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드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드킥은 1896년 처음 사용된 용어로, 영웅의 조력자를 의미한다. 문학, 설화, 만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하며, 영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거나 코믹 릴리프 역할을 수행한다. 탐정 소설의 왓슨, 돈키호테의 산초 판자, SF의 외계인 사이드킥 등이 예시이며, 때로는 영웅보다 더 매력적이거나 유능한 경우도 있다. 만화에서는 10대 사이드킥이 등장하며 사회적 논란을 겪기도 했지만, 이후 부활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악당에게도 사이드킥이 존재하지만, 우정이나 충성심의 유대감은 덜 강조된다. 한국 문화에서도 사이드킥은 주인공의 조력자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등장인물 - 아바타
    아바타는 힌두교 용어에서 유래하여 신의 화신을 뜻하며,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 신체를 의미하고, 게임, 소셜 미디어, 메타버스 등에서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핵심 수단으로 활용되며 AR/VR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현실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 등장인물 - 스미코구라시
    스미코구라시는 2012년 산엑스에서 출시된 구석을 좋아하는 일본인을 타겟으로 한 캐릭터 시리즈로, 다양한 캐릭터와 미디어 믹스를 통해 전개되었으며 2019년 일본 캐릭터 대상 대상을 수상했다.
  • 파트너십 - 합자회사
    합자회사는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이 함께 출자하여 설립하는 회사 형태로, 사원들의 책임 범위가 다르며 정관에 각 사원의 책임이 명시되어야 한다.
  • 파트너십 - 합명회사
    합명회사는 사원들이 회사의 채무에 대해 직접적, 연대적, 무한 책임을 지는 회사로서, 정관 작성 및 등기를 통해 설립되고, 사원 간 신뢰를 바탕으로 업무 집행 권한을 가지며, 출자 의무와 출자 가액에 따른 손익 분배의 원칙을 가진다.
  • 전형적 등장인물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전형적 등장인물 - 슈퍼빌런
    슈퍼빌런은 만화, 영화, 소설 등에서 슈퍼히어로에 대립하는 악당 캐릭터로, 초인적인 힘, 지능, 기술, 재력 등을 가지고 세계 정복이나 복수와 같은 악한 목적을 추구하며, 조커, 렉스 루터 등이 대표적이다.
사이드킥

2. 어원

'사이드킥'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 미국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 미국의 소매치기 은어에서 유래했는데, 바지 앞주머니를 "kick"이라고 불렀고, 이 주머니는 소매치기로부터 가장 안전했기 때문에 믿을 만한 동료를 "side-kick"이라고 불렀다.

가장 오래된 사이드킥은 길가메시 서사시엔키두로, 길가메시의 맹우이자 파트너였다. 이 외에도 일리아스아킬레우스파트로클로스, 구약성서의 모세아론 등이 초창기 사이드킥의 사례이다.[10] 노크스의 십계(1928)에서도 사이드킥이 언급되며, 추리 소설에서 탐정의 조수는 왓슨 역이라고 불린다.

2. 1. 어원 (영어/일본어)

"사이드킥"이라는 용어는 1896년에 처음 기록되었다.[1] 이 용어는 19세기 후반 미국의 소매치기 은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바지 앞주머니를 의미하는 "킥(kick)"은 소매치기로부터 가장 안전한 주머니로 여겨졌다. 따라서 "사이드킥(side-kick)"은 어떤 사람의 가장 가까운 동료를 비유하는 표현이 되었다.[2][3]

또한, 싸움을 할 때 옆에서 함께 싸워주는 사람을 의미하는 "sidekicker"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3. 문학/설화 속 사이드킥

