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강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강나무는 이른 봄에 노란 꽃을 피우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키는 2~3m 정도이며 숲에서 자란다. 중국,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며,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3갈래로 갈라지기도 하고, 9월에 녹색에서 흑색으로 변하는 열매를 맺는다. 열매로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으로 사용했으며, 타박상 치료에도 쓰였다. 최근에는 알레르기 질환 치료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정원수, 목재, 씨앗 기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에 등장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삼주의 식물상 - 삼채
    삼채(*Allium hookeri*)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서 재배되는 식용 식물로, 대한민국에서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아삼주의 식물상 - 참빗살나무
    참빗살나무는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잎이 마주나고 가을 단풍과 붉은 열매가 아름다우며, 예로부터 활, 세공재, 빗 등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 1851년 기재된 식물 - 부들
    부들은 여러해살이 풀로 돗자리나 방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수질 정화 능력으로 습지 복원 사업에도 활용되며, 뉴질랜드 마오리족은 부들을 라우포라고 부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1851년 기재된 식물 - 갈참나무
    한국 전역에 자생하는 갈참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잎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으며, 5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도토리가 열려 목재와 씨앗 모두 활용된다.
  • 티베트의 식물상 - 삼채
    삼채(*Allium hookeri*)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서 재배되는 식용 식물로, 대한민국에서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티베트의 식물상 - 포멜로
    포멜로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감귤류 과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감귤류 잡종의 조상이고, 신맛이 적고 단맛과 향이 있는 과육은 생과일이나 가공품으로 섭취되지만, 일부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생강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본 당단풍 잎
일본 당단풍 잎
크로모지속
당단풍
학명Lindera obtusiloba Blume
명명자Blume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단코우바이
학명Lindera obtusiloba Blume (1851)
이명Lindera obtusiloba Blume f. villosa (Blume) T.B.Lee
Lindera obtusiloba Blume f. quinqueloba (Uyeki) T.B.Lee
품종Lindera obtusiloba Blume f. ovata (Nakai) T.B.Lee (마루바단코우바이)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생강나무
학명_명명Blume, 1851

2. 생태

겨울에 잎이 지는 떨기나무다. 키는 2~3m쯤 되며 숲에서 자란다. 이른 봄에 산 속에서 가장 먼저 노란 꽃을 피운다. 꽃은 3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고 꽃자루가 짧아 가지에 촘촘히 붙어 있다. 꽃이 필 때 짙은 향내가 난다.[9] 잎은 어긋나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길이 5~15cm, 너비 4~13cm로 꽤 큰데, 끝이 크게 3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잎맥은 3주맥이다. 산수유나무도 비슷한 시기에 거의 같은 모습으로 꽃을 피우는데, 생강나무 꽃보다 산수유나무 꽃의 꽃자루가 약간 더 길고 생강나무는 꽃을 피운 줄기 끝이 녹색이고 산수유나무는 갈색이다. 콩알만한 둥근 열매가 9월에 녹색-황색-홍색-흑색으로 변하면서 익는다.

2. 1. 분포 및 서식지

생강나무는 중국, 한반도, 일본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혼슈 (니가타현, 간토 지방 이서), 시코쿠, 큐슈에 분포한다.[9] 산지의 잡목림 내나 숲 가장자리의 밝은 곳에 자생한다. 식재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정원에도 심어진다.

2. 2. 특징

생강나무는 겨울에 잎이 지는 떨기나무로, 키는 2~3m쯤 되며 숲에서 자란다. 이른 봄에 산 속에서 가장 먼저 노란 꽃을 피우는데, 3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는 꽃은 꽃자루가 짧아 가지에 촘촘히 붙어 있고 짙은 향내가 난다.[9] 산수유나무도 비슷한 시기에 거의 같은 모습으로 꽃을 피우는데, 생강나무 꽃보다 산수유나무 꽃의 꽃자루가 약간 더 길고 생강나무는 꽃을 피운 줄기 끝이 녹색이고 산수유나무는 갈색이다.

낙엽활엽수의 관목에서 소교목으로, 다 자란 나무는 키가 2 - 7미터(m)이며, 줄기지름은 약 18센티미터(cm)이다. 수피는 짙은 회색에서 갈색을 띠며 매끄럽지만, 피목이 많아 약간 거친 느낌이 든다. 작은 가지는 햇볕이 잘 드는 면은 붉은 기를 띠고, 그늘진 쪽은 녹색을 띠는 경우가 많으며, 가지를 꺾으면 향기가 난다.

개화기는 3 - 4월이다. 암수딴그루로, 수나무가 암나무보다 꽃의 수가 많다. 잎이 돋아나기 전에 향기가 있는 노란색 작은 꽃을 산형화서에 많이 달린다.[9] 수꽃과 암꽃의 꽃잎은 6개로 타원형이며[9], 수꽃의 수술의 꽃밥에 1쌍의 밀선이 있다. 꽃차례의 자루는 길이 1밀리미터(mm) 정도이다.

