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주 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각주 계획은 네덜란드의 라인강, 마스강, 스헬더강 하구 삼각주 지역을 홍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950년대부터 1997년까지 진행된 대규모 치수 사업이다. 1953년 북해 홍수를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댐, 방조제, 수문 등 다양한 시설을 건설하여 네덜란드의 주요 항구 도시와 주변 지역을 보호했다. 이 계획은 '델타 규범'이라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도입하여 홍수 방어에 대한 투자 기준을 제시했으며, 환경 정책의 변화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를 거쳐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댐 - 아프슬라위트데이크
아프슬라위트데이크는 네덜란드 북해 연안을 연결하는 32km 길이의 제방 및 고속도로로, 아이셀호를 담수호로 만들어 홍수를 방지하고 농지를 확보하며 담수 자원을 관리하는 데 기여하는 주데르해 간척 사업의 핵심이다. - 네덜란드의 댐 - 하우트립데이크
- 네덜란드의 제방 - 아프슬라위트데이크
아프슬라위트데이크는 네덜란드 북해 연안을 연결하는 32km 길이의 제방 및 고속도로로, 아이셀호를 담수호로 만들어 홍수를 방지하고 농지를 확보하며 담수 자원을 관리하는 데 기여하는 주데르해 간척 사업의 핵심이다. - 네덜란드의 제방 - 하우트립데이크
- 라인강 - 포더라인강
포더라인강은 스위스 그라우뷘덴주를 관통하며 76km 길이로 흐르는 라인강의 지류이며, 라이헨아우에서 힌터라인과 합류하여 알파인 라인강을 형성한다. - 라인강 - 리히텐슈타인의 국가
리히텐슈타인의 국가는 "오, 젊은 라인 강 위에"라는 제목의 노래로, 라인 강을 기념하고 리히텐슈타인의 미래 발전을 상징하며 영국의 국가와 동일한 멜로디를 공유한다.
삼각주 계획 | |
---|---|
개요 | |
![]() | |
위치 | 네덜란드, 젤란트 주, 남홀란트 주, 북브라반트 주 |
목적 | 해일로부터의 보호 담수 공급 |
상태 | 완료 |
시작 | 1954년 |
완료 | 1997년 |
비용 | 25억 유로 (76억 3천만 네덜란드 길더) |
주요 시설 | |
폭풍 해일 장벽 | 오스터르스헬더 방조제 마슬란트 방조제 하르텔 장벽 |
댐 | 자운드크리크 댐 페르세 가트 댐 브라우어르스 댐 그레벨링겐 댐 폴케라크 댐 하링플리트 댐 헬레가츠 댐 필립스 댐 오스터 댐 마르키자츠카데 |
갑문 | 바츠세 스파위슬루이스 |
역사 | |
배경 | 1953년 북해 홍수 |
법률 | 델타 법 (1958년) |
추가 정보 | |
유지 관리 예산 | 연간 1억 7천만 유로 |
2. 역사적 배경
라인강, 마스강, 스헬더강 하구가 만나는 네덜란드 남서부 삼각주 지대는 역사적으로 수 세기 동안 반복되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어왔다. 1932년 자위더르 간척 사업의 일환으로 아프슬라위트데이크가 완공되어 네덜란드 중앙부의 치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자, 다음 과제로 라인강과 마스강 하구 삼각주 지역의 종합적인 치수 대책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그 여파로 인해 구체적인 계획 실행은 지연되었다.[1][2] 1950년에는 브리엘 근처의 브리엘세 갓과 블라르딩겐 근처의 보틀렉이라는 두 개의 작은 하구 입구를 막는 소규모 조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3]
본격적인 삼각주 계획 추진의 결정적인 계기는 1953년 2월에 발생한 북해 대홍수였다.[1][2] 이 대규모 재해는 네덜란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근본적인 홍수 방어 대책 마련의 시급성을 절감하게 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 정부는 즉시 '델타 계획 위원회'(Deltacommissie)를 설치하여 홍수의 원인을 조사하고 미래의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3][1] 위원회는 기존의 여러 구상들을 검토하고 발전시켜 이후 네덜란드 최대 규모의 치수 사업으로 이어질 '델타 계획'(Deltaplan)의 기초를 마련했다.[3][1]
2. 1. 1953년 북해 대홍수와 델타 계획 위원회
라인강, 마스강, 스헬더강 하구가 만나는 삼각주 지대는 수 세기 동안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겪어왔다. 1932년 자위더르 간척 사업의 일환으로 아프슬라위트데이크가 완공되면서 네덜란드 중앙부의 치수 대책이 어느 정도 진척되자, 다음 과제로 라인강과 마스강 하구 삼각주 지역의 치수 대책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그 여파로 인해 구체적인 계획 실행은 지연되었다. 전쟁 이전인 1950년에는 브리엘 근처의 브리엘세 갓(Brielse Gat)과 블라르딩겐 근처의 보틀렉(Botlek)이라는 두 개의 작은 하구 입구를 댐으로 막는 소규모 조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본격적인 계획 추진의 결정적인 계기는 1953년 2월에 발생한 북해 대홍수였다. 이 대규모 재해 이후, 네덜란드 정부는 홍수의 원인을 조사하고 미래의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델타 계획 위원회'(Deltacommissie)를 즉시 설치했다. 위원회는 기존에 논의되던 여러 계획들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델타 계획'(Deltaplan)이라는 종합적인 치수 계획을 수립했다.
