빔포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빔포밍은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술로, 신호의 방향성을 제어하여 통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198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이동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빔포밍 방향, 빔 형성 정보, 빔 역할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빔포밍 기술은 이동 통신 표준에서 2G부터 5G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와이파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향 측정 - 스펙트로그램
스펙트로그램은 시간과 주파수를 축으로 신호의 강도를 색상 또는 밝기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대역 통과 필터나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생성되어 오디오 조각에 이미지 숨기기, 소리 생성, 조류 소리 연구,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소나 - 반향 위치 측정
반향 위치 측정은 동물이 소리의 반향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능력이며, 박쥐, 고래 등에서 나타나 먹이 탐지, 항법, 포식자 회피에 기여하고 시각장애인도 활용한다. - 소나 - 소노부이
소노부이는 항공기에서 투하되어 수중 잠수함을 탐지하는 장비이며, 수중 청음기 센서를 통해 음향 정보를 항공기에 전달하고, 능동형, 수동형, 특수 목적형으로 분류된다. - 무선 통신 - 건 다이오드
건 다이오드는 건 효과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 소자로, 갈륨 비소와 같은 반도체의 전자띠 구조를 통해 음의 미분 저항을 발생시키며, 스피드건,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무선 통신 - 진폭 변조
진폭 변조(AM)는 정보 신호를 반송파의 진폭 변화로 전송하는 통신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약하고 전력 효율이 낮지만 포락선 검파가 가능하여 중파 및 단파 방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방송에 밀려 사용이 줄었으나 재난 방송 및 사물 인터넷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빔포밍 | |
|---|---|
| 지도 | |
| 일반 정보 | |
| 다른 이름 | 공간 필터링 (spatial filtering) |
| 분야 | 신호 처리 |
| 적용 분야 | 음향학 전파 천문학 레이더 무선 통신 지진학 의료 영상 |
| 상세 정보 | |
| 설명 | 센서 어레이에서 방향 신호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신호 처리 기술 |
| 특징 | 신호대 잡음비(SNR) 향상 간섭 신호 제거 특정 방향으로의 에너지 집중 |
| 방법 | 지연-합산 빔포밍 (Delay-and-Sum Beamforming) 최소 분산 무왜곡 응답(MVDR) 빔포밍 적응 빔포밍 (Adaptive Beamforming) |
| 관련 기술 | 어레이 신호 처리 적응 신호 처리 공간 스펙트럼 추정 |
| 응용 | |
| 음향학 |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원 위치 추정 보청기 및 스피커 시스템 |
| 전파 천문학 | 전파 망원경 어레이를 이용한 천체 관측 |
| 레이더 | 레이더 시스템의 탐지 거리 및 정확도 향상 |
| 무선 통신 | 빔 형성을 통한 통신 품질 향상 5G 및 6G 이동통신 시스템 |
| 지진학 | 지진파 분석을 통한 지하 구조 탐사 |
| 의료 영상 | 초음파 영상의 해상도 향상 |
2. 역사
이 분야의 초기 아이디어는 A.R. Kaye와 D.A. George(1970년), W. van Etten(1975년, 197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벨 연구소의 Jack Winters와 Jack Salz는 1984년과 1986년에 빔포밍에 관한 응용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은 빔 방향, 빔 형성 정보, 빔의 역할, 동시 사용자 수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된다.
아로기아스와미 폴라라지와 토마스 카일라트는 1993년, MIMO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SM, spatial multiplexing)의 개념을 제창했다. 1994년에는 공간 다중화에 관한 특허를 신청했으며, 특히 무선 방송에서의 응용을 강조했다.
1996년, Greg Raleigh와 제라드 J. 포스키니는 MIMO 기술의 새로운 접근법을 고안하여, 링크의 처리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하나의 송신기에 여러 안테나를 설치한 구성을 검토했다.[13][14]
1998년, 벨 연구소는 MIMO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는 주요 기술인 공간 다중화의 실험실 수준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성공했다.[15]
3. 빔포밍 종류
빔 형성은 각 송신기의 신호 위상과 상대적인 진폭을 조절하여 긍정적/부정적 간섭 패턴을 만들어 배열의 지향성을 변경한다. 수신 시에는 다양한 센서의 정보를 결합하여 예상되는 방사 패턴을 우선적으로 관찰한다.
