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남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기원전 249년 진나라가 설치한 삼천군에서 유래한다. 전한 시대에는 하동군, 하내군과 함께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수도 낙양을 관할했다. 신나라 시기에는 명칭이 일부 변경되기도 했다. 위진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존속하다가, 서진 시기 형양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 이 지역은 여러 인물들의 활동 무대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난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허난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경조윤
    경조윤은 진나라의 내사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 수도권 일대를 관할하는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시대 낙양 천도 후 위상이 낮아졌으며,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 및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고 중화민국 시기에도 잠시 존재했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진나라 (위진)의 군 - 예장군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으며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재설치되기도 했다.
하남군
개요
중국어河南郡
한국어하남군
로마자 표기Hénán Jùn
역사
설치기원전 205년
폐지당나라 시대
진나라삼천군
서한하남군
신나라하남군
동한하남윤
삼국 시대하남윤
서진하남군
동진하남군
남북조 시대하남군
수나라하남군, 낙주, 예주, 하남군
당나라폐지

2. 역사

십팔제후왕 중 하나인 신양이 하남나라를 분봉받았다.[17] 고제는 신양의 항복을 받고 하남나라를 병합하여 하남군으로 전환하였다.[17] 하동군, 하내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불리며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8]

원시 2년(2년) 기준, 27만 6444호, 174만 279명을 거느렸으며, 22현을 관할하였다.[20] 현대의 뤄양 시 동부와 덩펑 시를 제외한 정저우 시 대부분을 관할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낙양雒陽뤄양시 동
형양滎陽정저우시 싱양시 북동변수(卞水)와 빙지(馮池)가 모두 남서에 있다. 낭탕거(狼湯渠)가 제수(泲水)를 받아 남동으로 진(陳)에서 영(穎)으로 들어가니, 네 군(하남·진류·여남·회양)을 지나 780리를 간다.
언사偃師뤄양시 옌스시 동이 군의 시향(尸鄕)은 은나라 의 도읍이다.
정저우시 싱양시 남동안사고에 따르면 정나라 공숙이 있던 곳이다.
평음平陰뤄양시 멍진현 북응소에 따르면 평성(平城)의 남쪽이라서 이름이 이렇게 붙었다.
중모中牟뤄양시 중무현 동포전택(圃田澤)이 서에 있으니 예주수(豫州藪)다. 관숙읍(莞叔邑)이 있으니 조 헌후가 경(耿)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뤄양시 멍진현 동
양무陽武신샹시 위안양현 남동박랑사가 이곳에 있다.
하남河南뤄양시옛 겹욕(郟鄏) 땅으로, 무왕이 구정을 이곳으로 옮겼고, 주공이 태평을 이룩하고 별도를 둬 왕성(王城)이라 했으며, 주평왕이 이곳으로 천도했다.
구씨緱氏뤄양시 옌스시 동남유취(劉聚)가 있는데 주나라 대부 유자(劉子)의 봉읍이었다. 연수성(延壽城) 선인사(仙人祠)가 있다.
신샹시 위안양현 서
원무原武신샹시 위안양현
정저우시 궁이시동주가 있었다.
곡성穀成뤄양시 북서《우공》의 전수(瀍水)가 참정(朁亭) 북에서 나와서 남동으로 낙수로 들어간다.
고시故市정저우시 북서
정저우시 신미시 남동옛 밀(密)나라다. 대외산(大騩山)이 있고 익수(潩水)가 나온다.
신성新成뤄양시 이촨현 남서혜제 4년(기원전 191년)에 두었다. 만중(蠻中)이 있는데 옛 융만자국(戎蠻子國)이다.
개봉開封카이펑시 남서본래 정나라 정장공이 쌓은 계봉성(啓封城)에서 비롯되었다. 경제 시기 경제의 이름을 피휘하기 위해 啓와 같은 뜻을 가진 開자를 사용하여 개봉현으로 개명되었다. 봉지(逢池)가 북동에 있는데, 혹 송나라의 봉택(逢澤)이라고도 한다.
성고成皐정저우시 싱양시 북서옛 호뢰(虎牢)고, 혹은 제(制)라고도 한다.
원릉苑陵정저우시 신정시 북동
핑딩산시 루저우시난호취(𢠸狐聚)가 있는데 진나라서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양인취(陽人聚)가 있는데 진나라가 동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진나라가 멸한 양(梁)나라와는 다른 곳이다.
신정新鄭정저우시 신정시정나라의 서울로 정나라를 멸한 한나라가 평양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20]