델타 계획의 핵심적인 내용은 스헬더강 동부 지역을 포함한 주요 하구들을 댐이나 방조제로 막아 바닷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내륙 수역에서 필요했던 총 연장 640km에 달하는 제방을 새로 쌓거나 보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 다만, 주요 항구 도시인 로테르담과 벨기에의 안트베르펜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수로는 선박 운항을 위해 막지 않고, 대신 주변 제방을 증축하고 보나 가동 방조제와 같은 구조물을 건설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델타 계획 위원회가 제시한 이 계획은 이후 네덜란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치수 사업으로 이어지는 기초가 되었다.
2. 2. 델타 법과 개념적 프레임워크


삼각주 계획의 중요한 부분은 미래의 홍수로부터 네덜란드를 보호하기 위한 장기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근본적인 연구였다. 과거의 홍수를 분석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어 시설을 구축하는 대신, 델타 계획 위원회는 홍수 방어에 대한 투자의 기준으로 사용할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개척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델타 규범'이라고 불리며, 다음 원칙을 포함한다.
- 홍수로부터 보호해야 할 주요 지역을 식별한다. 이들은 주요 해안 방어 시설의 링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제방 링 지역"이라고 불린다.
- 홍수의 비용은 재산 피해, 생산 손실 및 인명 손실당 주어진 금액을 포함하는 통계적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 이 모델의 목적을 위해 인명은 220.00000000000003만유로(2008년 데이터)로 평가된다.
- 주어진 지역 내에서 심각한 홍수가 발생할 확률을 계산한다. 이는 전용 홍수 시뮬레이션 랩의 데이터와 파도 특성 및 분포에 대한 경험적 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폭풍 행동과 사리 분포도 고려한다.
가장 중요한 "제방 링 지역"은 사우스홀랜드 해안 지역이다. 이곳에는 400만 명이 거주하며, 그들 대부분은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살고 있다. 이곳에서는 북해 폭풍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경고 시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대규모 홍수로 인한 인명 피해가 매우 클 수 있다. 포괄적인 대피는 홀랜드 해안 지역에 대한 현실적인 옵션이 아니다.
위원회는 처음에 국가의 모든 "제방 링"의 완전한 실패에 대한 허용 가능한 위험을 125,000년에 1번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수준의 보호 시설을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지역별 "허용 가능한" 위험은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지역 | 위험 종류 | 허용 빈도 (연 1회) |
---|---|---|
북홀랜드 및 사우스홀랜드 (비에링어메르 제외) | 해안 홍수 | 1/10,000 |
기타 해안 홍수 위험 지역 | 해안 홍수 | 1/4,000 |
고지대-저지대 전환 지역 | 해안 홍수 | 1/2,000 |
사우스홀랜드 | 강 홍수 | 1/1,250 |
기타 강 홍수 위험 지역 | 강 홍수 | 1/250 |
강 홍수는 농지에 장기적인 피해를 입히는 염수 홍수보다 피해가 적다. 강 홍수 위험이 있는 지역에는 더 높은 허용 가능한 위험이 할당되었다. 강 홍수는 또한 더 긴 경고 시간을 가지며, 이벤트당 추정 사망자 수가 더 적다.
