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명의 충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명의 충돌》은 새뮤얼 헌팅턴이 1993년 발표한 논문을 바탕으로 한 저서로, 냉전 이후 국제 분쟁이 이념이 아닌 문명의 차이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헌팅턴은 문명을 언어, 역사, 종교, 생활 습관 등으로 정의하며, 서구, 라틴 아메리카, 정교회, 동아시아, 일본, 이슬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문명 등 주요 문명을 분류했다. 그는 문명 간의 차이와 갈등이 세계 정치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서구와 비서구 문명의 관계, 특히 중화 문명과 이슬람 문명의 부상을 강조했다. 헌팅턴의 이론은 다양한 비판을 받았으며, 문명 간 대화 및 문명 간 동맹과 같은 대안적 시각도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책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1996년 책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문명 - 바이킹 시대
    바이킹 시대는 793년 린디스판 수도원 약탈로 시작되어 스칸디나비아 출신 바이킹들이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로 진출하여 약탈, 교역, 정착 활동을 펼쳤으며,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에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왕권 확립과 기독교 정착으로 종결된 시기이다.
  • 문명 -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30년까지 나일강 유역에서 존재하며 강력한 왕권과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를 유지하며 농업, 건축,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된 문화를 이룬 문명이다.
  • 지정학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 지정학 - 완충국
    완충국은 둘 이상의 강대국 사이에서 충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국가 또는 지역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조선 등이, 냉전 시대에는 오스트리아 등이 완충국 역할을 수행했다.
문명의 충돌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문명의 충돌과 세계 질서의 재편
원제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저자새뮤얼 P. 헌팅턴
국가미국
언어영어
출판사사이먼 & 슈스터
출판일1996년
서지 정보
ISBN978-0-684-84441-1
관련 도서
이전 작품제3의 물결
관련 작품문명의 충돌과 21세기의 일본

2. 저자

새뮤얼 헌팅턴은 미국의 보수 학계를 대표하는 정치학자이다. 1993년포린 어페어스》에 발표한 논문 〈문명의 충돌?〉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51] 이 논문은 냉전 이후 시대의 국제 분쟁이 이념이 아닌 문명의 차이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예측하여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2001년 9.11 테러 이후 그의 주장은 더욱 주목받았으며, 저서 《문명의 충돌》은 전 세계 39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7년에 번역 출간되었다.[51]

헌팅턴은 1927년 뉴욕시에서 태어나 18세에 예일 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미 육군에서 복무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23세의 젊은 나이에 교편을 잡았다. 하버드 대학교 존 올린 전략 연구소 소장이었으며, 1977년부터 1978년까지는 미국 국제 안전 보장 회의에서 안전 보장을 담당했다. 주요 연구는 정치, 군사 관련 분야이며, 저서로는 정군 관계에 관한 『군인과 국가』, 정치 변동에 관한 『변혁기 사회의 정치 질서』 등이 있다.

3. 문명의 개념과 특징

헌팅턴은 문명을 광범위한 문화적 묶음으로 정의하며, 언어, 역사, 종교, 생활 습관, 사회 제도, 그리고 주관적인 자기 인식이 문명의 윤곽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그는 세계의 주요 문명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19][2]