신나라 천봉 3년(16년), 군을 따로 두지 않고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의 관할지로 둔 전한의 삼보처럼, '''보충신경'''(保忠信卿)이라는 특수한 관직을 두어서 기존 이 군이 관할하는 현을 다스리게 했다.[21][22]

후한 건무 15년(39년)에 하남윤(河南尹)으로 개칭되었다. 하남윤은 수도 낙양을 관할하여 다른 태수들보다 높은 중이천석(中二千石)에 해당했다.[23] 영화 5년(140년) 기준으로 28만 486호, 110만 827명이 있었다. 190년(초평 원년), 동탁이 낙양성을 불태우면서 크게 황폐화되었다. 196년(건안 원년), 조조가 헌제를 옹립하고 허창으로 천도하면서 낙양은 버려졌다.

위나라를 세우게 된 조비220년 12월 10일 낙양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하남윤이 재건되었다.[26] 영천군의 양적현(陽翟縣)과 홍농군의 육혼현(陸渾縣)이 하남윤으로 이관되었다.[26] 서진 건국 후 266년(태시 2년), 하남윤 동부 지역의 옛 형양도위 지역이 형양군으로 분리 신설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26] 영가의 난 시기 한나라의 황제 유연이 보낸 유총의 군대, 석륵, 왕미의 공격을 받아 식인이 행해지는 등 황폐해지기 시작했고 결국 311년 4월, 유총이 낙양을 함락시키면서 전조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다.[26]

2. 1. 전국·진

전국 시대 한나라 선혜왕(宣惠王)이 삼천군(三川郡)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치했다. 삼천군은 황하, 뤄허(洛河), 이수(伊水) 세 강이 흐르는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14] 기원전 249년, 진나라가 한나라를 공격하여 성고(成皋)와 공 땅을 획득하면서 삼천군을 재설치하고 낙양현(雒陽縣)을 치소로 삼았다.[15]

진나라 시기 속현은 다음과 같다.[16]

진나라 시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낙양雒陽뤄양시 부근진나라 봉니 “낙양승인”(雒陽丞印)
위안양현진나라 봉니 “권승지인”(卷丞之印)
신안新安이마시 신안고성(新安故城)진나라 봉니 “신안승인”(新安丞印)
화양華陽신정시 남동 화양채(華陽寨)진나라 봉니 “화양승인”(華陽丞印)
의양宜陽이양현진나라 봉니 “의양지승”(宜陽之丞) 등
노씨盧氏루스현 하남노씨고성(河南盧氏故城)진나라 봉니 “노씨승인”(盧氏丞印)
구씨緱氏옌스시 활성촌(滑城村) 활성촌고성진나라 봉니 “구씨승인”(緱氏丞印)
평음平陰멍진현 동, 황허에 침식됨진시황릉 서측 조배호촌 진나라 형도의 묘에서 출토된 와각도문에 “평음거? 북유공사등”(平陰居? 北游公士滕”
신성新城이촨현 남서 신성고성(新城故城)시안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 “신성승인”(新城丞印) 등
산저우구1957년 산저우구 진나라 묘에서 출토된 도기에 찍힌 “섬시”(陝市) 등
진나라 도문에 “초정”(焦亭), 위나라 “초”(焦)과 등
하남河南뤄양시 서부 소둔촌 한하남성(漢河南縣城)뤄양 주왕성과 하남현성 터에서 출토된 도장에 “하시”(河市) 등
형양滎陽정저우시 북서 60여리 밖 형양고성(滎陽故城)청대 진개기(陳介祺)가 소장한 전세 진나라 도문에 “형시”(熒市)
싱양시 경양고성(京襄故城)허난성 형양고성에서 출토된 진나라 도문에 “경곡”(京斛) 등
성고成皋궁이시 북동《질률》에 “성고”현
양무陽武위안양현 남동시안 상가지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에 “양무승인”(陽武丞印) 등
루저우시《질률》에 “양”현
중모中牟중무현《질률》에 “중모”현
궁이시 강북고성(康北故城)
곡성轂城뤄양시
민지黽池몐츠현 북서진나라 병마용박물관에서 소장한 진나라 의양정(宜陽鼎) 명문에 “민”(黽)
윤씨倫氏덩펑시 남서 70리 영양진(潁陽鎭)전세 전국 한나라 병기 7년윤씨령과 명문에 “칠년윤씨명...”(七年侖氏命...) 등