이러한 허용 가능한 위험은 델타 법(Deltawetnl)에 명시되었다. 이 법은 정부가 이러한 한계 내에서 치명적인 홍수의 위험을 유지하고, 위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이 필요할 경우 방어 시설을 업그레이드할 것을 요구했다. 이 한계는 2009년 12월 22일부터 시행된 새로운 물 법(Waterwetnl)에도 포함되었다.
델타 계획(델타 계획은 그 일부임)은 이러한 지침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다른 모든 주요 방어 시설은 이 규범을 충족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 해수면 상승에 대한 위험 평가를 높이는 새로운 데이터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10개의 '취약 지점'을 식별했다. 이들은 미래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 최신 업그레이드는 고수위 보호 프로그램에 따라 이루어진다.
2. 3. 지역별 허용 위험 수준
삼각주 계획 위원회는 과거의 홍수 사례 분석을 넘어, 미래의 홍수로부터 네덜란드를 보호하기 위한 장기적인 투자 기준으로 '델타 규범'이라는 개념적 틀을 마련했다.[1] 이 규범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포함한다.- 주요 보호 지역 식별: 홍수로부터 보호해야 할 핵심 지역을 "제방 링 지역"으로 지정한다.
- 홍수 비용 평가: 재산 피해, 생산 손실, 인명 피해 등을 포함하는 통계 모델을 사용한다. 이 모델에서는 인명을 220.00000000000003만유로 (2008년 기준)로 평가한다.[1]
- 홍수 발생 확률 계산: 홍수 시뮬레이션 데이터, 파도 특성, 폭풍 및 사리 분포 통계 등을 활용하여 특정 지역의 심각한 홍수 발생 확률을 계산한다.[1]
특히 사우스홀랜드 해안 지역은 400만 명 이상이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거주하며, 북해 폭풍 발생 시 대피 시간이 짧아 홍수 피해 위험이 매우 큰 지역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포괄적인 대피는 현실적인 대안이 아니었다.[1]
위원회는 초기에 모든 "제방 링" 지역의 완전한 실패 허용 위험도를 125,000년에 1번으로 설정하려 했으나, 막대한 비용 문제로 인해 실현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대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차등적인 허용 위험 수준을 설정했다.[1]
지역 구분 | 허용 위험 수준 (발생 빈도) |
---|---|
해안 홍수 | |
북홀랜드 및 사우스홀랜드 (비에링어메르 제외) | 10,000년에 1번 |
기타 해안 홍수 위험 지역 | 4,000년에 1번 |
고지대-저지대 전환 지역 | 2,000년에 1번 |
강 홍수 | |
사우스홀랜드 | 1,250년에 1번 |
기타 강 홍수 위험 지역 | 250년에 1번 |
라인강, 마스강, 스헬더강 하구 삼각주 지역의 고질적인 홍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3년 북해 홍수를 계기로 삼각주 계획(Deltaplannld)이 수립되었다. 이 계획은 하구부를 댐이나 방조제 등으로 막아 내륙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를 통해 총 640km에 달하는 기존 제방 보강 필요성을 줄였다.
강 홍수는 염수 홍수에 비해 농지 피해가 적고 경고 시간이 길어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 수준이 허용되었다.[1]
이러한 지역별 허용 위험 수준은 델타 법(Deltawetnld)에 명시되었으며, 정부는 이 기준에 맞춰 치명적인 홍수 위험을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방어 시설을 개선할 의무를 지게 되었다. 이 기준은 2009년 12월 22일부터 시행된 새로운 물 법(Waterwetnld)에도 포함되었다.[1][2]
델타 계획은 이러한 지침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다른 주요 방어 시설들도 이 기준을 충족하도록 개선되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위험 평가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를 기반으로 10개의 '취약 지점'을 식별하고 미래의 요구에 맞게 시설을 개선하는 작업이 고수위 보호 프로그램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1][3]
3. 주요 시설
주요 항구인 로테르담과 벨기에 안트베르펜으로 향하는 수로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대신, 주변 제방을 강화하고 필요시 수문을 조절할 수 있는 가동 방조제 등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54년부터 1997년까지 총 13개의 주요 치수 구조물이 건설되었는데, 여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댐, 수문, 방조제 등이 포함된다.
