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구성하는 10개 주 중 하나로, 1994년 워싱턴 협정 체결 이후 1996년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네레트바 강 계곡에 위치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유일하게 아드리아 해에 접해 있다. 주도인 모스타르는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스타리 모스트와 같은 역사적 건축물로 유명하다. 경제는 제조업, 특히 식품, 금속 가공, 전기 생산이 중요하며, 관광 산업도 발달했다.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모스타르, 차플리나, 치틀루크, 야블라니차, 코니치, 네움, 프로조르-라마, 라브노, 스톨라츠 등 9개의 지방 자치체를 관할한다. 이 지역은 도로, 철도, 모스타르 국제공항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모스타르 대학교, 모스타르 제말 비예디치 대학교, 헤르체고비나 대학교 등 3개의 대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 모스타르
모스타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네레트바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 도시화가 시작되어 스타리 모스트가 건설되었고, 보스니아 전쟁 이후 재건되어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주 - 투즐라주
투즐라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한 주로, 워싱턴 및 데이턴 협정을 통해 현재의 경계가 확정되었으며, 주도는 투즐라이고, 파노니안 호수와 스레브레니크 요새 등의 관광 명소와 발칸 반도 힙합 문화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고, 크레카 탄광을 중심으로 광업이 발달했으며 예술가와 스포츠 스타들을 배출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주 - 사라예보주
사라예보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에 위치하며 수도 사라예보를 포함하고,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거쳐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피해를 입었으나 현재는 9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경제적으로 강력한 지역이다.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헤르체고바치코-네레트반스키 칸톤 (보스니아어) 헤르체고바치코-네레트반스카 주파니야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
일반 명칭 |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
위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주 |
수도 | 모스타르 |
최대 도시 | 모스타르 |
지리 | |
면적 | 4,401 km² |
인구 통계 | |
인구 (2013년) | 222,007명 |
인구 밀도 | 53.69명/km² |
민족 구성 (2013년) | 53.29% 크로아티아인 41.44% 보스니아인 2.90% 세르비아인 2.37% 기타 |
정치 | |
정치 체제 | 의회 민주주의 |
수반 | 총리 |
현 총리 | 마리야 부하치 (HDZ BiH) |
의회 |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 의회 |
의회 의장 | 자페르 알리치 (SDA) |
역사 | |
설립 | 1996년 6월 12일 |
경제 | |
통화 | BAM |
GDP (PPP, 2022년) | 20,532 달러/인 |
GDP (명목, 2022년) | 7,871 달러/인 |
기타 정보 | |
공용어 |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
시간대 | CET (UTC+1) |
하계 시간대 | CEST (UTC+2) |
날짜 형식 | 일-월-년 (dd-mm-yyyy) |
차량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
2. 역사
워싱턴 협정 체결일인 1994년 3월 18일은 오늘날의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 역사가 시작된 날이다.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는 1996년 12월 23일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구성하는 10개 주 중 하나로 공식 설립되었다.[1]
2. 1. 보스니아 전쟁 이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 이전에는 오늘날의 동모스타르와 베르코비치 시는 모스타르와 스톨라츠의 일부였으며, 이바니차는 트레비네 시의 일부였다.2. 2. 보스니아 전쟁과 워싱턴 협정
워싱턴 협정이 체결된 1994년 3월 18일에 오늘날의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의 역사가 시작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 이전에는 오늘날의 동모스타르와 베르코비치 시는 모스타르와 스톨라츠의 일부였으며, 이바니차는 트레비네 시의 일부였다. 1996년 12월 23일에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10개 주 중 하나로 공식적으로 구성되었다.[1]2. 3. 전후 복구와 발전
워싱턴 협정이 체결된 1994년 3월 18일에 오늘날의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의 역사가 시작된다.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는 1996년 12월 23일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10개 주 중 하나로 공식적으로 구성되었다.[1]3. 지리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는 헤르체고비나 지방 서부와 네레트바강 계곡에 걸쳐 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닿아 있다. 네움은 이 주에서 바다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도시로, 1991년 인구 조사 기준 약 2천 명이 살고 있으며, 주변에는 일리리아인의 역사적, 고고학적 유물이 많이 남아 있다.