이 중 초현은 위나라에서 진나라가 탈취한 것으로 보인다.[16]

2. 2. 전한

진나라 멸망 후, 항우의 십팔제후왕 중 하나인 신양이 하남나라를 분봉받았다.[17] 고제는 신양의 항복을 받고 하남나라를 병합하여 하남군으로 전환하였다.[17] 하동군, 하내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불리며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8] 원시 2년(2년) 기준, 27만 6444호, 174만 279명을 거느렸으며, 22현을 관할하였다.[20]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낙양雒陽뤄양시 동
형양滎陽정저우시 싱양시 북동변수(卞水)와 빙지(馮池)가 모두 남서에 있다. 낭탕거(狼湯渠)가 제수(泲水)를 받아 남동으로 진(陳)에서 영(穎)으로 들어가니, 네 군(하남·진류·여남·회양)을 지나 780리를 간다.
언사偃師뤄양시 옌스시 동이 군의 시향(尸鄕)은 은나라 의 도읍이다.
정저우시 싱양시 남동안사고에 따르면 정나라 공숙이 있던 곳이다.
평음平陰뤄양시 멍진현 북응소에 따르면 평성(平城)의 남쪽이라서 이름이 이렇게 붙었다.
중모中牟뤄양시 중무현 동포전택(圃田澤)이 서에 있으니 예주수(豫州藪)다. 관숙읍(莞叔邑)이 있으니 조 헌후가 경(耿)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뤄양시 멍진현 동
양무陽武신샹시 위안양현 남동박랑사가 이곳에 있다.
하남河南뤄양시옛 겹욕(郟鄏) 땅으로, 무왕이 구정을 이곳으로 옮겼고, 주공이 태평을 이룩하고 별도를 둬 왕성(王城)이라 했으며, 주평왕이 이곳으로 천도했다.
구씨緱氏뤄양시 옌스시 동남유취(劉聚)가 있는데 주나라 대부 유자(劉子)의 봉읍이었다. 연수성(延壽城) 선인사(仙人祠)가 있다.
신샹시 위안양현 서
원무原武신샹시 위안양현
정저우시 궁이시동주가 있었다.
곡성穀成뤄양시 북서《우공》의 전수(瀍水)가 참정(朁亭) 북에서 나와서 남동으로 낙수로 들어간다.
고시故市정저우시 북서
정저우시 신미시 남동옛 밀(密)나라다. 대외산(大騩山)이 있고 익수(潩水)가 나온다.
신성新成뤄양시 이촨현 남서혜제 4년(기원전 191년)에 두었다. 만중(蠻中)이 있는데 옛 융만자국(戎蠻子國)이다.
개봉開封카이펑시 남서본래 정나라 정장공이 쌓은 계봉성(啓封城)에서 비롯되었다. 경제 시기 경제의 이름을 피휘하기 위해 啓와 같은 뜻을 가진 開자를 사용하여 개봉현으로 개명되었다. 봉지(逢池)가 북동에 있는데, 혹 송나라의 봉택(逢澤)이라고도 한다.
성고成皐정저우시 싱양시 북서옛 호뢰(虎牢)고, 혹은 제(制)라고도 한다.
원릉苑陵정저우시 신정시 북동
핑딩산시 루저우시난호취(𢠸狐聚)가 있는데 진나라서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양인취(陽人聚)가 있는데 진나라가 동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진나라가 멸한 양(梁)나라와는 다른 곳이다.
신정新鄭정저우시 신정시정나라의 서울로 정나라를 멸한 한나라가 평양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20]

2. 3. 신

신나라 천봉 3년(16년), 군을 따로 두지 않고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의 관할지로 둔 전한의 삼보처럼, '''보충신경'''(保忠信卿)이라는 특수한 관직을 두어서 기존 이 군이 관할하는 현을 다스리게 했다.[21][22]

전한
낙양의양(宜陽)
언사사성(師成)
평(平)치평(治平)
양무양환(陽桓)
구씨중정(中亭)
원무원환(原桓)
원릉좌정(左亭)