사이드킥은 소설에서 영웅의 반대 역할,[5] 다른 관점, 또는 영웅이 갖지 못한 지식이나 기술 등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믹 릴리프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며,[5] 영웅의 코미디 액션에 대한 정극 연기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때로는 관객이 영웅보다 더 쉽게 공감하거나 자신을 투영할 수 있는 캐릭터가 되기도 한다.[4] 또한, 사이드킥은 영웅에게 질문을 하거나 이야기를 나눌 상대를 제공함으로써 작가가 노출을 제공할 기회를 만들어 그리스 합창단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사이드킥은 감정적인 연결 고리 역할을 자주 하는데, 특히 영웅이 무심하고 거리가 멀게 묘사되어 영웅을 좋아하기 어려울 때 더욱 그렇다.[4] 셜록 홈즈는 알기 어려운 인물로 묘사되었지만, 존 왓슨 박사와의 우정은 독자에게 홈즈가 좋은 사람이라는 확신을 준다.

포키 피그대피 덕보다 분별력 있고 침착하며, 산초 판자는 돈 키호테보다 합리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처럼, 많은 사이드킥은 코믹 릴리프를 위해 사용되지만, 일부는 그들이 맹세한 영웅보다 덜 과격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모데스티 블레이즈와 윌리 가빈과 같이 예외도 존재하지만, 캐릭터와 사이드킥이 같은 성별인 것이 일반적이다. 드물지만, 사이드킥이 소위 영웅보다 더 매력적이거나 카리스마, 또는 신체적으로 유능한 경우도 있는데, 네로 울프와 그의 사이드킥 아치 굿윈이 이러한 예시에 해당한다.

프로도 배긴스샘와이즈 갬지, 해리 포터론 위즐리는 소설 속에서 유명한 사이드킥들이다.

소설에서 "사이드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범죄와 싸우는 영웅의 조력자를 지칭하지만, 돈 조반니의 하인 레포렐로처럼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악당들 또한 사이드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대개 덜 뛰어나거나 교활함이 부족한 것으로 묘사된다.

서부극에서 사이드킥은 흔히 등장했으며, SF에서는 외계인 사이드킥이라는 하위 유형이 자리 잡았다. ''크립토 더 슈퍼독''의 스트리키 더 슈퍼캣처럼 영웅적인 사이드킥은 코믹한 휴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때때로 용감하거나 재치 있게 영웅을 끔찍한 운명에서 구출하기도 한다.

악당의 조력자는 보통 하수인, 부하 또는 종자로 불리며, 사이드킥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하지만, 렉스 루터의 머시 그레이브스, 조커의 할리 퀸처럼 일부 악당들은 사이드킥을 가지고 있다.

3. 1. 초기 사례

기록된 가장 오래된 사이드킥은 길가메시 서사시엔키두이다. 엔키두는 길가메시의 맹우이자 파트너이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사이드킥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초기의 문헌 중 하나이며, 다른 초기 사례로는 일리아스아킬레우스파트로클로스, 구약성서의 모세아론이 있다.[10]

3. 2. 탐정 소설

추리 소설에서 탐정의 조수 역할을 하는 인물은 존 H. 왓슨에서 유래하여 '왓슨 역'이라고도 불린다. 셜록 홈즈 시리즈에서 존 왓슨 박사는 홈즈의 괴팍한 성격을 보완하고 독자와 홈즈 사이의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왓슨은 독자에게 홈즈가 선한 인물임을 확신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4]

3. 3. 그 외의 사례

돈키호테의 산초 판자는 주인공 돈키호테의 비현실적인 이상주의와 대비되는 현실적인 인물로, 작품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5] 포키 피그대피 덕보다 분별력 있고 침착하며, 산초 판자는 돈 키호테보다 합리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소설에서 "사이드킥"은 범죄와 싸우는 영웅의 조력자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1787년 오페라에 등장하는 돈 조반니의 하인 레포렐로가 그 예시이다. 악당 또한 사이드킥을 가질 수 있는데, 이들은 대개 덜 뛰어나거나 교활함이 부족한 것으로 묘사된다.

