 | 카를 슈테판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
| 어머니 | 마리아 테레지아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여대공 |
| 군사 경력 | |
| 소속 | 오스트리아-헝가리 우크라이나 시치 소총병군단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시치 소총병대 |
| 계급 | 오스트리아-헝가리: [[파일:K.u.k. Leutnant orangegelbe Eaglisierung.png|x20px]] 소위 (Leutnant)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대령 (полковник) |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 |
2. 유년 시절 및 배경
빌헬름 프란츠 폰 합스부르크로트링겐은 1895년 2월 10일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슈테판과 토스카나의 마리아 테레지아 공주의 막내아들로 오스트리아 연안(현재 크로아티아)의 풀라에서 태어났다.[1][13] 아버지 카를 슈테판은 폴란드 왕위를 노리고[13] 자녀들에게 폴란드어와 폴란드 애국심을 가르쳤다.[1] 그는 자녀들이 독일어보다 폴란드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등 폴란드에 가족을 통합시키려 노력했다.[15] 카를 슈테판의 두 딸은 라지비우 가문과 차르토리츠키 가문의 폴란드 귀족 가문에 시집을 갔다.[1]
르비우 학살을 문명국가에서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규탄하며 폴란드와 폴란드인을 불명예스러운 존재로 언급하며 공개적으로 비난한 빌헬름은, 이 일로 아버지 슈테판과 영구적인 갈등을 겪었다.[1] 빈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빌헬름은 폴란드로 임시 이주했던 우크라이나 정부로부터 공식적으로 해고되었지만,[1] 1921년 우크라이나어 시집 ''미나유트 드니''(Минають дні - 날들은 지나간다)를 출판하며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을 지속했다.[1]
빌헬름이 언제 나치에 등을 돌렸는지는 불확실하지만, 1942년 초부터 이미 유럽 전역의 레지스탕스 운동에 자금을 지원하고 지원했던 영국의 MI6를 위해 첩보 활동을 했을 수 있다.[1] 결국 그는 나치와 소련에 대항하는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위한 스파이가 되었다.[10]
하지만 빌헬름은 아버지의 교육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민족의 적이라고 여겨지는 우크라이나인에게 친애의 정을 품게 되었다.[15] 1912년, 17세의 빌헬름은 우크라이나인들이 강도이고 약탈 부족이라는 가르침에 의문을 품고, 이들을 직접 보기 위해 기차를 타고 보로흐타로 잠행하여 여러 후출인 마을을 방문했다.[1] 강도를 찾지 못한 그는 오히려 우크라이나 문화에 대한 매력을 키웠다.[1] 이러한 관심으로 "붉은 왕자"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결국 합스부르크 가문은 이러한 관심을 받아들이고 장려하게 되었다.[2]
3. 제1차 세계 대전과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

빌헬름은 비엔나 전쟁 대학(Kriegsschule (Austria))에서 공부하던 중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1] 졸업 후 최전선으로 갔다. 그는 졸로치우, 리비우주(Zolochiv, Lviv Oblast) 주변의 우크라이나인들이 주를 이루었던 제13 갈리치아 울란 (창기병) 연대의 한 중대에서 군 복무를 시작했다.[1] 빌헬름은 연대에서 복무하면서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 이반 프랑코, 타라스 셰우첸코 등의 저서를 읽기 시작했고,[1] 그의 병사들은 그에게 비시반카(vyshyvanka)라고 불리는 우크라이나 자수 셔츠를 선물했는데, 그는 이 셔츠를 제복 안에 항상 입고 다녔다.[1] 합스부르크는 병사들에게 자신을 바실이라고 부르라고 했고, 나중에는 자수 셔츠 때문에 비시반이니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
1913년, 빌헬름은 장교 훈련을 받기 위해 비너노이슈타트의 제국 사관학교에 입학했다[16].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소위가 된 빌헬름은 우크라이나인 병사가 주력을 맡는 연대 내 소대 지휘를 자원하여 수락받아 1915년 6월 12일부터 부대에 합류했다[17].
