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신섬 (크로아티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신섬은 크레스-로신 제도에 속하는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크레스섬 다음으로 크며 아드리아해에서 11번째로 크다. 오소르 마을의 다리를 통해 크레스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112.7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텔레브린산과 성 니콜라스산이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며, 온화한 기후와 상록수림을 특징으로 한다.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압소루스라고 불렸다. 1280년부터 본토에서 온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는 무역과 조선업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1919년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가 1991년 크로아티아의 독립과 함께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었다. 주요 도시로는 말리 로신과 벨리 로신 등이 있으며, 요트 선수 아고스티노 스트라울리노, 오세로의 가우덴티우스, 코술리치 가문, 크로아티아 아폭시메노스 등의 인물 및 유물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레고르스키코타르주의 지형 - 크르크섬
    크르크섬은 아드리아해에서 가장 큰 섬으로 크로아티아 본토와 연결되어 카르스트 지형, 풍부한 역사, 리예카 국제공항과 LNG 터미널, 그리고 바슈카 석판과 같은 크로아티아 문화유적을 보유한 관광 및 산업 중심지이다.
  • 프리모레고르스키코타르주의 지형 - 우니예섬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아드리아해의 섬 - 코르나트섬
  • 아드리아해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로신섬 (크로아티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섬 정보
말리 로신
위치아드리아 해 북부
군도크레스-로신 군도
면적74.36 km2
길이33 km
최소 폭0.25 km
최대 폭4.75 km
해안선 길이112.7 km
최고점Televrin
해발고도588 m
국가크로아티아
행정 구역프리모례-고르스키 코타르 주
최대 도시말리 로신
최대 도시 인구8,116명
인구9,587명 (2011년)
인구 밀도128.5 명/km2
별칭




2. 지리

로신섬은 크레스-로신 제도의 일부이며, 아드리아해에서 11번째로 큰 섬이다. 크레스섬과는 오소르 마을에 있는 작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섬은 온화한 기후와 풍부한 상록수 식생을 특징으로 하며, 여름철에는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섬의 주요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크로아티아어 명칭한국어 명칭
Nerezine네레지네
Sveti Jakov스베티 야코브
Ćunski춘스키
Artaturi아르타투리
말리 로시니말리 로시니
벨리 로시니벨리 로시니



섬 전체를 연결하는 도로가 있으며, 인근 크레스섬을 거쳐 자다르풀라에서 오는 페리를 이용할 수 있다. 섬 내에 공항도 있다.

2. 1. 위치 및 크기

로신섬은 크레스-로신 제도에 속하는 섬이다. 이 제도는 크레스섬과 로신섬을 비롯하여 작은 섬들인 우니예섬, 이로비크섬, 수사크섬, 벨레 스라카네섬, 말레 스라카네섬과 많은 무인도 및 암초로 이루어져 있다. 제도 내에서 크레스섬이 면적이 가장 넓고, 로신섬은 두 번째로 크다. 두 섬은 크레스섬의 오소르 마을에 있는 작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로신섬은 아드리아해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길이는 33km이다. 섬의 너비는 북쪽과 중앙부에서 4.75km이며, 말리 로시니 마을 근처에서는 0.25km까지 좁아진다. 섬의 총 해안선 길이는 112.7km이다.

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텔레브린산(오소르슈치차라고도 함)으로 높이는 588m이며, 스베티 니콜라산(성 미쿨이라고도 함)은 557m이다. 네레지네와 스베티 야코브 마을이 이 산들의 기슭에 위치해 있다. 섬의 기반암은 주로 백악기 석회암백운암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크릴라 반도의 서쪽 부분에는 모래 퇴적물이 있다.

2. 2. 지형 및 지질

로신섬은 아드리아해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길이는 33km이고, 너비는 섬의 북쪽과 중앙부에서 4.75km에서 말리 로신(Mali Lošinj) 마을 근처에서는 0.25km까지 다양하다. 섬의 총 해안선 길이는 112.7km이다.