서부극에서는 퍼지 나이트, 알 "퍼지" 세인트 존, 스마일리 버넷, 앤디 데빈과 같은 사이드킥이 등장하여 엉뚱한 행동으로 웃음을 자아냈다.

SF 장르에서는 외계인 사이드킥이라는 하위 유형이 있다. 스타 트렉의 미스터 스팍(제임스 T. 커크 선장의 사이드킥), 스타워즈 오리지널 3부작의 츄바카(한 솔로의 사이드킥)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외부인의 시각에서 인간 사회에 대한 논평을 제공하기도 한다.

크립토 더 슈퍼독의 스트리키 더 슈퍼캣, 건스모크의 맷 딜런의 페스터스 하겐, 지나: 전사의 공주의 가브리엘처럼 영웅적인 사이드킥은 코믹한 휴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영웅을 위기에서 구하기도 한다.

악당의 조력자는 보통 하수인, 부하, 종자로 불리며 사이드킥이라고 불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렉스 루터의 머시 그레이브스, 조커의 할리 퀸, 직쏘의 아만다 영, 샤오 칸의 샹 쏭, 신녹의 콴 치, 3:10 투 유마의 벤 웨이드의 찰리 프린스, 야가미 라이토아마네 미사와 류크, 와리오와루이지, 닥터 에그맨의 오르봇과 큐봇, 매그니토의 미스틱(엑스맨 실사 영화 한정) 등 악당에게도 사이드킥이 있는 경우가 있다.

4. 대중매체 속 사이드킥

사이드킥은 소설에서 영웅의 반대 역할,[5]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거나, 영웅에게 부족한 지식, 기술 등을 보완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코믹 릴리프 역할을 하거나,[5] 영웅의 코믹 액션에 대해 정극 연기자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사이드킥은 관객이 영웅보다 쉽게 공감하고 자신을 투영할 수 있는 캐릭터가 되기도 한다.[4] 영웅에게 질문을 하거나 대화 상대를 제공하여 작가가 이야기를 풀어나갈 기회를 만들고, 그리스 합창단과 같은 역할을 하게 한다.

사이드킥은 감정적인 연결 고리 역할을 자주 한다. 특히 영웅이 무심하고 거리가 멀어 보일 때,[4] 사이드킥은 주인공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영웅을 좋아할 만한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제시한다. 셜록 홈즈는 알기 어려운 인물로 묘사되지만, 존 왓슨 박사와의 우정은 독자에게 홈즈가 좋은 사람이라는 확신을 준다.

일부 코미디 사이드킥의 어리석음은 지적이지 않은 영웅을 똑똑해 보이게 만들기도 한다. 화려하거나 여성스러운 사이드킥은 밋밋한 영웅을 더 남성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강하고 과묵하며 겸손한 영웅은 수다스러운 사이드킥 덕분에 다른 캐릭터와 관객에게 싸움 실력이 드러나기도 한다.

많은 사이드킥은 웃음을 유발하지만, 영웅보다 덜 과격한 사이드킥도 있다. 이때 영웅의 코미디는 사이드킥의 존재나 반응으로 증폭될 수 있다. 포키 피그는 후기 단편 영화에서 대피 덕보다 더 분별력 있고 침착하며, 산초 판자는 돈 키호테보다 더 합리적이다.

캐릭터와 사이드킥은 보통 같은 성별이다. 그렇지 않으면 "사이드킥"이라는 용어 대신 "파트너" 또는 "동료"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3명 이상의 캐릭터 팀이 있는 경우, "사이드킥"은 주로 같은 성별의 다른 팀원에게 사용된다. 캐릭터와 반대 성별의 사이드킥 사이에 낭만적이거나 성적인 뉘앙스가 전혀 없는 경우는 드물지만, 모데스티 블레이즈와 윌리 가빈과 같은 예외도 있다.

