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P. 헌팅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뮤얼 P. 헌팅턴은 1927년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정치학자이다. 예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 관계와 정치 발전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군인과 국가', '사회변화중의 정치 질서', '제3의 물결', '문명의 충돌'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민군 관계, 개발도상국의 정치, 민주주의, 문화 간 갈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국제 정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문명의 충돌'은 냉전 이후 세계 질서를 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명이론가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혁명이론가 - 제임스 C. 스콧
제임스 C. 스콧은 1936년에 태어나 2024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인류학자이며, 동남아시아 농민과 국가의 관계, 지배와 저항의 역학을 연구했다. - 스카일러가 - 조지 W. 부시
조지 W. 부시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지사를 거쳐 제43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감세 정책과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응으로 논란을 겪었다. - 스카일러가 - 엘리너 루스벨트
엘리너 루스벨트는 미국의 영부인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서며 인권과 여성 권리 신장에 기여하고 유엔 인권위원회 의장으로서 세계인권선언 초안 작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미국의 정치학자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정치학자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새뮤얼 P. 헌팅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새뮤얼 필립스 헌팅턴 |
출생 | 1927년 4월 18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시 |
사망 | 2008년 12월 24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마서스 비니어드 |
정당 | 민주당 |
배우자 | 낸시 아켈리안 (1957년 결혼) |
학력 | |
학사 | 예일 대학교 |
석사 | 시카고 대학교 |
박사 | 하버드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클라이언트 중심주의: 행정 정치 연구 |
박사 학위 논문 연도 | 1951년 |
영향 받은 인물 |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
분야 | 정치학 국제 관계 |
소속 | 하버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
지도 학생 | 파리드 자카리아 스티븐 피터 로젠 조엘 S. 미그달 스콧 서건 에런 프리드버그 피터 피버 엘리엇 A. 코언 프랜시스 후쿠야마 |
주요 저서 | 변화하는 사회의 정치 질서 (1968년) 문명의 충돌 (1996년) |
주요 사상 | 문명 충돌론 강제적 도시화 대분기 정치적 부패 |
영향을 준 인물 | 프랜시스 후쿠야마 크리스 코바크 제임스 커스 존 미어셰이머 나와프 오바이드 왕후닝 |
2. 유년 생애와 학력
새뮤얼 헌팅턴은 1927년 4월 18일 뉴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호텔 무역 저널 발행인이었고, 어머니는 단편 소설 작가였다.[5][6]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을 계기로 국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세에 예일 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7] 미국 육군에 복무했다. 제대 후 시카고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정군 관계 연구로 1951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23세라는 매우 젊은 나이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0]
1950년부터 1959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나, 테뉴어를 거절당했다.[41] 1959년부터 1962년까지 컬럼비아 대학교 정치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컬럼비아 대학교 전쟁과 평화 연구소 부소장을 겸임했다. 1963년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가 정교수가 되었고, 사망할 때까지 하버드에서 연구하며 가르쳤다. 하버드 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소장, 존 올린 전략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1970년에는 워렌 D. 만셀[42]과 함께 《Foreign Policy紙》를 창간하여 1977년까지 편집자로 활동했다.[43] 1965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10] MIT 세미나 XXI에서 강사로도 활동했다.[15] 2007년 은퇴할 때까지 학부생들을 계속 가르쳤다.
1967년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성 베트남 전쟁 관련 보고서를 집필했고, 대통령 선거에서 닉슨과 경쟁한 휴버트 험프리 후보의 선거 대책 연설 원고를 작성했다.[37] 카터 행정부에서는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안보 계획 조정관(1977-1978)으로 브레진스키 아래에서 근무했으며, 1978년 브레진스키와 함께 미국 연방 비상 관리청(FEMA)을 창설했다.[38]
새뮤얼 헌팅턴은 현실주의를 기반으로 한 보수적인 사상을 가진 국제 정치학자로, 근대화와 그에 따른 사회 변동 및 민주화 이론으로 명성을 쌓았다.