섬의 가장 높은 지점은 588m 높이의 텔레브린산(Televrin|텔레브린hrv, 오소르슈치차(Osoršćica|오소르슈치차hrv)라고도 함)과 557m 높이의 성 니콜라스산(Sveti Nikola|스베티 니콜라hrv, 성 미쿨(Sv. Mikul|성 미쿨hrv)이라고도 함)이다. 네레지네(Nerezine|네레지네hrv)와 스베티 야코프(Sveti Jakov|스베티 야코프hrv) 마을이 이 산들의 기슭에 위치해 있다.

섬의 기반암은 주로 백악기 석회암백운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쿠릴라 반도(Kurila|쿠릴라hrv, 또는 크릴라 반도(Križa|크릴라hrv))의 서쪽 부분에는 모래 퇴적물이 있다.

2. 3. 기후

로신섬은 온화한 기후를 특징으로 하며, 상록수 식생이 풍부하다. 대표적으로 도금양, 서양 호랑가시나무, 월계수 등이 자란다. 연간 일조 시간은 약 2600시간에 달하여 여름철 인기 있는 관광지로 자리매김했으며, 특히 인근 슬로베니아독일, 이탈리아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다.

섬의 연평균 습도는 70%이며, 평균 기온은 여름에 24°C, 겨울에는 7°C 정도이다.[3]

아드리아해의 다른 지역처럼 로신섬 역시 다양한 바람의 영향을 받는다. 부라(Bura)는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 대륙의 차갑고 건조한 공기를 몰고 온다. 때로는 돌풍이 매우 강해 대형 차량을 전복시킬 정도이다.[4] 반면, 유고(Jugo)는 사하라 사막에서 발원하는 남풍이다. 지중해의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습기를 머금게 되어 일반적으로 많은 구름과 폭풍우를 동반한다. 전통적으로 이 바람은 달마티아를 포함한 해안 지역 주민들에게 두통, 우울감, 심지어 광적인 발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5]

기후의 영향으로 식생 분포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벨리 로신(Veli Lošinj), Čikat 및 남서쪽 해안 지역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반면, 섬 북부의 고지대에는 식생이 상대적으로 희소하다.

2. 4. 동식물

로신섬은 온화한 기후 덕분에 상록수 식생이 풍부하다. 대표적으로 도금양, 홀름참나무, 월계수 등이 자란다. 다만 섬의 모든 지역이 동일한 식생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북쪽의 고지대에서는 식생이 다소 희박한 편이다. 반면, 벨리로신, 치카토(Čikat)와 같은 남서쪽 해안 지역은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로신섬은 조류에게 중요한 서식지이다. 섬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한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된 크바르너 제도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는 여러 맹금류를 포함한 다양한 조류에게 중요한 번식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6]

3. 역사

로신섬은 구석기 시대인 약 12,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7] 고대 로마 시대에는 '압소루스'(Apsorrus)라고 불렸다.[8] 중세 시대인 1280년경 본토에서 이주민이 정착하기 시작했고, 1389년에는 자치권을 획득했다. 15세기 이후 벨리 로신과 말리 로신이 섬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18세기19세기에는 무역과 조선업, 항해가 발달하며 상업 중심지로 번성했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한 후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이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인 1919년에는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5년에는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이탈리아계 주민들이 섬을 떠나기도 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하면서 로신섬은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섬의 자세한 역사는 각 시대별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선사 시대 및 고대 로마 시대

근처의 크레스섬의 정착지는 약 12,000년 전, 즉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로신섬 역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오소르시치카(Osoršćica) 기슭과 말리 로시니 항구 주변의 언덕 요새 유적을 통해 입증된다.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고대 로마 시대의 로마인들은 이 섬을 ''압소루스''(Apsorrus, Ἄψορρος|압소루스grc)[8]라고 불렀으며, 로신섬과 크레스섬을 통틀어 ''압시르티데스''(Apsirtides)라고 불렀다. 몇몇 지역에서는 로마 시대의 빌라 루스티카(농장형 별장) 유적지(리스키(Liski), 스베티 야코프(Sveti Jakov), 추스키(Ćunski) 근처의 스투덴치치(Studenčić))가 발굴되었다. 또한 로마 시대에 지어진 작은 은둔자 교회(오소르 근처의 성 로브레치(St. Lovreć), 스베티 야코프의 성 야고보(St. James))가 여러 채 보존되어 있다.