예를 들어, 소나에서 멀리 떨어진 배에 강력한 음파를 보내기 위해 각 소나 프로젝터에서 약간 다른 시간에 펄스를 보내 모든 펄스가 동시에 배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는 스피커를 사용한 공중, 안테나를 사용한 레이더/무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수동 소나에서는 각 수중 청음기에서 지연된 신호를 결합하여 마치 하나의 강력한 수중 청음기에서 온 것처럼 큰 신호를 만든다.
협대역 시스템에서는 시간 지연이 위상 이동과 같으므로, 각 안테나의 위상을 조절하는 배열을 위상 배열이라고 한다. 광대역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근사가 적용되지 않는다.
수신 빔 형성기에서는 각 안테나의 신호를 다른 가중치로 증폭하여 원하는 감도 패턴을 얻는다. 주엽, 부엽, 널을 조절하여 특정 방향의 노이즈나 전파 방해를 무시할 수 있다.
빔 형성 기술은 일반 빔 형성기와 적응형 빔 형성기로 나뉜다.
적응형 빔 형성기는 다양한 상황에 맞춰 반응을 조절하며, 총 노이즈 출력을 최소화하는 등의 기준이 필요하다. 광대역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빔 형성은 계산 집약적이다. 소나 위상 배열은 소프트웨어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유연하지만, 레이더 위상 배열은 데이터 속도가 높아 전용 하드웨어 처리가 필요하고 한 방향으로만 송수신 가능하다. 그러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레이더 데이터도 실시간 처리 가능하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일반적인 빔포머는 지연합 빔포머일 수 있으며, 모든 안테나 소자의 가중치는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잡음이 상관되지 않고 지향성 간섭이 없는 경우, L개의 안테나를 가진 빔포머의 신호 대 잡음비는 이다(P는 신호 전력, 은 잡음 분산). 널 조향 빔포머는 간섭원 방향에서 0의 응답을 갖도록 최적화된다. 주파수 영역 빔포머는 각 주파수 빈을 협대역 신호로 처리하고, 각 주파수에 대해 개별적으로 최적화된 필터를 사용한다.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등 지향성을 능동적으로 제어 가능한 안테나에서 빔포밍이 사용된다. 여러 소형 안테나에 급전하는 고주파 위상을 제어하여 지향성을 변경한다.[9] 소나에서도 송파기·수파기를 배열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10]
IEEE 802.11n에서 MIMO (다중 입력, 다중 출력)가 가능해져 와이파이(Wi-Fi) 통신 속도가 향상되었고, 멀티 유저 MIMO (MU MIMO)로 더욱 고속화되었다.[9] 이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광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공간 다중화 (SM)가 필요했기 때문이다.[9] MIMO는 군사용 레이더 등에 사용되었으나, 최근 집적 회로 기술 발달로 무선 LAN, 휴대 전화 등에도 채택되고 있다. 위성 방송, 위성 통신에서도 강우 감쇠를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11] 빔포밍 기능을 이용하려면 해당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장비가 필요하다.
3. 1. 피드백 빔포밍과 방향 빔포밍
빔을 어떤 정보를 통해 형성하느냐에 따라 피드백 빔포밍과 방향 빔포밍으로 나눈다. 다운링크 빔포밍에서 예를 들면, 피드백 빔포밍은 단말들이 기지국에게 빔 형성에 필요한 정보인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구성되며, 방향 빔포밍은 피드백 없이 기지국이 단말기의 방향을 측정하여 빔포밍한다. 피드백 빔포밍은 채널 정보를 피드백하여 피드백 링크를 통한 무선 자원 손실이 발생하는 대신 정확한 빔 형성이 가능하다. 반대로 방향 빔포밍은 피드백을 사용하므로 생기는 무선 자원의 손실은 없지만 채널 정보를 정확히 알기 힘들어 빔포밍 형성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3. 2. 단일 사용자 빔포밍과 다중 사용자 빔포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3. 3. 간섭 제거 빔포밍과 전력 증대 빔포밍
형성된 빔의 역할에 따라 간섭 제거 빔포밍과 전력 증대 빔포밍으로 나눈다. 간섭 제거 빔포밍은 빔을 전송하는 사용자들 간에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빔들을 형성하며, 전력 증대 빔포밍은 빔을 전송하는 사용자의 채널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빔을 형성한다. 간섭 제거 빔포밍은 둘 이상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빔포밍할 때 주로 사용된다.