속현 중 형양(滎陽)을 떼어내 기수군(祈隧郡)을 설치하고, 진류군을 해체하여 진류현(陳留縣) 이서를 기수군에 편입시켰다.[21]

2. 4. 후한

건무 15년(39년)에 하남윤(河南尹)으로 개칭되었다. 하남윤은 수도 낙양을 관할하여 다른 태수들보다 높은 중이천석(中二千石)에 해당했다.[23] 영화 5년(140년) 기준으로 28만 486호, 110만 827명이 있었다. 190년(초평 원년), 동탁이 낙양성을 불태우면서 크게 황폐화되었다. 196년(건안 원년), 조조가 헌제를 옹립하고 허창으로 천도하면서 낙양은 버려졌다. 213년(건안 18년), 조조가 위공(魏公)에 오르면서 사예교위부가 없어지고 예주 관할로 들어갔으며, 형양도위가 분리되었다.[24]

후한 시기 속현은 다음과 같다:[25]

현명한자비고
낙양현雒陽縣주나라의 성주(成周)며, 성중에 적천(狄泉)이 있다. 당취(唐聚), 상정취(上程聚), 사향취(士鄕聚), 저씨취(褚氏聚), 영기간(榮錡澗), 전정(前亭), 위향(圉鄕), 대해성(大解城)이 있다.
하남현河南縣주공이 경영한 낙읍(雒邑)으로 춘추 시대에는 왕성(王城)이라 했다. 동쪽 성문은 정문(鼎門), 북쪽 성문은 건제(乾祭)라 했다. 감성(甘城), 괴향(蒯鄕)이 있다.
양현梁縣옛 양나라로 백예(伯翳)의 후손이다. 양인취(陽人聚), 곽양산(霍陽山), 주성(注城)이 있다.
형양현滎陽縣홍구수(鴻溝水), 광무성(廣武城)이 있다. 괵정(虢亭)이 있는데 옛 괵숙(虢叔)의 나라다. 농성(隴城), 박정(薄亭), 오정(敖亭), 형택(熒澤)이 있다.
권현卷縣장성(長城)이 있는데 양무(陽武)를 지나 밀(密)에 이른다. 원옹성(垣雝城), 호성정(扈城亭)이 있다.
원무현原武縣
양무현陽武縣무강성(武彊城)이 있다.
중모현中牟縣포전택(圃田澤), 청구수(淸口水), 관성(管城), 곡우취(曲遇聚), 채정(蔡亭)이 있다.
개봉현開封縣
완릉현苑陵縣비림(棐林), 제택(制澤), 쇄후정(瑣侯亭)이 있다.
평음현平陰縣
곡성현穀城縣전수(瀍水)가 나온다. 함곡관(函谷關)이 있다.
구씨현緱氏縣오취(鄔聚), 환원관(轘轅關)이 있다.
공현鞏縣공백국(鞏伯國)이 있었다. 심곡수(尋谷水)가 있다. 동자취(東訾聚)가 있었는데 자성(訾城)이라 한다. 감함취(坎埳聚), 황정(黃亭), 황수(湟水), 명계천(明谿泉)이 있다.
성고현成睾縣전연수(旃然水), 병구취(瓶丘聚), 만수(漫水), 사수(汜水)가 있다.
경현京縣
밀현密縣대추산(大騩山), 매산(梅山), 형산(陘山)이 있었다.
신성현新城縣고도성(高都城), 광성취(廣成聚), 광성원(廣成菀)가 있다. 만취(鄤聚)가 있었는데 옛 만씨(鄤氏)며 당시에는 만중(蠻中)이라 했다.
언사현匽师縣시향(尸鄕)이 있었는데 춘추 시대에는 시씨(尸氏)라 했다.
신정현新鄭縣시경의 정나라며 축융의 옛 터다.
평현平縣


2. 5. 위진

220년 12월 10일,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위나라를 세우게 된 조비가 낙양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하남윤이 재건되었다.[26] 영천군의 양적현(陽翟縣)과 홍농군의 육혼현(陸渾縣)이 하남윤으로 이관되었다.[26] 서진 건국 후 266년(태시 2년), 하남윤 동부 지역의 옛 형양도위 지역이 형양군으로 분리 신설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26] 영가의 난 시기 한나라의 황제 유연이 보낸 유총의 군대, 석륵, 왕미의 공격을 받아 식인이 행해지는 등 황폐해지기 시작했고 결국 311년 4월, 유총이 낙양을 함락시키면서 전조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다.[26]