3. 학문적 경력
4. 정치 참여
5. 주요 저서와 주장
1993년 《포린 어페어스》에 발표한 논문 〈문명의 충돌〉은 국제 관계 이론가들 사이에서 큰 논쟁을 일으켰다.[38] 헌팅턴은 이 논문에서 냉전 이후의 세계를 문명에 정체성을 추구하는 여러 국가들의 대립으로 묘사했다. 소련 붕괴 이후 이슬람이 서구 세계 지배의 가장 큰 장애물이 될 것이며, 따라서 서방의 다음 큰 전쟁은 이슬람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46] 이는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말》 테제에 대한 반론이었다.[37]
1996년, 헌팅턴은 〈문명의 충돌〉 논문을 확장하여 《문명의 충돌》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그는 이 책에서 냉전 이후의 갈등이 이념적 차이보다는 문화적 차이 때문에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코소보 분쟁이나 터키의 EU 가입 등 국제적 사례를 들어 문명 간 블록화가 진행되는 세계를 분석했다. 그는 세계 주요 문명을 7개(서구, 라틴 아메리카, 이슬람, 중국, 힌두, 정교, 일본) 및 8번째 가능성(아프리카)로 구분하고, 현재와 미래의 갈등을 이해하려면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국가가 아닌 문명을 전쟁의 원인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구 국가들이 문화적 긴장의 화해 불가능성을 인식하지 못하면 우위를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47]
이러한 주장은 이란의 모하마드 하타미의 문명의 대화나 터키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 스페인의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와 함께 제안한 문명의 동맹 구상에 영향을 미치는 등 세계 각국에서 반향을 일으켰다.
그러나 헌팅턴의 주장은 에마뉘엘 토드와 같은 젊은 문명 연구가들로부터 "국가관이 낡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여러 비평가들은 그의 분류법이 단순하고 자의적이며, 문명 내부의 역동성과 당파적 긴장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엘리트들의 이념 동원과 인구의 미충족된 사회경제적 요구를 간과하고, 현실주의적 관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2]
헌팅턴은 "백악관 정치 고문"으로도 활약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의 정체성 혼란을 그린 《분열하는 미국》 등의 저서를 남겼다.
5. 1. 군인과 국가 (1957)
새뮤얼 P. 헌팅턴은 저서 《군인과 국가: 문민-군사 관계의 이론과 정치》(1957)에서[16] 문민-군사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헌팅턴은 객관적 문민 통제 이론을 제안했는데, 이에 따르면 군대에 대한 통제를 확립하는 최적의 방법은 군대를 전문화하는 것이다.
5. 2. 사회변화중의 정치 질서 (1968)
헌팅턴은 사회가 현대화됨에 따라 더욱 복잡해지고 혼란스러워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사회 현대화 과정이 정치적, 제도적 현대화 과정, 즉 현대화의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정치 기관을 만드는 과정과 일치하지 않으면, 그 결과는 폭력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7]
1970년대, 헌팅턴은 민주주의 정부와 독재 정부 모두의 고문으로 활동했다. 1972년 브라질에서 메디시 정부 대표들을 만났고, 1년 후 "정치적 감압에 대한 접근법"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여 너무 빠른 정치적 자유화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점진적인 자유화와 멕시코의 제도 혁명당을 모델로 한 강력한 정당 국가를 제안했다. 오랜 과도기를 거쳐 브라질은 1985년에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권의 고문이 되어, 그의 정치 질서에 대한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아파르트헤이트를 개혁하고 증가하는 저항을 억누르기 위한 "총력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했다. 그는 남아프리카 통치자들에게 국가의 억압적 권력 강화(당시에는 경찰 폭력, 재판 없는 구금, 고문 등이 포함됨)가 개혁을 실현하는 데 필요할 수 있다고 확신시켰다. 그는 남아프리카 청중들에게 개혁 과정은 종종 "이중성, 기만, 잘못된 가정 및 의도적인 맹목성"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아파르트헤이트를 제거하는 대신 "개혁"하려는 그의 주최측의 계획에 찬성했다.[17]
헌팅턴은 종종 브라질을 성공 사례로 언급하며, 1988년 미국 정치학회 회장 연설에서 그 역할에 대해 언급하면서, 정치학이 "이 과정에서 작은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
5. 3. 제3의 물결 (1991)
헌팅턴은 1991년 저서 《제3의 물결》에서 1974년 포르투갈 혁명을 시작으로 제3의 민주화 물결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이는 유럽,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등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일어난 민주적 전환을 포함하는 세계적인 흐름을 설명한다.[45] 헌팅턴은 이 책으로 1992년 루이빌 대학교 그래마이어 상을 수상했다.
5. 4. 문명의 충돌 (1993, 1996)
헌팅턴은 1993년 ''포린 어페어스''지에 "문명의 충돌?"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국제 관계 이론가들 사이에서 큰 논쟁을 일으켰다.[46] 그는 이 글에서 소련 붕괴 이후 이슬람이 서구의 세계 지배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될 것이며, 따라서 서방의 다음 큰 전쟁은 불가피하게 이슬람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46] 이는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말" 테제와 대조되는 주장이었다.