이 주에서 가장 큰 도시는 모스타르이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에서는 5번째로 큰 도시이다. 모스타르는 네레트바 강변에 자리 잡고 있으며,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 거주 지역으로 나뉜다. 스타리 모스트는 모스타르의 상징적인 다리로, 오스만 제국 시대에 건설되었다. 이 다리는 1993년 11월 8일 보스니아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2004년 여름에 복원되었으며, 복원 기념식에는 스체판 메시치 크로아티아 대통령을 비롯한 여러 외국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 외에도 차플리나, 코니츠, 야블라니차, 메주고리예 등의 도시가 있다. 특히 야블라니차와 코니치는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로 유명하며, 야블라니차에는 전투 기념 박물관이 있다.
네레트바 강은 코니츠, 야블라니차, 모스타르, 차플리나를 지나 크로아티아를 거쳐 아드리아해로 흘러간다. 주 내에는 야블라니차 호와 같은 큰 호수도 있다. 주의 최남단은 아드리아 해와 접한 네움 시이고, 최동단은 크로아티아 국경을 따라 위치한 라브노 시이다.
3. 1. 위치 및 지형
헤르체고비나 지방 서부에 위치하며 네레트바강 계곡과 접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접해 있는 지역이다.이 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네움 시를 통해 바다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주이다. 네움은 1991년 인구 조사 기준 2,000명이 거주하는 도시이며, 도시 주변 지역은 수천 년 동안 발칸 반도에 거주했던 일리리아인의 역사적, 고고학적 유물이 풍부하다.
이 주의 가장 큰 도시이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에서 5번째로 큰 도시인 모스타르가 있다. 모스타르는 네레트바 강둑에 위치해 있으며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으로 나뉘어 있다. 모스타르는 이 지역의 오스만 제국 통치자들이 건설했으며 이 지역에 이슬람을 전파한 낡은 다리, 스타리 모스트로 유명하다. 보스니아 크로아티아군은 1993년 11월 8일에 이 다리를 폭격하여 파괴했다. 파괴되기 전까지 427년 동안 존속해 왔으며 공유된 문화 유산과 "평화로운" 공존의 상징이 되었다. 다리는 2004년 여름에 재건되었다. 개회식에는 스체판 메시치 크로아티아 대통령을 포함한 여러 외국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 주의 다른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차플리나, 코니츠, 야블라니차, 그리고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마리아 신전인 메주고리예가 있다. 야블라니차와 코니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그곳에서 벌어진 전투로 유명하며, 야블라니차에는 이 전투에 헌정된 대규모 박물관이 있다.
네레트바 강은 코니치, 야블라니차, 모스타르, 차플리나 시를 지나 크로아티아를 거쳐 아드리아해로 흐른다. 야블라니차 시 주변에 위치한 야블라니차 호와 같이 주에는 큰 호수가 있다. 이 주의 최남단 시는 아드리아 해와 접한 네움 시이며, 최동단 시는 크로아티아와의 국경을 따라 위치한 라브노 시이다.
3. 2. 주요 도시 및 지방 자치체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에는 9개의 지방 자치체가 있다.
지방 자치체 |
---|
차플리나 (Čapljina) |
치틀루크 (Čitluk) |
야블라니차 (Jablanica) |
코니츠 (Konjic) |
모스타르 (Mostar) |
네움 (Neum) |
라마 (Rama) |
라브노 (Ravno) |
스톨라츠 (Stolac) |
이 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네움 시를 통해 바다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주이다. 네움은 1991년 인구 조사 기준 2,000명의 시민이 거주하는 도시이며, 도시 주변 지역은 수천 년 동안 발칸 반도에 거주했던 일리리아인의 역사적, 고고학적 유물이 풍부하다.
