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강나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강나무속(Lindera)은 스웨덴 의사 요한 린더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상록수 또는 낙엽수의 나무나 관목 속이다. 잎은 어긋나고 향기를 가지며, 자웅이주로 수분은 곤충에 의해 이루어진다. 열매는 핵과이며 씨앗을 포함하고, 주로 새에 의해 흩어진다. 생강나무속은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약 100종이 존재한다. 일부 종은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칸나비디올 관련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나무과 - 아보카도
    아보카도는 멕시코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녹나무과 아보카도나무의 배 모양 열매로, 높은 지방 함량과 영양가로 인해 '숲의 버터'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지만, 최근 재배로 인한 환경 및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녹나무과 - 월계수
    월계수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잎은 향신료로, 잎과 열매는 약용으로 사용되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고, 요리, 약용,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나무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 나무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생강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Lindera melissifolia
Lindera melissifolia
학명Lindera
명명자Thunb.
명명 연도1783년
이명Benzoin Boerh. ex Schaeff.
Daphnidium Nees
Iteadaphne Blume
Parabenzoin Nakai
Sinosassafras H.W.Li
분류
식물계
문 (계통 미분류)피자식물군
강 (계통 미분류)목련군
녹나무목
녹나무과
크로모지속
속의 영어 이름spicebush (스파이스부시)
속의 일본어 이름크로모지속
속의 한국어 이름생강나무속
하위 분류
본문 참조

2. 명칭

라틴어 이름인 ''Lindera''는 스웨덴 의사 요한 린더(1676–1724)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3]

3. 특징

''생강나무''


'''생강나무속'''(Lindera)은 상록수 또는 낙엽수 나무 또는 관목이다.[2] 잎은 어긋나며, 밋밋하거나 세 갈래로 갈라지며, 강한 향기를 지닌다. 자웅이주로, 수꽃과 암꽃이 다른 나무에 핀다. 꽃차례는 3~15개의 작은 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짜 산형으로 존재한다. 꽃자루가 없거나 짧은 가지에 달린다. 꽃은 녹색에서 흰색, 연녹황색 또는 황색을 띠며, 여섯 개의 꽃덮이가 별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2] 수꽃은 9~15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안쪽의 수술은 수술샘 기저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은 씨방보다 길며, 씨방은 두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쪽 또는 옆쪽으로 향한다. 흔적기관인 씨방은 미미하거나 없다. 꽃의 기부는 작고 평평하다. 암꽃은 다양한 수의 헛수술을 가지고 있다. 수분은 과 다른 곤충에 의해 이루어진다. 열매는 열매 기부에 과대(果臺)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열매의 아랫부분을 감싸는 컵을 형성한다.[2] 열매는 작고 붉은색, 자주색 또는 검은색의 핵과이며, 하나의 씨앗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새에 의해 흩어진다. 많은 종이 포복경에 의해 영양 번식을 한다.

4. 분포

생강나무속은 물이 충분히 공급되는 한 다양한 서식지에서 자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식지 단편화는 Lindera melissifolia(폰드베리)와 같은 자웅이주 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단일 성별의 식물 개체군은 영양 번식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서식지가 크게 손실되면서 식물은 더욱 고립되고, 수분 매개체가 수컷에서 암컷 식물로 이동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대부분은 오래된 모래 언덕 지대의 얕은 계절성 연못 바닥과 가장자리에서 발견되지만, 건조한 지역에서는 낮은 강변 서식지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Lindera'' 군락은 숲 캐노피 아래의 약한 그늘에서 발생하지만, 일부는 거의 완전한 햇빛 속에서 자란다. 따뜻한 지역에서는 저지대 활엽수림에서 발생한다.

북미의 ''Lindera'' 종은 원래 북미의 기후가 더 습했을 때 더 흔했던 잔존물이며, 과거만큼 지리적으로 널리 분포하지 않는다.

방울새는 ''L. melissifolia'' 종자의 분산 매개체로 확인되었다.[4]

''Lindera'' 종은 애벌레를 포함한 일부 나비목 종의 유충과 The engrailed 및 스파이스부시 제비나비의 식물로 사용된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1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일본에는 10종 정도가 알려져 있지만, 검은말채나무와 검은말채나무는 변이가 커서 종종 동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5. 주요 종

이름설명
Lindera aggregata
Lindera akoensis
Lindera angustifolia
Lindera benzoin미국산 생강나무(common spicebush), 벤자민 부시(Benjamin bush)
Lindera chienii
Lindera chunii
Lindera citriodora
Lindera communis
Lindera doniana
Lindera erythrocarpa
Lindera flavinervia
Lindera floribunda
Lindera foveolata
Lindera fragrans
Lindera glauca
Lindera gracilipes
Lindera guangxiensis
Lindera kariensis
Lindera kwangtungensis
Lindera latifolia
Lindera limprichtii
Lindera longipedunculata
Lindera lungshengensis
Lindera megaphylla
Lindera melissifolia남부 생강나무(southern spicebush)
Lindera metcalfiana
Lindera monghaiensis
Lindera motuoensis
Lindera nacusua
Lindera neesiana
Lindera obtusiloba
Lindera praecox
Lindera prattii
Lindera pulcherrima
Lindera reflexa
Lindera reticulosa
Lindera robusta
Lindera rubronervia
Lindera setchuenensis
Lindera strychnifolia
Lindera subcoriacea습지 생강나무(bog spicebush)
Lindera supracostata
Lindera thomsonii
Lindera tienchuanensis
Lindera tonkinensis
Lindera triloba
Lindera umbellata
Lindera villipes
Lindera wrayi



아시아를 중심으로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1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일본에는 10종 정도가 알려져 있지만, 검은말채나무는 변이가 커서 종종 동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름설명
댕강나무(Lindera aggregata)
납매(Lindera akoensis)
가는잎생강나무(Lindera angustifolia)
아오모지(Lindera citriodora)
타이완생강나무(Lindera communis)
오키나와생강나무(Lindera communis var. okinawensis)
가락잎나무(Lindera erythrocarpa)
생강나무(Lindera glauca)
히메크로모지(Lindera lancea)
오오바코우바시(Lindera megaphylla)
단풍나무(Lindera obtusiloba)
생강나무(Lindera praecox)
털조장나무(Lindera sericea)
시로모지(Lindera triloba)
검은모지(Lindera umbellata)


6. 이용

일부 종의 껍질, 잔가지, 잎은 차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열매도 때때로 사용되었다. 어린 껍질은 씹어서 갈증을 해소할 수 있다.[5]

생강나무칸나비디올과 구조적으로 관련된 린데라틴, 메틸린데라틴 및 린데라칼콘을 함유하고 있다.[6] 녹나무속에는 방향성 성분을 가진 종류가 많으며, 녹나무에서는 녹나무 기름이, 빈랑나무에서는 천태오약이 채취되어 모두 한약으로 이용된다.

참조

[1] Flora 1. Lindera Thunberg http://www.efloras.o[...]
[2] Flora 5. Lindera Thunberg http://www.efloras.o[...]
[3] 서적 The A to Z of plant names https://archive.org/[...] Timber Press
[4] 논문 Hermit Thrush is the First Observed Dispersal Agent for Pondberry (Lindera melissifolia) http://dx.doi.org/10[...] 2004-03
[5] 서적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6] 논문 Two flavonoids from two ''Lindera umbellata'' varieties https://linkinghub.e[...] 198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