문명색상설명
서구 문명8세기에 발생하여, 서방 교회에 의거한 문명권이다. 미국캐나다, 서유럽 및 중앙 유럽, 대부분의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그리고 오세아니아를 포함한다. 19세기부터 20세기는 세계의 중심이었지만, 앞으로 중화, 이슬람권에 대해 수세에 몰릴 것이기 때문에 단결할 필요가 있다.
라틴 아메리카 문명서구 문명과 토착 문화가 융합된 문명으로, 주로 가톨릭에 뿌리내린 문명권이다.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 제외), 중앙 아메리카, 멕시코, 쿠바, 그리고 도미니카 공화국을 포함하며, 서구 문명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정교회 문명16세기에 비잔틴 제국(동로마 제국)을 모체로 발생하여, 정교회에 입각한 문명권이다. 불가리아, 키프로스, 조지아, 그리스, 루마니아, 구 소련과 유고슬라비아의 상당 부분을 포함한다.
동방 세계불교, 이슬람, 대(大)중국, 힌두교, 그리고 일본 문명의 혼합이다.
한족 문화권기원전 15세기경에 발생하여, 유교에 기초한 문명권이며 유교 문명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한국, 싱가포르, 타이완, 그리고 베트남을 포함한다. 이 그룹은 또한 특히 동남아시아와 관련된 중국계 디아스포라를 포함한다. 경제 성장과 군비의 확대, 및 국외 거주 화교 사회의 영향력을 포함하여, 그 세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일본 문명2세기부터 5세기에 중화 문명으로부터 독립하여 성립한 문명권이며, 일본 한 국가만으로 성립하는 고립 문명이다.
불교 문화부탄, 캄보디아, 라오스, 몽골, 미얀마, 스리랑카, 그리고 태국불교 지역은 다른 문명과 구별되지만, 헌팅턴은 이들이 국제 관계에서 주요 문명을 구성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힌두 문명기원전 20세기 이후에 인도 아대륙에서 발생한 힌두교를 기반으로 하는 문명권이다. 주로 인도네팔에 위치하며, 전 세계 인도 디아스포라가 문화적으로 따르고 있다.
이슬람 세계7세기부터 나타난 이슬람교를 기초로 하는 문명권이며, 그 전략적 위치나 인구 증가의 경향, 석유 자원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대(大)중동 (아르메니아, 키프로스, 에티오피아, 조지아, 이스라엘, 몰타, 남수단 제외), 북부 서아프리카, 알바니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 브루나이, 코모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몰디브, 그리고 필리핀 남서부 일부를 포함한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문명남부 아프리카, 중부 아프리카(차드 제외),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코모로, 모리셔스, 케냐탄자니아의 스와힐리 해안 제외), 카보베르데, 가나,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그리고 시에라리온에 위치해 있다. 헌팅턴은 이를 여덟 번째 문명으로 간주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기타에티오피아아이티는 "주요" 문명 중 하나에 속하지 않고, "고립된" 국가로 분류된다. 이스라엘은 자체 문명을 가진 독특한 국가로 간주될 수 있는데, 헌팅턴은 이것이 서구와 매우 유사하다고 썼다. 헌팅턴은 또한 영어를 사용하는 카리브해, 즉 카리브해의 구 영국 식민지가 별개의 실체를 구성한다고 믿는다.




4. 문명 충돌의 원인과 양상

헌팅턴은 문명 간의 차이가 충돌의 근본 원인이라고 보았다. 그는 문명이 역사, 언어, 문화, 전통, 그리고 특히 종교와 같이 쉽게 변하지 않는 요소들로 구분되며, 이러한 차이가 갈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세계화로 인해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문명 간의 차이점이 더 부각되고, 경제 현대화와 사회 변화로 인해 지역 정체성이 약화되는 대신 종교가 그 자리를 메우면서 문명 간의 결속력이 강화된다고 보았다. 서구의 힘이 커지면서 비서구 문명들이 전통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문화적 특성과 차이는 정치, 경제적인 것보다 타협하기 어렵기 때문에 갈등이 심화된다고 주장했다.[21]

헌팅턴은 문명 간 갈등이 "단층선 갈등"과 "핵심 국가 갈등"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단층선 갈등은 서로 다른 문명에 속한 국가나, 다른 문명 출신 인구가 섞여 사는 국가 내에서 발생하는 국지적인 분쟁이다. 반면 핵심 국가 갈등은 서로 다른 문명의 주도 국가들 간에 벌어지는 세계적인 수준의 갈등이다. 이러한 갈등은 힘의 불균형, 차별, 다른 문명에 대한 가치 강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22]

5. 서구와 비서구 문명의 관계

헌팅턴은 미래 세계 정치의 중심 축이 서구 문명과 비서구 문명의 갈등, 즉 "서구와 나머지"의 갈등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21] 그는 비서구 문명이 서구 국가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

# 비서구 국가는 자국의 가치를 보존하고 서구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고립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헌팅턴은 이러한 행동의 대가가 크며 소수의 국가만이 이를 추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밴드왜건" 이론에 따르면, 비서구 국가는 서구의 가치에 동참하고 이를 수용할 수 있다.

# 비서구 국가는 근대화를 통해 서구 세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그들은 경제적/군사적 힘을 키우고 자국의 가치와 제도를 보존하면서 서구를 상대로 다른 비서구 국가와 협력할 수 있다.

헌팅턴은 특히 중화 문명과 이슬람 문명을 "도전자 문명"으로 규정하고, 이들이 서구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정치적 권력 이동을 주도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중국이 이란, 파키스탄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중국-이슬람 연대"를 구축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이슬람 문명이 중국과 잠재적인 동맹국이 될 수 있다고 보았는데, 둘 다 수정주의적 목표를 가지고 있고 서구와 공통의 갈등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무기 확산, 인권, 민주주의 분야에서 중국과 이슬람의 공통된 이해관계가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헌팅턴은 러시아, 일본, 인도를 '스윙 문명'으로 분류하여 어느 편도 선호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러시아는 남쪽 국경의 이슬람 민족 집단과 충돌하지만, 이란과 협력하여 남부 지역의 이슬람-정교회 폭력을 피하고 석유 흐름을 유지한다고 분석했다.

