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지하철 6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은 2007년 12월 29일 개통된 상하이 지하철의 노선이다. 강청루에서 둥팡체위중신까지 총 33.09km 구간에 28개 역이 운영 중이며, 10호선, 12호선, 13호선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개통 이후 예상보다 빠른 주변 지역 개발과 버스 노선 폐지 등으로 인해 심각한 혼잡 문제를 겪고 있으며, 4량 편성의 C형 열차를 사용하고 있어 수송 능력 확장에 어려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하이 지하철 6호선 - 스지다다오역
스지다다오역은 1999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6년 역명이 변경되었고, 2, 4, 6, 9호선 4개 노선이 환승하는 지하역으로, 상업 시설과 호텔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상하이 지하철 6호선 - 푸뎬루역 (6호선)
푸뎬루역은 여러 버스 노선이 연결된 환승 센터 역할을 하며 3개의 출구가 있다. - 200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200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마드리드 경전철
마드리드 경전철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운영 중인 경전철 시스템으로, 현재 4개의 노선이 마드리드의 여러 지역을 연결하고 있으며, 향후 노선 연장 및 신규 노선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일부는 지연되거나 불확실하다. - 상하이 지하철 노선 - 상하이 지하철 18호선
상하이 지하철 18호선은 상하이 지하철 노선 중 하나로,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개통되었으며 총 26개의 역을 가지고 바오산구, 양푸구, 푸둥 신구를 지난다. - 상하이 지하철 노선 - 상하이 지하철 16호선
상하이 지하철 16호선은 룽양루 역에서 디수이후 역을 잇는 총 연장 58.962km, 13개 역으로 구성된 상하이 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린강 신도시 개발과 주요 관광지 연결에 기여한다.
상하이 지하철 6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이름 | 상하이 지하철 6호선 |
원어 이름 | 上海地铁6号线 |
원어 이름 (언어 코드) | zh |
다른 이름 | L4 (계획된 이름) 푸둥 선 (중국어: 浦东线) 푸둥 경전철 (중국어 간체: 浦东轻轨) 헬로키티 라인 (별명) |
![]() | |
![]() | |
노선 유형 | 도시 철도 고속 수송 |
시스템 | 상하이 지하철 |
상태 | 운영 중 |
위치 | 상하이시 푸둥구, 중국 |
기점 | 강청루 역 |
종점 | 둥팡체위중신 역 |
연결 노선 | 해당 사항 없음 |
역 수 | 28개 |
노선 수 | 해당 사항 없음 |
일일 승객 수 | 520,000명 (2019년 최고 기록) |
착공 | 2002년 10월 31일 |
개통 | 2007년 12월 29일 |
마지막 확장 | 2011년 4월 12일 |
폐쇄 | 해당 사항 없음 |
소유주 | 상하이 궤도 교통 푸둥 선 개발 유한 공사 |
운영자 | 상하이 제4 지하철 운영 유한 공사 |
특징 | 지하 및 고가 |
차량 기지 | 강청루 차량기지, 산린 주차장 |
차량 | 76 편성 C형 4량 열차 |
노선 길이 | 32.318 km |
선로 길이 | 해당 사항 없음 |
선로 수 | 2 |
궤간 |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가공 전차선 (1500 볼트) |
최고 속도 | 80 km/h |
평균 속도 | 30.1 km/h |
신호 시스템 | 탈레스 SelTracTM CBTC |
고도 | 해당 사항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사항 없음 |
![]() | |
![]() | |
노선도 | |
![]() | |
역 목록 | |
차량 정보 | |
차량 종류 | AC14형 또는 AC12형 참조 |
2. 역사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은 2007년 12월 29일 강청루 역에서 링옌난루 역 구간이 처음 개통된 이후 여러 차례 연장 및 개선을 거쳤다.
- 개통 연혁
- 2007년 12월 29일: 강청루 역 - 링옌난루 역 구간(31.1 km) 개통.