1916년, 빌헬름은 오스트리아 의회 상원(House of Lords (Austria))의 부의원이 되어, 우크라이나 출신 의원들 및 안드레이 셉티츠키 대주교와 긴밀히 협력했다.[1] 그는 카를 1세(Charles I of Austria) 황제와 우크라이나 공동체 지도자들 사이의 연락을 담당했으며, 합스부르크 군주국 내 자치 대공국인 우크라이나 건설을 주장했다.[1]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면서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등장하자,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독일 제국은 볼셰비키에 대항하는 우크라이나를 군사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1] 빌헬름은 카를 1세가 창설한 "전투단 대공 빌헬름"의 지휘를 맡아 시치 소총병 군단과 함께 우크라이나 남부로 파견되어 볼셰비키와 싸웠다.[1] 그는 헤르손을 거쳐 자포리자에 주둔하며, 지역 주민들과 유대 관계를 맺고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을 지원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1]
1918년 4월, 파블로 스코로파드스키가 우크라이나 헤트만으로 집권하자, 빌헬름은 우크라이나 주권자 자리를 놓고 경쟁했으나, 카를 1세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 페트로 볼보찬 대령을[1] 비롯한 일부는 빌헬름을 우크라이나의 주권자로 옹립하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대공은 제안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고, 독일과의 불화를 초래할 것이라며 이를 승인하지 않은 카를 1세의 자문을 구했다.[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이후, 빌헬름은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을 지원했으나, 루마니아 왕국 군대에 체포되었다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청원으로 석방되었다.[1] 1919년, 우크라이나 인민군 대령으로 합류한 빌헬름은 국제 관계 부서를 이끌었으나, 시몬 페트류라의 폴란드와의 평화 조약에 반대하여 사임했다.[1]
4. 전간기 활동
1920년 5월, 빌헬름은 파울로 스코로파드스키와 권력 분할에 대해 협의를 진행했고, 1921년 1월, 미래의 우크라이나에서 스코로파드스키가 중앙 및 동부 우크라이나의 헤트만이 되고, 동갈리치아는 자치구로 하며, 빌헬름이 국가 전체의 왕위에 오른다는 내용의 합의에 도달했다.[20] 그러나 이 계획은 적군이 세력을 회복하고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재건되면서 무산되었다. 1921년 10월, 빌헬름은 우크라이나에서 신문을 창간하고 사회주의적인 왕조 국가의 건설을 주장했다.[21] '현대적인 군주'에 의해 통치되는 것이 민주주의의 영속성이라는 관점에서 공화국보다 전망이 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정치적 계획을 발표했다.[21]
소비에트 정권 전복의 희망 속에, 빌헬름은 우크라이나 군주주의자들과 관계를 맺고 우크라이나 독립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1] 하지만, 오스트리아 공화국 시민권을 얻기 위해 통치에 대한 주장을 포기해야 했던 빌헬름은 이를 거부하고 빈에서 불법적으로 거주했다.[1] 1922년, 바실 비쉬바니라는 이름으로 오스트리아 여권을 얻어 스페인으로 이주한 빌헬름은 알폰소 13세의 지원을 기대했으나 실패하고,[7][1] 1931년 스페인에 공화국이 들어서자 파리로 이주했다.[1]
1933년 아버지 슈테판이 사망하고, 빌헬름은 형제들로부터 지비에츠에 있는 양조장과 토지를 상속받아 빚을 갚고 매달 급여를 받았다.[1] 파리에서 빌헬름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기구(OUN)와 접촉하여 예우헨 코노발레츠와 회동하며 자금 지원을 모색했다.[1]
1934년 빌헬름은 여자 친구 폴레트 쿠이바의 사기 사건에 연루되었다. 폴레트는 위조 수표를 사용하여 프랑스 투자자로부터 수십만 프랑을 사기 치려 했고, 체포된 후 처음에는 유죄를 인정했지만, 나중에는 빌헬름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부당하게 얻은 돈은 합스부르크가를 권력으로 되돌리는 데 사용될 예정이었다고 진술했다.[1] 1935년, 이 사건은 프랑스 언론의 비판을 받았고, 빌헬름은 빈으로 도피했다.[1] 프랑스 경찰의 정보원은 빌헬름이 두 명의 남자 조수와 성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했고,[9] 재판관들은 그에게 5년 징역형을 선고했고, 쿠이바는 석방되었다.[1] 티모시 D. 스나이더는 빌헬름이 이 범죄에 대해 무죄라고 생각하며, 일부 외국 정보 세력이 합스부르크가의 명성을 훼손하기 위해 의도한 방해 공작이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1]
1925년 빌헬름. 빈에서. 당시 합스부르크가는 오스트리아 국외 추방을 당했지만, '붉은 대공'으로 알려진 빌헬름은 제위 청구권을 포기하지 않고 '붉은 빈'에서 사는 것을 용납받았다.]]