위진 시기 하남군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

위진 시기 하남군 속현
현명한자비고
낙양현洛陽縣성 동쪽에는 건춘문(建春門), 동양문(東陽門), 청명문(淸明門)의 3개 문이, 남쪽에는 개양문(開陽門), 평창문(平昌門), 선양문(宣陽門), 건양문(建陽門)의 4개 문이, 서쪽에는 광양문(廣陽門), 서명문(西明門), 여합문(閶闔門)의 3개 문이, 북쪽에는 대하문(大夏門)과 광막문(廣莫門)이 있었다.
하남현河南縣주나라 동도가 있던 곳이다. 309년 가을, 한나라유총, 유요, 유경, 군벌 왕미가 연합하여 하남현에서 서진의 중앙군을 격파하고 낙양성을 포위했다.[27]
공현鞏縣
하음현河陰縣조위 때 평음현(平陰縣)에서 하음현으로 개명되었다.
신안현新安縣
성고현成睾縣
구씨현緱氏縣
양성현陽城縣
신성현新城縣
육혼현陸渾縣
양현梁縣
양적현陽翟縣


3. 인물

3. 1. 진

이유(李由, ? ~ 기원전 208년)

3. 2. 전한

한선혜왕이 삼천군이란 이름으로 처음 설치했다. 이 이름은 군에 황허, 뤄허, 이수(伊水) 세 강이 있는 데서 비롯한다.[14] 기원전 249년, 진나라가 한나라를 공격해 한나라가 성고와 공 땅을 바치면서 진나라에서 삼천군을 재설치했다.[15] 치소는 낙양현이다. 유물과 문헌에서 확인되는 속현은 다음과 같다.[16]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낙양雒陽허난성 뤄양시 부근진나라 봉니 “낙양승인”(雒陽丞印)
허난성 위안양현 서진나라 봉니 “권승지인”(卷丞之印)
신안新安허난성 이마 시 신안고성(新安故城)진나라 봉니 “신안승인”(新安丞印)
화양華陽허난성 신정시 남동 화양채(華陽寨)진나라 봉니 “화양승인”(華陽丞印)
의양宜陽허난성 이양현 서진나라 봉니 “의양지승”(宜陽之丞) 등
노씨盧氏허난성 루스현 하남노씨고성(河南盧氏故城)진나라 봉니 “노씨승인”(盧氏丞印)
구씨緱氏허난성 옌스시 활성촌(滑城村) 활성촌고성진나라 봉니 “구씨승인”(緱氏丞印)
평음平陰허난성 멍진현 동, 황하에 침식됨진시황릉 서측 조배호촌 진나라 형도의 묘에서 출토된 와각도문에 “평음거? 북유공사등”(平陰居? 北游公士滕”
신성新城허난성 이촨현 남서 신성고성(新城故城)시안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 “신성승인”(新城丞印) 등
허난성 산저우구1957년 산저우구 진나라 묘에서 출토된 도기에 찍힌 “섬시”(陝市) 등
진나라 도문에 “초정”(焦亭), 위나라 “초”(焦)과 등
하남河南허난성 뤄양시 서부 소둔촌 한하남성(漢河南縣城)뤄양 주왕성과 하남현성 터에서 출토된 도장에 “하시”(河市) 등
형양滎陽허난성 정저우시 북서 60여리 밖 형양고성(滎陽故城)청대 진개기(陳介祺)가 소장한 전세 진나라 도문에 “형시”(熒市)
허난성 싱양시 경양고성(京襄故城)허난성 형양고성에서 출토된 진나라 도문에 “경곡”(京斛) 등
성고成皋허난성 궁이시 북동《질률》에 “성고”현
양무陽武허난성 위안양현 남동시안 상가지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에 “양무승인”(陽武丞印) 등
허난성 루저우시《질률》에 “양”현
중모中牟허난성 중무현《질률》에 “중모”현
허난성 궁이시 강북고성(康北故城)
곡성轂城허난성 뤄양시 서
민지黽池허난성 몐츠현 북서진나라 병마용박물관에서 소장한 진나라 의양정(宜陽鼎) 명문에 “민”(黽)
윤씨倫氏허난성 덩펑현 남서 70리 영양진(潁陽鎭)전세 전국 한나라 병기 7년윤씨령과 명문에 “칠년윤씨명...”(七年侖氏命...) 등