특히 동스헬데 방조제( Oosterscheldekeringnld)는 환경 및 어업 보호를 위해 원래 계획을 수정하여[1], 평상시에는 개방하고 폭풍 해일 시에만 닫는 대규모 가동식 방조제로 건설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외에도 마에슬란트 방조제( Maeslantkeringnld) 등 여러 중요 시설이 포함된다. 1997년 마에슬란트 가동 방조제 완공을 끝으로 삼각주 계획의 주요 시설 건설이 마무리되었다.
3. 1. 방조제 및 댐
라인강, 마스강, 스헬더강 하구가 만나는 삼각주 지대는 수 세기 동안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겪어왔다. 1933년 자위더르 간척 사업의 일환으로 아프슬라위트데이크가 완공되면서 네덜란드 중앙부의 치수 대책이 어느 정도 진척되자, 다음 과제로 라인강과 마스강 하구 삼각주 지역의 종합적인 치수 계획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그 여파로 인해 계획은 잠시 중단되었다.
본격적인 계획 추진의 계기가 된 것은 1953년 발생한 1953년 북해 홍수였다. 이 대규모 홍수 피해 이후, 삼각주 위원회가 구성되어 '델타 계획' (Deltaplannld)을 수립했다. 이 계획의 핵심은 스헬데 동부 지역의 하구들을 방조제나 댐으로 막아 내륙 수역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기존에 필요했던 총 연장 640km에 달하는 제방을 새로 쌓거나 보강하는 대신, 비교적 짧은 길이의 방조제와 댐 건설로 치수 효과를 달성하고자 했다.
다만, 주요 항구 도시인 로테르담과 벨기에의 안트베르펜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수로는 폐쇄하지 않았다. 대신 이 지역에는 유역 제방을 보강하고, 필요시 수문을 개폐할 수 있는 가동 방조제를 건설하는 방식을 택했다.
델타 계획에 따른 주요 방조제 및 댐 건설은 1954년부터 시작되어 1997년까지 이어졌으며, 총 13개의 주요 치수 구조물이 완성되었다. 대표적인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명 | 원어 명칭 | 위치 및 특징 |
---|---|---|
마에슬란트 방조제 | Maeslantkeringnld | 마스강 하구 로테르담 항로 보호, 가동식 방조제 |
하링플리트 수문 | Haringvlietdamnld | 하링플리트만 방조제 및 수문 |
브라우어르스 수문 | Brouwersdamnld | 그레벨링언호와 북해 사이 방조제 및 수문 |
동스헬데 방조제 | Oosterscheldekeringnld | 동스헬데만 방조제, 델타 계획 최대 규모 구조물 |
1997년 마에슬란트 방조제가 마지막으로 완공되면서 델타 계획의 모든 주요 건설 사업이 마무리되었다.
3. 2. 수문
라인강, 마스강, 스헬더강 하구가 만나는 삼각주 지대는 수 세기 동안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겪어왔다. 1932년 자위더르 간척 사업의 일환으로 아프슬라위트데이크가 완공되면서 네덜란드 중부 지역의 치수 대책이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이후 라인강과 마스강 하구 삼각주 지역에 대한 정비 계획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계획 추진은 잠시 중단되었다.본격적인 삼각주 계획 수립의 계기는 1953년 발생한 북해 대홍수였다. 이 재해 이후 위원회가 구성되어 '델타 계획'(Deltaplannl) 초안이 마련되었다. 계획의 핵심은 스헬더강 동부 삼각주 지대의 하구부를 폐쇄하여, 기존에 필요했던 총 연장 640km에 달하는 제방을 추가로 건설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었다. 다만, 주요 항구 도시인 로테르담과 벨기에의 안트베르펜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수로는 폐쇄하지 않고, 대신 해당 유역의 제방을 증축하고 가동 방조제를 건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건설은 1954년부터 시작되어 1997년 마에슬란트 방조제가 완공되면서 총 13곳의 주요 치수 구조물 건설이 모두 마무리되었다.
