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원수 벡터 공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원수 벡터 공간은 환론에서 가군의 개념으로 정의되거나, 추가 구조를 갖춘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세 가지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사원수 대수 위의 가군, 복소수 벡터 공간 위의 사원수 구조, 실수 벡터 공간 위의 사원수 구조를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사원수 선형 변환과 사원수 벡터 공간 위의 복소수 구조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예시로 복소수 벡터 공간의 사원수 구조를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원수 - 초켈러 다양체
    초켈러 다양체는 리만 다양체 위에 정의된 초켈러 구조를 가지며, 세 개의 복소구조가 사원수 관계식을 만족시키고 켈러 구조의 모듈라이 공간을 이루는 짝수 차원의 다양체로서, 칼라비-야우 다양체와 사원수 켈러 다양체의 일종이며 물리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사원수 - 3차원 초구
    3차원 초구는 4차원 공간에서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이자, 노름이 1인 사원수 공간으로 간주되며, 콤팩트하고 연결된 단순 연결 3차원 다양체이다.
  • 가군론 - 자유 가군
    자유 가군은 곱셈 항등원을 갖는 환 위의 가군으로, 기저를 가지며 기저 원소의 선형 결합으로 가군의 모든 원소를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 가군론 - 쌍가군
    쌍가군은 두 환 R과 S에 대해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아벨 군 M에 R의 왼쪽 가군 구조와 S의 오른쪽 가군 구조가 호환되도록 결합되며, 텐서곱, 준동형 사상 등 다양한 성질을 갖는다.
  • 선형대수학 -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은 체 위의 가군으로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연산을 가지며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고, 기저, 차원, 선형 사상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선형대수학 - 선형 결합
    선형 결합은 벡터 공간에서 벡터들의 스칼라 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식으로, 벡터 집합의 선형 독립성 판단 및 부분 공간 생성과 관련되며, 계수 제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결합을 정의할 수 있고, 위상 벡터 공간이나 가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사원수 벡터 공간

2. 정의

'''사원수 벡터 공간'''은 환론에서의 가군 개념으로 직접 정의할 수도 있고, 추가 구조를 갖춘 실수 또는 복소수 벡터 공간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세 가지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2. 1. 사원수 대수의 가군

사원수 대수 \mathbb{H}는 노름을 갖춘 나눗셈환이며, 따라서 그 위의 가군들은 모두 자유 가군이다. 또한, \mathbb{H}는 비가환환이지만 사원수 켤레 연산

:\bar{}\colon\mathbb{H}\to\mathbb{H}

:\bar{}\colon a+ib+jc+kd\mapsto a-ib-jc-kd

아래 스스로의 반대환과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mathbb{H}\cong\mathbb{H}^{\operatorname{op}}

따라서, \mathbb{H} 위의 왼쪽 가군과 오른쪽 가군은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하며, 왼쪽 · 오른쪽 가군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

2. 2. 복소수 벡터 공간 위의 사원수 구조

complex|콤플렉스영어 벡터 공간 V 위의 '''사원수 구조'''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mathbb C-반선형 변환 K\colon V\to V이다.

:K^2=-1

사원수 구조를 갖춘 복소수 벡터 공간을 '''사원수 벡터 공간'''이라고 한다.

2. 3. 실수 벡터 공간 위의 사원수 구조

Real vector space영어 벡터 공간 V 위의 '''사원수 구조''' (I,J,K)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세 개의 \mathbb R-선형 변환 I,J,K\colon V\to V로 구성된다.

:I^2=J^2=K^2=IJK=-1

즉, (I,J,K)-1을 보존하는 군 준동형

:\phi\colon Q\to\operatorname{GL}(V;\mathbb R)

:\phi\colon-1\mapsto-\operatorname{id}_V

를 정의한다. 여기서 Q사원수군이다.

2. 4. 사원수 선형 변환

사원수 벡터 공간 V가 주어졌을 때, V 위의 '''사원수 선형 변환''' T\colon V\to V\mathbb H 위의 가군으로서의 준동형이다. 이들은 사원수 일반 선형군 \operatorname{GL}(V;\mathbb H)를 이루며, V가 유한 차원일 경우 그 원소는 사원수 행렬들로 생각할 수 있다.

2. 5. 사원수 벡터 공간 위의 복소수 구조

n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V 위의 실수 구조는 C^2=1인 반선형 변환 C\colon V\to V에 의하여 주어진다. 이 경우 C는 각 성분의 복소켤레 연산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사원수 벡터 공간 위의 '''복소수 구조'''(complex structure영어)는 C^2=1인 반선형 변환으로서 주어진다.

3. 예

복소수 벡터 공간 V가 주어졌을 때, V\oplus\bar V는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사원수 구조를 가진다.[1]

:J\colon(v_1,\bar v_2)\mapsto(-v_2,\bar v_1)

이 함수가 \mathbb C-반선형이라는 것은 다음과 같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J\left(z(v_1,v_2)\right)=J\left((zv_1,\overline{\bar zv_2})\right)=(-\bar zv_2,\overline{zv_1})=\bar z(-v_2,\bar v_1)=\bar zJ\left((v_1,v_2)\right)

이 경우, 나머지 두 복소수 구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I\colon(v_1,\bar v_2)\mapsto(iv_1,-\overline{iv_2})

:K=IJ=\colon(v_1,\bar v_2)\mapsto(-iv_2,-\overline{iv_1})

그렇다면

:I^2=J^2=K^2=IJK=-1

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