한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빔을 형성하는 다중 사용자 빔포밍과 단일 사용자에게만 빔을 형성하는 단일 사용자 빔포밍으로 동시 사용자 수에 따라 빔포밍을 구분하기도 한다. 전력 증대 빔포밍은 주로 단일 사용자 빔포밍에 사용되지만,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다중 사용자 빔포밍에 활용하기도 한다.[9]
4. 빔포밍 기술
빔 형성은 송신기 배열의 지향성을 변경하기 위해 각 송신기의 신호 위상과 상대적인 진폭을 제어하여 파면에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간섭 패턴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수신 시에는 다양한 센서의 정보를 결합하여 예상 방사 패턴을 우선적으로 관찰한다.
예를 들어, 소나에서 멀리 떨어진 배를 향해 날카로운 음파 펄스를 보낼 때, 빔 형성 기술은 각 프로젝터에서 약간 다른 시간에 펄스를 보내 모든 펄스가 정확히 같은 시간에 배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는 단일 강력한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강한 펄스와 같은 효과를 낸다. 이 기술은 스피커를 사용한 공중, 안테나를 사용한 레이더/무선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수동 소나 및 능동 소나의 수신에서는 각 수중 청음기에서 지연된 신호를 약간 다른 시간에 결합하여, 모든 신호가 정확히 같은 시간에 출력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는 마치 단일 고감도 수중 청음기에서 온 것처럼 큰 신호를 만든다.
협대역 시스템에서 시간 지연은 "위상 이동"과 같으므로, 각 안테나가 약간 다른 양만큼 이동한 안테나 배열을 위상 배열이라 한다. 레이더의 전형적인 협대역 시스템은 대역폭이 중심 주파수의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 광대역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근사가 적용되지 않으며, 이는 소나에서 일반적이다. 수신 빔 형성기에서 각 안테나의 신호는 다른 "가중치"로 증폭될 수 있다. 다른 가중 패턴(예: Dolph–Chebyshev)을 사용하여 원하는 감도 패턴을 얻는다. 주엽과 함께 널과 부엽이 생성되며, 주엽 폭(빔 폭)과 부엽 레벨, 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특정 방향의 노이즈나 전파 방해를 무시하는 데 유용하다. 전송 시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빔 형성은 크게 일반(고정 또는 스위치 빔) 빔 형성기와 적응형 빔 형성기(위상 배열)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주로 센서의 위치와 관심 있는 파동 방향에 대한 정보만 사용하며, 후자는 배열이 실제로 수신한 신호의 속성과 결합하여 다른 방향에서 원치 않는 신호의 거부를 개선한다. 적응형 빔 형성기는 다양한 상황에 자동으로 반응을 적응시킬 수 있으며, 광대역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빔 형성은 계산 집약적일 수 있다. 소나 위상 배열은 소프트웨어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을 만큼 데이터 속도가 낮고 유연하다. 반대로, 레이더 위상 배열은 데이터 속도가 높아 일반적으로 전용 하드웨어 처리가 필요하며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송수신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새로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레이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소프트웨어처럼 빠르게 다시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소나 빔 형성은 전자기 빔 형성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지만 구현 세부 사항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소나 응용 분야는 1Hz에서 최대 2MHz까지 다양하며, 배열 요소는 구성에 따라 그 크기와 숫자가 매우 다양하다. 이는 시스템 구성 요소의 요구 사항 사이에서 소나 빔 형성 설계 노력을 크게 이동시킨다.
소나 배열은 1차원("선형"), 2차원("평면"), 3차원(구형 및 원통형) 배열로 사용된다. 선형 배열은 선박 뒤에 끌리는 다중 요소 수동 시스템과 측면 주사 소나에, 평면 배열은 선체 장착 소나 및 일부 측면 주사 소나에, 구형 및 원통형 배열은 현대 잠수함 및 선박의 '소나 돔'에 사용된다. 소나는 넓은 영역 검색과 같은 일부 응용 분야에서 모든 방향을 동시에 청취/방송해야 하므로 다중 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협대역 소나 수신기에서 각 빔의 위상은 신호 처리 소프트웨어로 완전히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소나는 음파의 느린 전파 속도 문제를 보상하기 위해 빔 형성을 사용하며, 측면 주사 소나에서는 빔 조향을 통해 놓칠 수 있는 펄스를 "잡는다".
