샬마네세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샬마네세르 1세는 기원전 1263년에 왕위에 오른 아시리아의 왕으로, 아다드-니라리 1세의 아들이다. 즉위 후 우라르투의 반란을 진압하고 하닐갈바트 지역을 정복하려 했으며, 북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람족을 상대로 일련의 원정을 수행했다. 킬리키아 일부를 아시리아에 병합하고 카파도키아에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미탄니 제국을 아시리아의 주로 편입시켰다. 그는 또한 건축 활동을 통해 아슈르 신전을 재건하고 칼후에 제2 왕궁을 건설했으며, 아수르와 니네베에 왕궁을 세우고 님루드 도시를 설립했다. 히타이트와 바빌로니아의 견제를 받았지만, 샬마네세르 1세는 바빌로니아에서 승리했다. 그의 뒤는 아들 투쿨티 니누르타 1세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3세기 사망 - 와사샤타
와사샤타는 기원전 1370년경 미탄니 왕국의 왕으로, 아시리아의 독립 시도와 내부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시리아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히타이트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미탄니의 독립성을 잃고 쇠퇴하게 된 인물이다. - 기원전 13세기 사망 - 아다드-니라리
아다드-니라리 1세는 기원전 1307년부터 기원전 1275년까지 아시리아를 통치한 왕으로, 주변 민족을 정복하고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했으며, 히타이트 왕과 외교 서한을 주고받으며 건축 사업을 진행했다. - 기원전 13세기 통치자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13세기 통치자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아시리아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샬마네세르 1세 | |
---|---|
기본 정보 | |
칭호 | 아시리아의 왕 모든 사람들의 왕 |
통치 기간 | 기원전 1273년–1244년 |
이전 통치자 | 아다드-니라리 1세 |
다음 통치자 | 투쿨티-니누르타 1세 |
아버지 | 아다드-니라리 1세 |
왕조 | 중기 아시리아 제국 |
자녀 | 투쿨티-니누르타 1세 |
2. 생애
아다드-니라리 1세의 아들로, 기원전 1263년에 왕위를 계승하였다.[4] 즉위 직후 우라르투의 반란을 즉시 진압하고, 하닐갈바트의 잔존 영토를 정복하려 했다.[4]
북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람족에 대한 일련의 원정을 수행하였고, 킬리키아의 일부를 아시리아 제국에 병합하였으며, 카파도키아 경계에 아시리아 식민지를 설치하였다. 아수르에서 발견된 그의 연대기에 따르면, 첫해에 그는 북서쪽의 8개국을 정복하였고 아린누의 요새를 파괴하였는데 그것의 먼지를 아수르에 가져왔다.[4] 두 번째 해에는 미탄니(하닐갈바트)의 왕 사투아라와 그의 히타이트 그리고 알라무 연합군을 격파하였다.[4] 그는 미탄니 제국의 나머지를 아시리아의 주 중 하나로 편입시켰다. 샬만에세르 1세는 역시 14,400명의 적 포로를 애꾸로 만들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패한 적을 단순히 도살하기보다는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한 최초의 아시리아 왕 중의 하나였다. 그는 타이두에서 이리두까지 카실아르 산 모두에서 엘루하트 그리고 수두 요새까지 유프라테스 강의 하라누에서 카르케미시까지 전체 나라를 정복하였다.[4]
히타이트 왕 하투실리 3세는 위기감을 느껴 바빌로니아(카시트 왕조) 왕 카다슈만 투르구와 동맹을 맺어 아시리아에 대항하는 동시에, 이집트에 딸을 시집보내 대 아시리아 대비를 진행했다. 하지만 샬마네세르 1세는 바빌로니아에서 승리하여, 아시리아의 확장에 제동이 걸리는 일은 없었다.
샬마네세르 1세는 재위 기간 동안 많은 대규모 건축을 수행했으며, 아슈르 시에 아슈르 신전을 재건한 외에 칼후(님루드)에 제2 왕궁을 건설했다. 그는 아수르와 니네베에 왕궁을 건설하고 아수르에 세계 사원(Ehursagkurkurra)을 복원하였고, 님루드의 도시를 설립하였다.[4]
사후, 아들 투쿨티 니누르타 1세가 아시리아 왕위를 계승했다.
2. 1. 군사 활동
아다드-니라리 1세의 아들인 샬마네세르 1세는 즉위 초 우라르투의 반란을 진압하였다.[4] 북 메소포타미아에서 아람족에 대한 일련의 원정을 수행하였고, 킬리키아의 일부를 아시리아 제국에 병합하였으며, 카파도키아 경계에 아시리아 식민지를 설치하였다.아수르에서 발견된 그의 연대기에 따르면, 즉위 첫 해에 북서쪽 8개국을 정복하고 아린누 요새를 파괴하였는데, 그 먼지를 아수르에 가져왔다.[4] 두 번째 해에는 미탄니(하닐갈바트)의 왕 사투아라와 그의 히타이트 및 알라무 연합군을 격파하였다.[4] 그는 미탄니 제국의 나머지를 아시리아의 주로 편입시켰다. 샬만에세르 1세는 14,400명의 적 포로를 애꾸로 만들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패한 적을 단순히 도살하기보다는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한 최초의 아시리아 왕 중 하나였다.
그는 타이두에서 이리두까지, 카실아르 산에서 엘루하트, 그리고 유프라테스 강의 하라누에서 카르케미시까지의 모든 지역을 정복하였다.[4]
히타이트의 왕 하투실리 3세는 아시리아의 성장에 위협을 느껴 바빌로니아(카시트 왕조)의 왕 카다슈만 투르구와 동맹을 맺고, 이집트와도 관계를 강화하며 아시리아에 대항했다. 하지만 샬마네세르 1세는 이러한 바빌로니아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거두었다.
2. 2. 건축 활동
그는 아수르와 니네베에 왕궁을 건설하고 아수르에 세계 사원(Ehursagkurkurra)을 복원하였고, 님루드의 도시를 설립하였다.[4] 또한 아슈르 신전을 재건하고 칼후(님루드)에 제2 왕궁을 건설했다.3. 림무
4. 계승
참조
[1]
서적
Study on the Synchronistic King List from Ashur
https://books.google[...]
BRILL
[2]
웹사이트
ORACC Middle Assyrian Laws - Shalmaneser I
http://oracc.ub.uni-[...]
[3]
문서
The name means: "[the god] Salmanu is preeminent"; Georges Roux, ''Ancient Iraq'' (Penguin, 3rd ed., 1992), p. 295.
[4]
간행물
Shalmaneser
[5]
논문
Helmut Freydank, AoF 3 (2005), 45-56.
[6]
웹사이트
Eponyms of Shalmaneser 1 – Summary
https://web.archive.[...]
[7]
문서
The name means: "[the god] Shulmanu is preeminent"; Georges Roux, ''Ancient Iraq'' (Penguin, 3rd ed., 1992), p. 2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