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주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주는 중국의 고대 지리 개념으로,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서경》, 《이아》, 《주례》 등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되며, 시대와 문헌에 따라 구주의 범위와 명칭이 다르게 나타난다.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의 행정 구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후 전한 무제 때 13주로 확장되면서 구체적인 9개의 주가 아닌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전국 시대에는 조연이 대구주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신라에서도 9주 제도가 시행되었으며, 일본에서도 국토를 아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이름 - 천조
천조는 중국 황제가 자신을 '하늘의 나라'로 칭하며 중국 중심 세계관인 중화사상과 관련된 용어로, 동아시아 질서의 기반이 되었고 청나라 시대에 적극 활용되었으나 서구 열강 침략 후 중국 민족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근대화 운동의 동기가 되었다. - 중국의 이름 - 지나
지나는 중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산스크리트어 '치나'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역사적으로 불경 번역, 일본의 중국 지칭 용어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경멸적 뉘앙스나 반중 감정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어 논란이 있다. - 중국의 지리 - 간도
간도는 고구려, 발해 등의 영토였으며 여진족 거주지였고,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선 농민들이 이주하여 거주했으나 현재는 중국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영유권 분쟁은 중조변계조약으로 종식되었지만 두만강 위치와 '토문' 명칭 해석 차이로 한국 내 논쟁의 여지가 있다. - 중국의 지리 - 산해관
산해관은 허베이성 친황다오시에 위치한 만리장성의 중요한 관문으로, 군사적 요충지로서 명나라 때 건설되어 청나라 시대에는 수도의 관문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천하제일관" 현판이 걸린 진동문이 대표적인 볼거리로 남아있다. - 명수 9 - 규슈
규슈는 일본 남서부에 위치한 4대 주요 섬 중 하나로, 풍부한 온천 자원과 다양한 문화, 7개의 현으로 구성된 규슈 지방, 그리고 활발한 경제 활동이 특징이다. - 명수 9 - 동구릉
동구릉은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조선 왕실의 능으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하여 총 9기의 왕릉과 왕비의 묘가 있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왕릉군이며, 여러 왕과 왕비의 능과 초장지, 개경사터, 연지 등 다양한 유적이 남아있어 조선왕조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주 (중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구주(九州) |
다른 이름 | 기주(冀州), 연주(兗州), 청주(青州), 서주(徐州), 양주(揚州), 형주(荊州), 예주(豫州), 양주(梁州), 옹주(雍州) |
시대 | 하나라, 상나라 |
역사 | |
기원 | 고대 중국의 지리적 구분 |
발전 | 전국시대 이후 중국의 이상적인 지역 구분으로 인식 |
변화 | 시대에 따라 구체적인 지역 범위에 변화가 있었음 |
특징 | |
개념 | 고대 중국에서 천하를 아홉 지역으로 나눈 것 |
상징성 | 고대 중국의 이상적인 통치 영역 상징 |
영향 | 이후 중국의 행정 구역 및 문화에 큰 영향 |
각 주의 정보 | |
기주 (冀州) | 수도 주변 지역 |
연주 (兗州) | 산둥성 남서부 일대 |
청주 (青州) | 산둥반도 일대 |
서주 (徐州) | 장쑤성 북부 일대 |
양주 (揚州) | 장쑤성, 안후이성 일대 |
형주 (荊州) | 후베이성, 후난성 일대 |
예주 (豫州) | 허난성 일대 |
양주 (梁州) | 쓰촨성 일대 |
옹주 (雍州) | 산시성, 간쑤성 일대 |
2. 역사
《서경》의 〈우공〉편에 따르면, 우가 중국을 다스릴 당시 중국 전역을 예주(豫州)를 중심으로 기주(冀州), 연주(兗州), 청주(青州), 서주(徐州), 양주(揚州), 형주(荊州), 양주(梁州), 옹주(雍州)의 9개 주로 나누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아》의 〈석지〉에도 구주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청주와 양주 대신 유주(幽州)와 영주(營州)가 포함되었다. 《주례》의 〈직방〉에서는 서주와 양주 대신 유주와 병주(并州)가, 《여씨춘추》의 〈유시람〉에서는 양주 대신 유주가 포함되었다.
일반적으로 《서경》의 기록은 하나라, 《이아》는 상나라, 《주례》는 주나라의 행정 구역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씨춘추》는 이 세 서적을 바탕으로 구주를 해석한 것으로 여겨진다. 《서경》에서의 십이주는 《우공》에 따른 구주에 유주, 병주, 영주의 3개 주를 더한 것이다.