주의 가장 큰 도시이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인 모스타르가 있다. 모스타르는 네레트바 강 강둑에 위치해 있으며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으로 나뉘어 있다. 모스타르는 이 지역의 오스만 제국 통치자들이 건설했으며 이 지역에 이슬람을 전파한 낡은 다리, 스타리 모스트로 유명하다. 보스니아 크로아티아군은 1993년 11월 8일에 이 다리를 폭격하여 파괴했다.[1] 파괴되기 전까지 427년 동안 존속해 왔으며 공유된 문화 유산과 "평화로운" 공존의 상징이 되었다. 다리는 2004년 여름에 재건되었다. 개회식에는 스티에판 메시치 크로아티아 대통령을 포함한 여러 외국 대표들이 참석했다.
주의 다른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차플리나, 코니츠, 야블라니차, 그리고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마리아 신전인 메주고리예가 있다. 야블라니차와 코니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그곳에서 벌어진 전투로 유명하며, 야블라니차에는 이 전투에 헌정된 대규모 박물관이 있다.
네레트바 강은 코니츠, 야블라니차, 모스타르, 차플리나 시를 지나 크로아티아를 거쳐 아드리아 해로 흐른다. 야블라니차 시 주변에 위치한 야블라니차 호와 같이 주에는 큰 호수가 있다. 주의 최남단 시는 아드리아 해와 접한 네움 시이며, 최동단 시는 크로아티아와의 국경을 따라 위치한 라브노 시이다.
4. 인구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주로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구성하는 10개 주 중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는 중앙 보스니아 주와 함께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의 인구 비율이 거의 같은 두 주 중 하나이며, 이러한 주에서는 구성 민족 집단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입법 절차가 있다.
4. 1. 민족 구성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전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이들은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한다. 2003년 기준으로 219,223명이 거주하며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민족 | 인구 | 비율 |
---|---|---|
크로아티아인 | 110,714명 | 50.5% |
보스니아인 | 102,019명 | 46.5% |
세르비아인 | 5,486명 | 2.5% |
그 외의 민족 | 1,004명 | 0.5%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구성하는 10개 주 중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는 중앙 보스니아 주와 함께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의 인구 비율이 거의 같은 두 주 중 하나이다. 이러한 주에서는 구성 민족 집단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입법 절차가 있다.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로아티아인은 차플리나, 치틀루크, 네움, 프로조르-라마 및 라브노 시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스톨라츠와 모스타르 시에서 상대적 다수를 차지한다. 보스니아인은 야블라니차와 코니치 시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4. 2. 2013년 인구 조사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이들은 서로 다른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 2013년 기준으로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민족 | 인구 | 비율 (%) |
---|---|---|
크로아티아인 | 118,297명 | 53.28% |
보스니아인 | 92,005명 | 41.44% |
세르비아인 | 6,432명 | 2.89% |
기타 | - | - |
2013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한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내 지방 자치체별 민족 구성은 아래 표와 같다.
