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자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자주의는 정부, 사용자, 노동자 세 그룹 간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 경제 정책 결정 방식이다. 국제 노동 기구(ILO)는 삼자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유일한 유엔 산하 기구이며, 기준 및 협약 초안 작성 과정에서 이 방식을 활용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 체결과 함께 ILO 총회 대표 의석 배분에서 삼자 구성 원칙이 등장했고, 1944년 필라델피아 선언, 1976년 및 1978년 ILO 조약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ILO의 삼자주의는 노동자와 사용자에게 발언권을 제공하지만, 공식 경제를 주로 대표하며, 세계화 시대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은 ILO 가입 이후 삼자주의 원칙을 받아들여 노사정 협력을 통해 사회, 경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퍼러티즘 - 계급협조론
계급 협조론은 사회 안정, 경제 효율성, 국가 발전을 목표로 사회 계층 간 협력을 강조하는 이론이지만, 노동자 권익 침해 및 불평등 심화 가능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적 대화를 통해 노사정 합의점을 찾는 균형 잡힌 접근이 모색되고 있다. - 코퍼러티즘 - 연대주의
- 공공 정책 - 규제
규제는 사회,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제한을 의미하며, 외부 효과 회피, 정보 비대칭성 해소, 산업 육성 등을 목적으로 명령통제형, 경제적 방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된다. - 공공 정책 - 국유화
국유화는 토지나 기업과 같은 사유 재산을 국가 소유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보상을 원칙으로 하지만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무상 몰수를 주장하기도 한다. - 노동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노동 - 고용
고용은 사용자가 피용자에게 노무를 제공받고 보수를 지급하는 유상 쌍무 계약으로, 민법상 계약의 자유가 보장되나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으며, 계약 내용, 갱신, 해지, 고용보험, 고용 안정 정책, 사회경제적 변화, 각국별 특징 등 다양한 요소와 관련 법률 및 제도를 포함한다.
| 삼자주의 | |
|---|---|
| 개요 | |
| 정의 | 은 영어로 "세 부분으로 나뉨" 또는 "세 당사자로 구성됨"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부, 노동, 자본과 같은 세 주요 그룹 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사회경제적 시스템을 지칭함. |
| 특징 | 각 그룹은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경제 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함. 조합주의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음. |
| 역사 및 이론적 배경 | |
| 기원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고 경제 복구를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전함.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기업국가 모델과 관련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사회적 파트너십과 협력을 강조하는 민주적인 시스템으로 이해됨. |
| 이론적 기반 | 사회적 자본 이론: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와 협력이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믿음에 기반함. 이해 관계자 이론: 기업은 주주뿐만 아니라 노동자, 소비자, 지역 사회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는 관점과 관련됨. |
| 유형 | |
| 자유주의적 조합주의 |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노동조합과 기업 간의 자율적인 협상을 강조함. |
| 사회적 조합주의 |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경제 정책을 조정함. |
| 국가 조합주의 | 정부가 모든 이해 관계자를 대표하며, 강력한 통제력을 행사함. |
| 장점 및 단점 | |
| 장점 | 사회적 안정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음. 노사 분규를 예방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사회적 형평성을 높이고, 빈부 격차를 완화할 수 있음. |
| 단점 | 의사 결정 과정이 복잡하고 느릴 수 있음. 소수 집단의 의견이 무시될 수 있음. 정부의 개입이 지나치면 경제의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음. |
| 관련 개념 | |
| 사회적 시장 경제 | 자유 시장 경제의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을 조화시키려는 경제 체제 |
| 노사정 협의 | 노동자, 사용자, 정부 대표가 모여 경제 및 사회 정책에 대해 협의하는 제도 |
|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 기업이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 |
| 활용 | |
| 국제 노동 기구 (ILO) | ILO는 사회적 대화와 삼자주의를 통해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추구함. |
2. 국제노동기구(ILO)와 삼자주의
국제 노동 기구(ILO)는 삼자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유일한 유엔 산하 기구이다. ILO는 기준 및 협약 초안 작성 과정에서 정부, 사용자, 노동자 세 그룹 간의 토론을 활용한다.[5] 1977년 미국은 공산 국가가 진정한 삼자 대표를 보낼 수 없다는 이유로 ILO에서 탈퇴했으나, 1980년 지미 카터 대통령 시절 회원 자격을 회복하고 ILO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를 설립했다.[6]
2. 1. ILO의 삼자주의 원칙
국제 노동 기구(ILO)는 삼자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유일한 유엔 기구이다. ILO는 기준 및 협약 초안 작성 과정에서 정부, 사용자, 노동자 세 그룹 간의 토론을 활용한다. 또한 ILO 기준을 국내법으로 시행하기 위해, 1976년 삼자 협의 (국제 노동 기준) 협약 당사국은 국가 수준에서 삼자 협의를 거쳐야 한다.[5]삼자 구성의 원칙이 세계에 등장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 후의 전후 처리를 협의하는 평화 회의에서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고, 거기서 정해진 노동 조건의 국제 규제를 위한 상설 기관 (ILO)의 총회에 참석하는 대표의 의석 배분이 정부 2표, 노사 각 1표로 된 데서 시작된다. 이러한 배경에는 전쟁에 기여한 노동자 계급의 발언력 증대가 있었으며, 노동 조합의 국제 회의에서 조약 작성 등에 노동 조합 대표를 참여시킬 것을 요구했다.[7] 이 원칙은 1944년의 필라델피아 선언에서 재확인되었으며, 1976년의 ILO 144호 조약 (국제 노동 기준의 실시를 위한 삼자 협의) 및 1978년의 ILO 150호 조약 (노동 행정)으로 구체화되었다.[8]