- 2011년
- 4월 12일: 지양루 역 사용 개시.
- 5월 7일: 지양루 역을 동방스포츠센터 역으로 역명 변경.
- 운행 개선
- 2013년 8월 30일: 배차 증가로 최단 간격 2분 20초로 단축.[18]
- 2014년
- 3월 28일: 시간표 개정. 평일 낮 시간대 운행 간격 단축 (6분 → 4분 30초), 전 구간 증편. 토·휴일 낮 시간대 주펑루 역 - 가오칭루 역 구간 운행 간격 단축 (5분 → 3분 20초).
- 8월 30일: 시간표 수정.
- 최고 기록
- 2015년 4월 30일: 6호선 일일 승객 430,000명으로 역대 최고 기록.
2. 1. 건설 및 개통
2002년 10월 31일에 착공되었고,[14] 2007년 12월 29일에 강청루 역~링얀난루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4] 2011년 4월 12일에는 링얀난루 역~동방스포츠센터 역 구간이 연장 개업했다.[17] 총 투자액은 약 120억위안이다.
- 2002년 10월 31일: 시험 구간 기공
- 2007년 3월 18일: 알스톰 4량 편성 C형 열차 1차 도입분 도입.[15]
- 2007년 5월 12일: 전 구간 전력 전달 시작
- 2007년 12월 29일: 강청루 역~링얀난루 역 구간 개통
- 2008년 9월 1일: 대, 소교로 운영 방식 실시 (소교로 구간: 주펑루 역~상하이아동의학센터 역)
- 2009년 12월 31일: 대, 소교로 운영 방식 개선 (소교로 구간: 주펑루 역~가오칭루 역)[16]
- 2011년 4월 12일: 지양루 역 연장 개업[17]
- 2011년 5월 7일: 지양루 역이 동방스포츠센터 역으로 개명
- 2013년 8월 30일: 배차 증가 (최단 간격 2분 20초)[18]
- 2015년 4월 30일: 6호선 일일 승객 430,000명으로 역대 최고 기록
구간 | 착공 | 개통 | 길이 | 역 수 | 명칭 | 투자 |
---|---|---|---|---|---|---|
강청루 역 — 링얀난루 역 | 2002년 10월 31일 | 2007년 12월 29일 | 31.1km | 27 | 1단계 | 120억위안 |
링얀난루 역 — 동방스포츠센터 역 | 2011년 4월 12일 | 1.2km | 1 | 8호선 & 11호선 연결 프로젝트 |
2. 2. 혼잡 문제 및 개선 노력
뉴욕 지하철의 렉싱턴 애비뉴 선과 마찬가지로,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은 개통 이후 승객 수가 설계 용량을 지속적으로 초과하여 심각한 서비스 과부하를 유발하고 있다. 6호선 계획은 2000년에 시작되었지만, 노선 개통 이후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노선 주변의 부동산 개발이 이루어졌다. 당시에는 이례적으로 6호선의 대부분 구간이 한 번에 개통되어 노선이 하룻밤 사이에 생겨났다. 6호선 개통으로 기존 버스 노선이 동시에 폐지되거나 우회되면서, 노선 주변 주민들은 철도 운송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개통 당시 모든 차량이 완전히 인도되지 않아 초기 열차 간격이 넓었던 점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6호선은 운행 시간이 비교적 짧아 첫차에 많은 승객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했다.[2] 6호선은 처음 하루 10만 5천 명을 수송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요인들로 인해 운행 초기 며칠 동안의 이용객 수가 하루 15만 명을 넘어섰다.[3]상하이시 정부는 건설 과정에서 명백한 계산 착오를 인지하여 2008년 6월부터 새로운 열차를 추가하고 대기 시간을 단축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6호선은 여전히 극심한 혼잡과 지연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 예상보다 빠르게 승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4] 2012년에는 6호선의 가장 혼잡한 구간이 여전히 133%의 수송률로 운행되었다.[5] 12호선 개통과 함께 상하이 지하철은 혼잡 완화를 위해 승객들에게 새로운 노선으로 우회할 것을 권고했다.[6]
