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휘는 타인의 단점을 언급하지 않고,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모두에 "좋다"라고 답하는 것으로 유명했던 인물이다. 형주를 지배하던 유표를 섬기지 않고 은사로 지냈으며, '하오하오 선생'이라는 고사성어의 유래가 되었다. 제갈량, 서서, 방통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물경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호호선생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3년 출생 - 설제
설제는 후한 말 조조에게 발탁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 장막과 여포의 난 때 세 현을 지켜내고 태산태수를 역임했으며, 조비의 위나라 건국 후 관내후에 봉해지고 상서령에 이른 인물이다. - 173년 출생 - 예형
예형은 후한 말기의 문장가로 뛰어난 재능과 거침없는 언변으로 이름을 알렸지만, 오만하고 독설적인 성격으로 여러 권력자들과 불화를 겪다 처형당했으며, 대표작 "앵무부"를 통해 권위주의 비판 등 사회적 의미를 던져준다. - 사마씨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 사마씨 - 사마담 (전한)
사마담은 전한 시대의 학자이자 태사령으로, 무제의 봉선 의식을 준비하고 역사서 편찬을 구상했으나 완수하지 못했으며, 도가를 옹호한 그의 사상은 아들 사마천에게 영향을 주었다. - 208년 사망 - 화타
화타는 중국 후한 말의 명의로, 약물 처방, 침술, 마취 수술 등 뛰어난 의술을 펼쳤으며, 조조의 치료를 거부하여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8년 사망 - 공융
공융은 후한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이며 공자의 후손으로, 문학적 재능과 직언으로 유명했으나 조조에게 미움을 받아 처형당했다.
| 사마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사마휘 |
| 자 | 덕조 (德操) |
| 별칭 | 수경 (水鏡) |
| 상세 정보 | |
| 출생지 | 위주, 허난성 |
| 사망일 | 208년 |
| 직업 | 은사, 인물 감정가 |
| 상관 | 방덕공 |
2. 생애
사마휘는 사람을 평가하고 인재를 발굴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고 전해진다. 수경선생(水鏡先生) 이라는 호칭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제자로는 서서, 제갈량, 방통이 대표적이며, 최주평, 석도, 맹건 등도 제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모두 《삼국지연의》상의 허구이며, 그들은 제자가 아닌 그저 그에게 인정받은 인재들이라고 한다. 이선과 윤묵은 형주 유학 시절에 사마휘, 송충 등에게서 수학하였다.[3]
유비에게 "와룡(臥龍)과 봉추(鳳雛)는 제갈량과 방통을 말한다"라고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형주를 지배하던 유표를 섬기지 않고, 은사로 지냈다. 유표에게 사마휘를 등용하라고 권하는 사람이 있었지만, 유표는 사마휘가 그저 서생일 뿐이라고 생각하여 거절하였다. 사마휘도 유표를 평범한 인물이라고 생각했기에, 정쟁에 휘말리지 않도록 정치 담론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고 한다.
유표 사후, 유종이 조조에게 항복하자, 조조에게 소환되었다. 조조는 그를 크게 등용하려 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사마휘는 양재현(陽翟縣) 출신으로, 영천군(潁川郡)에 속하며, 현재의 위저우시에 해당한다. 그는 북부 형주에 거주했는데, 이는 현재의 후베이성과 후난성을 아우르는 지역이다. 방덕공을 형님으로 섬겼다. 수경이라는 호는 방덕공이 지어준 것이다. 제갈량을 와룡, 방통을 봉추라고 부른 것도 방덕공이라고 한다. 사마휘는 방통의 재능을 일찍이 알아보고 한숭, 서서, 향랑, 윤묵, 이인 등을 문하생으로 삼았다.[1]
2. 1. 일화
사마휘는 타인의 단점이나 결점을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는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모두에 "좋다"(''hao'', 好)고 답했다. 누군가가 그에게 "어떻게 지내십니까?"라고 묻자, 그는 "좋습니다."라고 답했다. 누군가가 자신의 아들이 죽었다고 말했을 때, 그는 "아주 좋습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아내는 그에게 "모든 사람이 당신을 도덕적인 사람으로 여겨 자신의 문제를 기꺼이 공유하려 합니다. 왜 아들이 죽었다는 말에 '아주 좋다'고 말합니까?"라고 나무랐다. 사마휘는 "당신이 방금 한 말도 좋습니다."라고 답했다.[2] 이는 성어인 ''하오하오 선생''(好好先生, 문자 그대로 "예스 씨" 또는 "좋은 씨")이라는 사자성어를 낳았다.유비가 서서가 조조의 가짜 편지에 속아 조조에게 떠나며 제갈량을 알려 주었다는 것을 이야기해 주었을 때 서서가 가지 않았으면 서서의 노모가 무사했을 거라며 한탄하기도 하였다. 실제로 그 후에 서서의 노모는 아들에 대한 실망감과 조조에 대한 분노로 자살했다고 전해진다.