2. 2. ILO 삼자주의의 역사
19세기 말, 일부 국가에서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이미 삼자주의 구조를 사용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은 이러한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만들었다. 이 새로운 유형의 분쟁에서 군사적 성공은 국가가 경제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지원하고 더욱 정교한 무기를 구축하는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이는 공동의 산업 노력을 필요로 했다. 기업과 노동은 정책에 참여하고 국가적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해야 했다. 전쟁 동안, 연합국은 기업의 전쟁 기여를 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동조합과 고용주에게 많은 약속을 했다. 영국, 미국 등지에서 노동조합과 고용주가 정부 기관에 참여하도록 초청받았다. 또한, 노동조합은 전쟁 노력의 일환으로 획득한 노동조합 권리를 포기하도록 요청받았으며, 분쟁 이후 이러한 권리가 회복될 것이라는 약속이 있었다. 평화 회의를 위한 노동 제안 초안은 영국 정부에 의해 준비되었으며, 노동 위원회에서 논의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 제안에는 근로자와 고용주 대표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국제 노동 입법 기구의 설립이 포함되었다. 국제 노동 기구(ILO)는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 다른 방법을 세계에 제시했다. 그것은 폭력적인 갈등을 대체하여 더 인도적이고 품위 있는 노동 조건을 확보하기 위한 협상 및 교섭 절차와 기술을 제공했다. 그 과정에서 문제점도 있었지만, 삼자주의는 특히 소련의 약화 시도에도 불구하고 원칙에 대한 성공적인 도전 없이 일반적으로 유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삼자주의의 가치는 필라델피아 선언에서 재확인되었다.[7] 1944년의 필라델피아 선언에서 재확인되었으며, 1976년의 ILO 144호 조약 (국제 노동 기준의 실시를 위한 삼자 협의) 및 1978년의 ILO 150호 조약 (노동 행정)으로 구체화되었다.[8]2. 3. ILO 삼자주의의 실제
노동자와 사용자의 이익을 직접 대표하는 대표자들이 ILO 협의에 참여하는 것은 정부만이 대변인 역할을 하는 조직에서는 재현될 수 없는 경제 현실과의 연관성을 더한다. 노동자와 사용자의 대표가 수행하는 역할은 뚜렷이 다르다. 노동자에게 ILO는 목표를 추구하는 주요 도구이며, 사용자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의제를 가지고 있다. 반면, 사용자는 노동자와 사무국 및 사무총장이 제안한 이니셔티브에 제동을 걸어 성급하다고 생각하거나 기업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늦추는 역할을 자주 한다.ILO는 노동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그들이 제공하는 발언권과 영향력 때문에 가치가 있다. ILO가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놀라운 생존을 한 것을 논의할 때, 삼자주의가 속박이자 구명조끼였다는 점이 강조된다. 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는 "노동자와 사용자의 조직에 부여된 권리는 특히 세계 인권 선언에 명시된 시민 자유에 대한 존중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이러한 시민 자유의 부재는 노동조합의 권리라는 개념에서 모든 의미를 제거한다."라고 밝혔다.
삼자주의는 ILO를 다른 어떤 정부 간 기구보다 시민 사회를 훨씬 더 잘 대표하게 만들지만, 사용자와 노동자 단체는 특히 개발 도상국에서 거대하고 성장하는 비공식 경제보다는 필연적으로 공식 경제를 대표한다. 또한, 많은 산업 국가에서 노동 조합의 조합원 수가 줄어들면서, 공식 부문에서도 이러한 조직의 대표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경우가 많다.
ILO와 그 구성원에게는 삼자 모델을 국가적 틀 밖에서 활동하고 점점 더 다양해지는 목소리와 대표성을 가진 새로운 행위자들이 존재하는 세계화 시대에 적응시키는 것이 과제이다. 예를 들어 아동 노동에 반대하는 활동에서 NGO와의 협력, 의원 및 기타 중요한 행위자와의 대화를 포함하는 몇 가지 수용 조치가 발견되었다. 더 광범위한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3. 한국의 삼자주의
대한민국은 국제노동기구(ILO) 가입 이후 삼자주의 원칙을 받아들여 노사정 간의 협력을 통해 사회, 경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해 왔다.
3. 1. 한국 삼자주의의 도입과 발전
일본에서 삼자 구성 원칙이 처음 도입된 것은 노동조합법 등 관련 법률 제정을 위해 설치된 노무법제심의위원회이다. 이 위원회에서 제정한 노동조합법에는 공익, 노동자, 사용자 대표로 구성된 노동위원회가 규정되었다. 근로기준법에도 근로기준위원회(현 노동정책심의회)가 설치되어 노동 정책 각 분야로 삼자 구성 원칙이 확대되었다. 이후 노동성은 삼자 구성 원칙을 통해 노사 균형을 유지하며 정책을 결정하는 방식을 정착시켰다.[8]참조
[1]
서적
Corporatism and Comparative Politics: The Other Great "Ism"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6-06-24
[2]
웹사이트
tripartite
https://dictionary.c[...]
2021-08-31
[3]
웹사이트
corporate state
https://dictionary.c[...]
2021-08-31
[4]
간행물
European politics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integration and division
Praeger Publishers
2000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Labour Standards on Tripartite consultation
http://www.ilo.org/g[...]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6-04-27
[6]
웹사이트
Brief history and timeline (ILO-Washington)
https://www.ilo.org/[...]
[7]
PDF
ILOの三者構成原則
https://www.ilo.org/[...]
ILO駐日事務所
[8]
PDF
労働立法プロセスと三者構成原則
https://www.jil.go.j[...]
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