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잡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우잡이는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나탄티아목에 속하는 새우를 포함한 수상새아목의 새우를 잡는 어업을 의미한다. 새우잡이는 수 세기 동안 이루어져 왔으며, 저인망 어업 기술 발달과 디젤 엔진 선박의 등장으로 규모가 확대되었다. 미국에서는 게 어업 다음으로 중요한 어업이며, 전 세계적으로 300여 종의 새우가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새우잡이는 냉수, 온수, 젓새우 어업으로 구분되며, 부수어획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상새아목 - 벚꽃새우
벚꽃새우는 붉은 색소로 분홍색을 띠는 4~5cm의 작은 새우로, 일본 스루가 만과 대만 등 일부 지역에 서식하며 플랑크톤을 먹고 살고, 독특한 풍미와 식감으로 요리에 활용되지만, 최근 어획량 감소와 원산지 위조 논란을 겪고 있다. - 수상새아목 - 젓새우상과
젓새우상과는 새우아목에 속하며 창새우과와 젓새우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 생이하목 - 큰징거미새우
큰징거미새우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동남아시아에서 식량 자원으로 양식되는 대형 담수 새우로, 수컷은 다형 현상을 나타내고 하천 하류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동물이다. - 생이하목 - 줄새우
줄새우는 몸에 흑갈색 띠 무늬가 있는 새우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담수역에 서식하고 낚시 미끼나 식용으로 이용되며, 야행성으로 수생 동물 포식 및 동족 포식을 하고, 오키나와에서도 발견된다. - 어업 - 어업권
어업권은 어업 활동을 할 수 있는 권리로, 대한민국, 서구, 일본 등 국가별로 구분되며, 공법상의 권리이지만 수산업법에 따라 민법상 물권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어업 - 어촌
어촌은 어업을 주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로, 고립된 해안 지역에 자연 항구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어획물 하역 및 어선 보관 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최근에는 관광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기도 했다.
새우잡이 | |
---|---|
새우잡이 | |
개요 | |
정의 | 새우를 잡는 어업 활동 |
어업 방식 | |
주요 어획 방법 | 저인망 어업 새우 트롤 어선을 이용한 어획 |
기타 어획 방법 | 자망 통발 새우 양식을 통한 생산 |
어획 대상 | |
주요 어종 | 흰다리새우 보리새우 대하 꽃새우 |
기타 어종 | 다양한 종류의 새우 및 징거미새우 포함 |
지역별 새우잡이 | |
주요 생산 지역 | 동남아시아 중국 인도 대한민국 미국 유럽 |
한국의 새우잡이 | 서해 남해 동해 새우젓 생산을 위한 젓새우 어획 |
경제적 중요성 | |
주요 용도 | 식용 새우젓 등 젓갈 생산 양식 어종의 사료 |
환경 문제 | |
문제점 | 남획 해양 생태계 파괴 혼획 문제 |
해결 노력 |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 도입 노력 총허용어획량 설정 어구 규제 |
2. 명명법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새우'라는 용어는 이전에 나탄티아목에 속했던, 생이하목과, 보리새우상과와 젓새우상과로 구성된 수상새아목의 모든 새우를 포함한다.[22] 이 명칭은 지역마다 다르게 쓰이는 경우가 흔한데, 같은 종이 다른 이름으로, 다른 종이 같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23]