지방 자치체 | 민족 | 총계 | |||||
---|---|---|---|---|---|---|---|
보스니아인 | % | 크로아티아인 | % | 세르비아인 | % | ||
차플리나 | 4,541 | 17.36 | 20,538 | 78.51 | 714 | 2.72 | 26,157 |
치틀루크 | 29 | 0.15 | 17,900 | 98.67 | 18 | 0.09 | 18,140 |
야블라니차 | 9,045 | 89.45 | 726 | 7.18 | 63 | 0.62 | 10,111 |
코니치 | 22,486 | 89.41 | 1,553 | 6.17 | 355 | 1.41 | 25,148 |
모스타르 | 46,752 | 44.19 | 51,216 | 48.40 | 4,421 | 4.17 | 113,169 |
네움 | 63 | 1.35 | 4,543 | 97.63 | 21 | 0.45 | 4,653 |
프로조르-라마 | 3,525 | 24.69 | 10,702 | 74.94 | 3 | 0.02 | 14,280 |
라브노 | 20 | 0.62 | 2,633 | 81.79 | 558 | 17.33 | 3,219 |
스톨라츠 | 5,544 | 38.22 | 8,486 | 58.51 | 279 | 1.92 | 14,502 |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 92,005 | 41.44 | 118,297 | 53.28 | 6,432 | 2.89 | 222,007 |
5. 정치 및 행정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10개 주 중 하나이며, 자체적인 입법부, 행정부, 사법권을 가진다. 각 주와 마찬가지로 자체 헌법, 의회, 정부, 상징을 가지며, 경찰, 교육, 천연자원 사용, 공간 및 주택 정책, 문화에 대한 독점적 권한과 보건, 사회 보호, 교통 등 연방과 권한을 나누는 분야가 있다.[6]
주민들은 4년마다 총선에서 주 의회 대표 30명을, 지방 선거에서 4개 도시와 5개 지방 자치 단체의 시의원을 선출한다.[6]
5. 1. 주 정부
현재 법에 따르면,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10개 주 가운데 하나이다.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는 자체적인 입법부, 행정부 및 사법권을 가지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각 주와 마찬가지로 자체 헌법, 의회, 정부, 상징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독점적 권한(경찰, 교육, 천연자원 사용, 공간 및 주택 정책, 문화)을 가지고 있고, 일부 권한은 주와 연방 당국 사이에 나뉜다(보건, 사회 보호, 교통).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의 시민들은 4년마다 총선에서 주 의회 대표 30명을 선출한다. 2022년 총선 결과에 따라, 현재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정부는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HDZ BiH), 민주 행동당(SDA), 사회 민주당(SDP BiH)의 연립 정부로 구성된다.[6]
지방 정부 차원에서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시민들은 4년마다 4개 도시와 5개 다른 지방 자치 단체의 지방 정부를 선출하기 위한 시의원 선거에 참여한다.
5. 2. 지방 자치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을 구성하는 10개 주 가운데 하나로, 자체적인 입법, 행정, 사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6] 주 정부는 경찰, 교육, 천연자원 이용, 공간 및 주택 정책, 문화 분야에서 독자적인 권한을 행사하며, 보건, 사회 복지, 교통 등의 분야에서는 연방 정부와 권한을 공유한다.[6]
주민들은 4년마다 열리는 총선거를 통해 주 의회 의원 30명을 선출한다. 2022년 총선 결과, 현재 주 정부는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HDZ BiH), 민주 행동당(SDA), 사회 민주당(SDP BiH)의 연립 정부로 운영되고 있다.[6] 또한, 주민들은 4년마다 4개 시와 5개 지방 자치 단체의 시의원을 선출하는 지방 선거에도 참여한다.[6]
6. 경제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에서 종업원 수 기준으로 가장 발달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호텔 및 레스토랑이다.[7] 주의 경제 중심지는 주도인 모스타르이다.[7]
6. 1. 산업 구조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에서 종업원 수 기준으로 가장 발달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호텔 및 레스토랑이다. 주의 경제 중심지는 주도인 모스타르이다.[7]3차 산업 다음으로 발달한 부문은 제조업 부문이다. 제조업에는 2017년 8월 기준으로 총 6,798명의 직원이 있다. 제조업에서 가장 발달한 산업은 군수 산업(예: 코니츠의 이그만), 금속 가공 산업(예: 모스타르의 알루미니이), 식품 산업(예: 모스타르의 헤포크)이다.
전기 생산 또한 중요한 산업으로, 주로 네레트바강과 그 지류의 수력 발전소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 Elektroprivreda HZHB 소유이다(생산된 전기의 대부분은 이러한 수력 발전소에서 생산된다).
6. 2. 수력 발전
3차 산업 다음으로,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 경제에서 가장 강력한 부문은 제조업 부문이다. 이 부문의 가장 강력한 분야는 가공 산업 및 전기 생산이다.전기 생산 또한 중요한 산업으로, 주로 네레트바 강과 그 지류의 수력 발전소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 Elektroprivreda HZHB 소유이다(생산된 전기의 대부분은 이러한 수력 발전소에서 나온다).
