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이다. 녹색 바탕에 흰색으로 아랍어 신앙 고백인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라는 문구와 칼이 그려져 있다. 이슬람교를 상징하는 녹색과 안전과 정의를 상징하는 칼의 디자인은 사우디아라비아 통치 기본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국기에는 조의를 표하는 반기 게양을 하지 않고, 깃발의 앞뒷면이 동일하게 제작되어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샤하다가 제대로 읽히도록 한다. 국기는 18세기 와하브파 운동에서 기원하며, 1902년 칼이 추가되었고, 1973년 현재의 디자인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국왕기, 군기, 상선기 등 다양한 변형된 국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디아라비아의 상징 - 샤하다
샤하다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자이다"라는 이슬람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으로, 이슬람의 5대 기둥 중 첫 번째 기둥이며 이슬람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시아파에서는 "알리는 알라의 왈리이다"라는 구절이 추가되기도 한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상징 -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장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장은 야자수와 교차하는 두 개의 아랍 검으로 구성되어 힘, 정의, 보호, 안전을 상징하며 정부 문서와 왕실기 등에 사용된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아시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아시아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 | |
---|---|
국기 정보 | |
별칭 | 해당 없음 |
용도 | 정부기, 군기, 상선기 |
도안 | 초록색 바탕에 흰색 샤하다(무슬림 신조)가 술루스 서체로 쓰여 있고, 그 아래에는 왼쪽을 향하는 수평 칼이 그려져 있음. |
디자이너 | 하피즈 와흐바 |
비율 | 2:3 |
제정 | 1744년 (최초 사우디 국가 수립 시, 초기 형태, 2차 및 3차 사우디 국가 초까지 사용) 1937년 3월 11일 (현재 형태, 왕령으로 정의) 1973년 3월 15일 (최신 버전) |
FIAV 기호 | |
국기명 (아랍어) | علم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알람 알맘라카 알아라비야 아스수우디야) |
색상 | 녹색 (팬톤: 330) 흰색 |
2. 디자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 디자인은 사우디아라비아 통치 기본법(사우디아라비아의 사실상 헌법) 제3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슬람교를 나타내는 녹색 바탕에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 (لا إله إ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ar)"라는 샤하다(신앙 고백)를 흰색으로 디자인한 문자와 메카 및 이븐 사우드의 승리 및 애국심을 상징하는 칼이 그려져 있다.
샤하다는 이슬람의 5대 의무 중 하나이며, 이교도나 무종교인이 무슬림이 될 때 행하는 의무이다. 샤하다의 문구는 이슬람 세계에서 신성하게 여겨지며, 이 국기를 티셔츠나 기타 물건에 인쇄하는 것도 금지되어 있다.
이 국기는 기본적으로 깃대 쪽이 오른쪽이 되도록 게양하며, 세로로 게양할 경우에는 문자가 가로로 놓이지 않도록 레이아웃을 변경한 특별한 깃발을 사용한다. 또한 신의 신성한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조의를 표하는 반기 게양을 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칼의 방향은 앞뒷면이 반전되지만, 샤하다는 깃발의 어느 쪽에서 보아도 제대로 읽을 수 있도록 앞면과 뒷면의 해당 부분을 별도로 제작하여 붙여 놓았다.
== 색상 ==
사우디아라비아 국기의 녹색은 이슬람교를 나타내며, 칼은 안전과 정의를 상징한다.[2] 흰색은 순수함을 상징한다. 국기 색상의 RGB 값은 초록은 0–108–53, 하양은 255–255–255이다.