6호선은 4량 편성의 좁은 차체 "C형" 열차를 사용하는 중형 철도 시스템 경전철을 수용하도록 건설되었으며, 다른 상하이 지하철 노선에서 6~8량 편성의 넓은 차체 "A형" 열차와 호환되지 않는다. 이러한 적재 한계의 차이로 인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6호선을 더 높은 수송 능력을 가진 "A형" 열차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특히 지하역의 플랫폼 길이가 늘어난 차량을 수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출근 시간대의 가장 혼잡한 구간은 더핑루 - 세기대로 구간으로, 혼잡률은 130% 이상이었다.[12] 차량은 C형 열차[13]의 4량 편성으로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혼잡 시간대에는 승차 제한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3년 12월 29일에 상하이 지하철 12호선이 부분적으로 개통된 이후 혼잡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
3. 노선 정보
가오차오진(高桥鎭)의 강청루역에서 남쪽 싼린 지구(三林地区)의 둥팡 스포츠센터역까지 영업거리 33.09km(고가구간 12.04km, 지하구간 21.05km)에 28개 역(고가 9개, 지하 19개)이 있다. 가오차오전의 강청루역 인근에는 산린 정차장(三林设停车) 1곳이 있으며, 주펑루역과 스지다다오역 근처에는 주요 변전소가 있고, 유산로(羽山路)와 민성로(民生路) 교차로 근처에 제어 센터가 있다. 총 투자액은 약 120억위안이다. 지하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4] 2007년 12월 29일에 개통했으며, 둥팡 스포츠센터역 구간은 2011년 4월 12일에 개업했다.
- 운영거리: 33.09km
- 역수: 28
- 표준궤간: 1435mm
- 전기방식: 직류 1500V (가선집전 방식)
- 복선구간: 전 노선
- 전철화구간: 전 노선
- 지면구간: 강청루 차량기지~강청루역 서쪽, 화샤시루역 동쪽~산린(三林) 정차장
- 고가구간: 강청루역 서쪽~우롄루역 남쪽
- 지하구간: 우롄루역 남쪽~둥팡 스포츠센터역
상하이시 푸둥 신구 가오차오진의 강청루역에서 남쪽으로 같은 구역의 싼린 지역에 있는 둥팡 스포츠센터역을 연결하며, 총 연장 33.1km에 지하역 19개소, 지상역 9개소를 포함하여 28개 역이 설치되어 있다.
출근 시간대 가장 혼잡한 구간은 더핑루역 - 스지다다오역 구간으로, 혼잡률은 130% 이상이었다.[12] 차량은 C형 열차[13] 4량 편성으로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혼잡 시간대에는 승차 제한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3년 12월 29일 상하이 지하철 12호선이 부분적으로 개통된 이후 혼잡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
4. 차량
6호선은 C형이라고 불리는 차체 폭이 좁은 타입의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열차의 설계 최고 속도는 80km/h이며, 길이는 19.49m(Tc)/19.44m(Mp, M)이고, 폭은 2.6m이다. 4량 편성(견인차 + 2 객차 + 견인차)으로 구성되며, 정원은 210명이다.