5. 1. 중화 문명과 한국

헌팅턴은 동아시아의 중화 문명이 급속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서구에 비해 문화적으로 자신과 가치를 주장하고 있다고 보았다. 특히 그는 중국의 목표가 지역 패권을 재주장하는 것이며, 유교적 중화 문명에 내재된 위계적 지휘 구조로 인해 한국과 베트남 같은 지역 강국들이 중국의 요구에 순응하고 더 지지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18]

더불어민주당은 중국과의 관계에서 실리 외교를 추구하며, 경제 협력과 문화 교류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헌팅턴이 예측한 중화 문명의 부상과 맥락을 같이 한다. 다만, 헌팅턴은 중국의 부상이 동아시아에서 지역 패권 부재에 대한 미국의 열망과 중국 문화적 주장의 충돌로 인해 서구에 가장 강력한 장기적 위협 중 하나를 제기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18]

6. 비판과 반론

헌팅턴의 이론은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비판받아 왔다.[24][25][26][27] 정치학자 폴 머스그레이브는 『문명의 충돌』이 "정책 입안자들에게 인기가 있지만, 국제 관계 전문가 중 이를 신뢰하거나 긍정적으로 인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28]

학자 아마르티아 센은 "다양성은 세계 대부분 문화의 특징"이라며 헌팅턴의 주장을 비판했다.[29] 에드워드 사이드는 헌팅턴이 문화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생략한다고 비판했고,[32] 노엄 촘스키는 이 개념을 미국이 새로운 명분을 찾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34] 유발 하라리는 문명의 충돌을 오해의 소지가 있는 테제라고 불렀다.[35]

네이선 J. 로빈슨은 헌팅턴의 주장이 일관성이 없다고 비판하면서, 헌팅턴에 따르면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가톨릭교도 다수인 스페인은 서방이지만,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가톨릭교도 다수인 멕시코는 서방 문명의 일부가 아니"라고 지적한다.[36]

엠마누엘 토드는 종교나 표면적인 문화만으로 문명을 구분해서는 안 된다며 헌팅턴의 여러 문명에 대한 고찰에 반론을 제기했다.[47][48] 다나카 사토루는 이라크 전쟁 등이 헌팅턴의 예측이라기보다는, 패권 운영의 기획서가 아닌가 하고 주장했다.[49] 도카이 대학 문화사회학부 교수인 하루타 하루오는 "'문명의 충돌'이라는 책은 제 머릿속에서는 '신의 지문'과 거의 동렬에 위치"한다고 소감을 밝혔다.[50]

7. 결론 및 전망

헌팅턴은 냉전 종식 이후 새롭게 나타난 세계 질서에서 가장 심각한 위협은 주요 문명 간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문명의 충돌이라고 경고한다. 그는 세계 주요 문명의 핵심 국가들이 개입하는 세계 전쟁 발발 위험성은 부정할 수 없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단층선 전쟁은 처음에는 한 국가만 관련되어 있더라도, 그 이익은 필연적으로 문명 전체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헌팅턴은 문명 충돌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핵심 국가들이 다른 문명의 단층선 전쟁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불간섭 규칙과 함께, 문명의 핵심 국가들이 협상하여 자신이 속한 문명의 단층선 전쟁이 확대되는 것을 막는 공동 조정 규칙을 평화의 조건으로 제시한다.[43][44]

또한 헌팅턴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재 불평등한 문명의 정치적 지위를 평등하게 바로잡고, 서구 문명과 비서구 문명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과 정책은 현재 상황에서 실현하기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팅턴은 세계 평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문명에 기반한 새로운 정치 질서가 필요하다고 결론 내린다.[45]