1930년대 초, 미망인이 된 황후 치타와 황태자 오토, 그리고 빌헬름, 이 세 사람이 합스부르크가의 주요 인물이었다. 빌헬름은 양성애자였기 때문에 결혼하지 않았고, 당시 귀천상혼을 하지 않은 몇 안 되는 대공 중 한 명이었다.[23] 이 시기의 빌헬름은 먼저 오토를 중심으로 오스트리아를 군주제로 되돌리고, 그 위에 우크라이나에 자신의 분가를 창설하려 했다.
1930년대에 엥겔베르트 돌푸스의 오스트리아 정부는 합스부르크가에 대해 더 지지적인 입장을 보였고, 빌헬름은 공식적인 오스트리아 시민권과 본명으로 된 여권을 받을 수 있었다.[1] 빌헬름은 오스트리아 및 이탈리아 파시스트의 지지자로 자처했지만, 1930년대 말에는 독일 나치에 동정심을 갖게 되었고,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을 환영하며 스스로를 독일 민족에 속한다고 인정했다.[1] 그러나 히틀러가 독립 우크라이나 창설을 허용하지 않을 것을 깨달은 빌헬름은 게슈타포에 체포 및 심문을 받은 후, 반나치 저항군에 합류하며 정치적 견해를 바꾸었다.[1]
5. 제2차 세계 대전과 반나치 활동
1944년, 빌헬름은 프랑스인 폴 마스(가명일 가능성 있음)를 알게 되었다.[1] 독일군은 마스를 프랑스에서 비엔나로 추방하여 군 항공기 공장에서 청사진을 제작하도록 강요했다.[1] 마스는 영국 정보부 또는 프랑스 레지스탕스 운동과 연관이 있었으며, 관리자에게 부품 공장 청사진 사본을 넘겨주었다.[1] 빌헬름은 마스의 제안을 받아들여 독일 장교들과의 친분을 통해 프랑스인으로부터 오스트리아의 나치 군대 이동과 독일 전쟁 산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1] 나중에 심문 과정에서 빌헬름은 나치즘에 대한 증오심 때문에 그렇게 했다고 말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빌헬름은 빈 음악 아카데미 학생이었던 우크라이나인 로만 노보사드를 통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반데라 파벌의 연락책이었던 릴리디아 툴친(본명 한나 프로코피치)을 알게 되었다.[1] 전쟁 말기,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소련의 위협에 직면하여 서방 승전국과의 동맹을 통해 생존을 모색했고, 미국, 영국, 프랑스도 소련의 강화를 우려하여 이러한 동맹에 관심을 가졌다.[1] 빌헬름은 OUN과 마스 뒤에 있는 사람들 사이의 중개자가 되기로 결정했다.[1] 노보사드를 통해 빌헬름은 릴리디아를 프랑스인에게 소개했고, 프랑스인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과 협력하기로 동의했다.[1]
1945년 아프베어는 마스를 체포했지만, 그는 고문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누설하지 않았다.[1] 붉은 군대는 곧 비엔나에 진입했고 마스는 풀려났으나, 다시 소련 스메르시에 의해 체포되었다가 풀려나 프랑스로 떠났다.[1] 릴리디아 역시 비엔나를 떠나 미국 점령 하에 있던 바이에른의 난민 수용소로 이동했다.[1] 빌헬름과 노보사드는 비엔나에 남았지만 스메르시의 위험에 처했으나, 곧 도시가 점령 구역으로 나뉘면서 영국 당국의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다.[1]
전쟁 중 빌헬름은 나치에게 몰수된 가족 재산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받아 세 개의 작은 회사를 설립하고, 오스트리아 국민당에 가입했다.[1] 그의 소련 서류에는 종전 후 오스트리아 반파시스트 조직의 회원 자격 증명서도 포함되어 있다.[1]
이후 마스는 빌헬름을 잭 브리어에게 소개했고, 잭 브리어는 1946년에 빌헬름을 프랑스 군 장교 장 펠리시에에게 소개했다.[1] 프랑스 당국은 소련 정권에 저항하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과의 접촉을 부활시키는 임무를 펠리시에에게 부여했다.[1] 프랑스 대표들은 소련 영토에 정치적 선동을 하고 우크라이나 반군 (UPA)에 합류할 우크라이나 무장 세력을 비행기로 운송하는 것을 돕겠다고 약속했다.[1] 펠리시에의 말을 들은 빌헬름은 릴리디아를 떠올렸고, 노보사드를 통해 그녀를 찾아 미콜라 레베드를 포함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과의 협상을 진행했다.[1]