소규모의 새우잡이는 수 세기 동안 행해져 왔으며 전 세계 새우잡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해 왔다.[24] 새우에 대한 소규모 지역 어업은 수 세기 동안 존재해 왔으며, 세계 새우 어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3] 오터 보드와 증기 동력 선박의 도입은 어업 규모를 증가시켰다.[3] 저인망 어업의 규모는 물의 흐름으로 저인망 그물 입구를 여는 전개판과 초기 인력 선박을 대체한 증기선의 발명으로 증가했다.[24] 이 두 기술은 1880년대에 발명되어 새우잡이에 적용되었다. 특히 노르웨이 해양생물학자 요한 욜트의 연구가 뒤따랐다.[24][3] 시간이 지나면서, 5m~8m 크기의 조각배는 디젤 엔진이 달린 갑판이 있는 선박으로 대체되었고, 크기는 평균 18m에 달했다.[25][4]
미국에서 새우잡이는 게 잡이보다는 중요성이 떨어진다. 미국 북부에서는 찬 물에 서식하는 새우가, 남동부의 대서양 해안가와 멕시코만에서는 따뜻한 물에 서식하는 새우가 어획의 대상이 된다.[26][5] 어획량의 대부분은 따뜻한 물에서 서식하는 새우가 차지하지만, 주로 양식이 차지하는 수입량에 비하면 작다.[26][5] 이는 국제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어떤 미국의 어부들이 브라질, 중국, 에콰도르, 인도, 태국, 베트남과 같은 나라들을 미국의 시장에 덤핑한 혐의로 고발하였으며, 어떤 생산국은 이러한 고발에 맞서 세계 무역 기구에 미국을 공정하지 않은 세금의 추가부과 혐의로 고발했다.[27][6]
새우는 전 세계의 다양한 종류의 수계에서 서식한다. 상업적으로 중요한 새우 종은 3000종 중에서 300종도 채 되지 않는다. 어획량은 6개의 "종 항목"이 주도하며, 이들은 다 합쳐 전 세계 어획량의 82%를 차지한다.[31] 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3. 역사
4. 규모와 분포
5. 어업종
학명 FAO 명칭 2005년 어획량 (t) 전체 비율 Natantian Decapoda nei 887688 26.0% Acetes japonicus 아키아미 새우 664716 19.5%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남방 거친 새우 429605 12.6% Pandalus borealis 북극 새우 376908 11.0% Penaeus spp. Penaeus 새우 nei 230297 6.7% Penaeus monodon 대왕 흰다리새우 218027 6.4%
새우잡이는 크게 냉수, 온수, 젓새우잡이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각각 넓게는 분류학적으로 보리새우상과, 생이하목, 젓새우상과로 분류된다.[23]
5. 1. 젓새우잡이
어부들은 젓새우속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을 언제나 일일이 구분하지는 않지만, 집단적으로는 전 세계에서 제일 거대한 새우 어장을 형성한다.[36]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에서도 젓새우속을 어획하지만, 대부분 중국에서 어획된다.[36] 총어획량은 잘 기록되지 않지만, 2005년에는 664,716 톤으로 집계되었다.[36]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젓새우속 어업이 무게 기준으로 갈치, 멸치, 갈고등어 다음으로 네 번째로 큰 어업이다.[36]
5. 2. 온수 새우잡이
따뜻한 물에서 서식하는 새우의 어업은 주로 몇 가지 종만을 목표로 하며,[32] 일반적으로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새우에 적용되는 복잡한 모델보다는 단위노력당 어획량(CPUE)의 관점에서 관리한다.[33] 서방흰새우, 북방갈새우, ''Farfantepenaeus duorarum''이 주가 되는 따뜻한 물에 서식하는 새우는 미국에서 새우 어획량의 85% 이상을 차지하며, 멕시코만과 그 근방에서 잡힌다.[34] 부수어획은 따뜻한 물에서 서식하는 새우를 잡을 때 심각한 문제가 되며, 부주의한 바다거북의 포획이 제일 문제가 된다.[35]
5. 3. 냉수 새우잡이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새우 종 중 상업적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전체 새우 어획량의 12%를 차지하는 북쪽분홍새우이다.[36][37] 어획량의 70%가량이 캐나다와 그린란드에서 어획된다.[36] 찬 물에서 서식하는 새우의 가격은 새우 양식의 증가로 인해 1990년대부터 줄어들어왔다.[38]