참조

[1] 논문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s://www.jstor.or[...] 1993
[2] 웹사이트 gbse.com.my http://gbse.com.my/v[...] 2023-09-09
[3] 서적 Contemporary Politics and Social Movements in an Isolated World: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IGI Global 2021-10-29
[4] 서적 Anthropology Now and Next: Essays in Honor of Ulf Hannerz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4-10-01
[5] 서적 The Two Witnesses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2014-11-22
[6] 서적 A Quarter Century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5-11
[7] 간행물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s://www.foreigna[...] 1993
[8] 뉴스 WashingtonPost.com: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https://www.washingt[...]
[9] 웹사이트 Page non trouvée {{!}} INA http://www.ina.fr/au[...] 2015-07-14
[10] 웹사이트 "Some recollections from my acquaintance with Sita Ram Goel", ch.6 of K. Elst, ed.: India's Only Communalist, In Commemoration of Sita Ram Goel https://www.academia[...] 2022-10-23
[11] 서적 Hinduism and secularism: After Ayodhya Palgrave 2001
[12] 뉴스 The Roots of Muslim Rage https://www.theatlan[...] 1990-09
[13] 서적 Première guerre civilisationnelle https://books.google[...] Toubkal 1992
[14] 서적 The Clash of Civilizations 1996
[15] 서적 La psychologie musulmane Robert Laffont 1931
[16] 웹사이트 Civilizations, their nature and clash possibilities (c) Rashad Mehbal... http://www.slideshar[...] 2010-10-30
[17] 서적 Cultures in world affai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8] 웹사이트 THE WORLD OF CIVILIZATIONS: POST-1990 http://s02.middlebur[...]
[19] 웹사이트 Summary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https://www.beyondin[...] 2016-06-15
[20] 웹사이트 "western christianity" "western world"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c[...] 2017-09-09
[21] 서적 The Clash of Civilizations? Wiley-Blackwell 2012
[22] 서적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Simon $ Schuster
[23] 웹사이트 Bağış: Fransa'nın tutumunda değişimin başladığını görüyoruz | AB ve Türkiye | EurActiv.com.tr http://www.euractiv.[...]
[24] 논문 Paradigm Lost: Huntington's Unfulfilled Clash of Civilizations Prediction into the 21st Century
[25] 논문 Was Huntington Right? Testing Cultural Legacies and the Civilization Border
[26] 논문 Clear and Present Strangers: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International Conflict
[27] 논문 Clash of Civilizations, or Realism and Liberalism Déjà Vu? Some Evidence http://www.svt.ntnu.[...]
[28] 웹사이트 H-Diplo/ISSF Teaching Roundtable 11-6 on The Clash of Civilizations in the IR Classroom {{!}} H-Diplo {{!}} H-Net https://networks.h-n[...] 2019-11-07
[29] 논문 Democracy as a Universal Value
[30] 서적 Terror and Liberalism W W Norton & Company
[31] 서적 History of the Present Penguin
[32] 뉴스 The Clash of Ignorance https://www.thenatio[...] 2001-10
[33] 서적 From Oslo to Iraq and the Road Map Pantheon
[34] Youtube Noam Chomsky on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s://www.youtube.[...] 2007-03-02
[35] 서적 21 lessons for the 21st century
[36] 뉴스 The "Clash of Civilizations" Thesis Is Still Ignorant Nonsense https://www.currenta[...] 2024-10-15
[37] 서적 A Comparative History of Greece and Turkey in the 20th century / Συγκριτική Ἱστορία Ἑλλάδος καί Τουρκίας στόν 20ό αἰῶνα / Yırmı Asırda Karşılaştırmalı Türk-Yunan Tarihi Hestia / Türk Dünyası Araştırmaları Dergisi
[38] 강연 Kulturelles Selbstverständnis und Koexistenz: Voraussetzungen für einen fundamentalen Dialog (Cultural Identity and Co-existence: Preconditions for a Fundamental Dialogue) Arbeitsgemeinschaft für Wissenschaft und Politik 1972-10-19
[39] 편지 http://i-p-o.org/Koe[...] 1972-09-26
[40] 웹사이트 Dialogue 2001 http://www.unesco.or[...] 2007-05-24
[41] 웹사이트 About http://www.dialoguec[...] 2007-05-24
[42] 웹사이트 Dialogue Among Civilizations | United Nations University https://archive.unu.[...] 2022-10-23
[43] PDF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gbse.com.my/v[...]
[44] 웹사이트 The Clash of Civilizations? http://www.foreignaf[...]
[45] 웹사이트 U.S. Trade Policy – Economics http://www.aei.org/i[...] 2007-02-15
[46] 웹사이트 The World of Civilization http://s02.middlebur[...] 2008-12-15
[47] 저널 EU の将来と日本の役割 —国際紛争に直面して 藤原書店
[48] 문서 에마뉘엘 토드의 구세계와 신세계 문명의 충돌
[49] 웹사이트 「戦争」はアメリカをもっと不幸にする https://tanakanews.c[...] 田中宇の国際ニュース解説 2022-10-08
[50] 웹사이트 [超短評]ハンチントン『文明の衝突』 http://www.hum.u-tok[...] 東京大学 2022-10-08
[51] 웹인용 The World of Civilizations https://web.archive.[...] 2008-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