은 어긋나기하며,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폭이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는 5 - 15 cm, 폭은 4 - 13 cm이며[9], 기부가 넓고 둥글며 끝이 얕게 3갈래로 갈라지는 것이 기본이지만,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다. 잎의 질감은 약간 두껍고, 표면은 윤기가 없는 녹색이며, 어린잎의 뒷면에는 털이 나있다. 잎에 따라 갈라짐에 상당히 개체차가 있어, 갈라지지 않는 잎도 있다.[9] 잎도 비비면 약간의 향기가 난다. 가을이 되면 잎은 황엽으로 선명한 노란색으로 물들고, 이윽고 낙엽진다. 생강나무의 잎처럼 얕게 3개로 갈라지는 잎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잎의 모양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결실기는 9 - 10월이다. 열매는 녹나무 열매를 조금 크게 한 듯한 광택이 있는 구형으로, 지름은 7 - 8 mm 정도이며, 처음에는 붉은색이지만 가을의 황엽 시기에 익어 검은 자줏빛으로 변한다. 종자는 옅은 갈색에서 갈색을 띠며 강한 향이 난다.

겨울눈은 어긋나기하며, 잎눈은 장타원형이고, 꽃눈은 거의 구형이다. 인편은 적갈색이며 꽃눈은 2 - 3개, 잎눈은 4 - 5개 있다. 낙엽 즈음에는 내년 봄의 꽃눈이 잎겨드랑이에 생겨 싹으로 월동한다. 잎자국은 반원형이며, 관다발 흔적이 3개 있다.

3. 쓰임새

동백 기름처럼 열매로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으로 썼다.

타박상으로 어혈이 맺히거나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생강나무 수 추출물은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비만 세포 유래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비염,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4]

이 식물은 항히스타민 화합물인 코아부라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정원수로 이용된다.[9] 목재는 향기가 있어, 이쑤시개나 세공품에 사용한다. 씨앗에서는 기름을 얻을 수 있다. 열매에는 향기 좋은 유분이 있어, 조선에서는 씨앗의 기름을 고급 머릿기름으로 사용했다.[10]

3. 1. 현대적 이용

생강나무 수 추출물은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비만 세포 유래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비염, 천식 및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4] 이 식물은 항히스타민 화합물인 코아부라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생강나무는 정원수로 이용된다.[9] 목재는 향기가 있어, 이쑤시개나 세공품에 사용한다. 씨앗에서는 기름을 얻을 수 있다. 열매에는 향기 좋은 유분이 있어, 조선에서는 씨앗의 기름을 고급 머릿기름으로 사용했다.[10]

4. 품종

고로쇠생강나무(''L. obtusiloba'' for. ''quinquelobum'' Uyeki), 둥근잎생강나무(''L. obtusiloba'' for. ''ovata'' T.B.Lee), 털생강나무(''L. obtusiloba'' for. ''villosum'' Nakai)가 있다.

5. 문화

5. 1. 문학 속의 생강나무

김유정의 단편 소설 〈동백꽃〉의 동백은 생강나무이다. 빨간 동백나무 꽃과 달리 ‘노란 동백꽃’이라고 되어 있고, ‘알싸한’ 냄새가 풍기는 데서 생강나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설 속에서 주인공은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란 동백꽃 속으로 폭 파묻혀 버렸다.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에 나는 땅이 꺼지는 듯이 온 정신이 고만 아찔하였다.'고 묘사된다.

5. 2. 보전 상태

다음의 일본 도도부현에서 레드 리스트 지정을 받고 있다.[11]

참조

[1]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2]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Lindera obtusiloba'' http://apps.rhs.org.[...] 2013-06-26
[3]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3-22
[4] 논문 Suppression of mast-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by Lindera obtusiloba.
[5] 웹사이트 Lindera obtusiloba Blume https://www.gbif.org[...] 2022-03-27
[6] 웹사이트 Lindera obtusiloba Blume f. villosa (Blume) T.B.Lee https://www.gbif.org[...] 2022-03-27
[7] 웹사이트 Lindera obtusiloba Blume f. quinqueloba (Uyeki) T.B.Lee https://www.gbif.org[...] 2022-03-27
[8] 웹사이트 Lindera obtusiloba Blume f. ovata (Nakai) T.B.Lee https://www.gbif.org[...] 2022-03-27
[9] 서적 樹皮・葉でわかる樹木図鑑
[10] 서적 続・日本の樹木 中央公論新社 2006-02-25
[11]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ダンコウバイ」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11-29
[12] 웹사이트 福岡県の希少野生生物 RED DATA BOOK FUKUOKA 2011 http://www.fihes.pre[...] 福岡県 2012-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