상하이 지하철 6호선 차량 | |||||||||
---|---|---|---|---|---|---|---|---|---|
차량 번호 | 제조사 | 제조 시기 | 등급 | 차량 수 | 조립 | 차량 모델 | 번호 | 비고 | |
84 | 알스톰 메트로폴리스와 상하이 전기의 합작 회사인 SATCO | 2007-2009 | C급 객차 | 4 | Tc+Mp+Mp+Tc | 06C01 | 0601-0603 (060011-060121) 0605-0613 (060131-060481) 0615-0623 (060491-060841) | 6호선 | 원 모델: AC12. |
44 | CNR 창춘 철도차량 유한공사 | 2009-2010 | C급 객차 | 4 | Tc+Mp+Mp+Tc | 06C02 | 0625-0633 (060851-061201) 0635-0636 (061211-061281) | 6호선 | [11] 원 모델: AC14A. |
72 | CNR 창춘 철도차량 유한공사 | 2011-2012 | C급 객차 | 4 | Tc+Mp+Mp+Tc | 06C03 | 0637-0643 (061291-061601) 0645-0653 (061611-061921) 0655-0656 (061931-062001) | 6호선 | [11] 원 모델: AC14B. |
104 | CNR 창춘 철도차량 유한공사 | 2018-2020 | C급 객차 | 4 | Tc+Mp+Mp+Tc | 06C04 | 06057-06082 (062011-063041) | 6호선 |
- '''AC12형'''
- 제조 회사: 알스톰(Alstom), 상하이 알스톰 교통 설비 유한공사
- 설계 최고 속도: 80km/h
- 차량 편성: 4량 편성 (제어차 + 2×중간 전동차 + 제어차)
- 치수: 길이 19m, 폭 2.6m
- 정원: 210명
- '''AC14형'''
- 제조 회사: 창춘 궤도 객차
5. 운행 형태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은 상하이시 푸둥 신구 가오차오진의 강청루역에서 남쪽으로 같은 구역의 싼린 지역에 있는 둥팡 스포츠센터역을 연결하며, 총 28개의 역(지하역 19개소, 지상역 9개소)이 설치되어 있다.
출근 시간대의 가장 혼잡한 구간은 더핑루 - 세기대로 구간으로, 혼잡률은 130% 이상이었다.[12] 차량은 C형 열차[13]의 4량 편성으로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혼잡 시간대에는 승차 제한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3년 12월 29일에 상하이 지하철 12호선이 부분적으로 개통된 이후 혼잡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
6호선은 강청루(港城路) - 둥팡티위중신(东方体育中心) 간의 직통 열차와 쥐펑루(巨峰路) - 가오칭루(高青路) 간의 구간 열차, 두 가지 운행 계통이 있다. 계통이 중복되는 쥐펑루 - 가오칭루 구간은 운행 횟수가 많아, 종일 매시 10회 이상이 확보되어 있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최고 피크 시간대에는 쥐펑루 - 가오칭루 간의 가오칭루 방면으로 2분 15초 간격의 고빈도 운행이 이루어진다. 평일 저녁 러시아워, 그리고 토요일, 공휴일 낮 시간대에는 3대 중 2대가 쥐펑루 - 가오칭루 간의 구간 운행이며, 강청루 - 쥐펑루 간과 가오칭루 - 둥팡티위중신 간의 수송력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그 외 시간대에는 두 운행 계통이 원칙적으로 교대로 운행된다.
평일 | ||||
---|---|---|---|---|
시간대 | 시각 | 강청루 - 쥐펑루 | 쥐펑루 - 가오칭루 | 가오칭루 - 둥팡티위중신 |
아침 러시아워 | 7:20 - 8:20 | 쥐펑루 방면: 3분 20초 강청루 방면: 7분 | 가오칭루 방면: 2분 쥐펑루 방면: 3분 | 둥팡티위중신 방면: 4분 강청루 방면: 7분 |
낮 | 8:20 - 17:00 | 9분 | 4분 30초 | 9분 |
저녁 러시아워 | 17:00 - 19:00 | 쥐펑루 방면: 4분 강청루 방면 3분 20초 | 2분 30초 | 7분 30초 |
기타 시간대 | 첫차 - 7:20 19:00 - 막차 | 10분 - 11분 | 5분 - 6분 | 10분 - 11분 |
토요일, 공휴일 | ||||
시간대 | 시각 | 강청루 - 쥐펑루 | 쥐펑루 - 가오칭루 | 가오칭루 - 둥팡티위중신 |
낮 | 8:00 - 21:00 | 10분 | 3분 20초 | 10분 |
기타 시간대 | 첫차 - 8:00 21:00 - 막차 | 10분 - 12분 | 5분 - 6분 | 10분 - 12분 |
6. 역 목록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모든 역은 푸둥 신구에 위치한다.