6. 체포, 투옥 및 사망

1947년 3월, 빈의 미국 점령 구역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카초로프스키는 너무 시끄럽게 생일을 축하했고, 이웃의 항의로 경찰이 출동했다.[1] 오스트리아 경찰은 체포된 그를 소련 측에 넘겼다.[1] 오스트리아에 주둔한 중앙군집단의 국가보안부(MGB) 대첩보부(SMERSH)는 이미 카초로프스키에게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몇 달 전에 그를 체포하려 했으나, 그는 그들을 물리치고 도망칠 수 있었다.[1] 카초로프스키를 심문한 후, MGB는 로만 노보사드와 바실 비쉬바니에 대해 알게 되었고, 후자는 분명히 이전에 소련 비밀 정보부의 감시망에 걸려 있었다.[1] 몇 달간 그를 쫓은 끝에 그들은 먼저 노보사드를 체포했고, 그 다음 비쉬바니를 체포했다. 빌헬름은 8월 26일에 체포되었다.[1]
노보사드와 합스부르크는 바덴 바이 빈에 있는 소련 MGB 감옥에 수감되어 심문을 받았다.[1] 두 사람에게는 하나의 형사 사건이 열렸고, 이 사건은 오늘날까지 키예프 문서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1] 나중에 로만은 "체키스트에게 빌헬름 합스부르크에 대한 관계는 매우 적절했다"고 회상했는데, 이는 그가 고문을 당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 대공은 식사를 위한 개인 접시를 받았지만, 감옥의 다른 수감자들은 두 명이 하나의 접시를 사용했다.[1] 빌헬름은 수감 중 선호하는 증언 언어에 대한 질문에 우크라이나어로 할 수 있다고 답했지만,[11][1]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토콜은 러시아어로 작성되었다.[1] 몇몇 이전 프로토콜은 "프로토콜은 내 말대로 정확하게 작성되었습니다. 나는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러시아어로 읽었습니다"라는 문구로 끝나지만, 나중에는 "러시아어"에서 "우크라이나어"로 바뀌었다.[1]
수사관들은 빌헬름의 먼 과거와 페트로 볼보찬, 시몬 펫류라, 파블로 스코로파츠키이와 같은 제1차 해방 전쟁 인물들과의 개인적 접촉에 매우 관심이 있었지만,[1] 마스, 펠리시에, 그리고 리디아 툴친과의 협력에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1] 대공은 심문에서 우크라이나 혁명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축소하려 했고, 예를 들어 1919년 카미아네츠-포돌스키이에서 디렉토리 시기에 통역관이었다고 주장했다.[1]
피의자들은 매번 "내 말대로 정확하게 작성되었다"는 문구에 서명했지만, 프로토콜의 일부 답변은 분명히 수사관에 의해 작성되었다.[1] "우크라이나에서의 나의 체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주의 및 지배 세력의 공격적인 정책의 결과였다"와 같은 소련식 선전 문구는 빌헬름이 사용했을 것 같지 않다.[1]
1947년 11월, 중앙군집단의 체키스트는 사건과 체포된 자들을 키예프로 이송했다.[1] 심문은 휴가가 끝난 1948년 1월에 재개되었다.[1] 우크라이나 수사관들은 영국과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심문했다.[1] 체키스트들은 노보사드와 빌헬름이 마스를 통해 프랑스 정보부가 아닌, 의도적으로 영국 특수 부대를 위해 일했다고 주장했다.[1]
빌헬름, 노보사드, 그리고 카초로프스키의 증언 외에도, 다른 여러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의 증언이 증거로 첨부되었다.[1] 1935년 르비우에서 출판된 "우크라이나 세치 시르트시"라는 책에서 1918년 빌헬름이 우크라이나 남부에 머물렀다는 내용을 발췌하여 첨부했다.[1]