3. 2. 중세 시대

중세 시대에 로신섬은 오소르의 성직자와 세속 귀족의 소유였으며 사람이 살지 않았다. 본토에서 온 정착민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1280년에 나타났다. 오소르와의 계약에 따라, 이들의 정착지는 1389년자치권을 얻었다. 로신이라는 이름은 1384년 문헌에 처음 언급되었다. 15세기부터 오소르가 점차 쇠퇴함에 따라, 벨리 로신과 말리 로신 정착지가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3. 3. 근세 시대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트리아 통치 시기)

18세기19세기에 로신섬은 무역, 조선업, 항해가 크게 발전하며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1771년, 학자 알베르토 포르티스는 당시 '오세로'라고 불리던 크레스섬과 로신섬을 방문하여, 그의 관찰 기록을 담은 여행기 ''Saggio d'osservazioni sopra l'isola di Cherso ed Osero''를 남겼다.[9][10]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오랜 기간 아드리아해 연안을 지배했던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로신섬은 오스트리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이스트리아 지방(왕령지)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오스트리아의 통치는 1918년까지 이어졌다. 1900년 당시 섬의 인구는 11,615명에 달했다.[11]

3. 4. 현대 (이탈리아 통치,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편입, 크로아티아 독립)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로신섬은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 영토가 되었으며, 이는 1920년 라팔로 조약으로 확정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까지 이탈리아의 일부였으나, 이후 나치 독일 국방군크로아티아 독립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어 아드리아해 연안 작전 지역에 포함되었다. 1945년 전쟁 종전과 함께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고, 1947년 파리 조약을 통해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벨리 로시니의 옛 도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특히 1945년 유고슬라비아 편입 과정에서 많은 이탈리아계 주민들이 이탈리아를 비롯한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이스트리아-달마티아 탈출이 발생했다. 이는 새로 수립된 공산주의 체제 하의 유고슬라비아에서의 삶을 원하지 않았던 이들의 선택이었다. 해외로 이주한 이들은 공동체를 이루어 뉴스레터 등을 발행하며 그들의 기억과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14] 마지막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로신섬의 이탈리아어 사용자는 557명으로 전체 인구의 6.64%를 차지한다. 이는 유고슬라비아 시절(1981년 조사 1.5%)보다 높게 나타난 수치이다. 현재 섬에서는 이탈리아어가 제2 외국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91년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로신섬은 크로아티아 영토가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독립 이후 로신섬은 온화한 기후를 바탕으로 국제적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으며, 외국 자본의 투자도 이루어지고 있다.[15][16]

4. 주요 도시 및 정착촌

로신섬의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 네레지네 (Nerezine)
  • 스베티 야코브 (Sveti Jakov)
  • 춘스키 (Ćunski)
  • 아르타투리 (Artaturi)
  • 말리 로시니
  • 벨리 로시니

5. 문화 및 예술

로신섬은 역사적으로 주목할 만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중요한 고대 유물이 발견된 곳이기도 하다. 섬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 오세로의 가우덴티우스 주교, 세계적인 해운 기업 코술리치 라인을 일군 코술리치 가문, 올림픽 요트 메달리스트 아고스티노 스트라우리노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17] 또한, 섬 인근 해저에서 발견된 고대 그리스 청동 조각상인 크로아티아 아폭시메노스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으며 현재 말리 로신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8][19]

5. 1. 인물


  • 오세로의 가우덴티우스: 서기 1000년경에 태어나 오소르의 주교로서 오세로 교구를 관할했으며, 나중에 성인이 되어 섬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박해를 피해 동굴에 숨어 지내는 동안 섬의 모든 독사를 몰아냈다고 전해진다. 그의 유해는 현재 오소르에 있는 그의 이름을 딴 교회 제단에 안치되어 있다.
  • 코술리치 가문: 18세기 이전에 로신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 및 해운 가문이다. 이 지역에서 점차 명성을 얻어 베네치아를 비롯한 전 세계에 성공적인 해운 사업(코술리치 라인)을 구축했다.
  • 아고스티노 스트라우리노: (1914년 10월 10일 ~ 2004년 12월 14일) 말리 로신 출신의 이탈리아 요트 선수이다. 1952년 하계 올림픽(헬싱키)에서 금메달, 1956년 하계 올림픽(멜버른) 스타 클래스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스타 클래스에서 유럽 선수권 8회 연속 우승(1949–56), 세계 선수권 2회 우승(1952–53)을 차지했으며, 5.5m 클래스에서도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그는 크바르너 만에서 배를 타고 통학하며 요트를 처음 접하고 배우게 되었다.[17]