이 중 초현은 위나라에서 진나라가 탈취한 것으로 보인다.[16]

진나라 멸망 후에는 항우의 십팔제후왕신양이 분봉된 하남나라였다. 고제가 신양의 항복을 받아 하남나라를 병합하고서 그대로 군으로 전환했다.[17]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7만 6444호, 174만 279명, 22현을 관할했다.[20] 하동군, 하내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8]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9] 원연, 수화 연간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국의 치소로 간주된다. 현대의 뤄양 시 동부와 덩펑 시를 제외한 정저우 시 대부분을 관할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낙양雒陽뤄양시 동
형양滎陽정저우시 싱양시 북동변수(卞水)와 빙지(馮池)가 모두 남서에 있다. 낭탕거(狼湯渠)가 제수(泲水)를 받아 남동으로 진(陳)에서 영(穎)으로 들어가니, 네 군(하남, 진류, 여남, 회양)을 지나 780리를 간다.
언사偃師뤄양시 옌스시 동이 군의 시향(尸鄕)은 은나라 의 도읍이다.
정저우시 싱양시 남동안사고에 따르면 정나라 공숙이 있던 곳이다.
평음平陰뤄양시 멍진현 북응소에 따르면 평성(平城)의 남쪽이라서 이름이 이렇게 붙었다.
중모中牟뤄양시 중무현 동포전택(圃田澤)이 서에 있으니 예주수(豫州藪)다. 관숙읍(莞叔邑)이 있으니 조 헌후가 경(耿)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뤄양시 멍진현 동
양무陽武신샹시 위안양현 남동박랑사가 이곳에 있다.
하남河南뤄양시옛 겹욕(郟鄏) 땅으로, 주무왕이 구정을 이곳으로 옮겼고, 주공이 태평을 이룩하고 별도를 둬 왕성(王城)이라 했으며, 주평왕이 이곳으로 천도했다.
구씨緱氏뤄양시 옌스시 동남유취(劉聚)가 있는데 주나라 대부 유자(劉子)의 봉읍이었다. 연수성(延壽城) 선인사(仙人祠)가 있다.
신샹시 위안양현 서
원무原武신샹시 위안양현
정저우시 궁이시동주가 있었다.
곡성穀成뤄양시 북서《우공》의 전수(瀍水)가 참정(朁亭) 북에서 나와서 남동으로 낙수로 들어간다.
고시故市정저우시 북서
정저우시 신미시 남동옛 밀(密)나라다. 대외산(大騩山)이 있고 익수(潩水)가 나온다.
신성新成뤄양시 이촨현 남서혜제 4년(기원전 191년)에 두었다. 만중(蠻中)이 있는데 옛 융만자국(戎蠻子國)이다.
개봉開封카이펑시 남서본래 정나라 정장공이 쌓은 계봉성(啓封城)에서 비롯되었다. 전한 경제 시기 경제의 이름을 피휘하기 위해 啓와 같은 뜻을 가진 開자를 사용하여 개봉현으로 개명되었다. 봉지(逢池)가 북동에 있는데, 혹 송나라의 봉택(逢澤)이라고도 한다.
성고成皐정저우시 싱양시 북서옛 호뢰(虎牢)고, 혹은 제(制)라고도 한다.
원릉苑陵정저우시 신정시 북동
핑딩산시 루저우시난호취(𢠸狐聚)가 있는데 진나라서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양인취(陽人聚)가 있는데 진나라가 동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진나라가 멸한 양(梁)나라와는 다른 곳이다.
신정新鄭정저우시 신정시정나라의 서울로 정나라를 멸한 한나라가 평양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20]