이후 전한 무제가 기원전 106년에 전국에 13주를 설치하면서 구주는 실제 행정 구역이 아닌 중국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신라에서도 신문왕 때인 687년에 9주 5소경 제도를 실시했다.
2. 1. 문헌에 따른 구주
《서경》, 《이아》, 《주례》, 《여씨춘추》 등 여러 문헌에서 구주(九州)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는데, 문헌마다 구주에 포함되는 지역이 조금씩 다르다.문헌 | 구주 |
---|---|
《서경》 〈우공〉 | 기주(冀州), 연주(兗州), 청주(青州), 서주(徐州), 양주(揚州), 형주(荊州), 예주(豫州), 양주(梁州), 옹주(雍州)[2][3] |
《이아》 〈석지〉 | 기주, 연주, 예주, 형주, 양주, 옹주, 서주, 유주(幽州), 영주(營州) |
《주례》 〈직방〉 | 기주, 연주, 예주, 형주, 양주, 옹주, 청주, 유주, 병주(并州) |
《여씨춘추》 〈유시람〉 | 기주, 연주, 예주, 형주, 양주, 옹주, 청주, 서주, 유주 |
일반적으로 《서경》은 하나라, 《이아》는 상나라, 《주례》는 주나라의 행정 구역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씨춘추》는 이 세 서적을 바탕으로 구주를 해석한 것으로 여겨진다. 《서경》에서의 십이주는 《우공》에 따른 구주에 유주, 병주, 영주의 3개 주를 더한 것이다.[12][13]
전한 무제는 기원전 106년에 전국에 13주를 설치하면서 구주는 실제 행정 구역이 아닌 중국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신라에서도 신문왕 때인 687년에 9주 5소경 제도를 실시했다.
전국시대의 조연은 《서경》에서 말하는 구주는 실제 세계의 에 불과하며, 중국 전체가 '적현신주'라는 이름의 하나의 주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14]
2. 2. 전국시대의 새로운 해석
《서경》의 〈우공〉편에서는 우임금이 천하를 아홉 주로 나누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우리가 인식하는 구주와는 상당히 달랐다. 전국시대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구주 인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이 등장했다.[2][3]촉(楚)나라의 용청(容城) 죽간(竹簡)에는 구주(九州)에 대한 초기 해석이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도(涂), 협(夾), 경(竞), 거(莒), 우(藕), 형(荊), 양(陽), 서(敘), 곽(虘)이 구주로 나타난다.[2][3]
가장 널리 알려진 구주에 대한 기록은 《서경》의 〈우공〉편에서 유래한다. 여기에는 우임금이 천하를 기(冀), 연(兗), 청(青), 서(徐), 양(揚), 형(荊), 유(豫), 양(梁), 용(雍)의 아홉 주로 나누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대 백과사전인 《이아》의 지리 부분(釋地)에서는 청(青)과 양(梁) 대신 유(幽)와 영(營)이 구주로 나타난다. 《주례》의 "직방씨(職方氏)" 편에는 유(幽)와 병(並)이 포함되어 있지만 서(徐)와 양(梁)은 빠져 있다. 《여씨춘추》의 "유시람(有始覽)" 편에는 유(幽)가 언급되어 있지만 양(梁)은 언급되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서경》은 하(夏)나라, 《이아》는 은(殷)나라, 《주례》는 주(周)나라 시대의 구분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여씨춘추》는 춘추 전국 시대의 구주 개념과 실제 영토 분포를 묘사한 것으로 생각되며, 구주의 위치와 당시 국가와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주 (州) | 국가 |
---|---|
유(豫)주 | 주(周) |
기(冀)주 | 진(晉) |
연(兗)주 | 위(魏) |
청(青)주 | 제(齊) |
서(徐)주 | 노(魯) |
양(揚)주 | 월(越) |
형(荊)주 | 초(楚) |
용(雍)주 | 진(秦) |
유(幽)주 | 연(燕) |
"구주(九州)"라는 단어는 갑골문(甲骨文)에 나타나지 않아,[4] 우임금이 구주를 만들었다는 전통적인 생각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5] 일부 학자들은 "구주(九州)"라는 이름이 실제로는 한 장소를 의미했거나,[6] 그 분할이 산동(山東) 지역 내에 있었다고 주장한다.[7]
전국시대에는 도가(道家)의 음양가(陰陽家)에 속한 조연이 "대구주(大九州)"라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서경》의 구주는 "소주(小州)"일 뿐이며, 이들이 합쳐져 "적현신주(赤縣神州)" 즉 중국(신주)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이 아홉 주가 다시 바다로 둘러싸인 또 다른 "중주(中州)" 아홉 주를 형성하고, 이 중주 아홉 주가 대양으로 둘러싸여 대구주(大九州)를 이룬다는 것이다.[8][9]
《회남자》, 《후한서》, 《초학기》 등에 나오는 구주의 이름은 전통적인 이름과 다르며, 모두 신주(神州)를 포함하고 있어 대구주(大九州)의 이름으로 추정되기도 한다.[8][9] 《회남자》에 따르면 대구주(大九州) 외부에는 팔음(八殥), 팔홍(八紘), 팔극(八極)이 있다. 《제왕세기》에 따르면 신농 이전의 통치자들은 대구주(大九州)에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황제 이후로는 그렇지 못했다.