역명 | 환승 | 역간 거리 (km) | 소재지 | |||
---|---|---|---|---|---|---|
한국어 | 중국어 | 영어 | ||||
강청루 | 10호선 | 0.00 | 0.00 | 푸둥 신구 | ||
와이가오챠오 보세구 북 | 1.62 | 1.62 | ||||
항진루 | 1.54 | 3.16 | ||||
와이가오챠오 보세구 남 | 1.71 | 4.87 | ||||
저우하이루 | 2.04 | 6.91 | ||||
우저우따다오 | 1.08 | 8.00 | ||||
둥징루 | 21호선 (공사중) | 1.32 | 9.32 | |||
주펑루 | 12호선 | 1.11 | 10.43 | |||
우롄루 | 0.96 | 11.39 | ||||
보싱루 | 0.95 | 12.34 | ||||
진챠오루 | 0.86 | 13.20 | ||||
윈산루 | 14호선 | 1.16 | 14.36 | |||
더핑루 | 0.98 | 15.34 | ||||
베이양징루 | 1.33 | 16.67 | ||||
민쉥루 | 18호선 | 0.92 | 17.59 | |||
위안선 스포츠 센터 | 0.91 | 18.50 | ||||
스지따다오 | 2호선, 4호선, 9호선 | 0.93 | 19.43 | |||
푸뎬루 | 1.04 | 20.47 | ||||
란춘루 | 4호선 | 0.96 | 21.43 | |||
상하이 아동 의료 센터 | 1.05 | 22.48 | ||||
린이신춘 | 1.28 | 23.76 | ||||
가오커시루 | 7호선 | 1.18 | 24.94 | |||
둥밍루 | 13호선 | 1.46 | 26.40 | |||
가오칭루 | 1.51 | 27.91 | ||||
화샤시루 | 1.41 | 29.32 | ||||
상하이루 | 0.79 | 30.11 | ||||
링얀난루 | 1.09 | 31.20 | ||||
오리엔탈 스포츠 센터 | 8호선, 11호선, 19호선 (공사중) | 1.53 | 32.73 |
2002년 10월 31일에 착공되어,[14] 2007년 12월 29일에 개통했다. 지양루 역 구간은 2011년 4월 12일에 개통되었다.[9] 총 투자액은 약 120억위안이었다.
출근 시간대 더핑루-스지다다오 구간은 130% 이상의 혼잡률을 보였다.[12] 4량 편성의 C형 열차[13]는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혼잡 시간대에 승차 제한이 이루어졌다. 2013년 12월 29일 상하이 지하철 12호선 개통 이후 혼잡이 다소 완화되었다.