딜레이 앤 섬 빔포밍 기술은 여러 개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원을 추정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마이크 위치나 개수 조정에 따른 성능 변화 문제를 해결하고, 최적의 마이크 배열 구성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2]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등, 지향성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테나에서는 이전부터 빔포밍이 사용되었다. 또한 소나에서도 송파기·수파기를 배열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 IEEE 802.11n의 MIMO, 멀티 유저 MIMO 기술은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한 공간 다중화를 위해 빔포밍을 활용한다. 최근에는 고주파 디바이스의 집적 회로화가 진행됨에 따라 무선 LAN이나 휴대 전화 등의 통신 장비에도 채용되고 있다. 위성 방송, 위성 통신에서도 강우 감쇠를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11]
4. 1. 아날로그, 디지털, 하이브리드 빔포밍
디지털 빔포밍은 여러 개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병렬로 처리하여 다양한 출력 신호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든 방향에서 오는 신호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신호 통합 시간을 조절하여 멀리 있는 물체나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16] 이는 아날로그 빔포밍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데, 각 신호 조합마다 별도의 회로가 필요하고 아날로그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와 달리 완벽하게 복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4]수많은 안테나를 사용하는 대규모 MIMO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기저 대역에서 실행되는 빔포밍 알고리즘이 매우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모든 빔포밍을 기저 대역에서 수행하면 각 안테나마다 별도의 RF 피드가 필요하여 시스템 비용, 손실 및 복잡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빔포밍과 아날로그 빔포밍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빔포밍이 제안되었다.[17][18][19] 하이브리드 빔포밍은 빔포밍의 일부를 아날로그 요소를 사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복잡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인다.
5. 수학적 모델
빔포밍된 송신 신호 벡터 는 다음과 같이 모델링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빔포밍 벡터이고 는 송신 심볼이다. LOS 환경이라고 가정하면, 신호 대 잡음비를 최대화하기 위해 빔포밍 벡터는 방향 벡터의 켤레(conjugate) 벡터를 사용한다. 각도가 에서 오는 신호라고 하면 방향 벡터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른 최적 빔벡터는 와 같다.
6. 빔포밍 활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은 각 사용자별로 동기복조를 위한 전용 위상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IMT-2000 시스템에서는 빔형성 기술이 표준화되어 있다.[9]
소나 빔포밍은 전자기 빔포밍과 유사하지만 구현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소나 응용 분야는 1Hz에서 2MHz까지 다양하며, 배열 요소는 크거나 작을 수 있고, 그 수도 수백 개에 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소나 빔포밍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어뢰와 같은 소나 시스템은 최대 100개의 요소로 구성된 배열을 사용하며, 100도의 시야에서 빔 조향을 수행하고 능동 및 수동 모드로 작동한다. 소나 배열은 1차원(선형), 2차원(평면), 3차원(구형, 원통형) 형태로 사용된다.
- 1차원 선형 배열: 선박 뒤에 끌리는 다중 요소 수동 시스템, 단일 또는 다중 요소 측면 주사 소나
- 2차원 평면 배열: 능동/수동 선체 장착 소나, 일부 측면 주사 소나
- 3차원 구형 및 원통형 배열: 현대 잠수함 및 선박의 소나 돔
소나는 넓은 영역을 검색할 때 모든 방향을 동시에 청취하거나 방송해야 하므로 다중 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협대역 소나 수신기에서는 각 빔의 위상을 신호 처리 소프트웨어로 조작하여 여러 방향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소나는 음파의 느린 전파 속도를 보상하기 위해 빔 형성을 사용한다. 측면 주사 소나에서는 빔 조향을 통해 수신 성능을 개선하고, 놓친 펄스를 "잡"는다.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와 같이 지향성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테나에서 빔포밍은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다수의 소형 안테나에 급전하는 고주파의 위상을 제어하여 지향성을 변경한다. 소나에서도 송파기와 수파기를 배열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10]
IEEE 802.11n 표준부터 와이파이는 MIMO (다중 입력, 다중 출력)를 지원하여 통신 속도가 향상되었으며, 멀티 유저 MIMO (MU MIMO)로 더욱 고속화되었다. 이는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광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공간 다중화(SM)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군사용 레이더 등에만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고주파 디바이스의 집적 회로화가 진행되면서 무선 LAN이나 휴대 전화와 같은 통신 장비에도 채용되고 있다. 또한 위성 방송 및 위성 통신에서도 강우 감쇠를 피하기 위해 빔포밍이 사용된다.[11] 빔포밍 기능을 이용하려면 해당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7. 음성 오디오 빔포밍
빔포밍은 칵테일 파티 문제와 같이 방 안에 있는 여러 명의 스피커와 같은 음원을 추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피커의 위치를 미리 알아야 하며, 예를 들어 어레이의 마이크에 도달하는 소리의 도착 시간을 사용하여 거리를 추론할 수 있다.