빌헬름 합스부르크로트링겐 대공의 재판은 법원이 아닌 MGB 특별 회의에서 비공개로 진행되었다.[1] 이 회의는 피고인, 증인, 변호인 없이 결정을 내리는 초사법 기관이었다.[1] 빌헬름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및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형법에 따라 간첩 혐의, 반혁명 조직 가담 혐의, "소비에트 영토에 대한 반혁명적 목적을 위한 무장 봉기 또는 침략" 혐의로 기소되었다.[1]
구체적인 기소 내용은 다음과 같다.[1]
티모시 스나이더는 이러한 기소 내용에 대해 "소련의 법률은 소급 적용되었고 속지주의가 적용되었으며, 소련이 형성되기 수십 년 전부터 모스크바가 주권을 행사한 적이 없는 지역까지 확장되었다"라고 지적했다.[1]
특별 회의는 빌헬름에게 25년 강제 노동 수용소형을 선고했다.[1] 당시 소련은 사형을 폐지했기 때문에 25년형은 최고 형벌이었다.[1] 빌헬름은 블라디미르 중앙 감옥에서 복역할 예정이었으나,[1] 1948년 8월 18일 23시[12], 판결이 공식적으로 발표되기 전에 류키안카 감옥 병원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1] 그의 시신이 어디에 묻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 무명 무덤이 감옥 안뜰이나 류키아니우카 묘지에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1]
오스트리아는 자국 시민의 운명에 대한 요청을 소련에 보냈으나, 이에 대한 응답으로 형 선고 증명서만 왔고, 죄수의 죽음은 은폐되었다.[1]
6. 1. 소련의 체포와 심문
1947년 3월, 빈의 미국 점령 구역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카초로프스키는 너무 시끄럽게 생일을 축하했고, 이웃의 항의로 경찰이 출동했다.[1] 오스트리아 경찰은 체포된 그를 소련 측에 넘겼다.[1] 오스트리아에 주둔한 중앙군집단의 국가보안부(MGB) 대첩보부(SMERSH)는 이미 카초로프스키에게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몇 달 전에 그를 체포하려 했으나, 그는 그들을 물리치고 도망칠 수 있었다.[1] 카초로프스키를 심문한 후, MGB는 로만 노보사드와 바실 비쉬바니에 대해 알게 되었고, 후자는 분명히 이전에 소련 비밀 정보부의 감시망에 걸려 있었다.[1] 몇 달간 그를 쫓은 끝에 그들은 먼저 노보사드를 체포했고, 그 다음 비쉬바니를 체포했다. 빌헬름은 8월 26일에 체포되었다.[1]
노보사드와 합스부르크는 바덴 바이 빈에 있는 소련 MGB 감옥에 수감되어 심문을 받았다.[1] 대공은 식사를 위한 개인 접시를 받았지만, 감옥의 다른 수감자들은 두 명이 하나의 접시를 사용했다.[1] 빌헬름은 수감 중 선호하는 증언 언어에 대한 질문에 우크라이나어로 할 수 있다고 답했지만,[11][1]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토콜은 러시아어로 작성되었다.[1]
수사관들은 빌헬름의 먼 과거와 페트로 볼보찬, 시몬 펫류라, 파블로 스코로파츠키이와 같은 제1차 해방 전쟁 인물들과의 개인적 접촉에 매우 관심이 있었지만,[1] 마스, 펠리시에, 그리고 리디아 툴친과의 협력에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1]
1947년 11월, 중앙군집단의 체키스트는 사건과 체포된 자들을 키예프로 이송했다.[1] 우크라이나 수사관들은 영국과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심문했다.[1] 체키스트들은 노보사드와 빌헬름이 마스를 통해 프랑스 정보부가 아닌, 의도적으로 영국 특수 부대를 위해 일했다고 주장했다.[1]
빌헬름, 노보사드, 그리고 카초로프스키의 증언 외에도, 다른 여러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의 증언이 증거로 첨부되었다.[1] 1935년 르비우에서 출판된 "우크라이나 세치 시르트시"라는 책에서 1918년 빌헬름이 우크라이나 남부에 머물렀다는 내용을 발췌하여 첨부했다.[1] 이후 히틀러에게 경도되어 입장을 바꿔 나치 독일과 소련에 대해 스파이 활동을 벌였으며, 종전 후 키예프의 감옥에서 사망했다.