주요 수문 및 방조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 명칭 | 원어 명칭 | 위치 및 대상 |
---|---|---|
마에슬란트 가동 방조제 | Maeslantkeringnl | 마스강 하구 로테르담 항로 |
하링플리트 수문 | Haringvlietdamnl | 하링플리트 하구 |
브라우어르스 수문 | Brouwersdamnl | 브라우어르스 하구 |
동스헬데 방조제 | Oosterscheldekeringnl | 동스헬데 하구 (계획 최대 규모 구조물) |
3. 3. 가동식 방조제
삼각주 계획의 원래 목표는 대규모 담수호인 Zeeland Lake|제이우세 메르nl를 만드는 것이었다.[1] 하지만 이 계획은 오르스터르스헬더(Oosterschelde) 지역의 염수 생태계를 완전히 파괴하여 굴 채취 등을 불가능하게 만들 심각한 환경 파괴를 일으킬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환경 운동가들과 어부들은 하구 폐쇄를 막기 위해 힘을 합쳤고, 국회는 원래 계획을 수정하도록 설득되었다.정부는 하구를 완전히 막는 대신, 폭풍 해일에 대비해 문을 닫을 수 있는 거대한 가동식 방조제, 즉 폭풍 해일 방벽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방벽은 해수면이 평균 해수면보다 3m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만 닫히도록 설계되었다. 평상시에는 하구 입구가 열려 있어 조수에 따라 염수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이러한 계획 변경으로 인해, 오르스터르스헬더 주변의 약한 제방들을 강화해야 했으며, 총 200km가 넘는 제방에 새로운 호안(護岸) 공사가 필요했다. 또한, 염수의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동부 스헬더와 인접한 하링블리트(Haringvliet) 사이의 연결을 차단해야 했고, 로테르담과 벨기에 안트베르펜 항구 사이의 해상 운송로 확보를 위해 오르스터르스헬더 동쪽에 추가적인 댐과 갑문 건설이 요구되었다.
방벽의 개폐 결정은 환경, 어업, 수자원 관리 시스템 및 주변 제방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진다. 1997년 마에슬란트 방조제(Maeslantkering)가 완공되면서 삼각주 계획에 포함된 13개의 주요 치수 구조물 건설이 모두 마무리되었다.
주요 가동식 방조제 및 관련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명 | 위치 및 특징 |
---|---|
마에슬란트 가동 방조제 (Maeslantkering) | 마스강 하구 로테르담 항로 보호 |
동스헬데 방조제 (Oosterscheldekering) | 삼각주 계획의 최대 규모 구조물, 폭풍 해일 방벽 기능 |
하링플리트 수문 (Haringvlietdam) | 하링블리트 지역 수위 조절 및 담수/염수 관리 |
브라우어르스 수문 (Brouwersdam) | 하링플리트와 동스헬데 사이의 제방 역할 |
4. 환경 정책 및 영향
삼각주 계획은 초기에 환경 문제나 공학 프로젝트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이 설계되었다.[7] 이로 인해 하구의 자연스러운 조수 흐름이 막히고 수질이 변화하는 등 환경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8]
그러나 2008년 이후 계획이 수정되면서, 환경 보호와 자연 시스템 복원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변화하였다.[2] 새로운 통합 수자원 관리 계획은 단순히 홍수 방어를 넘어 수질 개선, 레저 산업 지원, 경제 활동, 해운, 환경 및 자연 보전까지 포괄하는 넓은 목표를 가지게 되었다.[2] 이러한 삼각주 계획의 변화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통합적인 환경 영향 평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4. 1. 환경 정책의 변화
2008년 이후 수정된 삼각주 계획 업데이트에서는 '자연과 함께 건설'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는 제방과 폭풍 해일 방벽으로 둘러싸인 자연 시스템을 복원하고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새로운 통합 수자원 관리 계획은 홍수 방지뿐만 아니라 수질, 레저 산업, 경제 활동, 해운, 환경 및 자연까지 포괄하는 넓은 목표를 가진다.[2] 가능한 경우, 기존의 공학 구조물은 자연 하구와 조류를 복원하는 동시에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 보다 '자연 친화적인' 대안으로 대체될 것이다.[2] 또한, 보강재와 같은 구조물의 구성 요소는 전체 생태계 형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3]개정의 일환으로, 강을 위한 공간 프로젝트는 강바닥을 낮추거나 넓혀 자연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도록 했다.[4] 이를 위해 농업용 범람원은 자연 공원으로 바뀌고, 굴착된 농지는 야생 식생을 위해 사용되며, 새로 굴착된 호수와 우회로는 물고기와 새의 서식지를 만든다.[5] 해안을 따라서는 매년 자연 모래가 추가되어, 심어진 식생이나 호안에 의해 고정되는 대신 모래가 모래 언덕으로 자유롭게 날아갈 수 있도록 한다.[6]
새로운 계획으로 인해 추가 비용이 발생했지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삼각주 계획의 재검토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통합적인 환경 영향 평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4. 2. 환경에 미친 영향
