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굼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굼부리는 제주도에 위치한 분화구로, 깊이 약 100m, 지름 600m 이상의 크기를 자랑한다. 한라산 기생 화산의 하나로, 낮은 평지에 커다란 분화구가 형성된 독특한 형태를 보인다. 폭발로 구멍만 깊숙이 패인 마르(Maar)형 분화구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함몰 화구인 피트(Pit)형 분화구로 밝혀졌다. 산굼부리 내부에는 다양한 식물과 동물들이 서식하며, 멸종위기종도 관찰된다. 197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학술적 가치와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분화구 정상에서 망원경으로 내부를 조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 - 우킨렉 마르
- 마르 - 우존산
- 분석구 - 세로네그로산
니카라과의 활화산인 세로네그로산은 1850년 첫 분화 이후 23회 이상 분화하며 폭발적인 분출과 용암류, 화산재, 테프라 낙진 등으로 주변 지역에 토지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해 지속적인 감시와 대비가 필요한 화산이다. - 분석구 - 산베네딕토섬
산베네딕토섬은 멕시코 레비야히헤도 군도의 화산섬으로, 1533년 발견 이후 1952년 화산 폭발을 겪었으나 현재는 바닷새 번식지이자 스쿠버 다이버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 - 측화산 - 송악산 (제주)
송악산은 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응회암 기생화산으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일제강점기 군사기지 및 섯알오름 학살 사건과 같은 역사적 아픔을 간직한 곳이다. - 측화산 - 물영아리오름
물영아리오름은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오름으로, 분화구 습지가 대한민국 최초 습지보호구역 및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으며, 물이 고인 분화구와 영화 촬영지로 유명하고 목가적인 풍경을 자랑한다.
| 산굼부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이름 |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 |
| 로마자 표기 | Jeju Sangumburi Bunhwagu |
|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 263 |
| 지정일 (천연기념물) | 1979년 6월 18일 |
|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166-1 외 5필지 |
| 문화재 정보 (과거) | |
| 종류 | 기념물 |
| 지정 번호 (기념물) | 37 |
| 지정일 (기념물) | 1979년 6월 18일 |
| 해제일 (기념물) | 1979년 8월 21일 |
2. 위치
산굼부리 분화구의 깊이는 약 100m, 지름은 600m가 넘는다.[1] 한라산의 기생화산 분화구로 다른 분화구와 달리 낮은 평지에 커다란 분화구가 생성되어 있어 화구의 모양이 진기하다.
산굼부리는 용암을 거의 분출하지 않고 폭발에 의하여 구멍만 깊숙이 팼으며, 폭발로 인한 물질은 사방으로 던져지고 소량만 주위에 쌓였다. 또한, 화구에 내린 빗물은 화구벽의 현무암 자갈층을 통하여 바다로 흘러나간다.[1]
바깥둘레 2,067m, 안둘레 756m, 높이 100∼146m의 원추형 절벽을 이루는 화구는 바닥넓이만도 약 8,000평이나 된다.[1] 화구 주위의 지면은 높이 400m인 평지이고 화구 남쪽에 높이가 최고 438m인 언덕이 있을 뿐이다.[1]
따라서, 주위의 평지보다 5∼30m 더 높은 것에 불과한 산굼부리분화구는 전혀 높은 화산체를 가지지 않는 화산의 화구임이 특징이다.[1] 분화구의 높이가 낮고 지름과 깊이가 백록담의 화구보다도 더 크지만 물은 고여 있지 않다.[1]
3. 형성 과정 (전해오는 이야기)
이런 화구를 마르(Maar)라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산굼부리가 유일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과 독일에 몇 개 알려져 있었다.[1]
하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산굼부리는 형태는 마르(Maar)이나 함몰되어 생겨진 함몰화구(피트(Pit)형 화구)로 밝혀졌다. 현재 밝혀진 연구로는 제주도 하논분화구가 한국의 유일한 마르(Maar)화구이다.[1][2]
4. 생태
4. 1. 식물상
산굼부리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개족도리풀, 새끼노루귀, 각시족도리풀 등 한국 특산식물과 생달나무, 참식나무, 동백나무, 제주광나무 등 다양한 상록수종이 확인되었다.[2] 개면마, 일엽초 등 고사리류와 남오미자, 새우란 등 총 77과 174종이 확인되었다.[2]
4. 2. 동물상
산굼부리에서는 포유류로 제주등줄쥐, 오소리, 노루 등 3종이 확인되었고, 양서·파충류는 북방산개구리 1종이 확인되었다.[2] 조류는 떼까마귀가 주종을 이루며, 천연기념물 두견이, 팔색조 등 2종 3개체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팔색조와 긴꼬리딱새(삼광조) 등 2종 2개체가 관찰되었다.[2] 곤충류는 총 12목 50과에 속하는 177종이 확인되었고, 그 중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애기뿔쇠똥구리가 확인되었다.[2]
5. 학술적 가치 및 관광
산굼부리는 용암 분출 없이 폭발로 인해 깊숙한 구멍만 남은 형태로, 화구에 내린 빗물은 화구벽의 현무암 자갈층을 통해 바다로 흘러나간다.[1] 이러한 화구를 마르(Maar)라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산굼부리가 유일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과 독일에 몇 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굼부리는 마르(Maar)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제로는 함몰로 인해 생성된 함몰 화구이며,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제주도 하논분화구가 한국의 유일한 마르(Maar) 화구이다.
산굼부리는 평지에 있는 분화구로서 ‘산이 구멍난 부리’라는 뜻처럼 특이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분화구 안에는 원시 상태의 식물 군락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1] 이러한 학술적 가치와 더불어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197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1] 제1횡단도로에서 표선면 성읍리·표선리로 연결되는 도로가 개설, 포장되면서 주요 관광 코스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1]
산굼부리 정상에서는 망원경을 이용하여 분화구를 조망할 수 있다. 망원경을 이용하려면 500원 동전이 필요하다.
6. 최근 연구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는 기존에 알려진 ‘마르(Maar)형 분화구’가 아닌 ‘피트(Pit)형 분화구’로 확인되었다.[2]
참조
[1]
서적
『청음전집(淸陰全集)』,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면암집(勉庵集)』,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73), 『제주도지』(제주도, 1982),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2), 『한라산』(제주산악회, 1984), 『제주도』(제주도, 1985), 『제주도민의 삼무정신(三無精神)』(제주도, 1986), 『제주도문화재 및 유적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 1973), 『한라산천연보호구역학술보고서』(제주도, 1985)
[2]
뉴스
제주시 산굼부리 피트형 함몰분화구로 확인
https://web.archive.[...]
2016-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