드물지만, 사이드킥이 영웅보다 더 매력적이거나, 카리스마 있거나, 신체적으로 유능한 경우도 있다. 이는 영웅의 매력이 성적인 것보다 지적인 쪽에 더 가까울 때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영웅(주로 소설 속 탐정 및 과학자)은 중년 이상이며 괴짜인 경향이 있다. 이들은 나이나 신체적 부적합성 때문에 정신적인 갈등에 국한될 수 있으며, 육체적인 행동은 더 젊거나 신체적으로 더 유능한 사이드킥에게 맡긴다. 이런 사이드킥은 영웅을 가릴 위험이 있어 소설에 거의 등장하지 않지만, 몽크 형사와 그의 사이드킥 샤로나, 마사 경감과 그의 사이드킥 탐정 로비 루이스 경사, 네로 울프와 그의 사이드킥 아치 굿윈과 같은 성공적인 조합도 있다.

그린 호넷의 사이드킥 카토는 (특히 브루스 리가 출연한 1960년대 텔레비전 시리즈 이후) 무술 등 행동에 능숙한 인물로 묘사되었다.

4. 1. 만화

만화에서 사이드킥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슈퍼히어로 장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초기 만화에서 사이드킥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

  • 영웅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 영웅에게 부족한 지식, 기술 등을 제공한다.[5]
  • 코믹 릴리프: 유머를 통해 극의 분위기를 환기한다.[5]
  • 독자와의 연결: 독자가 영웅보다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캐릭터를 제공한다.[4]
  • 이야기 전개: 영웅에게 질문을 하거나 대화 상대를 제공하여 작가가 설정을 설명할 기회를 만든다.[4]


셜록 홈즈와 존 왓슨 박사의 관계처럼, 사이드킥은 영웅의 인간적인 면모를 부각하여 독자가 영웅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돕는다.[4]

1930년대 후반에는 크림슨 어벤저의 사이드킥 윙, 미스터 아메리카의 사이드킥 팻맨 등이 등장했다. 이 외에도 에보니 화이트, 저그헤드, 에타 캔디, 해덕 선장, 오벨릭스 등 다양한 코믹스 사이드킥이 있다.

4. 1. 1. 1930-40년대: 십 대 사이드킥의 등장

1940년, DC 코믹스는 최초의 십 대 사이드킥인 로빈을 선보였다. 로빈은 배트맨 코믹스의 어두운 분위기를 완화하고, 젊은 독자들에게 다크 나이트를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8] 로빈의 즉각적인 인기는 버키, 토로, 샌디 더 골든 보이, 스피디와 같은 수많은 모방 캐릭터들을 낳았다.[9]

4. 1. 2. 1950년대: 사회적 논란

프레드릭 워섬은 그의 저서 ''순수의 유혹''에서 슈퍼히어로와 십 대 사이드킥의 관계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8] 그는 이러한 관계가 숨겨진 프로이트적인 문제를 야기하며, 사이드킥이 영웅과 함께 폭력적인 상황에 참여하는 것은 성적인 의미를 내포한다고 주장했다.[8]

1954년, 워섬의 저서는 청소년 비행에 관한 상원 청문회와 맞물려 만화책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8] 이로 인해 한동안 슈퍼히어로 만화는 인기를 잃었고, 많은 십 대 사이드킥은 잊혀졌다.[8]

4. 1. 3. 1960년대 이후: 사이드킥의 부활과 변화

1960년대 초, 만화의 실버 에이지가 시작되면서 릭 존스, 아쿠아래드, 스내퍼 카, 키드 플래시, 원더 걸 등 새로운 슈퍼히어로 사이드킥들이 등장했다.[8] 1964년에는 사이드킥만으로 구성된 최초의 틴 타이탄 슈퍼히어로 팀이 결성되었다.[8]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의 황금기와 실버 에이지 사이드킥들은 독자적인 영웅으로 성장하거나 이야기 전개상 죽음을 맞이했다.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에도 몇몇 새로운 사이드킥들이 등장했다. 배트맨, 캡틴 아메리카, 플래시와 같은 특정 영웅들은 여러 사이드킥을 거느리는 경향을 보였다.

