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교위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례교위부는 전한 시대부터 남조 시대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다. 전한 시대에는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 홍농군, 하내군, 하남군, 하동군 등이 있었고, 후한 시대에는 경조, 우부풍, 좌풍익, 하남, 하내, 하동, 홍농 등의 군현으로 구성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조위가 하남윤, 홍농군, 하동군, 평양군, 하내군 등을 두었다. 서진 시대에는 하남군, 형양군, 홍농군, 상락군, 평양군, 하동군, 급군, 하내군, 광평군, 양평군, 위군, 돈구군 등이 있었다. 유송 시대에는 사주가 설치되었으나 폐지되기도 하였으며, 남제 시대에는 남의양군, 북의양군 등 여러 군을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례교위부 | |
---|---|
개요 | |
유형 | 행정 구역 |
관할 | 황제 직할 |
중심지 | 뤄양 |
역사 | |
설치 시기 | 전한 |
폐지 시기 | 서진 |
지리 | |
관할 구역 | 허난 허베이 산시 일부 |
인구 | |
호구 수 | 후한 말 약 10만 호 |
정치 | |
최고 책임자 | 사례교위 |
역할 | 수도 주변 감찰 및 치안 유지 |
2. 전한
전한 시대에는 수도 주변 지역인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을 비롯하여 홍농군, 하내군, 하남군, 하동군 등이 있었다.
2. 1. 경조윤(京兆尹)
2. 2. 좌풍익(左馮翊)
2. 3. 우부풍(右扶風)
2. 4. 홍농군(弘農郡)
2. 5. 하내군(河內郡)
2. 6. 하남군(河南郡)
2. 7. 하동군(河東郡)
3. 후한
후한 시대의 사례교위부 소속 군현과 그 속현은 다음과 같다. 각 군현의 치소(治所)는 굵은 글씨로 표기했다.
- 경조(京兆)
- 속현: 남전(藍田), 두릉(杜陵), 상(商), 상락(上雒), 신풍(新豊), 양릉(陽陵), 장릉(長陵), '''장안(長安)''', 정(鄭), 패릉(覇陵)
- 우부풍(右扶風)
- 속현: 견(汧), '''괴리'''(槐里), 두양(杜陽), 무공(武功), 무릉(茂陵), 미(郿), 미양(美陽), 순읍(栒邑), 안릉(安陵), 옹(雍), 유미(渝麋), 진창(陳倉), 칠(漆), 평릉(平陵), 호(鄠)
- 좌풍익(左馮翊)
- 속현: '''고릉'''(高陵), 대우(祋祤), 만년(萬年), 빈양(頻陽), 속읍(粟邑), 아(衙), 연작(蓮勺), 운양(雲陽), '''임진'''(臨晉), 중천(重泉), 지양(池陽), 하양(夏陽), 합양(郃陽)
- 건안(建安) 초에 좌풍익의 서쪽을 나누어 좌내사를 설치했다가 폐지했다.
- 좌내사 설치 당시 치소는 임진(臨晉)이었다.
- 하남(河南)
- 속현: 개봉(開封), 경(京), 곡성(穀城), 공(鞏), 권(卷), 구씨(緱氏), '''낙양'''(雒陽), 밀(密), 성역(成睪), 신성(新城), 신정(新鄭), 양(梁), 양무(陽武), 언사(匽師), 원릉(菀陵), 원무(原武), 중모(中牟), 평(平), 평음(平陰), 하남(河南), 형양(滎陽)
- 하내(河內)
- 속현: 공(共), 급(汲), 무덕(武德), 산양(山陽), 수무(脩武), 심수(沁水), 야왕(野王), 온(溫), 임려(林慮), 조가(朝歌), 주(州), 지(軹), 탕음(盪陰), 파(波), 평고(平睾), 하양(河陽), '''회'''(懷), 획가(獲嘉)
- 하동(河東)
- 속현: 강(絳), 단씨(端氏), 대양(大陽), 문희(聞喜), 북굴(北屈), 분음(汾陰), '''안읍'''(安邑), 양(楊), 양릉(襄陵), 영안(永安), 원(垣), 의씨(猗氏), 임분(臨汾), 평양(平陽), 포자(蒲子), 포판(蒲板), 피씨(皮氏), 하북(河北), 해(解), 확택(濩澤)
3. 1. 경조(京兆)
3. 2. 우부풍(右扶風)
3. 3. 좌풍익(左馮翊)
3. 4. 하남(河南)
3. 5. 하내(河內)
3. 6. 하동(河東)
3. 7. 홍농(弘農)
4. 삼국 시대
4. 1. 조위(曹魏)
조위(曹魏)는 사례교위부에 하남윤(河南尹), 홍농군(弘農郡), 하동군(河東郡), 평양군(平陽郡), 하내군(河內郡)을 두었다. 또한 원무군(原武郡), 야왕군(野王郡), 형양군(滎陽郡), 조가군(朝歌郡)을 설치하였다.5. 서진
서진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군현이 있었다.
- 하남군
- 형양군
- 홍농군
- 상락군
- 평양군
- 하동군
- 급군
- 하내군
- 광평군
- 양평군
- 위군
- 돈구군
6. 남조
6. 1. 유송(劉宋)
유유가 후진을 격파하고 중원지역을 수복한 뒤 사주를 다시 두었다. 당시 사주는 호뢰성(虎牢城, 현재의 정저우시 싱양시 서북 호로관)에 두었으며, 하남군, 형양군, 홍농군의 3군과 휘하 27현 16,306호의 주민을 거느렸다.[6] 그러나 유유가 중원을 포기하자 폐지되었다.[6] 이후 유송 문제 원가 말기 여남군일대에서 재설치되었으나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6] 476년(유송 후폐제 원휘 4년), 북위에 의해 여남군이 공격당하자, 사주자사부가 의양군으로 옮겨졌고 안륙군, 수양군, 안만군의 3개 군이 사주로 편입되었다.[6][7] 이후 송나라 사주는 4군 20현을 거느렸다.[7] 사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던 의양에서 건강까지 수로로 2,700리, 육로로 1,700리 거리였다.[6][7]6. 2. 남제(南齊)
남제 때 사주는 아래의 군을 통치했다.[7]남의양군(南義陽郡) · 북의양군(北義陽郡) · 수군(隨郡) · 안륙군(安陸郡) · 여남군(汝南郡) · 제안군(齊安郡) · 회남군(淮南郡) · 송안좌군(宋安左郡) · 안만좌군(安蠻左郡) · 영녕좌군(永寧左郡) · 동의양좌군(東義陽左郡) · 동신안좌군(東新安左郡) · 신성좌군(新城左郡) · 위산좌군(圍山左郡) · 건녕좌군(建寧左郡) · 북회안좌군(北淮安左郡) · 남회안좌군(南淮安左郡) · 북수안좌군(北隨安左郡) · 동수안좌군(東隨安左郡)
참조
[1]
서적
Empresses and Consorts: Selections from Chen Shou's Records of the Three States With Pei Songzhi's Commenta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2]
서적
Fire over Luoyang: A History of the Later Han Dynasty 23-220 AD
https://books.google[...]
Brill
2016
[3]
문서
de Crespigny, p. 26.
[4]
문서
de Crespigny, p. 46.
[5]
문서
'면지'라고도 한다.
[6]
웹사이트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사주
https://zh.wikisourc[...]
[7]
웹사이트
《남제서》 15권 지 제7 주군지 下 사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