1996년, 헌팅턴은 "문명의 충돌?"을 확장하여 ''문명의 충돌''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냉전 이후의 갈등이 이념적 차이보다는 문화적 차이 때문에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세계 주요 문명을 7개(서구, 라틴 아메리카, 이슬람, 중국, 힌두, 정교, 일본) 및 8번째 가능성(아프리카)로 구분했다. 그는 현재와 미래의 갈등을 이해하려면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국가가 아닌 문명을 전쟁의 원인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구 국가들이 문화적 긴장의 화해 불가능성을 인식하지 못하면 우위를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47] 그는 "인종 갈등과 문명 충돌의 신흥 세계에서 서구 문화의 보편성에 대한 서구의 믿음은 세 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즉, 그것은 거짓이고, 부도덕하며, 위험하다."라고 강조했다.[47]
하지만 헌팅턴의 주장은 여러 비판을 받았다. 비평가들은 그의 분류법이 단순하고 자의적이며, 문명 내부의 역동성과 당파적 긴장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한, 엘리트들의 이념 동원과 인구의 미충족된 사회경제적 요구를 간과하고, 현실주의적 관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2]
5. 5. 우리는 누구인가-미국의 정체성 도전 (2004)
헌팅턴의 마지막 책 《우리는 누구인가-미국의 정체성 도전》은 2004년 5월에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헌팅턴은 미국의 국가 정체성이 라틴 아메리카계 이민자들의 대규모 이민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문제가 미국을 "두 민족, 두 문화, 두 언어"로 나눌 수 있다고 경고하며, 미국이 이민자들에게 영어를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라틴 아메리카와 이슬람 이민자들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개신교" 정신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48]
그러나 UCLA 공과대학장 게리 M. 세구라는 학술지 '정치관점'의 서평에서 이 책이 분열적인 견해와 수사 때문에 사회과학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헌팅턴의 학문적 지위를 고려할 때 이 책은 학술 저작이 아닌 논쟁적인 글이라고 지적했다.[48]
6. 미국 국립아카데미 논쟁
1986년, 헌팅턴은 국립 과학원 회원으로 지명되었다. 이 지명에 대해 예일 대학교 수학자 세르주 랭은 수학자 닐 코블리츠의 저작에서 영감을 받아 헌팅턴이 수학을 오용하고 사이비 과학에 연루되었다고 비난하며 반대했다.[28] 랭은 헌팅턴이 역사적 기록을 왜곡하고 사이비 수학을 사용하여 자신의 결론을 설득력 있게 보이게 했다고 주장했다.[28] 랭의 반대 운동은 성공하여 헌팅턴은 두 번 지명되었으나 두 번 모두 거부되었다.[28]
헌팅턴이 하버드 대학교 교수이자 하버드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으로서 유명해짐에 따라, 그의 국립 과학원 지명 거부에 대한 언론 보도가 잇따랐으며, 특히 『뉴욕 타임스』와 『뉴 리퍼블릭』에서 다루었다.[29][30] 그의 지지자 중에는 197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허버트 A. 사이먼이 있었다.[31] 사이먼과 코블리츠는 여러 차례 『수학 인텔리전서』에서 논쟁을 벌였으며, 다른 수학자들도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참여했다.[31][32][33][34][35]
7. 저서 목록
- 《군인과 국가 - 민군관계의 이론과 정치》 (1957년)
- 《공동 방위: 국가 정치의 전략적 프로그램》 (1961)
- 《사회변화중의 정치 질서》 (1968년)
- 《미국 정치: 불협화음의 약속》 (1981)
- 《제3의 물결》 (1991)
- 《문명의 충돌》 (1996년)
- 《우리는 누구인가-미국의 정체성 도전》 (2004년)
-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와 공저, 《정치 권력: 미국/소련》 (1964)
- 미셸 크로지어, 와타나키 조지와 공저, 《민주주의의 위기: 민주주의의 통치 가능성에 관하여》 (1975)
참조
[1]
논문
Feliks Karol Koneczny - Droga Kariery Akademickiej (in Polish)
https://bazhum.muzhp[...]
[2]
서적
State Voting Laws in America: Historical Statutes and Their Modern Implications
Palgrave Macmillan
[3]
뉴스
Samuel P. Huntington, 81, Political Scientist, Is Dead
https://www.nytimes.[...]
2015-06-09
[4]
웹사이트
Open Syllabus Project
https://explorer.ope[...]
2023-11-05
[5]
뉴스
Samuel Huntington, Harvard Political Scientist, Dies
Bloomberg News
2008-12-27
[6]
웹사이트
POINTER - Journals - 2009 - Volume 35 Number 1 - Featured Author: Samuel P Huntington
http://www.mindef.go[...]
Mindef.gov.sg
2012-08-17
[7]
웹사이트
Index Record for Samuel Huntington (1927) US, Veterans Affairs Beneficiary Identification Records Locator Subsystem Death File, 1850-2010
2023-11-30
[8]
웹사이트
Samuel Huntington, Albert J. Weatherhead III University Professor
http://www.gov.harva[...]