릭 존스는 여러 영웅들의 사이드킥을 맡은 독특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헐크를 시작으로 캡틴 아메리카(잠시 동안 두 번째 버키가 되기도 했다), 첫 번째 캡틴 마블, 롬 스페이스나이트,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캡틴 마블 (제니스)까지 다양한 영웅들을 도왔다.

4. 2. 영화/드라마

사이드킥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주인공을 보조하고 극에 재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주인공과 대조를 이루어 유머를 담당하거나, 주인공에게 부족한 기술이나 지식을 제공하기도 한다.[5]

사이드킥은 주인공과의 감정적인 연결고리 역할도 한다. 주인공이 냉정할 때, 사이드킥은 주인공을 이해하고 좋아하는 이유를 제공하여 관객이 주인공에게 더 쉽게 다가가도록 돕는다.[4] 셜록 홈즈와 존 왓슨 박사의 우정이 그 예시이다.

코미디 영화나 드라마에서 사이드킥은 웃음을 유발한다. 돈 키호테의 산초 판자처럼 엉뚱한 행동이나 말로 극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서부극에서는 퍼지 나이트, 알 "퍼지" 세인트 존, 스마일리 버넷, 앤디 데빈 등이 익살스러운 사이드킥 연기로 주인공보다 더 긴 경력을 쌓았다.

그린 호넷의 사이드킥 카토(브루스 리 주연)처럼 사이드킥이 주인공을 능가하는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현대 TV 드라마에서는 ''본즈''처럼 사이드킥 '팀'이 등장하여 각자의 전문 분야로 사건 해결을 돕는다. 배트맨의 사이드킥 딕 그레이슨은 나이트윙으로 성장하여 독립적인 영웅이 되기도 했다.

4. 2. 1. SF

SF 장르에서는 외계인 사이드킥이라는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 스타 트렉의 미스터 스팍(제임스 T. 커크 선장의 사이드킥)과 오리지널 ''스타워즈'' 3부작의 츄바카(한 솔로의 사이드킥)는 외계인 사이드킥의 예시이다. 외계인 사이드킥은 인간의 관점을 벗어난 시각에서 사회적 논평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3]

4. 3.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에서 인기 있는 사이드킥의 예로는 요기 베어의 부부 베어, 프레드 플린스톤의 바니 러블, 심슨 가족에서 미스터 번즈의 웨일론 스미더스, 퀵 드로우 맥그로의 바바 루이, 렌 & 스팀피에서 렌 훼크의 스팀피 등이 있다.

1994년 애니메이션 시리즈 ''더 틱''의 일곱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영웅들이 지역 슈퍼히어로 나이트클럽에서 하룻밤을 즐기기로 한다.[1] 하지만 그들이 도착했을 때, 아서는 즉시 클럽 뒤편의 작은 오두막인 사이드킥 라운지로 안내되어 그곳에서 인생에서 두 번째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것을 한탄하며 밤을 보내는 다른 여러 사이드킥들을 만난다.[1]

4. 4. 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에서 사이드킥은 모험 중에 플레이어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984년 4월 ''Computer Gaming World''에서 "독특하다"고 묘사한 ''Planetfall''의 플로이드가 초기 사례이다.[6] 마리오 브라더스에서 루이지는 형 마리오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소닉 더 헤지혹은 종종 사이드킥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와 함께하며, 여자친구 에이미 로즈 역시 크림 더 래빗과 영웅-사이드킥 관계를 맺고 있다. 디디 콩은 동키콩의 사이드킥으로 여겨지며, 메가맨은 로봇견 러시의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키드 이카루스의 피트처럼 비디오 게임 영웅이 혼자 활동하거나, 폭스 맥클라우드처럼 하나의 사이드킥이 아닌 팀의 지원을 받는 경우도 있다.