조연의 대구주(大九州) 이론은 중국이 전 세계의 1/81에 불과하다는 당시 황해 연안의 연(燕)과 제(齊) 지역의 지식에 기반한 것으로, 당시 널리 퍼져있던 중화주의적(中華主義的) 관점과는 크게 달랐다. 그러나 한나라(기원전 206년~서기 220년)와 이웃 국가들 간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지리적 지식이 늘어남에 따라 이 이론은 거짓으로 판명되어 인기를 잃었다.
2. 3. 한나라 이후
한나라 무제는 기원전 106년에 전국을 13주로 설치하면서, 구주는 더 이상 구체적인 9개의 주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전 국토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삼국 시대(220~280년)에는 구주가 중앙 행정 지역과 함께 13개 주로 확장되었다.[10][11]
전한(前漢)의 무제는 원봉 5년(기원전 106년)에 전국을 13주(11주와 삭방과 교지의 2군)로 나누고 각 주에 자사를 설치하였다(한대의 지방제도 참조). 한대의 주는 《우공》의 9주 중 옹주·양주가 없고, 대신 량주, 익주, 유주, 병주를 더한 것으로, 후에 사예를 직할하였다. 이후에도 "9주"라는 말은 구체적인 9개의 주가 아닌, 중국 전토의 아칭(雅稱)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당나라의 왕위가 아베노 나카마로를 일본으로 배웅할 때 지은 한시, 『송비서조감환일본국』에 "'''九州何処遠'''"이라는 구절이 있다.
신라에서도 제31대 신문왕 687년에는 9주제를 시행하였다.
일본에서도 보겐의 난 직후에 발표된 보겐신제(1156년) 제1조 서두에 "九州之地者一人之有也"라는 문구가 적혀 있지만, 이것 또한 중국의 예에 따라 국토 전체의 아칭으로 사용된 것으로, 일본 국토 전체는 공령·사영(장원)을 막론하고 모두 천황(치천의 군의 다스리는 땅이라는 의미이다.
3. 한국사에서의 구주
신라는 9주 5소경 제도를 실시했다.[1]
3. 1. 신라의 9주 제도
신라는 제31대 신문왕 때인 687년에 9주 5소경 제도를 실시했다.[1]참조
[1]
서적
Early Chinese Religion: Part One: Shang Through Han (1250 BC-220 AD) (2 Vols)
https://books.google[...]
BRILL
2008-12-24
[2]
웹사이트
上博简《容成氏》九州柬释
http://www.jianbo.or[...]
2012-03-03
[3]
웹사이트
禹画九州论
http://www.jianbo.or[...]
2012-03-03
[4]
웹사이트
中国古称"九州",九州指哪九州?
http://ks.cn.yahoo.c[...]
2008-02-21
[5]
웹사이트
是禹划定九州的吗?
http://www.shm.com.c[...]
2008-12-04
[6]
웹사이트
"九洲同乐"的"九洲"是指什么?
http://zhidao.baidu.[...]
[7]
웹사이트
温玉春:古九州方位在泰沂山系一带——九州考
http://hi.baidu.com/[...]
2012-02-22
[8]
웹사이트
九州是指哪九个州?
http://zhidao.baidu.[...]
[9]
웹사이트
请问四海、九州、八荒、六合、六国是指哪些?
http://zhidao.baidu.[...]
[10]
웹사이트
What were the Nine Provinces? (九州是哪九州)
http://cwolf.blogbus[...]
2016-03-03
[11]
웹사이트
New Research on the Han State System (两汉州制新考)
http://www.zggds.pku[...]
2011-07-07
[12]
문서
史記五帝本紀
[13]
문서
尚書舜典
[14]
문서
史記孟子荀卿列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