7. 문제점 및 향후 개선 과제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은 개통 이후 승객 수가 설계 용량을 초과하여 지속적인 서비스 과부하를 겪고 있다. 2000년에 계획되었지만, 개통 이후 예상보다 빠른 노선 주변 부동산 개발이 이루어졌고, 기존 버스 노선 폐지 및 우회로 인해 주민들이 철도 운송을 이용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2] 초기 열차 간격이 넓고 운행 시간이 짧아 첫차에 많은 승객이 몰리는 현상도 발생했다.[2]
6호선은 처음 하루 10만 5천 명을 수송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초기 며칠 동안 이용객 수가 하루 15만 명을 넘어섰다.[3] 2008년 6월부터 상하이시 정부는 열차 추가 및 대기 시간 단축을 약속했지만, 6호선은 여전히 혼잡과 지연에 시달리고 있다.[4] 2012년에는 가장 혼잡한 구간의 수송률이 133%에 달했다.[5]
6호선은 4량 편성 "C형" 열차를 사용하는 중형 철도 시스템으로 건설되어, 다른 노선의 6~8량 편성 "A형" 열차와 호환되지 않는다. 적재 한계 차이로 인해 "A형" 열차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며, 지하역 플랫폼 길이도 문제다. 12호선 개통으로 혼잡 완화를 위해 우회를 권고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7. 1. 혼잡 문제
뉴욕 지하철의 렉싱턴 애비뉴 선과 마찬가지로,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은 개통 이후 승객 수가 설계 용량을 지속적으로 초과하여 심각한 서비스 과부하를 유발하고 있다. 6호선 계획은 2000년에 시작되었지만, 노선 개통 이후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노선 주변의 부동산 개발이 이루어졌다. 당시에는 이례적으로 6호선의 대부분 구간이 한 번에 개통되어 30km 길이의 노선이 하룻밤 사이에 생겨났다. 6호선 개통으로 기존 버스 노선이 동시에 폐지되거나 우회되면서, 노선 주변 주민들은 철도 운송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개통 당시 모든 차량이 완전히 인도되지 않아 초기 열차 간격이 넓었던 점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6호선은 운행 시간이 비교적 짧아 첫차에 많은 승객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했다.[2] 6호선은 처음 하루 10만 5천 명을 수송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요인들로 인해 운행 초기 며칠 동안의 이용객 수가 하루 15만 명을 넘어섰다.[3]상하이 시 정부는 건설 과정에서 명백한 계산 착오를 인지하고, 2008년 6월부터 새로운 열차를 추가하고 대기 시간을 단축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6호선은 여전히 극심한 혼잡과 지연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 예상보다 빠르게 승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4] 2012년에는 6호선의 가장 혼잡한 구간이 133%의 수송률로 운행되었다.[5] 12호선 개통과 함께 상하이 지하철은 혼잡 완화를 위해 승객들에게 새로운 노선으로 우회할 것을 권고했다.[6]
6호선은 4량 편성의 좁은 차체 "C형" 열차를 사용하는 중형 철도 시스템 경전철을 수용하도록 건설되었으며, 다른 상하이 지하철 노선에서 사용되는 6~8량 편성의 넓은 차체 "A형" 열차와 호환되지 않는다. 이러한 적재 한계의 차이로 인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6호선을 더 높은 수송 능력을 가진 "A형" 열차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특히 지하역의 플랫폼 길이가 늘어난 차량을 수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출근 시간대의 가장 혼잡한 구간은 더핑루 - 세기대로 구간으로, 혼잡률은 130% 이상이었다.[12] 차량은 C형 열차[13]의 4량 편성으로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혼잡 시간대에는 승차 제한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3년 12월 29일에 상하이 지하철 12호선이 부분적으로 개통된 이후 혼잡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
7. 2. 해결 노력 및 한계