하남태수를 역임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3. 3. 경시 정권

자료가 부족하여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4. 후한

항우의 십팔제후왕 중 하나인 신양이 분봉된 하남나라였다. 고제가 신양의 항복을 받아 하남나라를 병합하고 군으로 전환했다.[17]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7만 6444호, 174만 279명, 22현을 관할했다.[20] 하동군, 하내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8]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9] 원연, 수화 연간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국의 치소로 간주된다. 현대의 뤄양 시 동부와 덩펑 시를 제외한 정저우 시 대부분을 관할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낙양雒陽뤄양시 동
형양滎陽정저우시 싱양시 북동변수(卞水)와 빙지(馮池)가 모두 남서에 있다. 낭탕거(狼湯渠)가 제수(泲水)를 받아 남동으로 진(陳)에서 영(穎)으로 들어가니, 네 군(하남·진류·여남·회양)을 지나 780리를 간다.
언사偃師뤄양시 옌스시 동이 군의 시향(尸鄕)은 은나라 의 도읍이다.
정저우시 싱양시 남동안사고에 따르면 정나라 공숙이 있던 곳이다.
평음平陰뤄양시 멍진현 북응소에 따르면 평성(平城)의 남쪽이라서 이름이 이렇게 붙었다.
중모中牟뤄양시 중무현 동포전택(圃田澤)이 서에 있으니 예주수(豫州藪)다. 관숙읍(莞叔邑)이 있으니 조 헌후가 경(耿)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뤄양시 멍진현 동
양무陽武신샹시 위안양현 남동박랑사가 이곳에 있다.
하남河南뤄양시옛 겹욕(郟鄏) 땅으로, 주무왕이 구정을 이곳으로 옮겼고, 주공이 태평을 이룩하고 별도를 둬 왕성(王城)이라 했으며, 주평왕이 이곳으로 천도했다.
구씨緱氏뤄양시 옌스시 동남유취(劉聚)가 있는데 주나라 대부 유자(劉子)의 봉읍이었다. 연수성(延壽城) 선인사(仙人祠)가 있다.
신샹시 위안양현 서
원무原武신샹시 위안양현
정저우시 궁이시동주가 있었다.
곡성穀成뤄양시 북서《우공》의 전수(瀍水)가 참정(朁亭) 북에서 나와서 남동으로 낙수로 들어간다.
고시故市정저우시 북서
정저우시 신미시 남동옛 밀(密)나라다. 대외산(大騩山)이 있고 익수(潩水)가 나온다.
신성新成뤄양시 이촨현 남서혜제 4년(기원전 191년)에 두었다. 만중(蠻中)이 있는데 옛 융만자국(戎蠻子國)이다.
개봉開封카이펑시 남서본래 정나라 정 장공이 쌓은 계봉성(啓封城)에서 비롯되었다. 전한 경제 시기 경제의 이름을 피휘하기 위해 啓와 같은 뜻을 開자를 사용하여 개봉현으로 개명되었다. 봉지(逢池)가 북동에 있는데, 혹 송나라의 봉택(逢澤)이라고도 한다.
성고成皐정저우시 싱양시 북서옛 호뢰(虎牢)고, 혹은 제(制)라고도 한다.
원릉苑陵정저우시 신정시 북동
핑딩산시 루저우시난호취(𢠸狐聚)가 있는데 진나라서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양인취(陽人聚)가 있는데 진나라가 동주를 멸하고 그 임금을 옮긴 곳이다. 진나라가 멸한 양(梁)나라와는 다른 곳이다.
신정新鄭정저우시 신정시정나라의 서울로 정나라를 멸한 한나라가 평양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천봉 3년(16년), 따로 군을 두지 않고 특수한 관직(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의 관할지로 둔 전한의 삼보처럼, '''보충신경'''(保忠信卿)이라는 특수한 관직을 두어서 기존 이 군이 관할하는 현을 다스리게 했다.[21][22]

전한
낙양(雒陽)의양(宜陽)
언사(偃師)사성(師成)
평(平)치평(治平)
양무(陽武)양환(陽桓)
구씨(緱氏)중정(中亭)
원무(原武)원환(原桓)
원릉(苑陵)좌정(左亭)



속현 중 형양(滎陽)을 떼어내어 기수군(祈隧郡)을 설치하였고, 진류군을 해체시켜 진류현(陳留縣) 이서를 기수군에 편입시켰다.[21]