Department of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2008-12-27
[9]
뉴스
Professor Samuel Huntington author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www.timesonli[...]
2008-12-29
[10]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H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22
[11]
웹사이트
Samuel Huntington, 81, political scientist, scholar | Harvard Gazette
http://news.harvard.[...]
News.harvard.edu
2012-08-17
[12]
논문
Soldiers, States, and Structures: The End of the Cold War and Weakening U.S. Civilian Control
[13]
서적
Civilian Control of the Military: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
논문
An American Crisis in Civilian Control and Civil-Military Relations?
[15]
웹사이트
From the Director: September, 2015
http://semxxi.mit.ed[...]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5-09-01
[16]
웹사이트
Samuel P. Huntington The Soldier And The State :the Theory And Politics Of Civil Military Relations Belknap Press (1957)
https://archive.org/[...]
[17]
서적
Move Your Shadow; South Africa Since 1976: an historical perspective; South Africa: No Turning Back
New York; London
[18]
웹사이트
1992- Samuel Huntington, Herman Daly and John Cobb
http://grawemeyer.or[...]
[19]
뉴스
Nigeria: September 11 And Huntington's Prophecy
http://allafrica.com[...]
2001-09-26
[20]
웹사이트
A Guide to the Work of Samuel Huntington
http://contemporaryt[...]
contemporarythinkers.org
[21]
웹사이트
An Eccentric Tradition: The Paradox of 'Western Values'
http://www.abc.net.a[...]
[22]
논문
Challenging Huntington
[23]
뉴스
Samuel P. Huntington of Harvard Dies at 81
http://thecaucus.blo[...]
The New York Times
2008-12-27
[24]
웹사이트
Testing Huntington in Ukraine
http://www.eurotrib.[...]
European Tribune
[25]
웹사이트
Gary Segura Dean UCLA Luskin School of Public Affairs
https://luskin.ucla.[...]
2019-09-04
[26]
논문
Who Are We? The Challenges to America's National Identity
https://www.cambridg[...]
[27]
뉴스
Davos man's death wis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6-02-03
[28]
서적
Challeng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9]
뉴스
Prominent Harvard Scholar Barred by Science Academ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7-04-29
[30]
간행물
Blood lust in academia: The professor's vendetta
1987-07-27
[31]
논문
A tale of three equations; or the emperors have no clothes
https://doi.org/10.1[...]
1988-12-01
[32]
논문
Reply to unclad emperors
https://doi.org/10.1[...]
1988-12-01
[33]
논문
Opinion
https://doi.org/10.1[...]
1988-03-01
[34]
논문
Unclad emperors: A case of mistaken identity
https://doi.org/10.1[...]
1988-12-01
[35]
논문
Letters to the editor
https://doi.org/10.1[...]
1988-09-01
[36]
뉴스
「文明の衝突」のS・ハンチントン氏が死去
http://jp.reuters.co[...]
2011-02-15
[37]
웹사이트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www.foreignaf[...]
1993-06-01 # Summer로 추정
[38]
웹사이트
U.S. Trade Policy – Economics
http://www.aei.org/i[...]
2007-02-15
[39]
웹인용
하버드 대학교의 새뮤얼 헌팅턴에 대한 소개페이지
https://web.archive.[...]
2008-12-27
[40]
웹인용
Samuel Huntington = 사무엘 헌팅턴
http://www.gov.harva[...]
2020-12-27
[41]
뉴스
Professor Samuel Huntington: author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 사무엘 헌팅턴 교수: 문명의 충돌 저자
https://www.thetimes[...]
THE SUNDAY TIMES
2020-12-27
[42]
문서
Warren Damien Manshel
[43]
웹인용
Samuel Huntington, 81, political scientist, scholar = 사무엘 헌팅턴,81세, 정치학자
https://news.harvard[...]
2020-12-27
[44]
뉴스
Samuel P. Huntington, 81, Political Scientist, Is Dead (Published 2008) = 81세 정치학자 사무엘 헌팅턴 사망
https://www.nytimes.[...]
2020-12-27
[45]
웹인용
1992 - Samuel Huntington, Herman Daly and John Cobb — University of Louisville = 1992 - Samuel Huntington, Herman Daly 및 John Cobb - 루이빌 대학교
http://grawemeyer.or[...]
2020-12-27
[46]
뉴스
Nigeria: September 11 And Huntington's Prophecy = 나이지리아: 9월 11일 헌팅턴의 예언
https://allafrica.co[...]
DAILYTRUST
2001-09-26
[47]
웹인용
A Guide to the Work of Samuel Huntington
https://contemporary[...]
2020-12-27
[48]
저널
Who Are We? The Challenges to America's National Identity
https://www.cambridg[...]
2005-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