뉴욕 지하철의 렉싱턴 애비뉴 선과 마찬가지로, 상하이 지하철 6호선은 개통 이후 승객 수가 설계 용량을 지속적으로 초과하여 심각한 서비스 과부하를 유발하고 있다. 6호선 계획은 2000년에 시작되었지만, 노선 개통 이후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노선 주변의 부동산 개발이 이루어졌다. 당시에는 이례적으로 6호선의 대부분 구간이 한 번에 개통되어 30km 길이의 노선이 하룻밤 사이에 생겨났다. 6호선 개통으로 기존 버스 노선이 동시에 폐지되거나 우회되면서, 노선 주변 주민들은 철도 운송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개통 당시 모든 차량이 완전히 인도되지 않아 초기 열차 간격이 넓었던 점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6호선은 운행 시간이 비교적 짧아 첫차에 많은 승객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했다.[2] 6호선은 처음 하루 10만 5천 명을 수송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앞서 언급한 요인들로 인해 운행 초기 며칠 동안의 이용객 수가 하루 15만 명을 넘어섰다.[3]건설 과정에서 명백한 계산 착오를 인지한 상하이시 정부는 2008년 6월부터 새로운 열차를 추가하고 대기 시간을 단축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6호선은 여전히 극심한 혼잡과 지연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 예상보다 빠르게 승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4] 2012년에는 6호선의 가장 혼잡한 구간이 여전히 133%의 수송률로 운행되었다.[5] 12호선 개통과 함께 상하이 지하철은 혼잡 완화를 위해 승객들에게 새로운 노선으로 우회할 것을 권고했다.[6]
6호선은 4량 편성의 좁은 차체 "C형" 열차를 사용하는 중형 철도 시스템 경전철을 수용하도록 건설되었으며, 다른 상하이 지하철 노선에서 사용하는 6~8량 편성의 넓은 차체 "A형" 열차와 호환되지 않는다. 이러한 적재 한계의 차이로 인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6호선을 더 높은 수송 능력을 가진 "A형" 열차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특히 지하역의 플랫폼 길이가 늘어난 차량을 수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출근 시간대의 가장 혼잡한 구간은 더핑루 - 세기대로 구간으로, 혼잡률은 130% 이상이었다.[12] 차량은 C형 열차[13]의 4량 편성으로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혼잡 시간대에는 승차 제한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3년 12월 29일에 상하이 지하철 12호선이 부분적으로 개통된 이후 혼잡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
7. 3. 향후 개선 과제
2013년12월 29일 상하이 지하철 12호선 부분 개통 전까지, 출근 시간대 더핑루-세기대로 구간은 혼잡률이 130% 이상으로 매우 혼잡했다.[12] C형 열차[13] 4량 편성으로는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혼잡 시간대에 승차 제한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졌다. 12호선 개통 이후에는 혼잡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Metro breaks records
http://dy.163.com/v2[...]
Shanghai Metro 163 Official
2019-03-09
[2]
뉴스
Four reasons cause the line 6 to be full
https://archive.toda[...]
news365.com.cn
2008-01-03
[3]
웹사이트
客流预测报告做出前内定小型车
http://news.sina.com[...]
Sina
2013-01-27
[4]
웹사이트
轨交拥挤排行榜:"6号线德平路到世纪大道站"最挤
http://xwcb.eastday.[...]
2012-11-22
[5]
웹사이트
地铁限流知识
http://www.shmetro.c[...]
上海地铁运管中心
2013-03-09
[6]
웹사이트
12号线、16号线12月29日起载客试运营
http://www.shmetro.c[...]
上海地铁运管中心
2013-12-28
[7]
웹사이트
zh:乘车指南 > Station信息
http://service.shmet[...]
2015-12-17
[8]
웹사이트
zh:上海地铁6号线将试运营 粉红为车厢主题颜色
http://news.qq.com/a[...]
Tencent (QQ) News
2007-12-26
[9]
웹사이트
zh:济阳路站更名为东方体育中心站
http://roll.sohu.com[...]
Sohu
2011-05-08
[10]
웹사이트
Schedule
http://service.shmet[...]
Shanghai Metro
2021-07-07
[11]
웹사이트
zh:上海地铁6号线车辆
https://www.crrcgc.c[...]
2020-03-20
[12]
뉴스
上海地下鉄3号線・4号線の分離計画、10号線新線もまもなく開通
http://www2.explore.[...]
[13]
문서
19 m車両で、車体幅が2.6 m
[14]
웹인용
上海市轨道交通6号线工程
http://www.mep.gov.c[...]
2018-11-16
[15]
웹인용
沪"海上霞光"列车年底运营 白色车身品红腰带(原载《青年报》)
http://news.cctv.com[...]
cctv.com
2007-08-10
[16]
웹인용
辞旧迎新 轨道交通6、8号线接连增能
http://www.shmetro.c[...]
上海地铁
2009-12-30
[17]
웹인용
4月12日起6、8号线济阳路站投入运营 实现方便换乘
http://www.shmetro.c[...]
上海地铁
2011-04-10
[18]
웹인용
8月30日起6号线小幅增能 最短间隔缩至2分20秒
http://www.shmetro.c[...]
上海地铁
2013-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