6. 3. 관광 산업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는 자연 공원과 수많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어 큰 관광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이 주는 104,006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했으며, 208,647박의 숙박이 이루어졌다.[8] 이 지역의 가장 큰 관광 명소는 모스타르의 구시가지, 모스타르 근처의 블라가이, 메주고리예, 네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유일한 해안)이다.[8]
7. 교통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에는 도로, 철도, 항공 교통 시설이 갖춰져 있다. 주요 도로와 고속도로, 플로체-사라예보 철도가 이 지역을 통과한다. 모스타르 국제공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세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다.[10]
7. 1. 도로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를 통과하는 주요 도로 및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서쪽에서 동쪽: 간선 도로 M2 (클레크-자톤 돌리), M6 (그루데-트레비네), M6.1 (레사노브치-가츠코)
- 남쪽에서 북쪽: 고속도로 A1 (스빌라이-비야차), 간선 도로 M17 (보산스키 사마츠-차플리나), M17.3 (차플리나-네움)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의 총 도로 길이는 362.68km이다.
7. 2. 철도
플로체-사라예보 철도는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를 통과하며, 코니치, 모스타르, 야블라니차, 차플리나가 이 노선에 연결되어 있다. 이 지역의 철도 길이는 126.2km이며, 철도역과 정류장은 총 28개이고, 이 중 3개는 고속 철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7. 3. 항공
모스타르 국제공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사라예보 국제공항, 투즐라 국제공항 다음으로 세 번째로 붐비는 공항으로, 2016년 기준 총 53,618명의 승객을 기록했다.[10]8. 교육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에는 총 33개의 중등학교(국립 28개교, 사립 5개교)와 다수의 초등학교가 있다. 이 주에는 모스타르 대학교, 모스타르 제말 비예디치 대학교, 메주고리예 및 모스타르의 "헤르체고비나" 대학교 총 3개의 대학교가 있다.
8. 1. 대학교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에는 모스타르 대학교, 모스타르 제말 비예디치 대학교, 메주고리예 및 모스타르의 "헤르체고비나" 대학교 총 3개의 대학교가 있다. 모스타르 대학교는 10개의 학부에 14,000명의 학생이, 모스타르 제말 비예디치 대학교는 8개의 학부에 3,0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헤르체고비나" 대학교는 2개의 학부를 가진 사립 대학교이다.
참조
[1]
서적
Sarajevo, juni 2016. CENZ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BOSNIA AND HERZEGOVINA, 2013 FINAL RESULTS
http://www.popis2013[...]
BHAS
2016-06-30
[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Herzegovina-Neretva Canton (Croatian)
https://web.archive.[...]
2012-03-19
[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Herzegovina-Neretva Canton (Bosnian)
https://web.archive.[...]
2012-03-19
[4]
웹사이트
Skuhan, Jasmin (16. 4. 2012). "Ustav HNŽ". VLADA HNŽ-K.
https://web.archive.[...]
2021-05-28
[5]
웹사이트
Home
http://www.statistik[...]
[6]
웹사이트
U Mostaru nakon devet godina imenovana nova Vlada HNK, činit će je HDZ, SDP i SDA
https://www.klix.ba/[...]
2023-11-09
[7]
웹사이트
Statistički bilten za Novembar 2017 (November 2017 Statistical Bulletin).
https://www.szzhnz-k[...]
[8]
웹사이트
Hercegovačko-neretvanski kanton u brojkama (Canton of Herzegovina-Neretva in figures)
http://fzs.ba/wp-con[...]
[9]
웹사이트
Mreža Magistralnih Cesta u FBiH
https://jpdcfbh.ba/b[...]
2021-05-28
[10]
웹사이트
Tuzla bilježi 30 puta više putnika od Banjaluke u martu, banjalučki aerodrom imao najmanje putnika u 2016.godini!
https://www.6yka.com[...]
2021-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