찬물에서 서식하는 새우 어획의 경우 부수어획은 일반적으로 잘 관리되며, 부수어획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고,[28] 바다거북이 잡히는 일은 드물다.[39] 부수어획을 줄인 일등공신은 노르뫼레 격자의 사용인데,[40] 새우 저인망에 잡히는 대구, 해덕, 검정가자미, redfish의 숫자를 줄여준다.[41] 노르뫼레 격자는 노르웨이의 어부 Paul Brattøy가 새우를 잡을 때 해파리가 섞이는 일을 없애기 위해 발명했고, 1989년에 도입되었다.[40] 이로 인해 새우 어획량이 약간 줄어들지만, 부수어획량을 97%까지 줄일 수 있다.[40]
통발을 사용하는 찬물 새우 어업의 경우, 부수어획량의 대부분은 스쿼트 랍스터, 게, 연체동물, 극피동물 등의 무척추동물이 차지한다.[42]
6. 논란
새우잡이는 부수어획 비중이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논란이 있다. 1980년대 부수어획 감소 기구가 발명되기 전, 새우잡이 어업의 부수어획 비율(어획량 중 목표하지 않는 종류와 목표하는 종류의 비율)은 4.5–5.3:1이었다.[28] 부수어획 감소 기구 도입 이후, 이 비율은 30%가량 줄었다.[28] 또한, 새우잡이는 다른 상업적인 어업보다 바다거북을 더 많이 포획하는 경향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29]
1980년대 혼획 저감 장치가 도입되기 전에는 새우잡이 어업의 혼획 비율(목표 어종 어획량에 대한 비목표 어종 어획량 비율)이 4.5–5.3:1이었다.[7] 혼획 저감 장치 도입 후 혼획 비율은 최대 30%까지 감소했지만,[7] 여전히 다른 상업 어업보다 바다거북을 더 많이 포획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8]
참조
[1]
서적
Gillett (2008), p. 5
[2]
서적
Gillett (2008), p. 26
[3]
서적
Gillett (2008), p. 9
[4]
서적
Gillett (2008), p. 10
[5]
서적
Gillett (2008), p. 19
[6]
서적
Gillett (2008), p. 41
[7]
서적
Gillett (2008), p. 46
[8]
서적
Hillestad et al. (1982) Cited in Gillett (2008), p. 50
[9]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10]
서적
Gillett (2008), p. 25
[11]
서적
Gillett (2008), p. 118
[12]
서적
Gillett (2008), p. 85
[13]
서적
Gillett (2008), p. 47
[14]
서적
Gillett (2008), p. 49
[15]
서적
Gillett (2008), p. 27
[16]
서적
Gillett (2008), p. 28
[17]
서적
Gillett (2008), p. 38
[18]
서적
Gillett (2008), p. 52
[19]
서적
Gillett (2008), p. 60
[20]
서적
Gillett (2008), p. 53
[21]
서적
Gillett (2008), p. 55
[22]
서적
Gillett (2008), p. 5
[23]
서적
Gillett (2008), p. 26
[24]
서적
Gillett (2008), p. 9
[25]
서적
Gillett (2008), p. 10
[26]
서적
Gillett (2008), p. 19
[27]
서적
Gillett (2008), p. 41
[28]
서적
Gillett (2008), p. 46
[29]
서적
Hillestad et al. (1982) Cited in Gillett (2008), p. 50
[30]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31]
서적
Gillett (2008), p. 25
[32]
서적
Gillett (2008), p. 118
[33]
서적
Gillett (2008), p. 85
[34]
서적
Gillett (2008), p. 47
[35]
서적
Gillett (2008), p. 49
[36]
서적
Gillett (2008)
[37]
서적
Gillett (2008)
[38]
서적
Gillett (2008)
[39]
서적
Gillett (2008)
[40]
서적
Gillett (2008)
[41]
서적
Gillett (2008)
[42]
서적
Gillett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