5. 2. 예술 작품

크로아티아 베레 오르줄레에서 발견되어 인양된 청동 아폭시메노스

  • '''크로아티아 아폭시메노스''': ("긁는 사람"이라는 뜻) 기원전 1세기 또는 2세기에 제작된 청동 조각상이다. 이러한 형태의 인물상은 기원전 4세기 그리스조각가 리시포스가 처음 만들었다. 이 조각상은 베레 오르줄레라는 무인도 근처 로신 군도 해저에서 발견되었다. 로신 해협은 아드리아해 북부, 이스트라와 이탈리아로 이어지는 자주 이용되던 항해 경로였다. 주변에 다른 유물은 없었지만, 로마 시대 난파선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18] 아폭시메노스는 운동선수를 묘사하는 그리스의 전통적인 방식 중 하나로, 스트리길이라는 작고 구부러진 도구를 사용하여 몸에서 땀과 먼지를 긁어내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현재 이 조각상은 말리 로신 항구에 위치한 로신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9]

6. 현대의 로신섬

(내용 없음 -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1. 관광 산업

로신섬은 온화한 기후와 상록수 식생을 특징으로 한다. 섬 곳곳에서 도금양, 서양 호랑가시나무, 월계수 등을 볼 수 있으며, 벨리 로신, Čikat 및 남서쪽 해안 지역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반면, 섬 북부 고지대는 식생이 상대적으로 드물다.

연간 약 2600시간에 달하는 풍부한 일조량 덕분에 로신섬은 여름철 인기 있는 관광지로 자리매김했으며, 특히 인접한 슬로베니아독일, 이탈리아에서 온 방문객들이 많이 찾는다. 섬의 평균 습도는 70%이며, 여름철 평균 기온은 24°C, 겨울철 평균 기온은 7°C 수준이다.[3]

참조

[1] 간행물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 : 25 000 https://hrcak.srce.h[...] 2019-12-17
[2] 웹사이트 About the island | Geography http://www.tz-malilo[...] Tz-malilosinj.hr 2013-03-26
[3] 웹사이트 About the island | Climate http://www.tz-malilo[...] Tz-malilosinj.hr 2013-03-26
[4] 웹사이트 Hurricane-strength bura winds flip trucks in Croatia https://mashable.com[...] 2019-10-06
[5] 웹사이트 Why Wind is Important - Bura vs Jugo https://www.expatinc[...] 2019-10-06
[6] 웹사이트 Kvarner island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08-27
[7] 웹사이트 Uvala Ul, Punta Kriza, Croatia, History http://www.puntakriz[...] Puntakriza.com 2013-03-26
[8] 웹사이트 LacusCurtius • Ptolemy's Geography — Book II, Chapter 15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3-03-26
[9] 웹사이트 FORTIS, Alberto http://www.kartograf[...]
[10] 서적 Saggio d'osservazioni sopra l'isola di Cherso ed Osero https://books.google[...] 2018-08-14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Povijest https://www.visitlos[...] 2023-05-29
[14] 웹사이트 Home http://www.lussinpic[...] www.lussinpiccolo-italia.net 2013-03-26
[15] 웹사이트 Lošinjska Jadranka u rukama ruskih bankaraLošinj's Jadranka in hands of Russian bankers https://www.russia.h[...] 2019-10-06
[16] 웹사이트 Pals Prosper from Proximity to Putin's Power https://www.occrp.or[...] 2019-10-06
[17] 웹사이트 Agostino Straulino http://www.starclass[...] Starclass.org 2013-03-26
[18] 논문 A preliminary report on the discovery and recovery of a bronze apoxyomenos, off Vele Orjule, Croatia
[19] 웹사이트 Losinj http://www.tz-malilo[...] Tz-malilosinj.hr 2013-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