삼각주 계획은 원래 환경 문제나 공학 프로젝트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던 시기에 설계되었다.[7] 이후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삼각주 계획은 과거 환경에 돌이킬 수 없는 여러 영향을 미쳤다. 하구 입구를 막아 홍수 방지 제방의 길이를 줄이는 효과는 있었지만, 수계에는 큰 변화를 가져왔다. 예를 들어, 조수가 사라지면서 바닷물이 민물로 자연스럽게 바뀌는 과정이 원활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동식물에게 피해를 주었다.[8] 또한, 강물이 더 이상 바다로 자유롭게 흘러가지 못하게 되면서 오염된 슬러지가 쌓이는 문제도 발생했다.5. 델타 계획의 현재와 미래
1997년 마스란트케링과 하르텔케링을 포함한 유럽 항만 방벽(Europoortkering) 건설이 완료되면서, 약 40년에 걸쳐 진행된 델타 계획의 주요 시설 건설이 완료되었다.[11]
그러나 기후 변화와 상대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기존 제방들을 지속적으로 보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네덜란드가 바다의 위협에 맞서 벌이는 장기적인 싸움의 연장선상에 있다. 필요한 홍수 방지 수준을 어느 정도로 설정할 것인지와 그에 따른 막대한 비용 문제는 지속적인 사회적 논쟁의 대상이며, 복잡한 의사 결정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1995년에는 '델타 계획 대하천'(Deltaplan Grote Rivieren) 및 강을 위한 공간(Ruimte voor de Rivier)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995년부터 2015년까지 오스테르스헬더와 베스터르스헬더 해안을 따라 약 500km에 달하는 기존 제방 중 홍수 방어 능력이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고 교체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2015년 이후에는 '고수위 방어 프로그램'(Hoogwaterbeschermingsprogramma)을 통해 추가적인 제방 성능 개선 및 보강 작업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11]
2008년 9월, 정치인 케스 페르만(Cees Veerman)이 위원장을 맡은 델타 위원회(Deltacommissie)는 중요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예상되는 미래의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네덜란드가 향후 190년 동안 국가의 홍수 방어 시설을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새로운 건설 프로그램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력히 권고했다.[12] 위원회가 제안한 계획에는 최악의 홍수 시나리오에 대비한 구체적인 주민 대피 계획 수립, 해안 사구의 폭을 넓히는 작업, 그리고 해안 및 강 제방의 추가적인 강화 조치 등이 포함되었다. 위원회는 이러한 미래 대비를 위해 2100년까지 총 1000억유로 (당시 가치로 약 1440억달러) 이상의 막대한 신규 예산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또한, 위원회는 네덜란드가 2100년까지 북해의 해수면이 현재보다 1.3m 상승하고, 2200년까지는 4m까지 상승하는 극한 상황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장기적인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2]
참조
[1]
간행물
The Home-Made Land
https://archive.org/[...]
1961-10
[2]
논문
Dutch coasts in transition
2009-07
[3]
논문
Bouwen met de natuur in de praktijk
2014
[4]
논문
Path-dependency and policy learning in the Dutch delta: toward more resilient flood risk management in the Netherlands?
2016
[5]
논문
A critical approach to some new ideas about the Dutch flood risk system
2015
[6]
웹사이트
Nationaal Waterplan
https://www.rijksove[...]
Ministerie van Infrastructuur en Milieu
[7]
논문
From disaster to Delta Project: the storm flood of 1953.
2003
[8]
서적
Nederland: een natte geschiedenis
Scriptum Publishers
2006
[9]
서적
Adaptation cost in the Netherlands: Climate Change and flood risk management
http://www.climatech[...]
Climate Changes Spatial Planning and Knowledge for Climate
2009
[10]
뉴스
Lessons for U.S. From a Flood-Prone Land
https://www.nytimes.[...]
2018-04-13
[11]
논문
A critical approach to some new ideas about the Dutch flood risk system
2015
[12]
뉴스
Dutch draw up drastic measures to defend coast against rising seas
https://www.nytimes.[...]
2010-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