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유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가(元嘉)는 유송(劉宋) 문제(文帝) 유의륭이 424년 8월에 즉위하면서 사용한 연호로, 453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시기 원가력(元嘉曆)이 시행되었고,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453년에는 황태자 유소가 문제를 시해하고 태초로 개원했으나,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효무제로 즉위하면서 유소를 처형하고 원가 연호로 회귀했다. 원가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왜 등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백제는 유송에 조공하고 고구려는 유송과 북위에 모두 사신을 보내는 실리 외교를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원가 (유송) | |
---|---|
기본 정보 | |
연호 | 원가(元嘉) |
사용 기간 | 424년 ~ 453년 |
국가 | 송 |
군주 | 송 문제 |
![]() |
2. 연대기
424년 8월, 유의륭이 즉위하고 원가(元嘉)로 개원하였다. 445년 정월 초하루에는 원가력(元嘉曆)을 시행하였다. 446년 5월에는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였다.
453년 2월, 황태자 유소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즉위하여 태초(太初)로 개원하였다. 같은 해 4월, 무릉왕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황제에 즉위하면서(효무제) 유소를 처형하고 원가(元嘉)로 연호를 되돌렸다.
원가 연간에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
원가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서력 | 424년 | 425년 | 426년 | 427년 | 428년 | 429년 | 430년 | 431년 | 432년 | 433년 |
육십간지 (六十干支) | 갑자(甲子) | 을축(乙丑) | 병인(丙寅) | 정묘(丁卯) | 무진(戊辰)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서진 (西秦) | 건홍(建弘)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영홍(永弘) 원년 | 2년 | 3년 | 4년 | - | - |
북량 (北凉) | 현시(玄始)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승현(承玄) 원년 | 2년 | 3년 | 4년 의화(義和) 원년 | 2년 | 3년 영화(永和) 원년 |
하 (夏) | 진흥(眞興) 6년 | 7년 승광(承光) 원년 | 2년 | 3년 | 4년 승광(勝光) 원년 | 2년 | 3년 | 4년 | - | - |
북연 (北燕) | 태평(太平)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태흥(太興) 원년 | 2년 | 3년 |
북위 (北魏) | 시광(始光)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신가(神麚) 원년 | 2년 | 3년 | 4년 | 연화(延和) 원년 | 2년 |
원가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력 | 434년 | 435년 | 436년 | 437년 | 438년 | 439년 | 440년 | 441년 | 442년 | 443년 |
육십간지 (六十干支)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북량 (北凉)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 | - | - | 승평(承平) 원년[2] |
북연 (北燕) | 4년 | 5년 | 6년 | - | - | - | - | - | - | - |
북위 (北魏) | 3년 | 4년 태연(太延)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태평진군 (太平眞君) 원년 | 2년 | 3년 | 4년 |
원가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서력 | 444년 | 445년 | 446년 | 447년 | 448년 | 449년 | 450년 | 451년 | 452년 | 453년 |
육십간지 (六十干支) | 갑신(甲申) | 을유(乙酉) | 병술(丙戌) | 정해(丁亥) | 무자(戊子) | 기축(己丑) | 경인(庚寅) | 신묘(辛卯) | 임진(壬辰) | 계사(癸巳) |
북위 (北魏)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정평(正平) 원년 | 2년 승평(承平) 원년 흥안(興安) 원년 | 2년 |
고창북량 (高昌北凉)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2. 1. 원가 연호 사용 (424년 ~ 453년)
424년 8월, 유의륭이 즉위하고 원가(元嘉)로 개원하였다. 445년 정월 초하루에는 원가력(元嘉曆)을 시행하였다. 446년 5월에는 단화지가 림읍을 평정하였다.453년 2월, 황태자 유소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즉위하여 태초(太初)로 개원하였다. 같은 해 4월, 무릉왕 유준이 난을 평정하고 황제에 즉위하면서(효무제) 유소를 처형하고 원가(元嘉)로 연호를 되돌렸다.
원가 연간에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
원가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서력 | 424년 | 425년 | 426년 | 427년 | 428년 | 429년 | 430년 | 431년 | 432년 | 433년 |
육십간지 (六十干支) | 갑자(甲子) | 을축(乙丑) | 병인(丙寅) | 정묘(丁卯) | 무진(戊辰)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서진 (西秦) | 건홍(建弘)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영홍(永弘) 원년 | 2년 | 3년 | 4년 | - | - |
북량 (北凉) | 현시(玄始)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승현(承玄) 원년 | 2년 | 3년 | 4년 의화(義和) 원년 | 2년 | 3년 영화(永和) 원년 |
하 (夏) | 진흥(眞興) 6년 | 7년 승광(承光) 원년 | 2년 | 3년 | 4년 승광(勝光) 원년 | 2년 | 3년 | 4년 | - | - |
북연 (北燕) | 태평(太平)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태흥(太興) 원년 | 2년 | 3년 |
북위 (北魏) | 시광(始光)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신가(神麚) 원년 | 2년 | 3년 | 4년 | 연화(延和) 원년 | 2년 |
원가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력 | 434년 | 435년 | 436년 | 437년 | 438년 | 439년 | 440년 | 441년 | 442년 | 443년 |
육십간지 (六十干支)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북량 (北凉)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 | - | - | 승평(承平) 원년[2] |
북연 (北燕) | 4년 | 5년 | 6년 | - | - | - | - | - | - | - |
북위 (北魏) | 3년 | 4년 태연(太延)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태평진군 (太平眞君) 원년 | 2년 | 3년 | 4년 |
원가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서력 | 444년 | 445년 | 446년 | 447년 | 448년 | 449년 | 450년 | 451년 | 452년 | 453년 |
육십간지 (六十干支) | 갑신(甲申) | 을유(乙酉) | 병술(丙戌) | 정해(丁亥) | 무자(戊子) | 기축(己丑) | 경인(庚寅) | 신묘(辛卯) | 임진(壬辰) | 계사(癸巳) |
북위 (北魏)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정평(正平) 원년 | 2년 승평(承平) 원년 흥안(興安) 원년 | 2년 |
고창북량 (高昌北凉)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2. 2. 동시대 다른 국가들의 연호
(六十干支)(西秦)
5년
6년
7년
8년
영홍(永弘)
원년
2년
3년
4년
(北凉)
13년
14년
15년
16년
승현(承玄)
원년
2년
3년
의화(義和)
원년
2년
영화(永和)
원년
(夏)
6년
승광(承光)
원년
2년
3년
승광(勝光)
원년
2년
3년
4년
(北燕)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원년
2년
3년
(北魏)
원년
2년
3년
4년
신가(神麚)
원년
2년
3년
4년
원년
2년
(六十干支)
(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원년[2]
(北燕)
4년
5년
6년
(北魏)
3년
태연(太延)
원년
2년
3년
4년
5년
태평진군
(太平眞君)
원년
2년
3년
4년
(六十干支)
(北魏)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
정평(正平)
원년
승평(承平)
원년
흥안(興安)
원년
2년
(高昌北凉)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