6. 2. 재판과 판결
빌헬름 합스부르크로트링겐 대공의 재판은 법원이 아닌 MGB 특별 회의에서 비공개로 진행되었다.[1] 이 회의는 피고인, 증인, 변호인 없이 결정을 내리는 초사법 기관이었다.[1] 빌헬름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및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형법에 따라 간첩 혐의, 반혁명 조직 가담 혐의, "소비에트 영토에 대한 반혁명적 목적을 위한 무장 봉기 또는 침략" 혐의로 기소되었다.[1]
구체적인 기소 내용은 다음과 같다.[1]
티모시 스나이더는 이러한 기소 내용에 대해 "소련의 법률은 소급 적용되었고 속지주의가 적용되었으며, 소련이 형성되기 수십 년 전부터 모스크바가 주권을 행사한 적이 없는 지역까지 확장되었다"라고 지적했다.[1]
특별 회의는 빌헬름에게 25년 강제 노동 수용소형을 선고했다.[1] 당시 소련은 사형을 폐지했기 때문에 25년형은 최고 형벌이었다.[1] 빌헬름은 블라디미르 중앙 감옥에서 복역할 예정이었으나,[1] 1948년 8월 18일 23시[12], 판결이 공식적으로 발표되기 전에 류키안카 감옥 병원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1] 그의 시신이 어디에 묻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1]
7. 재평가 및 복권
1989년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에 소련 군사 검찰청은 빌헬름과 로만 노보사드를 완전히 복권시켰다.[1] 1992년 노보사드는 독립 우크라이나에서 빌헬름 합스부르크에 관한 최초의 출판물을 저술했으며, 그의 회고록은 잡지 "우크라이나"에 게재되었다.[1] 그 당시 대공의 이름은 잊혀졌다.[1] 1994년 빌헬름과 노보사드의 기밀 해제된 사건은 SBU 기록 보관소에서 우크라이나 공공 단체 중앙 국가 기록 보관소로 이관되었다.[1] 2005년에는 빌헬름의 개인 문서와 사진이 그의 파일에 보관되어 있던 모든 것이 우크라이나 주재 독일 대사 디트마어 슈테데만을 통해 빌헬름의 조카이자 독일 시민인 레오 합스부르크-로트링겐에게 전달되었다.[1] 이 파일에는 문서 사본이 보관되어 있었다.[1]
이후 히틀러에게 경도되어 입장을 바꿔 나치 독일과 소련에 대해 스파이 활동을 벌였으며, 종전 후 키예프의 감옥에서 사망했다. 빌헬름 폰 합스부르크는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독립 영웅으로 재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삶과 업적은 다양한 연구와 출판물을 통해 조명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빌헬름 폰 합스부르크의 우크라이나 독립운동 참여와 비극적인 최후를 주목하며, 그의 삶을 통해 억압받는 민족의 독립 의지와 희생을 기리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뉴스
Archduke in the Kiev jail. The case of Vasyl Vyshyvanyi and KGB (Эрцгерцог в киевской тюрьме. Дело Василия Вышиваного и КГБ)
http://argumentua.co[...]
Argumentua
2019-12-31
[2]
서적
Red Prince: the Secret Lives of a Habsburg Archduke
Basic Books
2008
[3]
서적
2008
[4]
서적
2008
[5]
서적
2008
[6]
서적
2008
[7]
서적
2008
[8]
서적
2008
[9]
서적
2008
[10]
서적
2008
[11]
서적
2008
[12]
서적
2008
[13]
서적
2014
[14]
서적
2014
[15]
서적
2014
[16]
서적
2014
[17]
서적
2014
[18]
서적
2014
[19]
서적
2014
[20]
서적
2014
[21]
서적
2014
[22]
서적
2014
[23]
서적
2014
[24]
서적
2014
[25]
서적
2014
[26]
서적
2014
[27]
서적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