색상 | 초록 | 하양 |
---|---|---|
RGB | 0–108–53 (#006C35) | 255–255–255 (#FFFFFF) |
국기 녹색의 일반적인 색상은 알범 데 파빌론에 의해 Pantone 330 C로, 국제 연합에서 사용되는 색상은 Pantone 349에 가깝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Pantone 355가 사용되었다.[3]
녹색 | 흰색 | |
---|---|---|
팬톤 | 2427 C | 흰색 |
RGB | 0/84/48 | 255/255/255 |
16진법 | #005430 | #FFFFFF |
CMYK | 100/0/42/67 | 0/0/0/0 |
== 샤하다와 칼 ==
사우디아라비아 국기에 아랍어로 쓰인 글귀는 술루스 서체로 작성되었으며, 현재는 살레 알-만수프가 작성한 것이다.[1] 이 글귀는 샤하다 또는 이슬람교의 신앙 선언문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1]
국기의 녹색은 이슬람을 나타내며, 칼은 안전과 정의를 상징한다.[2] 국기는 앞뒷면이 동일하게 제작되어,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샤하다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올바르게 읽히도록 한다. 칼 또한 글씨 방향에 맞춰 양쪽 모두 왼쪽을 향하고 있다.
2. 1. 색상
사우디아라비아 국기의 녹색은 이슬람교를 나타내며, 칼은 안전과 정의를 상징한다.[2] 흰색은 순수함을 상징한다. 국기 색상의 RGB 값은 초록은 0–108–53, 하양은 255–255–255이다.색상 | 초록 | 하양 |
---|---|---|
RGB | 0–108–53 (#006C35) | 255–255–255 (#FFFFFF) |
국기 녹색의 일반적인 색상은 알범 데 파빌론에 의해 Pantone 330 C로, 국제 연합에서 사용되는 색상은 Pantone 349에 가깝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Pantone 355가 사용되었다.[3]
녹색 | 흰색 | |
---|---|---|
팬톤 | 2427 C | 흰색 |
RGB | 0/84/48 | 255/255/255 |
16진법 | #005430 | #FFFFFF |
CMYK | 100/0/42/67 | 0/0/0/0 |
2. 2. 샤하다와 칼
사우디아라비아 국기에 아랍어로 쓰인 글귀는 술루스 서체로 작성되었으며, 현재는 살레 알-만수프가 작성한 것이다.[1] 이 글귀는 샤하다 또는 이슬람교의 신앙 선언문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1]
국기의 녹색은 이슬람을 나타내며, 칼은 안전과 정의를 상징한다.[2] 국기는 앞뒷면이 동일하게 제작되어,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샤하다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올바르게 읽히도록 한다. 칼 또한 글씨 방향에 맞춰 양쪽 모두 왼쪽을 향하고 있다.
|30px]] | 녹색 | 흰색 |
---|---|---|
팬톤 | 2427 C | 흰색 |
RGB | 0/84/48 | 255/255/255 |
16진법 | #005430 | #FFFFFF |
CMYK | 100/0/42/67 | 0/0/0/0 |
2. 3. 수직 게양
3. 역사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기는 18세기 와하브파 운동에서 기원한다.[7] 알 사우드는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와하브와 협력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그와 그의 추종자들은 18세기부터 그들의 국기에 ''샤하다''를 사용했다. 1921년, 알 사우드의 지도자이자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미래 설립자인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흐만 알 사우드는 이 국기에 칼을 추가했다.[7] 국기의 디자인은 1973년 3월 15일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전까지 표준화되지 않았다.[8]
1902년,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샤하다 아래에 칼을 추가한 국기를 제정했다. 1932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건국 이후 여러 차례 디자인 변경이 있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전신 국가는 나지드와 히자즈였다. 나지드 국기는 오늘날의 사우디 국기 패턴과 매우 유사했다. 1902년부터 1921년까지 다른 아랍어 문구가 사용되었다. 사우디에 대항하는 주요 세력 중 하나는 반도 북부에 위치한 자발 샴마르 토후국이었으며, 알 라시드 가문이 1921년 패배할 때까지 저항했다.