건무 15년(39년)에 하남윤으로 개칭했다. 하남윤은 서울인 낙양을 관할했으며 다른 태수들보다 한 급 높은 중이천석에 해당했다.[23] 영화 5년(140년) 기준으로 28만 486호, 110만 827명이 있었다. 사예교위부에 속했다. 현의 순서는 《속한서》 군국지를 따르며, 첫 현이 태수의 치소다. 190년(초평 원년) 십상시의 난을 진압한 뒤 정권을 잡은 동탁이 낙양성을 불태우고 군역의 상당수가 군벌 전쟁의 주요 전장이 되면서 크게 황폐화되었다. 196년(건안 원년) 헌제 탈출전을 성사시켜 헌제를 비롯한 황실과 중앙 관료들을 장안에서 탈출시킨 조조가 황폐화된 낙양을 대신하여 영천군의 허창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220년 조비가 낙양으로 수도를 옮길때까지 완전히 버려졌다. 213년(건안 18년), 조조가 위공에 오르면서 전국을 13주에서 9주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사예교위부가 없어져 예주자사부 관할로 들어갔으며, 형양도위가 떨어져나왔다.[24]

현명한자비고
낙양현雒陽縣주나라의 성주(成周)며, 성중에 적천(狄泉)이 있다. 당취(唐聚), 상정취(上程聚), 사향취(士鄕聚), 저씨취(褚氏聚), 영기간(榮錡澗), 전정(前亭), 위향(圉鄕), 대해성(大解城)이 있다.
하남현河南縣주공 단이 경영한 낙읍(雒邑)으로 춘추 시대에는 왕성(王城)이라 했다. 동쪽 성문은 정문(鼎門), 북쪽 성문은 건제(乾祭)라 했다. 감성(甘城), 괴향(蒯鄕)이 있다.
양현梁縣옛 양나라로 백예(伯翳)의 후손이다. 양인취(陽人聚), 곽양산(霍陽山), 주성(注城)이 있다.
형양현滎陽縣홍구수(鴻溝水), 광무성(廣武城)이 있다. 괵정(虢亭)이 있는데 옛 괵숙(虢叔)의 나라다. 농성(隴城), 박정(薄亭), 오정(敖亭), 형택(熒澤)이 있다.
권현卷縣장성(長城)이 있는데 양무(陽武)를 지나 밀(密)에 이른다. 원옹성(垣雝城), 호성정(扈城亭)이 있다.
원무현原武縣
양무현陽武縣무강성(武彊城)이 있다.
중모현中牟縣포전택(圃田澤), 청구수(淸口水), 관성(管城), 곡우취(曲遇聚), 채정(蔡亭)이 있다.
개봉현開封縣
완릉현苑陵縣비림(棐林), 제택(制澤), 쇄후정(瑣侯亭)이 있다.
평음현平陰縣
곡성현穀城縣전수(瀍水)가 나온다. 함곡관(函谷關)이 있다.
구씨현緱氏縣오취(鄔聚), 환원관(轘轅關)이 있다.
공현鞏縣공백국(鞏伯國)이 있었다. 심곡수(尋谷水)가 있다. 동자취(東訾聚)가 있었는데 자성(訾城)이라 한다. 감함취(坎埳聚), 황정(黃亭), 황수(湟水), 명계천(明谿泉)이 있다.
성고현成睾縣전연수(旃然水), 병구취(瓶丘聚), 만수(漫水), 사수(汜水)가 있다.
경현京縣
밀현密縣대추산(大騩山), 매산(梅山), 형산(陘山)이 있었다.
신성현新城縣고도성(高都城), 광성취(廣成聚), 광성원(廣成菀)가 있다. 만취(鄤聚)가 있었는데 옛 만씨(鄤氏)며 당시에는 만중(蠻中)이라 했다.
언사현匽师縣시향(尸鄕)이 있었는데 춘추 시대에는 시씨(尸氏)라 했다.
신정현新鄭縣시경의 정나라며 축융의 옛 터다.
평현平縣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Sui
[5] 서적 New Book of Tang
[6] 서적 史記
[7]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8] 서적 後漢書
[9] 서적 晋書
[10] 서적 宋書
[11] 서적 魏書
[12] 서적 隋書
[13] 서적 旧唐書
[14] 서적 전국사 上海人民出版社 2003
[15] 서적 전국사 上海人民出版社 2003
[16] 서적 진대정구지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17] 서적 한서
[18] 서적 한서
[19] 서적 한서
[20] 서적 한서
[21] 서적 한서
[22] 문서 지리지에는 卿이 鄕(향)으로 잘못 기록되었다.
[23] 서적 속한서
[24] 서적 속한서
[25] 서적 속한서
[26]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7]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