반송파 신호 통신과 비교하여 자연 오디오는 다양한 주파수를 포함한다. 다른 주파수가 서로 다른 최적의 빔 형성 필터를 가지므로 (따라서 병렬로 별도의 문제로 처리한 다음 나중에 재조합할 수 있으므로) 빔포밍 전에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대역을 적절하게 격리하려면 특수한 비표준 필터 뱅크가 필요하다. 반대로, 예를 들어 표준 고속 푸리에 변환(FFT) 대역 필터는 신호에 존재하는 유일한 주파수가 정확한 고조파라고 암묵적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고조파 사이에 있는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모든 FFT 채널을 활성화하는데, 이는 빔 형성 분석에서 원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 각 채널에서 로컬 주파수만 감지되도록 필터를 설계할 수 있으며(원래 신호를 재구성할 수 있는 재조합 속성을 유지하면서), 이는 FFT 기저와 달리 일반적으로 직교하지 않는다.
8. 이동통신 표준에서의 빔포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활용 사례이다. IMT-2000 시스템에서는 빔형성 기술을 사용하면서 각 사용자별로 동기복조를 할 수 있도록 '''전용 위상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어 있다.
이동 통신 표준에 사용되는 빔포밍 기술은 더 높은 처리량을 통해 더 높은 밀도의 셀을 달성하기 위해 더 복잡한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세대를 거쳐 발전해 왔다.
| 세대 | 빔포밍 방식 | 설명 |
|---|---|---|
| 수동 모드 | (거의) 비표준화된 솔루션 |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은 도래 방향 (DOA) 기반 빔포밍을 지원한다. |
| 2G | 전송 안테나 선택 | 기본적인 빔포밍 |
| 3G | 전송 안테나 배열 (TxAA) 빔포밍 | |
| 3G 진화 | 다중 입출력(MIMO) 프리코딩 기반 빔포밍 | 부분적인 공간 분할 다중 접속(SDMA) 지원 |
| 3G 이후 (4G, 5G...) | 폐루프 빔포밍 및 다차원 빔포밍 | SDMA를 지원하는 더욱 진보된 빔포밍 솔루션 |
MIMO 기능을 갖춘 점점 더 많은 소비자 802.11ac 와이파이 장치가 빔포밍을 지원하여 데이터 통신 속도를 높일 수 있다.[3]
참조
[1]
논문
Beamforming: A versatile approach to spatial filtering
http://www.engr.wisc[...]
[2]
간행물
2018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oud Comput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Cloudtech)
IEEE
2018-11-00
[3]
웹사이트
All about beamforming, the faster Wi-Fi you didn't know you needed
http://www.pcworld.c[...]
IDG Consumer & SMB
2015-10-19
[4]
문서
Systems Aspects of Digital Beam Forming Ubiquitous Radar
https://web.archive.[...]
[5]
간행물
2016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Electronics, Compute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ECTI-CON)
[6]
간행물
2016 European Conference on Networks and Communications (EuCNC)
[7]
논문
Hybrid Beamforming in mm-Wave MIMO Systems Having a Finite Input Alphabet
https://eprints.soto[...]
[8]
논문
On Outage-Based Beamforming Design for Dual-Functional Radar-Communication 6G Systems
https://ieeexplore.i[...]
2023-08-00
[9]
웹사이트
ビーム フォーミングとは?
http://lan-cables.co[...]
2017-01-20
[10]
웹사이트
防衛庁規格 水中音響用語-機器
https://www.mod.go.j[...]
2016-12-11
[11]
웹사이트
ビームフォーミング機能を持つ、第5世代通信(5G)、衛星通信、Xバンドレーダ向けマイクロ波・ミリ波デバイスの取り扱い開始
http://netwell.co.jp[...]
[12]
논문
Digital transmission over cross-coupled linear channels
1985-07-00
[13]
논문
Spatio-temporal co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1998-03-00
[14]
논문
Layered space–time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ading environment when using multiple antennas
1996-00-00
[15]
논문
Detection algorithm and initial laboratory results using V-BLAST space–time communication architecture
1999-01-00
[16]
문서
Systems Aspects of Digital Beam Forming Ubiquitous Radar
http://www.dtic.mil/[...]
[17]
간행물
Hybrid analog-digital downlink beamforming for massive MIMO system with uniform and non-uniform linear arrays
https://ieeexplore.i[...]
[18]
간행물
Analog beamsteering for flexible hybrid beamforming design in mmwave communications
https://ieeexplore.i[...]
[19]
간행물
Hybrid Beamforming in mm-Wave MIMO Systems Having a Finite Input Alphabet
https://ieeexplore.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