3. 1. 사우디아라비아 성립 이전
제1차 사우디 국가(1744년 ~ 1818년) 및 제2차 사우디 국가(1822년 ~ 1891년) 시기에는 녹색 바탕에 샤하다가 쓰인 깃발이 사용되었다.[7] 1921년,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흐만 알 사우드는 이 깃발에 칼을 추가했다.[7] 자발 샴마르 토후국(1835년 ~ 1920년)은 아랍 반란 이전까지 오스만 제국의 영향 아래 다른 디자인의 국기를 사용했다. 헤자즈 왕국(1916년 ~ 1932년)은 아랍 반란의 영향을 받은 범아랍색 국기를 사용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하심 가문이 사용한 아랍 반란기와 유사하다.[7]3. 2.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1902년,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는 샤하다 아래에 칼을 추가한 국기를 제정했다.[7] 1932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건국 이후 여러 차례 디자인 변경이 있었다. 1921년, 알 사우드의 지도자이자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미래 설립자인 이븐 사우드는 이 국기에 칼을 추가했다.[7] 국기의 디자인은 1973년 3월 15일 현재의 국기 디자인이 공식적으로 채택되기 전까지 표준화되지 않았다.[8]사우디아라비아의 전신 국가는 나지드와 히자즈였다. 나지드 국기는 오늘날의 사우디 국기 패턴과 매우 유사했다. 1902년부터 1921년까지 다른 아랍어 문구가 사용되었다. 사우디에 대항하는 주요 세력 중 하나는 반도 북부에 위치한 자발 샴마르 토후국이었으며, 알 라시드 가문이 1921년 패배할 때까지 저항했다.
4. 사용
''샤하다''는 신성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 국기는 일반적으로 티셔츠나 다른 품목에 사용되지 않는다.[4] 사우디아라비아는 2002년 FIFA 월드컵 당시 FIFA가 참가국 국기가 새겨진 축구공에 자국 국기를 포함시킨 것에 대해 항의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관리들은 샤하다를 발로 차는 것은 신성 모독이라고 말했다.[4]
이 국기는 애도의 표시로 결코 조기 게양되지 않는데, 조기 게양하는 것은 모독이자 국기 훼손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5]
5. 다른 국기
상선기는 바다에서 상선이 사용하도록 제작되었으며, 하얀 테두리가 있는 좌상단에 국기를 배치한 녹색 깃발이다. 국왕 기는 좌상단에 야자수와 칼이 있는 국기이다.
5. 1. 왕실기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의 기는 녹색 바탕에 흰색 아랍어 문자와 칼이 새겨져 있으며, 1973년부터 금색 국장이 깃발 왼쪽 하단에 추가되었다. 깃발의 글씨는 술루스체로 쓰여진 이슬람 신앙 고백인 샤하다이다.: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왕세자의 기도 별도로 존재한다.
5. 2. 군기 및 상선기
사우디아라비아군은 각 군별로 고유한 군기를 사용한다. 상선기는 바다에서 상선이 사용하도록 제작되었으며, 하얀 테두리가 있는 좌상단에 국기를 배치한 녹색 깃발이다. 국왕기는 좌상단에 야자수와 칼이 있는 국기이다.참조
[1]
웹사이트
About Saudi Arabia: Facts and figures
http://www.saudiemba[...]
The Royal Embassy of Saudi Arabia, Washington D.C
2016-08-05
[2]
서적
Flag, Nation and Symbolism in Europe and Ame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0-03
[3]
간행물
UN Map Library
https://www.un.org/D[...]
[4]
뉴스
'Blasphemous' balls anger Afghans
http://news.bbc.co.u[...]
2007-08-26
[5]
뉴스
Saudi King Fahd is laid to rest
http://news.bbc.co.u[...]
2005-08-02
[6]
웹사이트
The National Emblem of Afghanistan
https://www.mfa.gov.[...]
2020-12-17
[7]
서적
Firefly Guide to Flag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Firefly Books
2012-09-12
[8]
서적
The Politics of National Celebrations in the Arab Middle East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About Saudi Arabia: Facts and figures
http://www.saudiemba[...]
The Royal Embassy of Saudi Arabia, Washington D.C
2012-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