3. 평가
사마휘는 사람의 됨됨이나 능력을 알아보는 안목이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는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좋고 나쁨을 모두 "좋다(好)"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러한 태도에서 "호호 선생(好好先生)"이라는 사자성어(고사)가 유래되었는데, 이는 줏대가 없고 악과 싸울 용기가 없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2]
유비가 서서가 조조의 가짜 편지에 속아 조조에게 떠나며 제갈량을 추천한 것을 이야기했을 때, 서서가 가지 않았으면 그의 노모가 무사했을 것이라며 한탄하였다고 한다. 실제로 그 후 서서의 노모는 아들에 대한 실망과 조조에 대한 분노로 자살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제자로는 서서, 제갈량, 방통이 대표적이며, 최주평, 석도, 맹건 등도 제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모두 《삼국지연의》의 허구이며, 그들은 제자가 아닌 그저 그에게 인정받은 인재들이라고 한다. 이선과 윤묵은 형주 유학 시절에 사마휘, 송충 등에게서 수학하였다.[1]
조조는 208년 형주를 장악한 후 사마휘를 등용하려 했으나, 사마휘는 얼마 지나지 않아 병으로 사망했다.
4. 대중문화 속 사마휘
삼국지연의에서 사마휘는 누구의 말에도 "좋다, 좋아!"라고 대답하여 '호호선생(好好先生)'이라는 별명을 얻었다.[3] 그는 물경(水鏡)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여러 예술에 능통한 자유로운 방랑자로 묘사된다. 방통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그를 아우라고 칭했으며, 유비에게 제갈량과 방통을 추천하기도 했다.
찬모(陳某)의 만화 화봉요원에서 사마휘는 엘리트 전략가 및 조언가 집단인 "팔기문(八奇門)"의 스승으로 등장한다. 2010년 중국 텔레비전 드라마 삼국지에서는 왕스쥔이 사마휘 역을 연기했다.
5. 기타
사마휘는 타인의 단점이나 결점을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는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모두에 "좋다"(''hao'', 好)고 답했다.好중국어 이는 성어인 '하오하오 선생'(好好先生, 문자 그대로 "예스 씨" 또는 "좋은 씨")이라는 사자성어를 낳았다.[2] 이 고사성어는 줏대가 없고, 악과 싸울 용기가 없다는 나쁜 의미로 사용된다.
조조는 208년 형주를 장악한 후 사마휘를 영입하려 했다. 그러나 사마휘는 조조가 은둔자의 재능을 제대로 활용하기 전에 사망했다.
사마휘는 만화 화봉요원에서 엘리트 전략가 및 조언가 집단인 "팔기문(八奇門)"의 스승으로 등장한다. 2010년 중국 텔레비전 드라마 삼국지에서 왕스쥔이 사마휘를 연기했다.
후베이성샹양시난장 현에 "수경장"이라고 불리는 명승지가 있으며, 사마휘의 석상과 사당이 세워져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급 풍경 명승구 관광지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劉備と諸葛亮 カネ勘定の『三国志』
文藝春秋
2018-05
[2]
간행물
好好先生
http://www.peoplechi[...]
人民中国
[3]
문서
삼국지 연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