5. 사이드킥의 역할과 특징

사이드킥은 소설에서 영웅의 반대 역할, 다른 관점, 또는 영웅이 갖지 못한 지식이나 기술을 채워주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5] 이들은 종종 코믹 릴리프 역할을 하며, 웃음을 유발하는 인물로 등장한다.[5] 때로는 주인공의 코믹한 행동에 대해 정극 연기자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사이드킥은 관객이 주인공보다 더 쉽게 공감하거나 자신을 투영할 수 있는 캐릭터로 설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십 대 사이드킥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4] 또한, 사이드킥은 주인공에게 질문을 하거나 이야기를 나눌 상대를 제공함으로써 작가가 노출을 제공하는 기회를 만들어 그리스 합창단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사이드킥은 감정적인 연결 고리 역할을 자주 한다. 특히 주인공이 무심하고 거리가 멀게 묘사되어 쉽게 좋아하기 어려운 특징을 보일 때 더욱 그렇다.[4] 사이드킥은 종종 주인공을 누구보다 잘 알고, 주인공을 좋아할 만한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제공하는 측근이다. 예를 들어, 셜록 홈즈는 알기 어려운 인물로 묘사되지만, 존 왓슨 박사와의 우정은 독자에게 홈즈가 좋은 사람이라는 확신을 준다. Vampire Hunter D의 왼손은 과묵한 주인공과 정신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종종 그의 생각, 감정, 신체 상태뿐만 아니라 이야기의 배경 요소를 드러낸다.

많은 사이드킥은 코믹 릴리프를 위해 사용되지만, 그들이 맹세한 영웅보다 덜 과격한 다른 사이드킥도 있으며, 영웅으로부터 파생된 코미디는 사이드킥의 존재 또는 반응으로 종종 증폭될 수 있다. 포키 피그대피 덕보다 더 분별력 있고 침착하며, 산초 판자는 돈 키호테보다 더 합리적이다.

프로도 배긴스샘와이즈 갬지, 해리 포터론 위즐리는 소설 속에서 유명한 사이드킥들이다.

소설에서 "사이드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범죄와 싸우는 영웅의 조력자를 지칭한다. 하지만 사이드킥은 반드시 범죄와 싸우는 영웅과 함께하는 것은 아니며, 1787년 오페라에 등장하는 돈 조반니의 하인 레포렐로가 그 예시이다. 악당들 또한 사이드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대개 덜 뛰어나거나 교활함이 부족한 것으로 묘사된다.

악당의 조력자는 보통 하수인, 부하 또는 종자로 불리며, 사이드킥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용어상의 관례이기도 하지만, 영웅과 사이드킥의 관계에서 흔히 보이는 우정과 충성심의 유대감을 악당은 거의 갖지 못한다는 점을 반영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idekick definition & meaning https://www.merriam-[...] 2023-09-08
[2] 웹사이트 What's the origin of 'side kick'?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Word Detective http://www.word-dete[...] 1999-12-20
[4] 웹사이트 Evolution of a sidekick, http://www.sffworld.[...] 2002
[5] 뉴스 "Critic's Notebook: Sidekicks are second bananas no more," http://www.latimes.c[...] 2008-05-05
[6] 간행물 Micro-Reviews: Planetfall http://www.cgwmuseum[...] 1984-04
[7] 간행물 "The Spirit's Dead Letters," Warren Publishing 1975-02
[8] 웹사이트 "Snuff, Sidekicks, and the Apocalypse Suite," http://jobseekersofa[...] 2009-08-01
[9] 웹사이트 "She Changed Comics: Pre-Code & Golden Age: Barbara Hall," http://cbldf.org/201[...] 2016-03-04
[10] 웹사이트 "Evolution of a sidekick," http://www.sffworld.[...] 2002
[11] 뉴스 "Critic's Notebook: Sidekicks are second bananas no more," http://www.latimes.c[...] 2008-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